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613B1 -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613B1
KR0143613B1 KR1019950006143A KR19950006143A KR0143613B1 KR 0143613 B1 KR0143613 B1 KR 0143613B1 KR 1019950006143 A KR1019950006143 A KR 1019950006143A KR 19950006143 A KR19950006143 A KR 19950006143A KR 0143613 B1 KR0143613 B1 KR 014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onductive
substrate
polarizing fil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576A (ko
Inventor
다까시 하루끼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718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792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0703557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6068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5003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투명기판, 이 투명기판의 한쪽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시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및 상기 기판부재가 갖는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시하는 러빙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러빙장치(11)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러빙장치(11) 및 기판부재(12)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러빙장치(11) 및 기판부재(12)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러빙장치(11) 및 기판부재(12)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러빙장치(11)에 의한 러빙처리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제6a도 및 제6b도는 러빙장치(11)의 평면도;
제7도는 기판부재(12)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러빙장치(11a)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러빙장치(11b)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러빙장치(11b)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4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단(43)과 단(43)에 부착되는 단락수단(14b,14c) 및 도전부재(14d,14e)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는 단(43)상에 표시패널(42)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운송방향(C)과 수직한 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운송방향(C)과 평행한 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6a도 내지 제16e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17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사용한 편광필름 부착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41a)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에 구비되는 단(43a) 및 단락수단(14h∼14k)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에 겸비되는 단(43b) 및 도전수단(14r∼14u)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는 표시패널(42a)의 평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3a도 및 제23b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에서 단락수단(14m)이 구비되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4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5도는 상기 제조장치(241)의 검사, 부착부(221)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6도는 지지부재(222), 광조사수단(223) 및 지지판(226)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7도는 상기 지지부재(222)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8도는 상기 지지부재(222)의 지지면(253)에 표시패널(229)을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표시장치의 제조장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제30a도 내지 제30c도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31도는 표시패널(229)의 표면을 세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이물제거수단(273)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32a도 내지 제32c도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33도는 도전부재(277,278)를 갖는 표시패널(229)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34a도 및 제34b도는 종래 기술의 도전성 테이프(3)를 사용한 단자전극(2)의 단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5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광필름 부착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제36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제37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8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용 지그(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4:단자전극 3:도전성 테이프
11,11a,11b:러빙장치 12,12b,12c,12d:기판부재
14,14b,14c,14h∼14k:단락수단 14d,14e,22:도전부재
16:러빙롤러 18:기대
33:배향막 41:편광필름 부착장치
42,102:표시패널 43,43a,43b:단
63,67:액츄에이터 101:액정표시장치 제조장치
45:부착롤러 46,103,104:편광필름
110:검사용 지그 222:지지부재
223:광조사수단 221:검사, 부착부
226:지지판 229:표시패널
277,278:도전부재
본 발명은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 예컨대 액정을 갖는 표시패널에 평관판을 부착하는 경우, 또는 러빙처리의 경우에 사용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된 매트릭스 구동형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 편광필름을 표시패널로 프레싱하면서 마찰하는 것 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한다.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특정의 스트립 전극에 집중되면 그 스트립 전극과 그 스트립 전극에 인접하는 다른 스트립 전극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들 2개의 스트립 전극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며, 이들 2개의 스트립 전극이 상시 단락상태로 되는 등의 정전파괴가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발생한 정전하가 특정의 전극에 유입되어 표시패널내에 축전되어 점등시에 표시얼룩이 발생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정전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일본국 특개평 2-251817호, 특개평 3-259117호, 특개평 3-290624호)에서는 제34a도 및 제3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1)의 전 단자전극(2)에 도전성 테이프(3)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또 다른 종래 기술(일본국 특개평 3-228021호)에서는 단자전극 형성부에 도전성 커버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특정의 스트립 전극에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34a도는 표시패널(1)의 평면도이고, 제34b도는 표시패널(1)의 측면도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평 2-251817호에는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전 단자전극을 단락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정전파괴의 방지책으로 상술한 제34a도 및 제34b도의 종래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의 작업공정을 제35도에 나타낸다. 스텝(a1)에서 표시패널을 부착장치에 넣고, 스텝(a2)에서 표시패널의 단자전극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며, 스텝(a3)에서 표시패널 표면의 세정을 실시하며, 스텝(a4)에서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이 부착되어 구성되는 액정표시장치는 스텝(a5)에서 표시기능검사 등의 검사가 실시된다.
스텝(a6)에서는 전술한 스텝(a2)에서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를 단자전극으로 부터 강제박리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스텝(a8)에서 단자전극에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스텝(a7)에서 단자전극의 세정을 실시하고 도전성 테이프의 잔류물 등을 제거하며 스텝(a8)로 이동한다. 스텝(a8)에서 구동회로기판을 접속하기 위한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를 단자전극에 부착한다.
제35도에서는 단자전극의 단락에 도전성 테이프를 사용한 작업공정을 나타내었지만, 전술한 도전성 커버 및 도전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작업공정도 실질적으로 제35도에 나타내는 작업공정과 동일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러빙(rubbing)처리의 경우에도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에서는 정전파괴의 방지책으로서 상술한 종래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어떤 종래 기술에 있어서도 일단 단자전극에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포된 도전성 수지를 단자전극에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 단자전극으로 부터 강제박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에 수고가 들고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의 작업공정이 번잡하게 되어 제조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한번 사용한 도전성 테이프 및 도전성 수지는 재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한편, 도전성 커버에 관해서는 재이용은 할 수 있지만 1매 마다 단자부로 부터 떼어내는 수고가 든다.
또한 단자전극으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 도전성 테이프의 접착제중의 도전카본 또는 도전 수지에 포함되는 도전입자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단자전극에 잔류해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단자전극에 잔류하면, 제35도의 스텝(a7)에서 단자전극의 세정에 의해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류한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에 의해 인접하는 단자전극 사이가 단락된 상태이어서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의 부착이 실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에 표시결함이 생기고 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이 악화된다. 또한 테이프 및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새로운 불량 원인으로 된다.
또한 도전성 커버에 관하여는 다음의 문제점을 열거할 수 있다.
(1) 표시패널의 생산수량에 맞는 다수의 전용 도전성 커버가 필요하여 장치 작업효율이 나쁘다.
(2) 표시패널 사이즈에 맞는 전용 도전성 커버가 필요하기 때문에 패널 기종 마다 도전성 커버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3) 도전성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표시패널은 외형 치수의 불균일 및 정밀도의 저하에 의해 공정내에서의 진행중인 패널의 수납보관 및 자동제조장치로의 세팅이 극히 곤란하다.
(4) 도전성 커버를 사용하면, 표시패널의 도전성 커버가 접촉하는 부분에 접촉에 의한 결함이 생기기도 하고 도전성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의 부착하기도 하여 결함에 의해 표시패널의 단자전극 및 스트립 전극에 단선이 생기기도 하고, 오염에 의해 단자전극 및 스트립 전극이 쇼트되기도 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러빙장치의 경우에 상술한 종래 기술중 어느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러빙처리 전에 단자전극에 부착된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포된 도전성 수지는 최종적으로 단자전극에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에 강제박리할 필요가 있고, 상술한 편광필름 부착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조 효율의 비효율화, 제조 비용의 상승 및 수율 악화라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제36도는 다른 종래 기술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또한 제37도는 제36도의 종래 기술에 사용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장치(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38도는 제36도의 종래 기술에 사용되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용 지그(1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7도에 나타내는 제조장치(101)는 강유전성 액정표시패널(102)에 편광필름을 부착하기 위한 제조장치로서, 예컨대 특개평 5-58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제조장치(101)는 편광필름(103,104), 광원(105), 수광수단(106), 광강도검출수단(107) 및 구동수단(108)으로 구성된다. 편광필름(103,104) 사이에 표시패널(102)을 배치하고 표시패널(102)을 회전 방향(109)으로 회전시키면서 화소에 전계를 인가하고 광원(105)으로 부터 표시패널(102)과 편광필름(103,104)에 광을 조사한다. 이 광의 투과광을 수광수단(106)으로 수광하고 광강도검출수단(107)으로 광강도를 검출한다. 투과광의 강도가 최대 또는 최소로 되는 위치는 표시패널(102)을 회전 방향(109)으로 회전시켜 선택한다. 이 위치가 표시패널(102)의 강유전성 액정의 스위칭 방향과 편광필름(103,104)의 편광축이 일치하는 위치이기 때문에 이 위치에 편광필름을 부착시킨다.
강유전성 액정은 액정분자의 장축 방향이 스멕틱층의 법선방향에 대하여 경사각(φ)을 갖고 있고 또 그 평균 배향방향(디렉터)는 상기 법선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서 맞꼭지각(2φ)의 원추상을 회전하는, 소위 헬리칼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을 사용한 액정층의 두께(d)와 상기 디렉터의 나선 핏치(PO)가 d/PO1인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디렉터가 법선방향에 대하여 우측으로 각(φ)만큼 경사진 상태와 좌측으로 각(φ)만큼 경사진 상태가 수득되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2개의 상태를 스위칭한다.
제36도의 스텝(b1)에서는 표시패널(102)이 수납된다. 즉 표시패널(102)이 편광필름(103,104) 사이에 배치된다. 스텝(b2)에서는 표시패널(102)의 한쪽 표면이 세정되고 스텝(b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편광의 부착 위치가 선택되고, 한편 편광필름이 세정된 한쪽 표면에 부착된다. 스텝(b4)에서는 표시패널(102)의 다른 쪽 표면이 세정되고 스텝(b5)에서는 상기 스텝(b3)과 동일하게 하여 부착위치가 선택되며 다른 쪽 편광필름이 세정된 다른 쪽 표면에 부착된다. 스텝(b6)에서는 편광필름이 부착된 표시패널(102), 즉 완성된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점등검사 및 이물 검사가 행해진다.
패널점등검사 및 이물 검사시에 있어서 제3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사용 지그(110)가 사용된다. 검사용 지그(110)는 한쌍의 협지수단(111,112)을 구비하고 있고 그 협지수단(111,112) 사이에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협지된다. 협지수단(111,112)에는 액정표시장치를 협지한 경우에 그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직사각형상의 창(111a,11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창측으로부터 광이 조사되고 다른 쪽의 창으로 부터 출사되는 광에 의해 표시상태가 검사된다. 또한 협지수단(111)의 협지면측에서 창(111a)의 상호 대향하는 주변에는 액정표시장치의 한쪽 기판부재가 갖는 표시전극으로 부터 연장설치된 복수의 단자전극을 도통하는 도전부재(113,114)가 각각 설치되고 협지수단(112)의 협지면측에서 창(112a)의 주변에도 동일한 도전부재(115)가 설치된다. 도전부재(115)에는 다른 쪽 기판부재가 갖는 복수의 단자전극이 접속된다. 도전부재(113∼115)에는 교류전압발진기(116)로 부터 교류전압이 공급된다. 예컨대 도전부재(113,114)는 교류전압발진기(116)의 마이너스 단자(116a)와 접속되고 도전부재(115)는 플러스 단자(116b)와 접속된다.
이와 같은 검사용 지그(110)를 사용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액정분자의 배향상태가 변화하는 임계치전압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예컨대 액정표시장치의 한쪽 또는 다른 쪽 기판부재의 표시전극이 대향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가 완전히 표시상태(점등상태)로 된다. 여기서 표시전극에 단선등이 생긴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는 화소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단선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이물이 부착된 경우에는 그 부분이 예컨대 흑색으로 되기 때문에 이물의 부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시얼룩을 검사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텝(b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상태가 검사되고 표시상태가 검사된 후 스텝(b7)에서는 표시불량이 없는 표시품위가 우수한 액정표시장치와 표시품위가 나쁜 액정표시장치가 구분된다.
상술한 제36도 내지 제38도의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패널과의 편광판 부착장치와 표시장치의 검사장치가 별개이고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고 나서 표시상태의 검사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전극의 단선 등 표시패널에 기인하는 표시 불량이 생긴 경우, 부착된 편광필름이 쓸데없어져 버린다. 표시패널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장치와 검사장치가 별개이기 때문에 각 장치로의 표시패널의 배선에 시간과 수고가 들게 된다. 또한 2대의 장치를 배치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러빙처리 및 편광필름 부착의 경우에 생기는 정전파괴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편광필름을 표시패널에 부착하기 전에 표시상태의 검사를 실행하여 표시불량이 없는 표시패널에만 편광판을 부착하여 편광판이 쓸데없이 부착됨없이 비교적 시간과 수고를 들지 않고 제조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기판, 그 투명기판의 한쪽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장치를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기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및 상기 기판부재가 갖는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러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이다.
본 발명은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전극이 각각 설치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상기 기판부재의 상호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설치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상기 배치면에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 및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큰쪽의 기판부재에는 복수의 전극과 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상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제1의 지지수단,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하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제2의 지지수단, 상기 제1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상기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 및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락수단은, 전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상기 도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도전부재를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 형성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락수단은, 전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도전부재가 설치되는 일단부가 요동자재로 되도록 다른 단부가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판 스프링, 및 도전부재가 기판부재에 프레싱된 상태로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락수단은, 전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일단부가 상기 도전부재가 설치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고 도전부재가 상기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판 스프링을 이동하는 제1의 액츄에이터, 및 도전부재가 상기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의 액츄에이터를 이동하는 제2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기판,그 투명기판의 한쪽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는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기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복수의 단자가 서로 단락된 상태에서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전극이 각각 설치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상기 기판부재가 서로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표시패널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에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접촉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상향의 단자에 접촉시키고, 표시패널의 전 단자가 단락된 상태이고,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큰 쪽의 기판부재에는 복수의 전극과 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제1의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그 배치면에 대하여 단자가 상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상향의 단자에 접촉시키고, 표시패널의 전 단자가 단락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한쪽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고,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제2의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표시패널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에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접촉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며, 표시패널의 전 단자가 단락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다른 쪽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성을 갖는 한쌍의 기판부재가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하고, 상기 기판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상기 물질측 표면에 복수의 표시전극, 각 표시전극으로 부터 기판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설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적어도 각각 갖는 표시패널에 그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적어도 표시패널의 지지면은 투광성을 갖는 지지수단, 지지수단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 지지수단의 광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촬영수단, 지지수단과 광원 사이 및 지지수단과 촬영수단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검사용 편광필름, 지지수단에 지지된 표시패널의 한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한쪽 도전부재, 및 다른 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다른 쪽 도전부재, 한쪽 및 다른 쪽 도전부재에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출력수단, 및 한쪽 및 다른 쪽 기판부재의 복수의 단자를 상기 한쪽 및 다른 쪽 도전부재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표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광성을 갖는 한쌍의 기판부재가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하고, 상기 기판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상기 물질측 표면에 복수의 표시전극과 각 표시전극으로 부터 기판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적어도 각각 갖는 표시패널에 그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지지수단의 투광성을 갖는 지지면상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수단과 그 지지수단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 사이, 즉 지지수단상의 표시패널과 지지수단에 관하여 광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촬영수단 사이에 검사용의 편광필름을 각각 삽입하는 것과 함께 표시패널의 한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도전부재를 접속하고 또 다른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를 상기 도전부재와는 상이한 도전부재와 접속하고, 상기 도전부재로 부터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공급하고 또 표시패널의 표시면을 촬영하여 표시패널의 표시상태를 검사하며, 표시불량이 없은 경우만 상기 도전부재와 복수의 단자를 각각 접속시킨 상태이고,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기판, 투명기판의 한쪽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고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기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기판부재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단락하는 단락수단과 러빙처리를 행하기 위한 러빙수단으로 구성된다.
지지수단은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기판부재는 그 배치면에 대하여 배향부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지지된다. 단락수단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락수단의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은 도전성을 갖는다. 러빙수단은 예컨대 러빙롤러등을 포함하여 실현되고, 기판부재의 배향부재의 표면을 프레싱하면서 마찰하는 등에 의해 러빙처리를 실행한다.
러빙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기판부재에 단락수단이 접속되고, 기판부재의 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로 실행되며 러빙처리가 완료되면 단락수단은 기판부재로 부터 분리된다.
러빙처리의 경우에는 기판부재가 배향부재의 표면과 러빙수단과 마찰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이지만, 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특정의 전극에 집중되어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전극사이에서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판부재의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락수단은 복수의 기판부재에 대하여 반복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러빙처리가 종료되어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기판부재의 단자부분에 잔류하지 않고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부재에 단락수단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기판부재의 단자를 단락시킬 수 있고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전극이 설치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전극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기판부재가 서로 대항하지 않는 표면에 각각 설치되어 형성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지지수단, 단락수단, 도전수단 및 부착수단으로 구성된다.
표시패널은 지지수단이 각는 배치면에 흡착되어 지지된다. 단락수단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락수단의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은 도전성을 갖고 있다. 도전수단은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도전수단의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은 도전성을 갖고 있다. 부착수단은 예컨대 부착 롤러 등으로 실현되며 표시패널의 표면상에 한쪽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필름을 배치하고 그 편광필름의 표면을 프레싱하면서 마찰하는 것에 의해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부착수단에 의해 표시패널로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표시패널에 단락수단 및 도전수단이 접촉되어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 및 하향의 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에서 실행되며 편광필름의 부착이 완료되면 단락수단은 표시패널로 부터 분리된다.
표시패널로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편광필름과 부착수단의 마찰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지만, 상향 및 하향의 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특정의 전극에 집중되어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전극간에서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전극에 발생한 정전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표시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표시패널의 단자단락에 도전성 테이프 및 도전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패널에 편광필름 부착이 완료된 경우에는 표시패널로 부터 단락수단 및 도전수단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락수단 및 도전수단은 복수의 표시패널에 대하여 반복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에 단락수단을 접촉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표시패널의 단자를 단락할 수 있고 표시패널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표시패널로 부터 단락수단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이 지지수단에 의해 흡착되어 지지됨에 따라서 도전수단이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에 접촉하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단락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크기가 상이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큰 쪽의 기판부재에는 복수의 전극과 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는 제1 및 제2의 지지수단, 단락수단, 도전수단과 부착수단으로 구성된다.
작은 쪽의 기판부재에 편광필름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은 제1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제1의 지지수단은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상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된다. 표시패널이 제1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면,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표시패널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단락수단이 접촉된다. 단락수단이 표시패널에 접촉되는 면은 도전성을 갖고 있고 이것에 의해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단락된다.
큰 쪽의 기판부재에 편광필름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은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제2의 지지수단은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하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된다. 표시패널이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면, 이것에 따라서 배치면에 대한 하향의 표시패널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도전수단이 접촉한다. 도전수단은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고 있고 이것에 의해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단락된다.
부착수단은 예컨대 부착롤러등을 포함하여 실현되고 표시패널의 표면상에 흡착제가 도포된 표면을 대향시켜 배치된 편광필름의 표면을 프레싱하면서 마찰하는 것에 의해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부착수단에 의한 표시패널과의 편광필름의 부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표시패널에 단락수단 또는 도전수단이 접촉되고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에서 행해지며 편광필름의 부착이 완료되면 단락수단은 표시패널로 부터 분리된다.
표시패널에 편광필름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편광필름과 부착수단의 마찰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지만, 모든 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특정의 전극에 집중되어 대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전극간에서 방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 전극에 발생한 정전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표시패널의 표시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 도전부재는 스프링의 탄발력, 실린더내에 밀폐된 공기의 압력, 또는 자석등의 자기흡착력등을 이용한 가압수단에 의해 단자에 압접된다. 이때, 단자에 압접되어 있는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탄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한 형상이 프레싱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있고 적절한 접촉 면적으로 단자가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면적의 크기와 가압수단에 의한 프레싱 압력의 크기는 예컨대 접촉면에 따른 압력이 단자의 단락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값으로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도전부재의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한 접촉부가 탄성 변형되어 적절한 압력으로 단자에 프레싱되기 때문에 도전부재와 단자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그 결과 작은 프레싱 압력으로도 모든 단자와 도전부재를 확실하고 반복 재현성이 아주 높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 스프링이 요동변위되어 판 스프링에 설정되는 도전부재가 기판부재에 설치되는 단자에 접촉되면 도전부재가 기판부재에 프레싱된 상태로 판 스프링이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수단은 예컨대 판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에 부착되는 부재를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설치되는 흡인공에 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판 스프링에 부착되는 자석을 자성재료로 구성된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자기흡착시키는 것에 의해 판 스프링의 고정을 실행한다.
따라서 도전부재는 판 스프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부재가 단자에 프레싱되는 상태에서 판 스프링이 적절히 휘고, 판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적절한 프레싱 압력으로 도전부재를 단자에 압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전부재를 단자에 접촉·분리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표시장치의 제조장치가 갖는 지지수단의 투광성을 갖는 지지면에 표시패널이 배치된다. 표시패널은 한쌍의 기판부재 사이에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시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기판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물질측 표면에 복수의 표시전극과 각 표시전극으로 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설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적어도 각각 갖는다. 상기 지지수단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지지수단 사이, 및 지지수단의 광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촬영수단과 지지수단에 지지된 표시패널 사이에 검사용의 편광필름을 각각 삽입하는 것과 함께 표시패널의 한쪽의 기판부재의 복수의 단자와 도전부재를 접속하고 다른 쪽 기판부재의 복수의 단자와 상기 도전부재와는 상이한 도전부재를 접속한다. 신호출력수단으로 부터 도전부재에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공급하고 또 촬영수단으로 표시패널의 표시면을 촬영하여 표시상태를 검사한다.
표시전극에 표시신호를 인가하면 한쌍의 기판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물질의 광학특성이 변화하고 각 기판부재가 갖는 표시전극이 대향하는 영역, 즉 화소가 예컨대 상기 광원의 광을 투과하는 표시상태(점등상태)로 된다. 모든 화소가 점등한 경우는 그 표시패널에는 표시전극의 단선은 생기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점등되지 않는 화소가 있는 경우는 단선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예컨대 표시얼룩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 표시품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인출 방법에 따라서는 표시전극에 단락이 생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컨대 단자를 상호 인출한 경우,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공급하면 화소가 1개 걸러 점등된다. 화소가 연속하여 점등된 경우에 표시전극에 단락이 생기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상태의 검사를 실행한 후, 표시불량이 없는 경우만 상기 도전부재와 단자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부착수단에 의해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또한 촬영 수단으로 표시패널의 표시면을 촬영하고 표시패널에 이물이 부착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예컨대 상기 광원으로 부터의 광을 이용한 경우에는 표시패널에 부착한 이물은 검게 촬영되고, 촬영 수단측으로 부터의 광의 반사광을 이용한 경우에는 희게 촬영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물 부착의 유무를 검사한 후 이물이 부착한 경우에는 그 이물을 제거한다. 이물의 부착이 없는 표시패널 및 이물이 제거된 표시패널에는 상기 도전부재와 단자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부착부재에 의해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상태 및 이물 부착상태의 검사를 실행하여 표시불량이 없고 이물의 부착이 없는 경우에는 편광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편광필름을 부착한 후에 표시상태의 검사 및 이물 부착의 검사를 실행하여 표시불량 및 이물 부착이 검출된 경우와 같이 편광필름이 쓸데없이 부착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전부재와 표시전극으로 부터 연장설치되는 단자를 접속시킨 상태로 편광필름이 부착되기 때문에 편광판의 부착시에 생기는 수백 내지 수천 V의 정전기가 복수의 표시전극 중의 어느 하나에 집중되어 축적되는 것이 없게 되어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필름의 부착과 표시상태의 검사가 1개의 제조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표시필름을 제조장치내에 배치하기 위한 수고 및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적은 공간에 제조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부재의 단자를 단락하는 단락수단은 복수의 기판부재에 대하여 반복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1개의 기판부재 마다 새로운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부착하는 작업에 비하여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 또는 도전성 커버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기판부재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에 포함되는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기판부재의 단자부분에 잔류하여 단자가 단락된 상태로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기판부재의 단자 단락이 해제되기 때문에 단자가 단락된 상태로 단자에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액정표시장치에 결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판부재의 단락에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 또는 도전성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단자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 단자에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 또는 단자에 도전성 커버를 장착하는 작업, 및 단자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벗기는 작업에 수고가 든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판부재에 단락수단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단자를 단락할 수 있고 기판부재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단자의 단락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고 소요 시간도 단시간내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도전부재를 제거하는 경우의 정전기의 발생 및 작업에 의한 전극의 손상 및 기판부재의 오염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 및 하향의 단자를 단락하는 단락수단 및 도전수단은 복수의 표시패널에 대하여 반복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 또는 도전성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 또는 도전성 커버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표시패널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억지로 벗기는 경우에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에 포함되는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단자부분에 잔류하고 단자가 단락된 상태로 되는 일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표시패널로 부터 단락수단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의 단락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고 표시패널을 지지수단으로 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도전수단에 의한 액정 패널과의 배치면에 대한 하향 단자의 단락을 확실히 해제할 수 있고 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패널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부착하는 작업, 및 표시패널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벗기는 작업에 비하여 표시패널에 단락수단을 근접·분리시키는 작업 편이 간단하고 소요시간도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이 지지수단에 의해 흡착되어 지지됨에 따라서 도전수단이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에 프레싱되어 단자의 단락이 행해지기 때문에 종래의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사용한 단락 작업에 비하여 단락 작업이 간단하고 소요시간도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것과 함께 도전부재를 제거하는 경우의 정전기의 발생 및 작업에 의한 전극의 손상 및 기판부재의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단락수단 및 도전수단에 의해 단자의 단락이 행해지기 때문에 러빙처리 및 편광필름 부착의 경우에 생기는 정전기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 작업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그외의 목적, 특색과 이점은 하기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 부터 한층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러빙장치(11)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기판부재(12)의 러빙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도는 러빙장치(11) 및 기판부재(12)의 일부 평면도이고, 단자전극(34)이 단락수단(14)에 의해 단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3도는 러빙장치(11)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단락수단(14)이 기판부재(12)에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는 러빙장치(11)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러빙장치(11)는 기판부재(12)를 배치하는 단(15)과 단(15)에 부착되는 단락수단(14), 러빙롤러(16)와 운송벨트(17)로 구성된다.
단(15)은 사각형상을 갖는 판상의 금속제의 기대(18), 상기 기대(18)보다 작은 사각형상을 갖는 판상의 배치대(19)로 구성된다. 배치대(19)는 경질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배치대(19)의 각 측면과 기대(18)의 각 측면이 평행되게 하여 기대(18)상에 설치된다. 기대(18) 및 배치대(19)에는 배치대(19)의 상면에 기판부재(12)가 배치된 경우에 기판부재(12)의 하면을 흡인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흡인공(20)이 설치된다. 또한 상면에 배치대(19)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영역에서 기대(18)의 상면이 후술하는 단락수단(14)의 부착수단(23)의 저면과 밀착하는 부분에도 복수의 흡인공(29)이 설치된다. 각 흡인공(20,29)의 일단은 단(15)의 상면에 개구되고 다른 단은 도시되지 않은 흡인 펌프의 흡입구로 기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단(15)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운송방향 A로 수평이동되는 운송벨트(17)상에 단(15)을 구성하는 기대(18)중의 2개의 측면이 운송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단락수단(14)은 판 스프링(21), 도전부재(22)와 부착수단(23)으로 구성된다. 부착수단(23)은 단면이 이미 사각형상인 가늘고 긴 막대형상이다. 부착수단(23)의 저면인 제1도의 단면상에서 우측단과 기대(18)의 제1도의 단면상에서 우측단은 힌지(24)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단락수단(14)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수단(23)의 저면과 기대(18)의 상면이 밀착된 상태로 부터 예컨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전개 변위시킨 상태까지 힌지(24)를 중심으로 각변위 가능하게 되고 있다.
금속제의 판 스프링(21)은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을 갖고 있는 직사각형상이고, 제1도의 도면상에서 부착수단(23)의 우측면에 볼트(28)에 의해 부착되는 부착부(25)와 부착부(25)의 상단으로 부터 대략 수평방향을 따라 단(15)의 중앙을 향하여 빼내는 본체(26)로 구성된다. 본체(26)는 제1도의 도면상에서 부착부(25)의 상단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내뻗는 수평부(26a)와 또한 수평부(26a)로 부터 조금 하방으로 경사지며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내뻗는 경사부(26b)로 되고, 경사부(26b)의 선단에 따른 하면(단(15)에 대향하는 표면)에는 스트립 모양이고 단면이 사각형상인 도전부재(22)가 단(15)에 배치되는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의 배열방향을 따라서 부착된다. 이 경사부(26b)는 도전부재(22)가 기판부재(12)에 접촉되는 경우에 기판부재(12)의 상면에 대하여 5 내지 15° 정도의 얕은 각도(θ)를 이루고 이 각도에 의해 스트립상의 도전부재(22)의 1변을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에 접촉하는 효과를 낸다.
도전부재(22)는 도전성 고무등에 의해 실현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전부재(22)의 1변을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으로 도전부재(22)가 약한 압접력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판 스프링(21)의 탄성력과 더불어 모든 단자전극(34)에 걸쳐 안정한 단락상황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전부재(22)는 도시되지 않은 접지선이 접속되어 있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도전부재(22)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된 스트립 체의 표면에 도전필름이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도전부재(22)의 두께는 예컨대 0.4mm로 설정된다.
러빙롤러(16)는 롤러의 외주면에 펠트 등의 러빙부재가 권취된 구성이고, 회전축이 단(15)의 상면과 평행되도록 또 회전축이 운송 방향 A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단(15)상에 설정된다. 러빙롤러(16)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은 기판부재(12)가 단(15)상에 배치되어 운송방향 A로 운송되는 경우, 회전방향 B로 고속 회전되는 러빙롤러(16)의 표면이 기판부재(12)의 상면에 습동되도록 설정된다.
기판부재(12)는 박판상의 글래스 기판(31), 복수의 스트립 전극(32), 폴리이미드 등의 재료로 구성되는 배향막(33), 복수의 단자전극(34)으로 구성된다. 각 스트립 전극(32)은 글래스 기판(31)의 한쪽의 표면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글래스 기판(31)의 스트립 전극(32)이 설치되는 표면의 주변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전극(34)에 각각 접속된다. 배향막(33)은 글래스 기판(31)의 스트립 전극(32)이 설치된 표면상에 스트립 전극(32)을 피복하도록 형성된다. 각 스트립 전극(32)에는 단자전극(34)을 통하여 소정의 구동신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기판부재(12)에는 단자전극(34)이 글래스 기판(31)의 주변부의 편측에 설치되는 것과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있지만 여기서는 단자전극(34)이 편측에 설치되는 기판부재(12)의 러빙처리를 상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러빙장치(11)에 있어서 러빙처리의 경우에는 단(15)의 배치대(19)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판부재(12)가 제1도의 도면상에서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이 우측으로 되도록 또 단자전극(34)의 배열방향과 제4도의 운송방향 A가 평행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기판부재(12)를 단(15)상에 배치하는 경우, 및 단(15)으로 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단락수단(14)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려진 상태로 되어 있고 기판부재(12)의 배치 및 제거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15)상에 기판부재(12)가 배치되면, 단락수단(14)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혀진 상태로 세팅된다. 이 상태에서 단락수단(14)의 도전부재(22)는 전 단자전극(34)에 걸쳐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흡인공(20,29)으로 부터 펌프에 의해 흡인이 실행되면, 기판부재(12) 및 단락수단(14)의 부착수단(23)이 단(15)에 흡착되어 고정된다. 부착수단(23)이 단(15)에 흡착됨과 동시에 도전부재(22)가 판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프레싱 압력으로 단자전극(34)에 프레싱되고 이 결과 전 단자전극(34)이 도전부재(22)에 의해 단락되고 또한 도전부재(22)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접지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이때 판 스프링(21)에 의한 도전부재(22)의 단자전극(34)으로의 프레싱 압력은 부착수단(23)의 상면과 판 스프링(21)의 수평부(26a) 사이의 거리(W)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되며 거리(W)를 작게 하면 프레싱 압력은 강하게 되고 거리(W)를 크게 하면 프레싱 압력은 약하게 된다. 판 스프링(21)에 의한 프레싱 압력은 예컨대 200g중 내지 500g중으로 설정된다. 펌프에 의한 흡인은 후술하는 러빙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행해진다.
러빙장치(11)에 의한 러빙처리는 단(15)상에 배치된 기판부재(12)가 운송벨트(17)에 의해 운송방향 A로 운송되어 회전방향 B로 고속 회전하는 러빙롤러(16)의 아래를 통과하는 경우, 기판부재(12)의 상면에 설치되는 배향막(33)이 러빙롤러(16)에 의해 하방으로 프레싱되면서 마찰되어 실행된다. 러빙롤러(16)와 단(15)의 배치대(19)의 상면과의 사이의 간격은 미리 기판부재(12)의 두께 보다도 조금 협소하게 설정되어 있고 기판부재(12)가 운송되어 러빙롤러(16)와 단(16) 사이에 협지된 경우 기판부재(12)의 상면이 러빙롤러(16)에 의해 적절하게 프레싱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러빙장치(11)에 의한 러빙처리의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스텝(c1)에서 러빙장치(11)에 기판부재(12)가 삽입되어 기판부재(12)가 단(15)상의 소정의 위치로 배치되면, 스텝(c2)로 이동하고 단락수단(14)이 제3도에 나타내는 열려진 상태로 부터 제1도에 도시하는 닫혀진 상태로 세팅되며 단락수단(14)이 기판부재(12)에 장착된다. 또한 펌프에 의한 흡인이 실행되면, 기판부재(12) 및 부착수단(23)이 단(15)에 흡착고정되며 도전부재(22)에 의해 전 단자전극(34)이 단락되어 접지된다.
스텝(c3)에서는 단(15)상에 배치되어 고정된 기판부재(12)가 운송벨트(17)에 의해 운송되며 고속 회전하고 있는 러빙롤러(16)에 의해 배향막(33)이 마찰되어 러빙처리가 실행된다. 기판부재(12)가 러빙롤러(16)의 아래를 통과하고 러빙처리가 종료하면 스텝(c4)로 이동하며 펌프에 의해 흡인이 정지되며 단락수단(14)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려져 기판부재(12)로 부터 제거된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러빙장치(11)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기판부재(12)에 기판부재(12)의 대각선 방향으로 러빙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판부재(12)의 대각선 방향으로 러빙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기판부재(12)의 스트립 전극(32)에 접속되는 단자전극(34)은 기판부재(12)의 양측에 설치되고 이에 따라 단(15)에는 단(15)의 양측에 단락수단(14)과 동일한 구성인 한쌍의 단락수단(14x,14y)이 부착된다. 이때 양측의 각 단자전극(34)은 대응하는 공통의 스트립 전극(32)에 각각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다.
기판부재(12)가 단(15)에 배치되면, 단(15)이 회전되어 운송방향 A에 대한 기판부재(12)의 각도인 러빙각이 소정의 각도로 설정된다. 러빙각도가 설정되면, 단(15)의 회전은 고정되며, 운송방향 A 상류측의 단락수단(14y)이 기판부재(12)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단(15)이 운송방향 A로 운송되어 기판부재(12)로의 러빙롤러(16)에 의한 러빙처리가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되며 러빙롤러(16)가 기판부재(12)의 중앙부를 가로 지를 때까지 러빙처리가 실행된다. 이때 운송방향 A 하류측의 단락수단(14x)은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으로 부터 분리되고 단(15)의 상면으로 부터 적어도 180° 각 전개된 상태에 있고 러빙롤러(16)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러빙롤러(16)가 기판부재(12)의 중앙부를 통과하면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부재(12)에 접촉되어 있는 운송방향 A 상류측의 단락수단(14y)이 기판부재(12)로 부터 분리되고 이것과 동시에 기판부재(12)로 부터 분리된 운송방향 A 하류측의 단락수단(14x)이 기판부재(12)에 접촉된다. 이 상태대로 단(15)은 운송방향 A로 운송되고 기판부재(12)의 나머지 반의 러빙처리가 실행된다. 이때 운송방향 A 상류측의 단락수단(14y)은 단(15)의 상면으로 부터 적어도 180° 각 전개된 상태에 있고 러빙롤러(16)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다른 기판부재(12b)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판부재(12b)는 기판부재(12)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고 대응하는 각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기판부재(12b)는 2점 쇄선으로 표시되는 2개의 영역(H1,H2)을 갖는다. 기판부재(12b)는 러빙처리가 실행된 후에 영역(H1,H2)에 상당하는 부분이 기판부재(12b)로 부터 절취되어 2개의 기판부재로 분할된다.
이와 같이, 기판부재에 대하여 러빙롤러(16)가 너무 커서 러빙롤러(16)가 기판부재의 양측의 단자에 걸쳐있게 되어 버리는 경우에는 몇개의 기판부재를 포함하는 큰 기판부재에 대하여 러빙처리를 실행하고 러빙처리를 실행한 후 그 기판부재를 소정 크기의 몇개의 기판부재로 분할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러빙장치(11)에서는 기판부재(12)의 배향막(33)이 러빙롤러(16)에 의해 마찰되어 러빙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모든 단자전극(34)이 단락수단(14)에 의해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러빙처리에 의해 정전기가 생긴 경우에도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특정의 스트립 전극(32)에 집중됨 없이 스트립 전극(32) 사이에서 생기는 방전을 방지할 수 있어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모든 단자전극(34)은 도전부재(22)에 접속되는 접지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스트립 전극(34)으로 대전시킨 전하를 신속하게 전기제거할 수 있고 정전파괴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기판부재(12)에 대하여 반복 사용 가능한 단락수단(14)으로 단자전극(34)의 단락을 실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한개의 기판부재 마다 신규한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부착 또는 도포하는 것에 비하여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기판부재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에 포함되는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단자전극에 잔류하여 단자전극이 단락된 채로 되는 일이 있지만 도전부재(22)가 구비된 단락수단(14)으로 단자전극(34)의 단락이 행해지기 때문에 단자전극(34)으로 부터 도전부재(22)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판부재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 또는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 및 기판부재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작업에 비하여 기판부재(12)에 단락수단(14)을 착탈하는 작업 편이 간단하고 소요시간도 단시간 내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러빙장치(11a)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8도에서 제1도 내지 제4도의 러빙장치(11)와 대응 및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러빙장치(11a)에서 특징점은 러빙장치(11)의 단락수단(14) 대신 단락수단(14a)이 구비된 점이다. 단락수단(14a)은 선단의 하면에 전술한 도전부재(22)가 부착되는 판 스프링 상의 지지부재(36)와 지지부재(36)의 하면에 부착되는 단면이 사각형상 또는 원형상이고 막대 모양의 영구자석(37),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지지부재(36)는 제1도와 동일한 판 스프링 형상을 갖고 있고, 지지부재(36)의 도전부재(22)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단부와 기대(18)로 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부착부(38)는 힌지(24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단락수단(14a)은 힌지(24a)를 중심으로 각변위 가능하게 단(15)의 기대(18)에 부착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15)상의 소정의 위치에 기판부재(12)가 배치되면 단락수단(14a)가 기판부재(12)이 장착되고 전 단자전극(34)이 전극부재(22)에 의해 단락되고, 또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지지부재(36)의 제8도의 도면상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단락수단(14a)이 기판부재(12)에 장착된 경우에 도전부재(22)가 단자전극(34)상에 도달하도록 적절한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제8도에 도시되는 기판부재(12)에 단락수단(14a)이 장착된 상태에서 도전부재(22)는 영구자석(37)과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 자성재료로 형성되는 기대(18)의 자기흡착력에 의해 단자전극에 프레싱되고 있다. 여기서, 도전부재(22)의 단자전극(34)으로의 프레싱 압력은 예컨대 200g중 내지 500g중으로 설정되어 있고 러빙처리의 종료후에는 기판부재(12)로 부터 단락수단(14a)을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기대(18)의 상면과 영구자석(37)의 하면 사이에는 간극이 설정되고 영구자석(37)의 자력 크기에 대응하여 이 간극의 간격을 적절한 간격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재(22)의 단자전극(34)으로의 프레싱 압력을 적절한 프레싱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러빙장치(11b)의 부분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9a도 및 제9b도의 러빙장치(11b)에서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는 러빙장치(11)와 대응 및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러빙장치(11b)에서 특징으로 하는 점은 도전부재(22)의 단자전극(34)으로의 착탈동작이 2개의 액츄에이터(63,67)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실행되도록 한 단락수단(14m)을 구비하는 점이다.
도전부재(22)가 접합된 판 스프링상의 지지부재(36a)는 액츄에이터(63)의 구동축(62)에 부착부재(61)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구동축(62)을 돌출 및 후퇴 변위하도록 작동하는 액츄엥이터(63)는 기대(18)상에 부착된 레일(65)을 따라서 배치대(19)상에 배치된 기판부재(12)에 근접 및 분리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63)는 액츄에이터(67)의 구동축(66)의 선단부에 부착부재(6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67)는 기대(18)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66)을 돌출 및 후퇴 변위하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재(22)를 제9a도 및 제9b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액츄에이터(63)가 구동축(62)을 돌출 및 후퇴 변위하도록 작동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재(22)가 제9a도 및 제9b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각 액츄에이터(63,67)에는 외부로 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실린더가 내장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공기 공급원에 의해 실린더내로 공기를 들여보내기도 하고 실린더내로 부터 공기를 흡출하기도 하여 실린더내의 압력을 변화시키면, 그에 따라서 각 구동축(62,66)이 구동한다.
단(15)상에 기판부재(12)를 배치하는 경우, 및 단(15)상으로 부터 기판부재(12)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7)의 구동축(66)은 들어박힌 상태이고 도전부재(22) 및 지지부재(36a)가 기판부재(12)의 배치 및 제거작업에 폐가 되지 않도록 배치대(19)로 부터 제9a도 및 제9b도에서 좌우 방향으로 분리되고 있다.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16)에 의해 러빙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각 액츄에이터(63,67)가 작동되고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에 도전부재(22)가 접촉된다. 단자전극(34)에 도전부재(22)가 접촉되는 경우의 프레싱 압력은 액츄에이터(63)가 구동축(62)을 끌어들이려 하는 힘과 지지부재(36a)의 탄발력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고 예컨대 지지부재(36a)에서 지지부재(36a)의 도전부재(22)가 접합되어 있는 선단부와 지지부재(36a)가 부착부재(61)에 부착되어 있는 후단부 사이의 길이를 변화시켜 지지부재(36a)를 휘기 쉽게 하기도 하고 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의해 이 프레싱 압력을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10도는 러빙장치(11b)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러빙장치(11b)는 외부로 부터 기판부재(12)가 들어가게 되면 그 기판부재(12)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러빙처리를 실행하고, 러빙처리를 행한 후 기판부재(12)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외부로 부터 취입 위치(P1)로 기판부재(12)가 들어가게 되면, 운송 암(72)이 취입 위치(P1)에 있는 기판부재(12)를 위치결정부(71)내의 위치결정위치(P2)에 운송된다. 위치결정위치(P2)에서 기판부재(12)는 위치결정위치(P2)에서 기판부재(12)를 둘러싸이도록 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결정실린더(73)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위치결정이 실시된다. 위치결정이 실행된 기판부재(12)는 또한 운송 암(72)에 의해 수납위치(P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된 접촉단(74)의 단(15)상에 배치된다. 수납위치(P3)에서 기판부재(12)가 단(15)상에 배치되면, 기판부재(12)의 단자전극(34)에 단락수단(14m)의 도전부재(22)가 접촉되고 단자전극(34)의 단락이 실시된다.
수납위치(P3)에서 단자전극(34)의 단락이 실시되면, 접촉단(74)이 소정의 러빙 각도로 될 때까지 회전시킨 후 롤러(16)를 향하여 전진한다. 기판부재(12)의 러빙처리는 기판부재(12)가 롤러(16)의 아래를 통과하는 경우에 실행되며 기판부재(12)의 양측에 단락수단(14m)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판부재(12)가 롤러(16)의 아래를 통과함에 따라서 전술한 제6a도의 상태와 제6b도의 상태를 절환하는 것에 의해 각 스트립 전극(32)에 대하여 단락이 실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롤러(16)의 아래를 통과하여 배출위치(P4)까지 기판부재(12)가 운송되면, 접촉단(74)이 수납위치(P3)에서 기판부재(12)를 수납한 경우의 원점각도까지 회전하고 단(15)에 설치되는 돌출 핀이 기판부재(12)를 단(15)상으로 부터 분리하도록 하여 돌출되며, 또한 단(15)과 기판부재(12) 사이에 배출 암(75)이 삽입되어 배출 암(75)에 의해 기판부재(12)가 러빙장치(11b)의 외부로 배출된다.
기판부재(12)의 배출이 행해지면, 접촉단(74)은 배출위치(P4)로 부터 수납위치(P3)까지 이동되며 다음의 기판부재(12)가 취입위치(P1)로 보내질 때까지 대기한다.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의한 러빙장치(11,11a,11b)에서는 단(15)에 단일한 단락수단(14,14a,14m)을 부착하였지만, 단(15)의 양측에 2개의 단락수단(14,14a,14m)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글래스 기판(31)의 주변부의 양측에 단자전극(34)이 설치되는 타입의 기판부재(12)에 대한 러빙처리에도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각 단자전극(34)은 각각 서로 상이한 스트립 전극(32)에 접속되어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4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편광필름 부착장치(41)는 후술하는 표시패널(42)이 배치되는 단(43), 후술하는 편광필름(46)을 운송하기 위한 편광필름 흡착단(44)과 부착 롤러(45)로 구성된다.
제12도는 단(43)과 단(43)에 부착되는 단락수단(14b,14c) 및 도전부재(14d,14e)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43) 및 단락수단(14b,14c)은 전술한 러빙장치(11)에 구비되는 단(15) 및 단락수단(14)과 동일한 구성이고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전부재(14d,14e)는 단면이 4각형상의 스트립이고, 전술한 러빙장치(11,11a)에 구비되는 도전부재(2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도전부재(14d,14e)는 도시하지 않은 접지선이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단락수단(14b,14c)은 제11도의 화살부호 C 방향과 평행한 단(43)의 양측면의 각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단락수단(14b,14c)의 각 도전수단(22)은 화살부호 C 방향과 평행한 관계이다. 도전부재(14d,14e)는 단(43)상의 양단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화살부호 C 방향과는 수직 관계이다.
제13도는 단(43)상에 표시패널(42)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시패널(42)은 전술한 러빙처리가 실행된 2매의 기판부재(12)가 서로 배향막(33)이 마주보도록 또 스트립 전극(32)이 수직 관계로 되도록 접합되며 그 2매의 기판부재(12) 사이에 액정(4)이 주입되어 구성된다. 단, 각 기판부재(12)는 글래스 기판(31)의 주변부의 양측에 단자전극(34)이 설치된 것으로 한다. 여기서, 표시패널(42)에 포함되는 2매의 기판부재(12)를 구별하기 위해 표시패널(42)이 단(43)상에 배치된 경우에 상측에 위치하는 기판부재(12) 및 그 기판부재(12)에 포함되는 구성부재에는 첨자 a를 붙여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표시패널(42)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43)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상방의 기판부재(12)에 설치되는 하향의 각 단자전극(34a)은 도전부재(14d,14e)에 접촉하고 하방의 기판부재(12)에 설치되는 상향의 각 단자전극(34)에는 단락수단(14b,14c)이 각각 화살부호 D, E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 도전부재(22)가 접촉된다.
제14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화살부호 C 방향으로 수직한 면에서 절취한 경우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15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화살부호 C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서 절취한 경우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4도 및 제15도에서 제1도 내지 제4도의 러빙장치(11)와 대응 및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43)상에 표시패널(42)이 배치되고 단락수단(14b,14c)이 표시패널(42)에 장착되면, 흡인공(20,29)으로 부터 펌프에 의해 흡인이 실행된다. 흡인이 실행되면 표시패널(42) 및 단락수단(14b,14c)의 각 부착수단(23)이 단(43)에 흡착고정된다. 도전부재(14d,14e)의 제15도의 도면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대응하는 두께는 하향의 단자전극(34a)의 표면으로 부터 표시패널(42)의 하면 까지의 거리 보다도 조금 두껍게 설정되어 있고 표시패널(42)이 단(43)에 흡착되는 것에 의해 양측의 하향의 단자전극(34a)이 도전부재(14d,14e)에 적절한 프레싱 압력으로 프레싱된다. 이것에 의해 하향의 전 단자전극(34)이 단락되어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단락수단(14b,14c)의 각 도전부재(22)가 양측의 상향의 단자전극(34)에 프레싱된다. 이것에 의해 상향의 각 단자전극(34)이 단락되어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제16a도 내지 제16e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표시패널(42)로 편광필름(46)이 부착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16a도에서는 단(43)상에 표시패널(42)이 배치되고 표시패널(42)에 접촉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편광필름(46)이 편광필름 흡착단(44)에 의해 흡착 지지되어 있다. 표시패널(42)이 단(43)에 의해 화살부호 C 방향으로 운송됨에 따라서 편광필름 흡착단(44)이 화살부호 F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6b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제16b도에서 편광필름(46)이 표시패널(42)로 경사져서 접촉되어 있고, 편광필름(46) 및 표시패널(42)의 화살부호 C 방향 상류측의 각 단부가 서로 접촉하며 화살부호 C 방향 하류측의 각 단부가 분리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부착롤러(45)가 화살부호 I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6c도에 도시되는 상태로 된다.
제16c도에서는 단(43)이 화살부호 G 방향으로 운송되어 표시패널(42)로의 편광필름(46)의 부착이 실행된다. 단(43) 및 표시패널(42)이 화살부호 G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편광필름(46)이 편광필름 흡착단(44)의 흡착면상을 대략 화살부호 G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부착롤러(45)의 아래를 통과하는 경우 부착롤러(45)가 편광필름(46)을 프레싱하면서 마찰시켜 편광필름(46)을 표시패널(43)에 부착할 수 있다. 제16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42)에 편광필름(46)을 부착하면 편광필름 흡착단(44)이 제16a도의 화살부호 F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각변위하고 제16e도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한편 면으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이 종료하면 표시패널(42)이 분리되게 되고 다른 쪽 면으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이 동일하게 실시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제17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를 사용한 편광필름 부착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스텝(d1)에서 편광필름 부착장치(41)에 표시패널(42)이 수납되고 표시패널(42)이 단(43)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면, 스텝(d2)로 이동하며 단락수단(14b,14c)이 화살부호(D,E) 방향으로 닫혀진 각 도전부재(22)가 상향의 단자전극(34) 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펌프에 의한 흡인이 행해지면 표시패널(42) 및 각 부착수단(23)이 단(43)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서 상향의 전 단자전극(34)이 단락수단(14b,14c)에 의해 단락되어 접지되며 하향의 전 단자전극(3a)이 도전부재(14d,14e)에 의해 단락되어 접지된다.
스텝(d3)에서는 표시패널(42) 표면의 세정이 행해진다. 이 스텝(d3)의 세정에서는 먼저 표시패널(42) 표면의 부착물이 컷터의 날에 의해 제거되고 이어 보풀이 일지 않는 특수 섬유에 의한 표시패널(42) 표면의 알코올 세정이 실시되며 또한 점착롤러에 의한 표면의 세정이 실행된다. 스텝(d4)에서는 편광필름 흡착단(44)에 의해 운송된 편광필름(46)이 부착롤러(45)에 의해 표시패널(42) 상면으로 프레싱되고 마찰되어 부착된다.
스텝(d4)에서 표시패널(42) 양면으로의 편광필름(46)의 부착이 실행되어 액정표시장치가 완성되면 스텝(d5)로 이동하고 단락수단(14b,14c)이 화살부호(D,E)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열리고 각 도전부재(22)가 상향의 단자전극(34)으로 부터 제거된다. 스텝(d6)에서는 부착된 편광필름(46)과 표시패널(42) 표면 사이의 기포 빼기(오토크레이프)를 한 후 편광필름(46)의 부착상황의 확인, 단선 등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의 표시불량의 확인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검사가 실행된다.
스텝(d7)에서는 단자전극(34) 부분에 이물 등이 남지 않도록 단자전극(34)을 알코올 등으로 세정하고 스텝(d8)에서 구동회로를 접속하기 위한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가 상향의 단자전극(34)에 부착된다. 하향의 단자전극(34a)에 관해서는 액정표시장치를 분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스텝(d7)에서의 세정이 실행되어지고 스텝(d8)에서는 이방성 도전막 테이프의 부착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편광필름 부착장치(41)에서는 표시패널(42)에 편광필름(46)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향 및 하향의 전 단자전극(34,34a)이 단락수단(14b,14) 및 도전부재(14d,14e)에 의해 단락되기 때문에 부착롤러(45)에 의한 편광필름(46)의 마찰등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전기에 의한 전하가 특정의 스트립 전극(32,32a)에 집중함없이 스트립 전극(32,32a) 사이에서 생기는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필름(46)의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으로 부터 라미네이트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도 강한 정전기가 발생하며 이 정전기에 의해 대전된 편광필름(46)이 편광필름 흡착단(44)에 의해 운송되어 표시패널(42)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표시패널(42)이 정전기에 의해 파괴될 염려가 있지만 스트립 전극(32,32a)이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전 단자전극(34,34a)은 각 도전부재(22) 및 도전부재(14d,14e)에 접속되는 접지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지되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스트립 전극(34,34a)에 대전시킨 전하를 신속하게 제거(제전)할 수 있고 정전파괴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패널(42)에 대하여 반복하여 사용가능한 단락수단(14b,14c) 및 도전부재(14d,14e)에서 상향 및 하향의 단자전극(34,34a)의 단락을 행하기 때문에 종래 단자전극의 단락에 사용되어 온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표시패널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수지를 강제박리하는 경우에 도전카본 또는 도전입자가 단자전극에 잔류하고 단자전극이 단락된 상태로 될 수 있지만, 상향 및 하향의 단자전극(34,34a)으로 부터 도전부재(22) 및 도전부재(14d,14e)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패널에 도전성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 도전성 수지를 도포하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부착하는 작업, 및 표시패널로 부터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를 억지로 벗기는 작업, 또는 도전성 커버를 벗겨내는 작업에 비하여 표시패널(42)에 단락수단(14b,14c)을 탈착하는 편이 간단하고 소요시간도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42)이 단(43)에 배치됨에 따라서 표시패널(42)의 하향 단자(34a)가 도전부재(14d,14e)에 접촉하고 또한 표시패널(42)이 단(43)에 흡착됨에 따라서 하향의 단자(34a)가 도전부재(14d,14e)에 프레싱되어 하향의 단자(34a)의 단락이 행해지기 때문에 종래의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수지 또는 도전성 커버를 사용한 단락작업에 비하여 단락작업이 간단하고 소요시간도 단시간에 끝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41a)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8도에서 제8도의 러빙장치(11a) 및 제11도 내지 제15도의 편광필름 부착장치(41)와 대응 및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편광필름 부착장치(41a)에서 특징으로 하는 점은 편광필름 부착장치(41)의 단락수단(14b,14c) 대신에 단락수단(14f,14g)이 구비되는 점이다. 단락수단(14f,14g)의 구성은 제8도의 러빙장치(11a)의 단락수단(14a)과 동일한 구성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에 포함되는 단(43a) 및 단(43a)에 부착되는 단락수단(14h∼14k)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0도는 동일한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에 구비된 단(43b) 및 단(43b)에 부착되는 도전수단(14r∼14u)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개략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41)와 동일한 구성이고, 편광필름 부착장치(41)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에서는 4개의 단락수단(14h∼14k)이 부착된 단(43a)과 4개의 도전수단(14r∼14u)이 부착된 단(43b)인 2개의 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본 실시예의 단(43a,43b), 단락수단(14h∼14k) 및 도전수단(14r∼14u)과 전술한 편광필름 부착장치(41)에 구비되는 단(43), 단락수단(14b,14c) 및 도전수단(14d,14e)은 동일한 구성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1도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표시패널(42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표시패널(42a)은 개략적으로 크기가 상이한 기판부재(12c,12d)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큰 편의 기판부재(12c)에는 작은 편의 기판부재(12d)에 대향하는 부분에 복수의 TFT(박막 트랜지스터)(51)와 TFT(51)에 접속되는 복수의 소스선(48) 및 게이트선(49), 및 동일하게 TFT(51)에 접속되는 복수의 구동전극(50)이 설치된다. 또 기판부재(12c)의 기판부재(12d)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에는 각 소스선(48) 및 게이트선(49)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전극(34b)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표시패널(42a)의 작은 편의 기판부재(12d)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42a)은 단자전극(34b)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단(43a)상으로 배치된다. 표시패널(42a)이 단(43a)상에 배치되면 단(43a)의 배치면에 대하여 상방을 향하고 있는 표시패널(42a)의 단자전극(34b)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단락수단(14h∼14k)이 접촉된다.
또한 표시패널(42a)의 큰 편의 기판부재(12c)에 편광필름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42a)의 단자전극(34b)이 하향으로 되도록 하여 표시패널(42a)이 단(43b)상에 배치된다. 표시패널(42a)이 단(43a)상에 배치되면 단(43b)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표시패널(42a)의 단자전극(34b)은 도전수단(14r∼14u)과 접촉한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3a도 및 제23b도는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에서 단락수단(14m)이 구비되는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편광필름 부착장치(41b)는 표시패널(42)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을 한면씩 개별로 행하기 때문에 표시패널(42)의 한쪽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제1면 부착부(91)와 다른 측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제2면 부착부(92)로 구성된다. 제1면 부착부(91)의 접착단(84)과 제2면 부착부(92)의 접촉단(84)에는 전술한 제10도 및 제11도의 실시예에 나타낸 단락수단(14m)이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어 있다.
외부의 세정조에서 세정된 표시패널(42)이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의 취입위치(Q1)로 공급되면, 제1면 부착부(91)에 의한 편광필름의 부착이 개시된다. 취입위치(Q1)에 공급된 표시패널(42)은 운송 암(83)에 의해 위치결정단(81)상으로 운송되며 위치결정단(81)상에서 복수의 위치결정 실린더(82)에 의해 운송 암(83)에 대한 표시패널(42)의 위치가 조절된다. 위치가 조절되면, 표시패널(42)은 다시 운송 암(83)에 의해 운송되고 접촉단(84)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위치결정단(81) 상에서 위치조절이 행해지기 위하여 표시패널(42)을 접촉단(84)상의 소정의 위치로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부재(22) 및 지지부재(36a)가 단(43)의 배치대(19)로 부터 분리된 상태로 접촉단(84)상으로 표시패널(42)이 배치되면, 표시패널(42) 상향의 단자전극(34)에는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락수단(14m)에 구비되는 도전부재(22)가 접촉되고 표시패널(42)의 하향의 단자전극에는 접촉단(84)상의 배치대상으로 구비되는 도전부재가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패널(42)의 단자전극의 단락이 완료되면, 접촉단(84)이 제22도에 도시되는 상태로 부터 표시패널(42)의 배출위치(Q2)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한편, 편광필름 공급부(86)에 적층된 편광필름은 라미네이트 박리장치(88)에 의해 편광필름 위치결정단(85)상으로 운송되고 편광필름 위치결정단(85) 상에서 위치조절이 행해진다. 위치조절이 행해진 편광필름은 라미네이트 박리장치(88)에 의해 접착제의 도포면에 부착된 라미네이트가 박리되어 라미네이트 박리장치(88)에 의해 접촉단(84)에 배치된 표시패널(42)의 상면으로 운송되어 전술한 제16a도 내지 제16d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의 일단과 표시패널(42)의 일단이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광필름 표시패널(42) 상면으로 운송되면 접촉단(84)이 부착롤러(45)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하여 이동되며 부착롤러(45)에 의한 표시패널(42)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이 실행된다.
접촉단(84)이 배출위치(Q2)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배출위치(Q2)에 위치하고 있는 표시패널(42)이 운송 암(87)에 의해 접촉단(84)상으로 부터 제거된다. 표시패널(42)이 제거된 접촉단(84)은 배출위치(Q2)에 대향하는 위치로 부터 제22도에 도시되는 상태까지 부착롤러(45)의 하측을 통하여 이동되며 제1면 부착부(91)에 의한 편광필름의 부착동작이 완료된다.
제1면 부착부(91)에 의한 부착동작이 완료되면 제2면 부착부(92)에 의한 부착동작이 개시된다. 제2면 부착부(92)는 제1면 부착부(91)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고 제1면 부착부(91)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참조부호에 「a」를 붙여 나타낸다. 제2면 부착부(92)에 의한 부착동작에서는 배출위치(Q2)에서 제1면 부차부(91)의 접촉단(84)상으로 부터 제거된 표시패널(42)은 제2면 부착부(92)의 위치결정단(81a)상으로 운송될 때 동안 운송 암(87)에 의해 180° 회전되고 상향으로 되어 있는 면과 하향으로 되어 있는 면이 역전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위치결정단(81a)상에 배치된 표시패널(42)은 복수의 위치결정 실린더(82a)에 의해 위치조절이 행해지고, 운송 암(83a)에 의해 제2면 부착부(92)의 접촉단(84a)상으로 운송된다. 접촉단(84a)상에 표시패널(42)이 배치되면, 단자전극의 단락이 행해져서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42) 상면에 라미네이트 박리장치(88a)에 의해 편광필름이 운송된다. 이 상태에서 접촉단(84a)이 제22도에 도시되는 상태로 부터 배출위치(Q3)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부착롤러(45a)에 의한 편광필름의 액정패널(42)로의 부착이 실시된다.
배출위치(Q3)까지 접촉단(84a)의 이동에 따라서 운송된 표시패널(42)은 패널 배출 암(89)에 의해 송출위치(Q4)까지 운송되고 송출위치(Q4)까지 운송된 표시패널(42)은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벨트 콘베이어 등에 의해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위치(Q3)에서 접촉단(83a)상으로 부터 표시패널(42)이 제거되면 표시패널(42)이 제거된 접촉단(84a)은 배출위치(Q3)에 대향하는 위치로 부터 제22도에 도시되는 상태까지 부착롤러(45a)의 하측을 통하여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에서는 취입위치(Q1)로 부터의 표시패널(42)의 취입에 따라서 표시패널(42)의 양면으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이 순차 실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도중에 표시패널(42)을 떼내는 작업이 필요없고 자동적으로 표시패널(42)의 양면으로의 편광필름 부착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편광필름 부착장치(41b)에서는 2개의 액츄에이터(63,67)를 사용한 단락수단(14m)을 구비하도록 하였지만, 제1도 내지 제7도의 러빙장치(11)에 구비되는 단락수단(14) 또는 제8도의 러빙장치(11a)에 구비되는 단락수단(14a)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표시장치의 제조장치(24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제25도는 상기 제조장치(241)의 검사·부착부(221)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조장치(21)는 표시패널(229)의 표시상태를 검사하는 것과 함께 표시패널(229)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검사·부착부(221), 검사·부착부(221)가 갖는 CCD(전하결합소자) 카메라(224)로 촬영함으로써 수득한 화상 데이타를 처리하는 화상처리회로(238), 화상처리회로(238)로 처리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출력회로(239) 및 화상처리회로(238)로 처리된 데이타가 부여되는 것과 함께 검사·부착부(2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240)로 구성된다.
표시패널(229)은 상술한 실시예의 액정패널(42)과 동일한 구성이고 대략적으로 투광성을 갖는 한쌍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 등의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하여 구성된다. 한쌍의 기판부재가 각각 갖는 스트립 전극에 액정의 배향상태가 변화하는 한계치전압 이상의 전압과 그 보다도 작은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액정의 광학특성이 변화하고 한쌍의 편광필름 사이에 배치된 표시패널(229)은 입사광을 투과/차단시킨다. 이에 의해 명암에 의한 표시가 실현된다. 여기서 한쌍의 편광필름의 편광축은 광투과시에서 투과광 강도가 최대로 되고 광차단시에서 투과광 강도가 최소로 되도록 위치를 맞추어서 배치된다.
CCD 카메라(224)는 제어회로(240)의 제어에 기초로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상태를 촬영하고 수득한 화상 데이타를 화상처리회로(238)에 부여한다. 화상처리회로(238)는 입력된 화상 데이타를 예컨대 이진수 처리한다. 이것에 의해 CCD 카메라(224)에 입사하는 입사광 강도 및 그 변화율이 구해지고 표시패널(229)의 표시불량의 유무, 표시패널(229)의 표면에서 이물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진수 처리된 데이타는 예컨대 CRT(음극선관) 및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수단 및 인화수단으로 실현되는 출력회로(239)로 부터 출력된다. 출력회로(239)로 부터 출력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가 표시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진수 처리된 데이타는 에컨대 CPU(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실현되는 제어회로(240)에 부여된다. 제어회로(240)는 검사·부착부(221)의 동작을 제어하고, 표시불량이 없는 경우만 표시패널(229)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표시패널(229)로의 편광필름의 부착은 제어회로(240)의 판단에 기초로 한 것이어도 좋고 또는 제어회로(240)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지시수단 등에 대한 조작자의 지시에 기초한 것이어도 좋다.
제25도를 참조하여 검사·부착부(221)는 표시패널(229)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2), 광조사수단(223), 상술한 CCD 카메라(224), 검사용 편광필름(225,228), 지지판(226), 지주(227), 이동수단(229) 및 부착수단(231)으로 구성된다. 지지부재(222)는 적어도 표시패널(229)이 배치되는 지지면이 투광성을 갖는, 예컨대 글래스 판으로 실현된다. 상기 지지면에는 예컨대 복수의 흡인공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면에 표시패널(229)을 배치한 후 흡인공으로 부터 펌프 등의 흡인수단에 의해 공기를 흡인하는 것으로 표시패널(229)이 지지부재(222)의 지지면에 흡인고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22)에 설치된 도전부재와 표시패널(220)의 스트립 전극으로 부터 연장설치되는 단자전극이 접속되고, 또한 지지부재(222)에 설치된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광조사수단(223)은 지지부재(222)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예컨대 형광등 등의 선상의 광원과 그 광원으로 부터의 광을 평면상으로 전하는 도광판, 상기 광을 지지부재(222)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판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조사되는 광의 강도가 동일 평면내에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도광판의 두께를 제어하여도 좋고 또는 광확산판 및 광확산반사판을 설치하여도 좋다.
지지부재(222)의 광조사수단(223)과는 반대측에는 상기 CCD 카메라(224)가 배치된다. CCD 카메라(224)는 지지부재(222)의 지지면 부근을 촬영한다.
한쌍의 검사용 편광필름(225,228)은 지지부재(222)와 CCD 카메라(224) 사이 및 지지부재(222)의 광조사수단(223)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한쪽의 검사용 편광필름(225)은 지주(227)에 부착 지지판(226)에 설치되고, 다른쪽의 검사용 편광필름(228)은 지지부재(222)의 표시패널(229) 측 표면과는 반대측 표면에 설치된다. 지지판(226)은 그 지지판(226)을 지지부재(222)와 CCD 카메라(224) 사이의 검사위치에 배치시킨 경우에 지지부재(22)의 지지면에 대응한 영역이 적어도 투광성을 갖고 이 투광영역에 검사용 편광필름(225)이 설치된다. 또한 지지판(226)은 지주(227)를 축으로서 지주(227)가 고정되는 기대(236)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242)으로 각변위하고 편광필름(225) 및 지지판(226)을 지지부재(222)와 CCD 카메라(224) 사이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지주(227)에 지지판(226)을 고정하고 지주(227)를 방향(242)으로 각변위하여도 상관없다. 검사용 편광필름(228)은 지지부재(222)의 표시패널(229)과는 반대측 표면의 상기 지지면에 대응한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광조사수단(223)의 광조사면, 지지부재(222)의 지지면, 검사용 편광필름(228)의 표면, 검사용 편광필름(225)의 표면, 및 CCD 카메라(224)의 수광면은 모두 기대(236)의 표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부착수단(231)은 표시패널(229)에 부착해야 하는 편광필름(34)이 지지되는 지지판(232), 지지판(232)을 기대(236)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243)으로 각변위시키는 회전수단(233) 및 편광패널(234)을 표시패널(22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롤러(235)로 구성된다. 표시패널(229)의 표사상태를 검사하고 표시불량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229)이 지지된 지지부재(222)가 기대(236)의 표면에 고정된 이동수단(230)에 의해 화살부호(244a)로 표시되는 부착수단(2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234)이 부착된다. 편광필름(234)의 부착이 종료되면 지지수단(222)은 상기 화살부호(244a)와는 반대의 화살부호(224b)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이용하고 부착전의 검사위치로 되돌아간다.
제26도는 상기 지지부재(222), 광조사수단(223) 및 지지판(226)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판(226)은 지지판 본체(245), 상기 지지판 본체(245)가 갖는 창(246)에 배치되는 투광부재(247) 및 손잡이(248)로 구성된다. 지지판 본체(245)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술한 검사위치에 배치된 경우에 적어도 지지부재(222)의 지지면에 대응한 영역에 창(2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창(246)에는 지지판 본체(245)의 측면(245a)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부터 상기 검사용 편광필름(228)이 부착된 예컨대 글래스 제의 투광부재(247)가 삽입된다. 또한 지지판 본체(245)의 측면(245b)에는 조작자가 지지판(226)을 상술한 화살부호(242)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248)가 부착되어 있다.
제27도는 상기 지지부재(2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28도는 지지부재(222)의 지지면(253)에 표시패널(229)을 지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시패널(229)이 지지된 지지면(253)을 갖는 지지부재(222)의 한쪽 표면(222a)에는 제12도의 단락수단(14f,14c), 제12도의 도전부재(14f,14e) 및 위치결정부재(254)가 설치된다. 단락수단(14f,14c)은 직사각형의 지지면(253)의 서로 대향하는 한쪽 단부에 평행하게, 또 지지면(253)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고, 도전부재(14d,14e)는 상기 한쪽 단부와는 상이한 서로 대향하는 타단부에 평행하게, 또 지지면(253)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판 스프링(21)의 부착수단(23)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예컨대 106Ω 이하의 저항치를 갖는 도전성 고무 등으로 실현되는 도전부재(22)가 설치된다.
단락수단(14f,14c)의 가늘고 긴 막대모양의 부착수단(23) 및 도전부재(14d,14e)의 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부근에는 위치결정부재(25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위치결정부재(254)의 부근에는 지지부재(222)의 한쪽 표면(222a)으로 부터 다른 쪽 표면(222b)으로 삽입되어 통하는 흡인공(255)이 각각 설치된다. 위치결정부재(254)는, 예컨대 한쪽 표면(222a)로 부터 돌출하는 원주상의 돌출부에서 실현된다. 흡인공(255)은 예컨대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위치결정부재(254) 및 흡인공(255)의 수 및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몇개 있어도 또 어떠한 형상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위치결정부재(254)의 위치는 표시패널(229)의 외주부에 접하는 위치이면 좋고 흡인공(255)의 위치는 표시패널(229)의 표시부를 제거하는 단자부 및 표시외주부에 대응한 위치이면 좋고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면(253)에 표시패널(229)의 한쪽의 기판부재(264)가 갖는 하향, 즉 한쪽 표면(222a)를 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자전극이 상기 도전부재(14d,14e)에 접속되도록 하고 또 위치결정부재(254)로 위치결정되며, 표시패널(229)이 배치된다. 흡인공(255)으로 부터는 도시되지 않은 흡인수단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고 이들에 의해 표시패널(229)이 지지부재(222)에 흡인고정된다. 표시패널(229)의 다른 쪽 기판부재(268)가 갖는 상향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전극은 상기 판 스프링(21)과 도전부재(22)를 갖는 단락수단(14f,14c)을 각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도전부재(22)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하여 4개의 방향으로 연장설치된 단자전극이 각각 도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면(253)을 지지부재(222)의 한쪽 표면(222a)의 한개의 각부 부근에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재(222)로의 표시패널(229)의 배치는 지지부재(222)의 중심과 표시패널(229)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센터 기준법, 또는 본 실시예와 같이 표시패널(229)의 4개의 각부중의 한개의 각부를 지지부재(222)의 한개의 각부에 맞추는 코너 기준법중 어느 한쪽을 채용한다. 전자의 센터기준법을 채용하는 경우,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패널(229)의 부착면과 부착롤러(235)를 치우침 없이 위치를 맞출 수 있고, 편광필름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지지부재(222)의 한개의 각부와 표시패널(229)의 한개의 각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필름을 부착해야 하는 표시패널(229)의 크기를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준으로 되는 위치는 변하지 않고 구성 부재의 취환작업 등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자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전자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시패널(229)은 소위 단순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이지만, 표시패널(229)의 구조는 단순 매트릭스형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액티브 매트릭스형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그 이외의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또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층으로서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층을 배치한 것이면 어떤 표시패널이어도 상관없다.
제29도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공정도이다. 또한 제30a도 내지 제30c도 및 제32a도 내지 제32c도는 상기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31도는 표시패널(229)의 표면을 세정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이물제거수단(273)을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스텝(e1)에서는 표시패널(229)이 수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제3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편광필름(225)을 갖는 지지판(226)이 광조사수단(223)의 광조사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검사용 편광필름(228)이 부착되어 있는 표시패널(229)이 고정된 지지부재(222)가 제30b도에 표시되도록 소정의 검사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검사위치라는 것은 광조사수단(223)으로 부터의 광이 표시패널(229)로 조사되고, 또 표시패널(229)을 투과한 광이 CCD 카메라(224)에 입사되는 위치이다.
스텝(e2)에서는 검사용 편광필름(225)을 갖는 지지판(226)이 전술한 화살부호(242)의 방향으로 각변위하고 제30c도에 표시되도록 표시패널(229)을 지지시킨 지지부재(222)상에 배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표시패널(229)의 점등검사가 실행된다. 검사시에는 상기 지지부재(222)에 설치된 단락수단(14f,14c) 및 도전부재(14d,14e)로 부터 검사용의 표시신호가 표시패널(229)에 부여된다. 표시패널(229)의 스트립 전극이 대향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가 모두 점등상태로 되면, 스트립 전극의 단선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다음의 공정으로 들어간다. 상기 복수의 화소가 모두 점등 상태로 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트립 전극에 단선이 생긴 것으로 판단되고, 편광필름(243)의 부착공정으로 부터 제거한다. 여기서, 표시 품위를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표시품위가 열등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편광필름(243)의 부착공정으로 부터 제거한다.
스텝(e3)에서는 표시패널(229)의 한쪽 표면(229a)상의 이물의 제거가 실행된다. 이물의 제거에 앞서 먼저 이물의 검사가 실행된다. 편광필름(234)을 부착한 후에 문제로 되는 이물은 0.2mm 정도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인 먼지와 5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섬유상의 이물(천의 보풀)이고 이들은 본 실시예와 같이 하방으로 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검게 인식되며 상방으로 부터 광을 조사한 경우에는 희게 인식된다. 예컨대 흑백 표시를 실행하는 단순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패널의 광투과율이 편광필름을 부착하기 전에는 95% 정도이고 편광필름을 부착한 후에는 45% 정도이며 본 실시예와 같이 하방으로 부터 광조사를 실행하고 흰 배경 중의 흑점 또는 흑선으로서 검출된다. 또 칼러 표시를 실행하는 단순 매트릭스형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 패널의 광투과율이 5% 이하이기 때문에 상방으로 부터 광조사를 실행하고 검은 배경중의 백점 또는 백선으로서 검출된다. 또한 레이저광을 사용하여 이물에 의한 산란광을 검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이물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이물은 예컨대 제3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이물제거수단(273)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이때 검사용 편광필름(225)을 갖는 지지판(226)은 제3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조사 수단(223)의 광조사 영역으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이물제거수단(273)은 예컨대 상기 검사·부착부(221)내에 설치되고 이물의 제거시에 표시패널(229)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2)가 예컨대 화살부호(276)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물제거수단(273)의 컷터(274)가 표시패널(229)의 한쪽 표면(229a)에 접촉한다. 이물제거수단(273)은 실린더(275)를 갖고 이들에 의해 컷터(274)를 출입한다. 컷터(274)를 표시패널(229)의 한쪽 표면(229a)과 이물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실린더(275)로 컷터(274)를 출입하는 것에 의해 표시패널(229)의 한쪽 표면(229a)에 부착된 이물이 제거된다.
상기 이물로서는 예컨대 투광성 기판(261,265)의 분단시에 생긴 유리가루, 액정주입시에 부착된 액정재료, 주입공의 밀봉시 및 기판부착시의 밀봉용 수지, 액정표시패널의 보관 및 운송시에 쌓인 먼지 등이 있고, 이들이 제조 공정중의 열처리 공정(예컨대 100℃ 정도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소결되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다.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물에 관해서는 예컨대 공기를 취입하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물제거수단(273)을 검사·부착부(221)내에 설치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 조작자가 이물제거수단(273)을 사용하고 또는 이물제거수단(273)과는 상이한 제거수단을 사용하여 이물을 제거하여도 상관없다. 예컨대 조작자에 따라 이물을 제거하는 경우, 컷터로 이물이 부착된 표시패널 표면을 잘라내고 점착성을 갖는 롤러를 사용하여 절삭한 분말상의 먼지를 제거하며 렌즈 클리너용의 천 등에 알코올 등의 용매를 물들인 것으로 닦는다. 상술한 이물제거수단(273)으로 이물을 제거한 후에도 예컨대 중성 세제 등을 사용한 세정을 실행할 수 있고 유기 용매 등으로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29도에 표시되는 스텝(e4)에서는 표시패널(229)에 편광필름(234)이 부착된다. 편광필름(234)의 부착방법은 전술한 제16a도 내지 제16e도의 방법과 동일하다.
표시패널(229)의 한쪽 표면(229a)에 편광필름(234)이 부착되면, 제3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234)이 부착된 표시패널(229)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2)가 다시 검사위치로 배치된다. 그래서 제3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사용 편광필름(228)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기 지지부재(222)상에 한쪽 표면(229a)에 편광필름(234)이 부착된 표시패널(229)이 역으로 지지된다. 즉 부착된 편광필름(234)을 지지면 측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다른 표면(229b)이 노출된다. 이 표시패널(229)을 역으로 배치하는 작업은 예컨대 작업자가 실시한다.
스텝(e5)에서는 표시패널(229)의 다른 쪽 표면(229b)상의 이물의 제거가 전술한 스텝(e3)과 동일하게 실행된다. 스텝(e6)에서는 상기 스텝(e4)과 동일하게 하여 표시패널(229)의 다른 쪽 표면(229b)에 편광필름(234)이 부착된다. 다른 쪽 표면(229b)에 편광필름(234)이 부착되면, 제3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광필름(234)이 양면에 부착된 표시패널(229)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2)가 다시 검사위치로 배치된다. 여기서 편광필름(234)을 부착하는 경우의 불량, 예컨대 이물의 혼입, 위치 엇갈림 등을 편광필름 부착 전의 패널점등검사와 이물 검사시와 동일하게 하여 검사할 수 있다.
스텝(e7)에서는 편광필름(234)이 부착된 표시패널(229), 즉 완성된 액정표시장치가 검사·부착부(221)로 부터 꺼내질 수 있다.
제33도는 표시패널(229)을 보관 또는 운송중에 생기는 정전기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표시패널(229)의 단자전극(271,272)을 도전부재(277,278)로 미리 도통시킨 경우의 표시패널(229)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전부재(277,278)는 예컨대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테이프 등으로 실현된다. 이와 같은 도전부재(277,278)가 설치된 표시패널(229)의 경우 상기 단락수단(14f,14c) 및 도전부재(14d,14e) 대신 접속부재(279,281)가 접속된다. 접속부재(279,281)는 도전부재(277,278)에 접속되고 적어도 접촉면은 도전성을 갖는다. 이 도전성을 갖는 부분에 접속되는 단자(280,282)로 부터 감사용의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도전부재(277,278)를 갖는 경우,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접속부재(279,281)를 사용하여 단자전극(171,272)에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단락수단(14f,14c) 및 도전부재(14d,14c)의 경우, 즉 도전부재(277,278)을 갖지 않는 표시패널(229)에서는 도전부재(277,278)의 제거를 위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제조 시간과 수고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 및 도전성 테이프 등이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잔류물에 의한 표시불량도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상태의 검사는 검사용 편광필름(225,228)이 이용되고 표시패널(229)에 편광필름(34)을 부착하기 전에 실행된다. 표시상태를 검사하고 스트립 전극의 단선 등에 의한 표시불량이 있는 경우와 표시얼룩 등의 표시품위가 열등한 경우에는 편광필름(234)은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광필름(234)을 쓸데없이 부착하는 일이 없어져서 비용이 절감된다. 또 표시패널(229)의 표면의 세정 및 이물제거에 의한 편광필름(234)의 부착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는 편광필름의 부착장치와 검사장치의 2개의 장치가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한개의 제조장치(241)에서 검사 및 부착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패널(229)을 장치내에 설치하기 위한 수고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치를 배치하는 공간도 적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241)에서는 단락수단(14f,14c) 및 도전부재(14d,14e)로 표시패널(229)의 단자전극(271,272)을 단락시킨 상태로 검사·부착부(221)내에 배치된다. 즉 편광필름(234)의 부착시에 있어서도 단자전극(271,272)은 단락시킨 그대로이다. 따라서 부착시에 생기는 수백 내자 수천 V의 정전기에 의한 표시패널(229)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표시패널(229)의 스트립 전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단자전극(271,272)의 인출방법에 따라서는 스트립 전극이 단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립 전극을 한개씩 번갈아 한쪽 측으로 인출하고 스트립 전극도 한개씩 번갈아 타방 측으로 인출한 경우에 한쪽의 단자측의 단자전극만으로 검사용 표시신호를 보내면, 스트립 전극으로 한개 걸러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화소가 한개 걸러 점등상태로 되지만 단락이 생긴 때에는 화소가 연속하여 점등되기 때문에 상기 단락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고 명세서 본문으로는 하등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Claims (11)

  1. 투명기판, 이 투명기판의 한쪽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시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및 상기 기판부재가 갖는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시하는 러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2.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전극이 각각 설치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상기 기판부재의 서로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상기 배치면에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 및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3. 크기가 상이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큰 쪽의 기판부재에는 복수의 전극과 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상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 상기 표시패널을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고, 그 배치면에 대하여 표시패널의 단자가 하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 상기 제1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 상기 제2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모든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상기 도전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도전부재를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 형성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모든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도전부재가 설치되는 일단부가 요동자재로 되도록 타단부가 지지수단에 부착되는 판 스프링, 및 도전부재가 기판부재에 프레싱된 상태로 판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단락수단은 모든 단자에 걸쳐 접촉가능하고 단자와의 접촉부가 도전성을 갖는 도전부재, 일단부에 상기 도전부재가 설치되는 판 스프링,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고 도전부재가 상기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판 스프링을 이동하는 제1의 액츄에이터, 및 도전부재가 상기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제1의 액츄에이터를 이동하는 제2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부재의 접촉부는 끝이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돌출하고 탄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7. 투명기판,그 투명기판의 한쪽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 투명기판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각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단자, 및 상기 전극이 설치된 투명기판의 표면을 피복하는 배향부재를 갖는 기판부재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재를 배치하는 배치면을 갖는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기 배향부재가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기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기판부재의 단자가 설치된 주변부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판부재와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복수의 단자가 상호 단락된 상태에서 배향부재의 표면에 러빙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전극이 각각 설치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상기 기판부재의 서로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각각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되는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에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접촉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패널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상향의 단자에 접촉시키며,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단락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9. 크기가 상이한 2매의 기판부재 사이에 액정재료가 개재되고, 큰 쪽의 기판부재에는 복수의 전극과 그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는 표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가 작은 쪽의 기판부재와 대향하지 않는 표면에 설치되는 표시패널에 대하여, 상기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지되는 제1의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그 배치면에 대하여 단자가 상향으로 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제1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상향의 단자가 설치된 영역에 접촉·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단락수단을 상기 상향의 단자에 접촉시키고,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단락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한쪽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시키고, 표시패널을 흡착함으로써 지지되는 제2의 지지수단의 배치면에, 표시패널과의 접촉면이 도전성을 갖는 도전수단에 표시패널의 배치면에 대하여 하향의 단자가 접촉하도록 표시패널을 배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표시패널의 모든 단자가 단락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다른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0. 투광성을 갖는 한쌍의 기판부재가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하고, 상기 기판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물질측 표면에 복수의 표시전극, 각 표시전극으로 부터 기판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설치되는 복수의 단자를 적어도 각각 갖는 표시패널에 그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지지하고, 적어도 표시패널의 지지면은 투광성을 갖는 지지수단, 지지수단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 지지수단의 광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촬영수단, 지지수단과 광원 사이 및 지지수단과 촬영수단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검사용의 편광필름, 지지수단에 지지된 표시패널의 한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한쪽 도전부재, 및 다른 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접속되는 다른 쪽 도전부재, 한쪽 및 다른 쪽 도전부재에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출력수단, 및 한쪽 및 다른 쪽 기판부재의 복수의 단자를 상기 한쪽 및 다른 쪽 도전부재와 접속시킨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11. 투광성을 갖는 한쌍의 기판부재가 전계인가에 의해 광학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개재하고, 상기 기판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물질측 표면에 복수의 표시전극, 각 표시전극으로 부터 기판부재의 주변부를 향하여 연장설치된 복수의 단자를 적어도 각각 갖는 표시패널에 그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지지수단의 투광성을 갖는 지지면상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수단과 그 지지수단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광원 사이, 즉 지지수단상의 표시패널과 지지수단에 관한 광원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촬영수단 사이에 검사용의 편광필름을 각각 삽입하는 것과 함께 표시패널의 한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도전부재를 접속하고 또 다른쪽 기판부재측의 복수의 단자와 상기 도전부재와는 상이한 도전부재를 접속하며, 상기 도전부재로 부터 검사용의 표시신호를 공급하고, 또 표시패널의 표시면을 촬영하여 표시패널의 표시상태를 검사하며, 또한 표시불량이 없었던 경우만 상기 도전부재와 복수의 단자를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표시패널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50006143A 1994-05-13 1995-03-20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0143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99395 1994-05-13
JP9939594 1994-05-13
JP94-99395 1994-05-13
JP6317181A JPH08179251A (ja) 1994-12-20 1994-12-20 表示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94-317181 1994-12-20
JP95-35575 1995-02-23
JP07035575A JP3136068B2 (ja) 1994-05-13 1995-02-23 液晶表示装置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76A KR950033576A (ko) 1995-12-26
KR0143613B1 true KR0143613B1 (ko) 1998-07-15

Family

ID=2728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143A KR0143613B1 (ko) 1994-05-13 1995-03-20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71029A (ko)
KR (1) KR0143613B1 (ko)
TW (1) TW3456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8962A (ja) * 1994-03-30 1995-12-08 Seiko Instr Inc 電気装置の電極基板、電極形成方法及び実装方法
JP3001182B2 (ja) * 1995-08-29 2000-01-2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液晶パネル検査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16382B2 (ja) * 1997-11-04 2000-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ラビング装置およびラビング方法
JP2003123502A (ja) * 2001-10-17 2003-04-25 Advanced Display Inc 面状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検査方法
KR100494332B1 (ko) * 2002-09-17 2005-06-13 주식회사에스엘디 복층 투명기판 사이 공간내에 액정 필름이 장착된 윈도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윈도우
US7097788B2 (en) * 2003-06-30 2006-08-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ducting inks
KR100970396B1 (ko) * 2003-11-14 2010-07-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편광필름부착장치
KR100939612B1 (ko) * 2005-12-29 2010-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의 러빙장치
US7582000B2 (en) * 2006-01-07 2009-09-01 Electro-Luminx Light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n electroluminescent light
KR101458659B1 (ko) * 2007-05-09 2014-11-05 크리에이터 테크놀로지 비.브이. 가요성 디스플레이용 세척 유닛을 구비한 전자 장치
JP5274966B2 (ja) * 2008-09-30 2013-08-28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EP2474859A4 (en) * 2009-08-31 2013-03-13 Sharp Kk METHOD FOR ELIMINATING STATIC ELECTRICITY FROM A LIQUID CRYSTAL MODULE,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MODULE
US20120092580A1 (en) * 2010-10-13 2012-04-1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spacing between display and reinforcement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728A (en) * 1981-01-30 1983-12-27 Sangamo Weston, Inc. Liquid crystal mounting and connection scheme
JPH01260417A (ja) * 1988-04-11 1989-10-17 Sharp Corp 偏光板の自動貼付装置
JP2565563B2 (ja) * 1989-03-18 1996-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の製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位相板の製法
JPH02251817A (ja) * 1989-03-24 1990-10-09 Seiko Instr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H03228021A (ja) * 1990-02-02 1991-10-09 Hitachi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03259117A (ja) * 1990-03-08 1991-11-19 Seiko Instr Inc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H03290624A (ja) * 1990-04-09 1991-12-20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5193022A (en) * 1991-02-26 1993-03-09 Rohm Co., Ltd. Plane-type display apparatus
JPH055879A (ja) * 1991-06-27 1993-01-14 Seikosha Co Ltd 強誘電性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H06273736A (ja) * 1993-03-18 1994-09-30 Hitachi Ltd プラスチック液晶表示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71029A (en) 1997-09-23
KR950033576A (ko) 1995-12-26
TW345625B (en) 199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613B1 (ko) 표시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7411410B2 (en) LCD test device and test process thereof
KR100948734B1 (ko)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7535548B2 (en) Apparatus for tes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73621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electrostatic devices
JP3273970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基板の検査装置
KR100829892B1 (ko) 표시용 패널의 검사장치
KR20100009208A (ko) 박리 및 안착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070028637A (ko) Lcd 검사 장비 및 lcd 검사 방법
JPH08179251A (ja) 表示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8241804A (ja) 電気光学装置の検査修復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0802980B1 (ko) 액정기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20190279545A1 (en) System of inspec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of inspecting display panel
JPH09257641A (ja) 液晶パネルの表示面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34789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212703558U (zh) 一种液晶面板端子自动清洗机
JP2000216230A (ja) Tft基板固定用治具及びtft基板の断線検出装置
JPH1068945A (ja) 液晶表示パネル組立方法とその組立治具
JP2006293047A (ja) 表示装置の保持方法、搬送方法および洗浄方法並びに洗浄装置
KR20070117181A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JP3533946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検査方法
KR20130013286A (ko) 연성기판 검사장치
KR100853774B1 (ko) 액정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hun Chang TFT‐LCD Module and Package Process
KR200415643Y1 (ko) 액정디스플레이 검사기용 편광렌즈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