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867B1 -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867B1
KR0143867B1 KR1019940033067A KR19940033067A KR0143867B1 KR 0143867 B1 KR0143867 B1 KR 0143867B1 KR 1019940033067 A KR1019940033067 A KR 1019940033067A KR 19940033067 A KR19940033067 A KR 19940033067A KR 0143867 B1 KR0143867 B1 KR 014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piston
impact ratio
timer
ratio
fue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101A (ko
Inventor
아끼라 세끼구찌
요시노리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오오따 유다까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따 유다까,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오오따 유다까
Publication of KR95001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00Controlling fuel-injection pumps, e.g. of high pressure injection type
    • F02D1/16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 F02D1/18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with non-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control impulse; with amplification of control impulse
    • F02D1/183Adjustment of injection timing with non-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control impulse; with amplification of control impulse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1Controlling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6Electrically controlling a diesel injection pump
    • F02D41/408Electrically controlling a diesel injection pump of the distribu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02M41/08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 F02M41/1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 F02M41/12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 F02M41/123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the distributor and pumping elements being combined pump pistons acting as the distributor the pistons rotating to act as the distribut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varying fuel delivery or injection timing
    • F02M41/128Varying injection timing by angular adjustment of the face-cam or the rollers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24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switching a load after time-on and time-off pulses
    • F02D2041/2027Control of the current by pulse width modulation or duty cycl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분사펌프의 분사개시시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회전이 떨어져서 타이머 제어밸브의 구동 충격비가 가장 지연 (0%)측으로 변동하여 충격비가 0%에 이르기전에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위치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충격비를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위치에 이르른 시점의 값으로 고정한다.
또는,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위치에 이르른 시점에서의 값을 기억하여 충격비를 0%라 한다.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였을 경우에는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위치에 이르른 시점에서의 충격비로부터 변동시켜서 목표 타이머피스톤위치에 실체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즉시적으로 추종시킨다. 저속회전에서의 타이머 피스톤위치와 충격비의 차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엔진회전이 저속회전으로부터 상승하는 경우의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에 의한 연료분사시기의 제어예를 나타낸 순서도.
제3도는 제2도의 제어처리에 의한 타이머 피스톤위치와 충격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선도.
제4도는 연료분사시기의 다른 제어예를 나타낸 순서도.
제5도는 제4도의 제어처리에 의한 타이머 피스톤위치와 충격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선도.
제6도는 엔진회전수 (N)와 타이머 피스톤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선도.
제7도는 종래의 제어처리에 의한 타이머 피스톤위치와 충격비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플런저 7:플런저 배럴
8:캠디스크 9:플런저 스프링
10:커플링 11:로울러 호울더
14:흡입구 15:흡입 그루우브
21:제어 슬리이브 25:타이머 장치
31:타이머 제어밸브 (TCV) 40:제어장치
본 발명의 연료분사펌프의 분사개시시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분사시기를 결정하는 타이머장치를 타이밍 제어밸브에 의하여 제어한 연료 분사펌프로서, 예컨대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9-105942호 공보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엔진의 아이들상태를 판정하는 처리를 구비하여 아이들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타이밍 제어밸브를 완전개방으로 하여 연료분사시기를 가장 지연되게 하도록 충격비를 0% (제어펄스가 Hi 일 때에 개방이 되는 밸브에서는 100%)로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아이들시에서는 타이머 피스톤을 연료분사시기가 가장 지연되는 위치 (0 ㎜)에 고정하는 이유이지만 이와 같은 엔진회전수가 작을 경우에는 제6 도에서 나타낸 특성선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0㎜ 이였어도 타이밍 제어밸브의 구동 충격비가 0% 보다 큰 경우가 있으며, 제6도에 의하면 충격비가 대체로 30% 이하에서도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0 ㎜로 된다.
그런데, 타이머 피스톤 0㎜의 위치에 있어도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인지하는 센서 (예컨대, 타이머위치센서)의 부착위치의 불균형이나 센서의 진동등에 따라 제어장치는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0㎜보다 크다고 인식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이 문제로 된다.
즉, 엔진회전수가 아이들 회전수로 향하여 서서히 떨어져서 목표로 하는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0㎜로 되었을 경우, 충격비가 30% 전후로 되면 실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0㎜로 된다. 이 경우에 제어장치가 실제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0㎜보다 크다고 인식하여 버리면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목표위치에 수속시키는 예컨대 PID 제어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충격비가 더욱 0%로 향하여 작아진다. 이 때문에 아이들 회전에서 엔진회전이 급상승하면 충격비가 30%로 되기까지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불감영역이 형성되어 버려서 분사시기가 진각함에 지연 (Tdelay)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여 불감대에서 충격비를 제어함에 따라서,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을 개선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는 타이밍 제어밸브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제어하여 연료분사 개시시기를 조절하는 타이머장치와,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인지하는 센서와, 운전상태에 따라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를 연산하는 목표위치 연산수단과, 전술한 목표위치에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를 수속시키도록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연산수단과, 충격비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충격비의 구동펄스를 타이밍 제어밸브에 출력하는 구동수단등을 구비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에 있어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일정범위에 설정되었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하고,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일정범위에 이르렀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이 판정수단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에 들어가서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그 시점에서의 값으로 교정하고, 이 상태에서 판정수단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 밖으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고정된 충격비를 초기치로서 충격비 연산수단에 따라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조정수단등을 설치한 사실에 있다.
여기에서 판정수단으로서 엔진이 아이들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가하여 아이들시에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그땐의 충격비를 일단 (一端) 기억하고, 그런 다음에 이 충격비를 타이밍 제어밸브가 완전개방으로 되는 값에 고정하여 이 상태에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 밖으로 되면 기억된 충격비를 초기치로 하여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연산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엔진회전이 예컨대 아이들상태로 되어 타이밍 제어밸브의 구동 충격비가 가장 지연각 (0%) 측으로 변동하여 충격비가 0% 에 이르기전에 타이머 피스톤이 가장 지연각측의 소정위치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청구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충격비를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각 위치에 이르른 시점의 값으로 고정하므로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였을 경우에도 충격비가 0%에서 상승하는 일은 없고, 불감대를 없애어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을 없앨 수 있다.
또, 청구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가장 지연각 위치에 이르른 시점에서 그때의 충격비를 일단 기억함과 동시에, 이 충격비를 강제적으로 0%라 하여, 엔진회전수가 급상승하였을 경우에는 기억한 충격비로부터 재차 추종 제어의 충격비가 연산되므로 불감대가 없어짐과 동시에 아이들시에서는 타이밍 제어밸브를 완전개방상태로 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시에서의 TCV의 작동음을 소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연료분사펌프(1)는 분배형이고, 하우징(2)에는 구동축(3)이 삽입되었고, 이 구동축(3)의 일단은 하우징(2)의 외부에 돌출하였고, 도면에 없는 엔진으로 부터의 구동 토오크를 받도록 되어 있다. 구동축(3)의 타단은 하우징(2)내의 챔버(4)에 뻗어 있으며, 그 구동축(3)에는 급수펌프(5)가 연결되었고, 이 급수펌프(5)에 의하여 도면에 없는 연료탱크로 부터의 연료를 챔버(4)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6)는 플러저 배럴(7)에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플런저(3)의 기부는 캠디스크(8)에 맞닿아 맞물리고, 플런저 스프링(9)에 의하여 꽉눌리어져 있다. 캠디스크(8)는 커플링(10)을 개재하여 구동축(3)에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맞물려져 있음과 동시에 로울러 호울더(11)에 지지된 로울러(12)에 맞닿고 있으며, 이 캠디스크(8)의 회전에 따라 플런저(6)에 대하여 연료의 흡입압송을 위한 왕복운동과 연료를 분배하기 위한 회전등을 동시에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6)가 도면에서 좌행(左行)하는 흡입공정시에는 송유펌프에서 챔버(4)에 공급되는 연료가 흡입구(14)에서 플런저(6)의 선단축방향으로 형성된 흡입 그루우브(15)의 하나를 개재하여 플런저 배럴(7)과 플런저(6)로 포위된 펌프실(16)로 공급되어 플런저(6)가 도면에서 우행하는 압송공정시에는 흡입구(14)와 흡입 그루우브(15)가 잘려 흩어지게 되어 펌프실(16)내에서 압축된 연료가 플런저(6)의 세로구멍(17)을 거쳐 분배구에서 분배통로(18)중의 하나에 들어가서 송출밸브(19)에서 도면에 없는 분사노즐에 이송되고, 이 분사노즐에서 엔진의 기통내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런저(6)의 플런저 배럴(7)에서 돌출하는 부분에는 제어 슬리이브(21)가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바꾸어 끼워졌고, 플런저(6)의 세로구멍(17)과 연통하는 차단구(22)가 제어 슬리이브(21)의 옆가장자리에서 벗어나서 챔버(4)에 개구하면 압축된 연료가 챔버(4)에 유출하므로 분사노즐에의 송출은 정지되어 분사가 종료한다. 이 때문에 제어 슬라이브(21)의 위치조정에 의하여 분사시기 (fuel injection end), 즉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제어 슬리이브(21)를 도면중의 왼쪽으로 이동할수록 분사량을 감소시키며, 오른쪽으로 이동할수록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타이머장치(25)는 전술한 로울러 호울더(11)의 하방에 설치된 실린더(26)의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수납된 타이머 피스톤(27)을 구비하였고, 이 타이머 피스톤(27)을 레버(128)를 개재하여 로울러 호울더(11)에 연결하여 타이머 피스톤(27)으로 로울러 호울더(11)를 회전운동시켜서 분사시기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머 피스톤(27)의 일단에는 챔버내의 고압연료가 도입되는 고압실(28)이, 또 타단에는 급수펌프의 흡입경로와 연통하고 있는 저압실(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압실(29)에는 타이머 스프링(30)이 탄력 장착되었고, 이 타이머 스프링(30)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27)이 항상 고압실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머 피스톤(27)은 타이머 스프링(30)의 스프링 압력과 고압실내의 유압이 균형진 위치에서 정지하여 고압실 압력이 높아지면 타이머 피스톤(27)이 타이머 스프링(30)에 저항하여 저압실측으로 이동하며, 로울러 호울더(11)가 분사시기를 진각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분사시기가 빨라진다.
또, 고압실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타이머 피스톤(27)이 고압실축으로 이동하여 로울러 호울더(11)가 분사시기를 지연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분사시기가 늦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타이머의 고압실(28)의 압력은 요구되는 타이머 진각을 얻을 수 있도록 타이밍 제어밸브(TCV)(31)로 조절된다. 이 타이밍 제어밸브(31)는 고압실(28)로 통하는 연료입구(32)를 측면부에, 또 저압실(29)로 통하는 연료출구(33)를 선단부에 각기 구비하였고, 내부에는 연료입구(32)와 연료출구(33)의 연통을 개폐하는 니이들(34)이 수납되어 있다. 이 니이들(34)은 연료입구(32)와 연료출구(33)의 연통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36)에의 통전에 의하여 스프링에 저항하여 끌어당겨져서 연료입구(32)와 연료출구(33)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솔레노이드(36)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에는 고압실(28)과 저압실(29)은 완전히 차단되지만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에는 고압실(28)과 저압실(29)이 연결되어 고압실(28)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 고압실(28)의 압력저하에 따라 타이머 피스톤(27)은 타이머 스프링(30)의 탄력과 균형지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분사시기가 변화한다.
더욱이, 실제에는 고압실(28)의 압력은 타이밍 제어밸브의 충격비 제어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이 충격비는 제어장치(40)에 의하여 제어되어 있으며, 충격비가 0%에 향할수록 타이밍 제어밸브(31)는 완전개방상태로 향하고, 분사시기상태는 지연하게 된다. 또, 충격비 100%에 향할수록 타이밍 제어밸브(31)는 완전폐쇄상태로 향하고, 분사시기상태는 진각하게 된다.
또, 하우징(2)에는 타이머 피스톤(27)의 위치를 검출하는 타이머 위치센서(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타이머 위치센서(37)는, 예컨대 저압실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2)에 설치된 검출코일(38)과 타이머 피스톤(27)에 부착된 막대(39)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타이머 위치센서(37)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제어장치(40)에 이송되어 처리된다.
제어장치(40)는 타이밍 제어밸브(31)등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이 구동회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우터, 이 마이크로 컴퓨우터에 신호를 입력하는 회로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었고, 마이크로 컴퓨우터는 중앙연산처리 (CPU), ROM, RAM, A/D 변환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40)의 입력회로에는 타이머 위치센서(TPS)(37)로 부터의 신호 (TPSIST)의 외에 엔진의 회전속도 (N), 아이들 스위치로 부터의 ON/OFF 신호등이 입력되어 이것들 신호를 처리하여 연료분사 펌프의 타이밍 제어밸브 (TCV)(31)등을 일정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구동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제어장치(40)에 의한 타이머장치의 제어예를 순서도로 하여 나타내었고, 다음에 이것을 설명하면 제어장치(40)는 스텝(50)에서 타이머 피스톤을 목표위치에 수속시키는 PID 제어의 초기치등을 초기설정하고, 스텝(52)에서 TPS 로 부터의 신호 (TPSIST)나 여러 가지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기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다음의 스텝(54)에서 운전상태에 따른 목표 타이머 피스톤위치 (TPSSOL)를 산출한다.
스텝 (56)에 있어서는 타이머 피스톤(27)의 목표위치(TPSSOL)가 가장 지연측의 소정위치 (TPS_MIN : 예컨대 0㎜)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TPS_MIN 이하라면 스템(58)으로 진행하고, TPS에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 (TPSIST)가 TPS_MIN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목표위치가 TPS_MIN보다 클 경우나, 목표위치가 TPS_MIN 이하이지만 TPS 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가 TPS_MIN 이하로 이르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스텝(60)에 진행하고,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 (TPSIST)를 목표 위치 (TPSSOL)에 일정범위내에서 일치시키도록 한 TCV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PID 연산하여 스텝(62)에서, 이 산출된 충격비를 갖는 구동펄스를 TCV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타이머 피스톤(27)의 목표위치가 TPS_MIN이며, 실제위치도 TPS_MIN 이하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스텝(64)에 진행하여 그 시점에서의 충격비를 다음회의 PID연산에서의 적분치의 초기치로서 RAM 에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 (60)을 바이패스하여 스텝(62)에 진행하여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TPS_MIN 이하에 이르른 시점에서의 충격비, 즉 RAM에 기억한 충격비로서 TCV에 구동펄스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분사시기를 가장 지연측에 이행하고 싶은 요청이 시각(t1)에 있을 경우에는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시각 (t1)에서 서서히 가장 지연측으로 이동하여, 예컨대 목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시각 (t2)에 있어서 0㎜로 되면, 스텝 (60,62)에서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가 목표위치에 추종하여 서서히 작아져서 0㎜로 된다. 이 경우, 구동펄스의 충격비는 실제에는 30% 전후이지만 그대로 PID제어를 계속하는 것이라면 충격비가 0%로 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이 제어에 의하면 실제위치가 0㎜에 이르른 시점에서 PID연산이 중단되므로 그 시점에서 구동펄스의 충격비가 고정된다.
또, 이와 같은 아이들상태에서 재차 통상 주행상태로 이행하는 경우 (시간 t3)에는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 충격비가 종래와 같이 0%로 되어 있으면 30%로 이르기까지 동안은 타이머 피스톤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그 동안의 손실시간이 발생하지만 본원에 의하면 스텝(64)에서 기억된 충격비를 PID연산의 적분 초기치로 하므로 목표위치가 커지기 시작한 후에는 타이머 피스톤이 제3도와 같이 즉시적으로 추종하기 시작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충격비의 불감대가 아이들시에 있어서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아이들시에서의 제어예를 나타내었으나, 그밖의 운전영역에 있어서도 같은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 없다.
제4도에 다른 실시에를 나타내었는데 제어장치(40)는 스텝(70)에서 타이머 피스톤을 목표위치에 수속시키는 PID 제어의 초기치등을 초기설정하고, 스텝(72)에서 TPS 로 부터의 신호 (TPSIST), 엔진회전수 (N), 아이들스위치로 부터의 ON/OFF 신호, 그밖에 여러 가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기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다음의 스텝 (74)에서 운전상태에 따른 목표 타이머 피스톤위치 (TPSSOL)를 연산한다.
스텝(76)에 있어서는 제어처리의 과정을 설정하는 플래그 (F_TCV)가 설정되어 있는지 재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재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78∼84)에 진행하여 아이들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지 않았는지를 (스텝 78), 엔진회전수 (N)가 소정회전수 (N_IDL_CHK) 이하인지 아닌지를 (스텝 80), 목표 타이머 피스톤위치 (TPSSOL)가 가장 지연측의 소정위치 (TPS_MIN : 예컨대 0㎜) 이하인지 아닌지를 (스텝 82),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 (TPSIST)가 TPS_MIN 이하인지 아닌지를 (스텝 84) 각기 판정한다.
아이들스위치가 ON 이고, N≤N_IDL_CHK, TPSSOL≤TPS_MIN, TPSIST≤TPS_MIN일 경우에는 스텝(86)에 진행하고, PID 연산을 중단하여 그 시점에서의 충격비를 RAM 에 기억하여 나중에 PID연산을 하는 경우의 적분치의 초기치로 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 (88)에서 구동펄스의 충격비 (D_TCV)를 강제적으로 0%로 하여, 스텝(90)에서 플래그 (F_TCB)를 설정한 다음, 스텝(92)에 진행하여 충격비 0%의 구동펄스를 TCV에 출력한다.
아이들스위치가 OFF이고, NN_IDL_CHK, TPSSOLTPS_MIN 또는 TPSISTTPS_MIN일 경우에는 스텝(94)에 진행하여 TCV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PID연산한다. 그리고, 스텝(96)에서 플래그 (F_TCV)를 재설정한 다음, 스텝(92)에 진행하여 스텝(94)에서 연산된 충격비를 갖는 구동펄프를 TCV에 출력한다. 또, 스텝(76)에서 플래그 (F_TCV)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스켑(98)에 진행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TPS_MIN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목표위치가 TPS_MIN 이하이면 타이머 피스톤을 최소위치 (0㎜)에 유지하여 목표위치가 TPS_MIN보다 커졌을 경우에는 통상의 PID연산에 복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사시기를 가장 지연측으로 이행하고 싶은 요청이 시각 (t1)에 있을 경우에는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시각 (t1)에서 서서히 작아지며, 예컨대 목표 타이머 피스톤 위치가 시각 (t2)에서 0㎜로 되면, 실제위치가 목표위치에 추종하여 서서히 작아지게 되어 0㎜로 된다. 이 시점에서 구동펄스의 충격비는 실제에는 30% 전후이지만 이것을 스텝 (88)에서 강제적으로 0%로 하므로 타이밍 제어밸브가 완전개방상태로 되어 작동음이 없어진다.
또, 이와 같은 아이들상태에서 급가속하면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 충격비가 0% 그대로 이면 30%에 이르기까지 동안은 타이머 피스톤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손실시간이 발생하지만 본원에 의하면 스텝(86)에서 기억된 충격비를 PID연산의 적분 초기치로 하므로 목표위치가 커지기 시작한 후에는 충격비가 30% 전후의 값으로부터 변동하기 시작하여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타이머 피스톤이 즉각 추종하기 시작한다.
더욱이,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인지하는 센서로서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직접 검출하는 타이머 위치센서(37)를 사용하였으나, 타이머 피스톤위치는 그대로 분사시기에 반영되기 때문에 분사노즐측의 분사개시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예컨대 노즐 리프트센서등으로 대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일정범위로 설정되어서 실제의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이 범위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구동펄스의 충격비가 그 시점에서의 값으로 고정되어 엔진회전이 급상승 하였을 경우에는 구동펄스의 충격비가 그 고정된 충격비에서 신속하게 변동하므로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이 없어지게 된다.
또, 청구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 회전이 아이들상태이고,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일정범위로 설정되어서 실제의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이 범위에 이르렀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의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일단 기억하고, 그런 다음에 충격비를 타이밍 제어밸브가 완전 개방이 되는 값으로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아이들시에는 타이밍 제어밸브의 작동음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엔진회전이 아이들상태에서 급상승하였을 경우에는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기억한 충격비로부터 신속하게 변동하기 시작하므로 분사시기의 추종지연이 없어지게 된다.

Claims (6)

  1. 타이밍 제어밸브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제어하여 연료분사 개시시기를 조절하는 타이머장치와, 타이머 피스톤위치를 인지하는 센서와, 운전상태에 따라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를 연산하는 목표위치 연산수단과, 목표위치에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를 수속시키도록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연산수단과, 충격비 연산수단으로 연산된 충격비의 구동펄스를 타이밍 제어밸브에 출력하는 구동수단등을 구비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에 있어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일정범위에 설정되었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함과 동시에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에 들어가서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그 시점에서의 값으로 고정하고, 이 상태로부터 판정수단으로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 밖으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고정된 충격비를 초기치로서 충격비 연산수단에 의하여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조정수단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2. 타이밍 제어밸브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 위치를 제어하여 연료분사 개시시기를 조절하는 타이머장치와, 타이머 피스톤 위치를 인지하는 센서와, 운전상태에 기초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 위치를 연산하는 목표위치 연산수단과, 목표위치에 타이머 피스톤 위치의 실제위치를 수속시키도록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연산수단과, 충격비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충격비의 구동펄스를 타이밍 제어밸브에 출력하는 구동수단등을 구비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에 있어서, 엔진이 아이들상태에 있는지 않은지를 판정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 위치가 소정범위에 설정되었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하여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 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는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판정수단에 의하여 엔진이 아이들상태이고, 타이머 피스톤 목표위치가 소정범위에 들어가며, 또한 센서로 검출된 타이머 피스톤 위치가 소정범위에 이르렀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그 시점에서의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기억하여 이 충격비를 타이밍 제어밸브가 완전개방으로 되는 값으로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판정수단에 의하여 타이머 피스톤의 목표위치가 소정범위 밖으로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기억된 충격비를 초기치로서 충격비 연산수단에 의하여 충격비를 연산하는 충격비 조정수단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3. 제1 및 제2항에 있어서, 소정범위는 가장 지연쪽의 위치 이하임을 특징으로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4. 제1 및 제2항에 있어서, 충격비 연산수단은 목표위치에 타이머 피스톤의 실제위치를 수속시키도록 구동펄스의 충격비를 PID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5. 제1 및 제2항에 있어서, 전자식 연료분사장치는 구동펄스의 충격비가 대체로 30% 이하에서 타이머 피스톤 위치가 가장 지연쪽으로 되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아이들상태인지 아닌지의 판정은 아이들스위치가 ON으로 되었는지 않았는지의 판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KR1019940033067A 1993-12-09 1994-12-07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KR014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077193A JP3215962B2 (ja) 1993-12-09 1993-12-09 電子式燃料噴射装置の噴射時期調整装置
JP93-340771 199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01A KR950019101A (ko) 1995-07-22
KR0143867B1 true KR0143867B1 (ko) 1998-08-17

Family

ID=1834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067A KR0143867B1 (ko) 1993-12-09 1994-12-07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57638B1 (ko)
JP (1) JP3215962B2 (ko)
KR (1) KR0143867B1 (ko)
DE (1) DE694116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291B2 (ja) * 1996-08-28 2006-03-2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JP3572433B2 (ja) * 1997-01-31 2004-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燃料噴射ポンプの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DE19854766A1 (de) * 1998-11-27 2000-05-31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DE602006001904D1 (de) * 2005-08-01 2008-09-04 Delphi Tech Inc Einspritzverstell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40A (ja) * 1982-07-16 1984-01-26 Diesel Kiki Co Ltd 燃料噴射ポンプ用タイマ装置
JPS59105942A (ja) * 1982-12-09 1984-06-19 Toyota Motor Corp 燃料噴射ポンプのタイマ位置制御装置
JPH07116975B2 (ja) * 1985-05-23 1995-12-18 株式会社ゼクセル 燃料噴射装置
JP2576958B2 (ja) * 1987-09-28 1997-01-29 株式会社ゼクセル 電磁弁制御式の分配型燃料噴射装置
JP2958993B2 (ja) * 1989-11-01 1999-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DE4039761A1 (de) * 1990-12-13 1992-06-17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leerlauf-luftste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57638A3 (en) 1996-11-27
KR950019101A (ko) 1995-07-22
DE69411685T2 (de) 1999-04-15
JPH07158471A (ja) 1995-06-20
EP0657638B1 (en) 1998-07-15
JP3215962B2 (ja) 2001-10-09
EP0657638A2 (en) 1995-06-14
DE69411685D1 (de)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5551B1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US4530337A (en) Fuel injection pump
US4782803A (en) 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for fuel injection pump
GB209907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fuel injection systems therefor
US5357933A (en) Fuel injection device
US4495915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29639B2 (ja) 電子制御式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の送油率可変制御方法
US5592915A (en) Pilot injection controller in fuel inje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ilot injection quantity
US4440135A (en) Fuel injection system provided with fuel injection valves having controllable valve opening pressure
US5996557A (en) Fuel injection timing control system of fuel-injection pump for diesel engines
KR0143867B1 (ko) 전자식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KR940010737B1 (ko) 연료분사펌프의 분사시기 제어장치
US5005548A (en) Fuel injection pump
US5531204A (en) Injection timing device for fuel injection system
EP0425798B2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diesel engine
JPH0278738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ポンプ
JP2001355499A (ja) 電子式燃料噴射装置の噴射時期調整装置および噴射時期調整方法
KR0153502B1 (ko) 연료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KR0137350B1 (ko) 전자식 연료 분사장치의 분사시기 조정장치
JP3306687B2 (ja) 電子式燃料噴射装置の噴射時期調整装置
US4671239A (en) Fuel injection pump
JPH0575908B2 (ko)
JP2832357B2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JPH088277Y2 (ja) 電子制御燃料噴射装置
JPH08312415A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