KR0144458B1 - 클럭 신호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클럭 신호 유도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458B1
KR0144458B1 KR1019890009519A KR890009519A KR0144458B1 KR 0144458 B1 KR0144458 B1 KR 0144458B1 KR 1019890009519 A KR1019890009519 A KR 1019890009519A KR 890009519 A KR890009519 A KR 890009519A KR 0144458 B1 KR0144458 B1 KR 014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witching means
code word
block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642A (ko
Inventor
베르나르두스 호르스텐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에프.제이.스미트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제이.스미트,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에프.제이.스미트
Publication of KR90000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08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using sequential signal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3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blanking interval, e.g. MAC data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2Regeneration of analogue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클럭 신호 유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2a도는 클럭 신호가 유도되는 전기 신호에 대한 개략도.
제2b도는 검출 신호도.
제2c도는 시간의 함수인 스위칭 수단의 위치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입력단자 2:제1단자
3:3-위치 스위치 4:제2단자
5:위상 고정 루프 6:코드 워드 검출기
7:제3단자 8:고역 통과 필터
9:제어 신호 입력 10:출력단자
15:제어 신호 발생기
본 발명은 전기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기 신호는 연속되는 신호 블록으로 구성되며, 그 신호 블록은 제1신호를 포함하는 제1블록부와 제2신호를 포함하는 제2블록부를 구비하며, 매 n 번째 신호 블록의 제1블록부는 고유 코드 워드(unique code-word)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위칭 수단의 제1단자에 결합되는 입력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위상 고정 루프의 입력에 그리고 상기 고유 코드 워드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되는 코드 워드 검출기의 입력에 결합된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의 출력은 제어 신호 발생기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제2단자에 제1단자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자기 기록 캐리어로 부터 판독되는 MAC 신호와 같은 비디오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를 구동하도록 특히 비디오 레코더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클럭 신호가 입사 신호(incoming signal)로부터 구동될때, 비디오 레코더의 기록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AC(multiplexed analog components ; 다중화된 아날로그 성분) 신호 는, 라인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블록부와 비디오 신호의 색도 및 휘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블록부를 갖는 한 시퀀스의 라인(신호 블록)을 구비하는 신호이다. 제1블록부는 또한 오디오 신호 및 다른 데이타와 같은 부가적인 신호를 포함한다. MAC 신호내 제1블록부는 보통 디지탈로 인코드된 신호를 포함한다. 제2블록부내 색도 및 휘도 신호는 보통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를 갖는다. MAC 신호내 하나의 라인(신호 블록)은 64μS의 길이이며 제1 및 제2신호 블록은 10μS가 약간 초과되거나 54μS 약간 이하의 길이이다.
매 n 번째 신호 블록 즉, MAC 신호에 대한 매 625번째 신호 블록의 제1블록부는 고유 코드 워드를 포함한다.
이것은 제1블록부내에 이미 존재하는 신호에 더해서 고유 코드 워드가 이 블록부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다른 가능성은 이 블록부내에 존재하는 신호가 고유 코드 워드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고유 코드 워드를 포함하는 관련된 신호 블록은, 하나의 비디오 화상을 정확히 나타내는 MAC 비디오 신호내 625번째이자 마지막 비디오 라인에 대응한다.
MAC 신호의 잇점은, 텔레비젼 화상이 더 높은 선면도를 가지며, 사운드가 더 좋아지며, 색도와 휘도 신호 사이에 누화(crosstalk)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 마지막에 관한 잇점은, 색도 정보와 휘도 정보가 제2블록부내에 분리되어 지정되기 때문에 얻어질 수 있다.
공지된 장치의 위상 고정 루프(PLL)는, 제1블록부의 신호 내용으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유도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제1블록부의 신호 내용이 PLL의 입력에 인가된다.
여기서 스위칭 수단은 제1블록부가 제1단자에 인가되는 즉, 단자(1) 및 (2)가 상호 접속되는 순간에 닫히고 다른 순간에는 열린다. 클럭 신호는 게이트 된 PLL(gated PLL)부에 의해 유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레코더를 턴온시킨후 신속하게 인 타이밍(in timing)이 되는 클럭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에 따라서 스위칭은 온 후에 위상 고정 루프는 제1블록부의 신호 내용에 맞게 신속하게 그리고 정확히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위칭 수단이 고역필터를 통해 위상 고정 루프 및 코드 워드 검출기의 입력에 결합되는 제3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치가 턴온되는 순간에 제2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2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제1단자를 제3단자에 결합시키도록 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코드 워드 검출기에 의해 고유 코드 워드를 검출한 후에 제2제어 신호의 발생을 종료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가 턴온되는 순간에, 게이트된 형태의 위상 고정 루프를 고정시키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리는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이것은 타이밍이 고유 코드 워드가 검출될때까지 정확하기 않기 때문이다.
이 타이밍 시간전에 타임 윈도우(time window)는 제1블록부내 정보를 게이트 아웃(gate out)시키기에 충분히 정확하게 정의될 수 없다. 결국, 상기 클럭 신호는 유도되어 교정될 수 없으며, 따라서 입력에 인가되는 신호를 샘플하기 위해 클럭 신호를 필요로 하는 코드 워드 검출기 내에서의 고유 코드 워드 검출이 더 어려워진다.
상기 장치가 턴온되는 순간부터 전기 신호가 고역 필터를 통해 코드 워드 검출기 및 위상 고정 루프에 인가되면, 타임 윈도우를 교정하는 문제는 방지된다. 전체 신호는 고역 필터를 통해 코드 워드 검출기 및 위상 고정 루프에 인가된다.
고역 필터는, 잡음(의 역효과)을 감소시키는 전기 신호내 대역폭 제한을 가져온다. 더우기, 직류 성분이 없는 신호(free signal)는 코드 워드 검출기에 인가되어, 고유 코드 워드의 검출이 단순화된다. 고역 필터는 고유 코드 워드의 비트율보다 낮은 차단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고유 코드 워드를 검출한 후에, 위상 고정 루프는 고정되며, 타임 윈도우는 정확한 순간에 개방될 수 있다.
이것은 이제 게이트된 PLL 기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제1블록부내 정보만이 PLL 및 코드 워드 검출기로 전달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3-위치 스위치의 형태로, 스위칭 수단(3)의 제1단자(2)에 결합된 입력 단자(1)를 구비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3)은 위상 고정 루프(5) 및 코드 워드 검출기(6)의 입력에 결합된 제2단자(4)를 구비하며, 스위칭 수단(3)의 제3단자(7)는 고역 필터(8)를 통해 위상 고정 루프(5) 및 코드 워드 검출기(6)의 입력에 결합된다.
제어 신호 입력(9)를 통해 스위칭 수단에 인가된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스위치 S는 상부 위치, 중앙 위치 또는 하부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위상 고정 루프(5)의 출력은 클럭 신호로서, 출력 단자(10)에 인가된다.
코드 워드 검출기(6)는 입력(11)을 통해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 이 클럭 신호는 상기 코드 워드를 수신하는데 필요하다. 검출기(6)의 출력(13)은 제어 신호 발생기(15)의 입력(14)에 결합되면, 이 발생기의 출력(16)은 스위칭 수단(3)의 제어 신호 입력(9)에 결합된다.
입력 단자(1)에 인가된 전기 신호는 제2a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신호는 제2a도의 블록 Bi는 제1블록부 EBDi 및 제2블록부 TBDi를 구비하며, 제1블록부 EBDi는 제1신호를 포함한다.
매 n 번째 신호 블록 즉, 제2a도의 신호 블록 Bi-1은 고유 코드 워드 CW를 포함하는데, 상기 코드 워드는 신호 블록 Bi-1의 제1블록부 EBDi-1 내에 저장된다. 고유 코드 워드는 고유 1 및 0의 결합부를 가지는 디지탈 숫자가 될 수 있다. 신호 블록의 제2블록부는 제2신호를 포함한다.
전기 신호가 MAC 신호이면 신호 블록내 제1블록부 EBD의 신호 정보는 디지탈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오디오 정보 및 라인 동기 신호를 가진다. 전술되었듯이, 신호 블록 Bi-1의 제1블록부는 고유 코드 워드 CW를 포함한다. 신호 블록부 Bi-1의 제1블록부 EBDi-1이 상기 고유 코드 워드만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1블록부 EBDi+n-1, EBDi+2n-1, ... 등은 상기 고유 코드 워드를(만을) 구비한다.
제2블록부에서 비디오 화상내 비디오 라인의 색도 정보 및 휘도 정보는 하나씩 분리되어 저장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은 신호 파형을 도시하는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재생 모드에서 기록 캐리어로부터 특히, 기록 캐리어로부터 판독된 신호의 제1블록부 EBD 내 신호 정보로부터 클럭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것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캐리어는 t=t0에서 턴온된다. 이 순간부터 제2a도에 도시된 신호는 상기 장치의 입력 단자(1)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15)는, 스위칭 수단이 상부 위치(제1 및 제2c도의 위치 I)에 고정되는 상황하에서, 스위칭 수단(3)에 대해 제2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완전히 신호가 고역 필터(8)를 통해 위상 고정 루프(5) 및 코드 워드 검출기(6)의 입력에 인가된다. 위상 고정 루프는 클럭 신호를 공급한다. 이 클럭 신호는 대체로 요구된 값을 갖지만 이 값은, 루프(5)가 제1블록부내 신호 정보에 부정확하게 고정되지 않았으므로 충분히 정확하지 않다. 이것은 입력(12)에 인가된(디지탈) 신호가 코드 워드 검출기(6)에서 샘플되는 클럭 순간이 정확히 시간 설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이다. 즉,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6)의 입력(12)에 인가된 신호가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표시될 때,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아이 패턴(eye pattern) OP이 눈에 보이게 된다. 상기 신호는 정확한 검출에 있어서, 샘플링 순간(sampling instants)이라 불리는 클럭 순간이 아이 패턴의 최대 값에서 정확히 나타나도록 시간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제1도의 화살표 P로 표시된다.
신호가 고역 필터(8)를 통해 코드 워드 검출기(6)에 인가되므로, 상기 신호는 많은 잡음을 포함치 않는다. 더우기 상기 신호는 d.c 성분이 없다.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6)는 순간 t=t1에서 인가된 코드 워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t=t2에서 인가된 코드 워드를 검출할때 검출기(6)는 그 출력에서 펄스를 발생하여 제어 신호 발생기(15)에 상기 펄스를 인가한다(제2b도 참조). 이 순간에 시스템은 인 타이밍이며 게이팅(gating), 즉, 상기 발생시(15)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위치 II와 III 사이의 스위칭 수단(3)상의 변화가 시작될 수 있다. 이는 이것은 스위치 S가 t=t3부터 제어 신호 발생기(15)의 타이밍은 스위칭 수단(3)의 위치 II 및 위치 III 으로 교대로 고정되도록 하며, 따라서 t=t3에서부터 제1블록부 EBDi, EBDi+1 등만이 위상 고정 루프(5)로 전달된다.
더우기, 코드 워드 검출기(6)가 매번 스위칭 수단(3)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에 의해 코드 워드 검출기(6)에 전달되는 제1블록부 EBDi+n-1, EBDi+2n-1 등등의 연속되는 코드 워드를 검출하며, 필요하면 제어 신호 발생기가 타이밍을 적응시키므로 정확한 타이밍이 유지된다.
코드 워드가 t=t0 와 t=t3 사이의 간격에서 고역 필터(8)를 통해 코드 워드 검출기에 인가될려면 이 고역 필터는 고유 코드 워드의 비트율보다 작은(낮은) 차단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사실상, 이것은 고역 필터의 차단 주파수가 제1신호의 비트율보다 작아야 함을 의미한다. 위상 고정 루프(5)는 이미 이 시간 간격 t0, t3의 클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신호는, 본 출원인 네델란드 특허원 제8801704호(PHN 12.618)에 기술된 바와같이, 이진 신호가 될 수 있다. 상기 클럭 신호는, 제1도의 참조번호 5인 소자에 대해 상기 네델란드왕국 특허원에 설명된 것에 의해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전기 신호는 반드시 MAC 신호일 필요는 없다. 상기 전기 신호는 그 대신에 MUSE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스위치 S를 위치 II 와 III 에 선택적으로 놓으므로,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는 타임 윈도우가 발생하는 동안 코드 워드가 검출되지 않는 횟수를 계수하게 된다.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6)가 코드 워드 검출기(6)가 코드 워드가 검출되지 않는 n 회를 계수했을 때, 타이밍이 손실된다고 가정된다. 이제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6)는 스위치 S에 전송되는 출력(13)에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스위치 S는 전술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타이밍으로 재설정하기 위해 위치 I로 스위치 된다.

Claims (1)

  1. 전기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전기 신호는 연속되는 신호 블록으로 구성되며, 그 신호 블록은 제1 신호를 포함하는 제1블록부와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제2블록부를 가지며, 매 n 번째 신호 블록의 제1블록부는 고유 코드 워드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위칭 수단의 제1단자에 결합되는 입력 단자를 가지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위상 고정 루프의 입력에 그리고 상기 고유 코드 워드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되는 코드 워드 검출기의 입력에 결합된 제2단자를 가지며, 상기 코드 워드 검출기의 출력은 제어 신호 발생기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스위칭 수단의 제어 신호 입력에 결합된 출력을 가지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제1블록부가 스위칭 수단의 제1단자에 인가되는 동안에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제2단자에 제1단자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클럭 신호 유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고역 필터를 통해 위상 고정 루프 및 코드 워드 검출기의 입력에 결합되는 제3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장치가 턴온되는 순간에 제2제어 신호를 발생키도록 동작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제2제어 신호의 영향하에서 제1단자를 제3단자에 결합시키도록 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코드 워드 검출기에 의해 고유 코드 워드를 검출한 후에 제2제어 신호의 발생을 종료시키게 되며, 상기 고역 필터는 상기 고유 코드 워드의 비트율보다 작은 차단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 신호 유도 장치.
KR1019890009519A 1988-07-21 1989-07-05 클럭 신호 유도 장치 KR0144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801844 1988-07-21
NL8801844A NL8801844A (nl) 1988-07-21 1988-07-21 Opstarten van de timing in een inrichting voor het afleiden van een kloksigna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642A KR900002642A (ko) 1990-02-28
KR0144458B1 true KR0144458B1 (ko) 1998-07-15

Family

ID=1985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519A KR0144458B1 (ko) 1988-07-21 1989-07-05 클럭 신호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75928A (ko)
EP (1) EP0351915B1 (ko)
JP (1) JP2585802B2 (ko)
KR (1) KR0144458B1 (ko)
AT (1) ATE95368T1 (ko)
DE (1) DE68909530T2 (ko)
ES (1) ES2045388T3 (ko)
NL (1) NL88018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620A (en) * 1988-10-27 1993-08-10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signal demodulating apparatus
JP2548989B2 (ja) * 1989-09-20 1996-10-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IT1399415B1 (it) 2010-04-12 2013-04-16 Oscam Spa Impianto per la piegatura di barre metalliche con caricamento automatico delle barre, e metodo di caricamento utilizzato in tale impiant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5530A (en) * 1979-10-31 1981-06-03 Sony Corp Pll circuit
ZA873823B (en) * 1986-06-03 1988-01-27 Scientific Atlanta Improving immunity to channel distortions of mac signal
JPH0666705B2 (ja) * 1987-01-12 1994-08-24 日本電気株式会社 間欠受信回路
EP0250274B1 (fr) * 1987-03-19 1992-12-30 France Telecom Procédé et dispositif de modulation de signaux de télévision, notamment du type D2-MAC/Paqu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9530T2 (de) 1994-03-24
EP0351915B1 (en) 1993-09-29
JP2585802B2 (ja) 1997-02-26
KR900002642A (ko) 1990-02-28
DE68909530D1 (de) 1993-11-04
ATE95368T1 (de) 1993-10-15
ES2045388T3 (es) 1994-01-16
US4975928A (en) 1990-12-04
NL8801844A (nl) 1990-02-16
JPH0273789A (ja) 1990-03-13
EP0351915A1 (en) 1990-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6223A (en) Recording of digital signals
US3261001A (en) Telemetering decoder system
KR970000848B1 (ko) 신호 전이 향상 장치
US4027331A (en) Digital television system
US4745476A (en) Television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606053A (en) Bi-phase decoder
KR0144458B1 (ko) 클럭 신호 유도 장치
KR0161807B1 (ko) 타임코드 생성회로
JPS6220488A (ja)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US50687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in a digital composite video system
KR0150336B1 (ko) 화상 정보를 배타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필드 메모리를 갖고 있는 비디오 프로세서
US4057827A (en) Apparatus for reading color television signal from a disc-shaped record carrier
KR100262632B1 (ko) 디브이씨알의 동기신호 검출장치
US4203003A (en) Frame search control for digital transmission system
JPH0666944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793612B2 (ja) ビデオ信号多重化方式およびその装置
US4358787A (en) Digita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orrect reproduction of a composite television signal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process
US4535362A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in a television receiver
KR100457986B1 (ko) 기록캐리어상의트랙에디지털정보신호를기록하는장치및이디지털정보신호를인코딩하는인코딩수단
EP0249987A2 (en) Vertical driving pulse generating circuit
KR940008491B1 (ko) 브이씨알의 재생방식 판별신호 삽입 및 검출장치
HU189068B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ocessing colour tv signals, in particular to secam-system
KR0116334Y1 (ko) 텔리텍스트 테이타 기록이 가능한 영상기록 재생장치
KR960005944B1 (ko) 브이티알 시스템에 있어서 지연록크 스틸신호 처리회로 및 방법
JP2599038B2 (ja) 音声信号の制御符号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