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882B1 - 형틀 첩부용 시이트 - Google Patents

형틀 첩부용 시이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882B1
KR0142882B1 KR1019890008115A KR890008115A KR0142882B1 KR 0142882 B1 KR0142882 B1 KR 0142882B1 KR 1019890008115 A KR1019890008115 A KR 1019890008115A KR 890008115 A KR890008115 A KR 890008115A KR 0142882 B1 KR0142882 B1 KR 014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heet
mold
permeable materi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199A (ko
Inventor
시게유키 소고
기요하루 니시이
히데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오바야시 요시오
가부시기가이샤 오바야시구미
이리에 히데토시
니혼 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바야시 요시오, 가부시기가이샤 오바야시구미, 이리에 히데토시, 니혼 바이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바야시 요시오
Priority to KR101989000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882B1/ko
Publication of KR91000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형틀면에 첩부되는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형틀측에 배치되는 투수재와, 이 투수재에 접착되고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측에 배치되는 불투수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수성 필름에는 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가는 골재의 평균 입경 보다도 작고, 또한 시멘트의 최대 입경 보다 큰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첩부용 시이트.

Description

형틀 첩부용 시이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이트를 형틀에 첩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설명도
제2도는 잉여수의 배수상태의 설명도
제3도는 시험에 사용한 형틀의 설명도
제4도는 시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수재 12 : (불투수성)필름
14 : 미세한 구멍 16 : 형틀
18 : 콘크리트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형틀 첩부용 시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의 표면 상태와, 그 양생 상태를 동시에 개량할 수 있는 시이트에 관한다.
[종래의 기술]
주지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할 때,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가공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과잉의 물이 첨가된다.
이와 같이 과잉 첨가된 물은 형틀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응고 과정에서 배제된다.
그러나, 응고시에 분리된 물은 기포를 수반하여 형틀면에 집수되고, 이것에 의하여 경화된 콘크리트면에 이른바 곰보가 생긴다.
이와 같은 곰보가 생긴 콘크리트 구조물은 그 미관의 손상 뿐만 아니라 단면 결손에 의한 균열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또, 타설 콘크리트와 형틀과의 경계면에 집수한 잉여수는 이 부분의 콘크리트의 물 대 시멘트의 비를 증대시키므로, 경화 후의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염해(鹽害) 등에 의한 열화를 촉진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는 경사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현저히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0-43528호 공보나, 1987년 콘크리트 공학 년차 논문 보고집 91([1054] 고급 수성 폴리머 시이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형틀면의 물성 개량 공법)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접촉하는 형틀 면에 투수성 내지는 흡수성의 시이트를 첩부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에 사용되는 시이트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즉, 전자의 방법으로는 다공질재로 구성한 시이트를 사용하고, 콘크리트의 타설시에서 경화시까지 적극적으로 잉여수를 이 시이트를 거쳐 배수하므로 경계면 부분의 콘크리트의 열화(劣化)를 방지할 수도 있으나, 다공질재의 시이트를 콘크리트에 장기간 접촉시켜 놓으면 콘크리트가 다공 부분에 침입하여 경화되므로, 시이트가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조기에 시이트를 떼어내면 될 것으로 생각되나, 조기에 시이트를 철거하면 콘크리트의 양생이 충분히 안되는 문제가 있다.
즉, 콘크리트의 양생은 적당한 습윤 상태에서 하는 것이 공기 중에서 양생하는 것보다 강도가 더욱 높아지지만, 시이트를 조기에 철거하면, 공기 중의 양생기간이 길어져서 충분히 콘크리트의 강도를 발현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다공질재의 시이트는 그 개구 비율이 크기 때문에, 가령 장기간 콘크리트면에 접촉시켜도 적당한 습윤 상태에서 양생할 수 없었다.
한편, 후자의 방법으로는 섬유 재료에 고급 수성 폴리머를 함침시킨 시이트를 사용하고, 타설 콘크리트의 잉여수를 고급 수성 폴리머로 흡수하므로써, 곰보 현상을 방지하려는 것이나, 고급 수성 폴리머가 예상한 만큼의 잉여수 흡수력이 없고, 또 흡수한 폴리머가 겔(gel)화되어 섬유 재료의 공극(空隙)을 막으므로 잉여수가 충분히 배수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표면 강도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가 완전 경화되어도 떼어내기가 용이하고 미관이 유지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경화에 필요한 수분을 확보하면서, 습윤 상태에서 양생이 가능한 형틀 첩부용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형틀면에 첩부되는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형틀 측에 배치되는 투수재와, 이 투수재에 접착되어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불투수성의 필름으로 구성했다.
[작용]
상기 구성의 시이트에 의하면, 투수재의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불특수성의 필름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형틀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미세한 구멍은 콘크리트 중의 골재에 의하며 막히게 되지만,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자중이 있으므로, 이것이 형틀에 측압으로 작용하여 이 압력에 의하여 잉여수가 골재와 필름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미세한 구멍을 통과하여 투수재에 도달함으로써 투수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서서히 경화되고 형틀에 작용하는 측압이 저하되면, 시이트의 미세한 구멍이 골재로 막혀 있으므로, 배수도 측압의 저하에 따라 저하되고, 콘크리트의 경화에 필요한 수분이 확보됨과 동시에 필름 자체는 불투수성이므로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습윤 상태에서 양생이 이루어진다.
또, 타설된 콘크리트면에는 필름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된 후에도 쉽게 떨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형틀 첩부용 시이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시이트는 투수재(10), 예를들면, 소정 두께의 부직포와, 이 투수재(10)에 접착된 합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초산 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수성의 필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12)은 20-100㎛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이것을 관통하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14, 1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세한 구멍(14)의 직경은 타설된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가는 골재(15)의 평균 입경보다 적어, 예를 들면 0.6mm정도이고, 또한, 시멘트의 최대 입경, 예를 들면 0.1mm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필름(12)의 표면측은 평활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필름(12)을 부직포제의 투수재(10)에 접착할 경우에는, 부직포를 동심형 내지는 초심형의 접착성 섬유로 구성하고, 미세한 구멍(14)을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한 필름(12)을 그 상면에 얹어, 부직포와 필름(12)을 롤러 등으로 가압 접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이트를 작성하면, 필름(12)의 미세한 구멍(14)이 접착제로 막히는 일이 없다.
투수재(10)에 미세한 구멍(14)이 형성된 불투수성의 필름(12)을 접착한 시이트는 예를 들면 설치되기 전의 형틀(16)의 내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첩부하거나, 또는 적절한 곳을 기계적 수단으로 부착하는 것인데, 이때에 시이트의 투수재(10)는 형틀(16)측에, 그리고 필름(12)은 타설된 콘크리트(18)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제1도는 시이트가 첩부된 형틀(16)을 설치하고, 형틀(16)내에 콘크리트(18)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콘크리트(18)가 타설되면, 그 측압이나 바이브레이터 등으로 이것이 다져진다.
이때, 형틀(16)의 내면에는 투수재(10)에 다수의 미세한 구멍(14)이 형성된 불투수성의 필름(12)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형틀(16)내에 콘크리트(18)가 타설되면 상기 미세한 구멍(14)은 콘크리트(18)중의 골재(15)에 의하여 비교적 조기에 막히지만, 타설된 콘크리트(18)에는 자중이 있어서 이것이 형틀(16)에 측압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압력이 작용하면, 콘크리트(18)중의 잉여수는 형틀(16) 측면을 향하여 유동되고, 골재(15)와 필름(12)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미세한 구멍(14)을 거쳐 투수재(10)에 도달하여 투수재(10)로부터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18)가 서서히 경화하여 경도가 높아지면 형틀(16)에 작용하는 측압이 저하되고, 이것에 따라 필름(12)의 미세한 구멍(14)이 골재(15)로 막혀 있으므로, 배수량도 측압의 저하에 따라 저하하기 때문에 콘크리트(18)의 적절한 경화에 필요한 수분이 확보됨과 동시에, 필름(12) 자체는 불투수성이므로 이 부분으로 부터의 배수는 없고, 콘크리트(18)와 공기의 접촉이 차단되어 습윤 상태에서 양생이 실행된다.
또, 타설된 콘크리트(18)의 면에는 필름(12)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18)가 충분히 경화된 후에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이로써, 구축된 구조물의 표면에는 곰보가 생기지 않고, 또한 공기 중에서 양생된 경우보다 고강도의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형틀 첩부 시이트의 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용 형틀 A와, 시험 결과를 도시한다.
시험용 형틀 A는 제3도(a)에 도시하는 치수로 내수성 합판으로 제작하되, 수직면 B, 약 45°의 경사면 C, 수평면 D를 각각 형성했다.
그리고, 형틀 A의 앞뒤면에 시이트 E를 첩부하고, 형틀 A의 상단 개구로부터 시험용 콘크리트 F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F가 경화된 후에 이것을 꺼내어서 내부의 일축 압축 강도와 표면 강도를 측정했다.
시이트 E는 본 발명품 ①과의 비교를 위해 상기한 고흡수성 폴리머시이트로 구성되는 종래품 ②를 준비했다.
본 발명품 ①은 두께 0.5mm의 폴리에스텔과 레이온의 혼사로 구성되는 부직포에 두께 30㎛의 에티렌 초사 비닐제의 필름을 접착하고, 필름에는 14×14mm의 피치로 직경 0.6mm의 미세한 구멍을 형성했다.
종래품 ②는 크라잡 시이트(클라레 주식회사제 상품명)로 호칭되고, 두께가 약 0.35mm의 섬유재료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침시키고, 단위 면적당의 중량이 40g인 것을 사용했다.
시험용 콘크리트 F는 보통 포트랜드 시멘트를 사용하고, 가는 골재와 굵은 골재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이하에 표시하는 표 1의 배합비가 되도록 했다.
일축 압축 강도는 얻은 시험체로부터 코어 샘플을 각각 절단해 내어 JISA1109에 의하여 구했다.
표면 강도는 재료 형성 뒤 7일 후에 N형 슈밋 해머로 시험했다.
제4도는 상기 방법으로 실시한 시험 결과를 도시하는 것으로, 동 도면에서는 내수성 합판만으로 구성한 시험용 형틀로 얻은 값을 100으로 하여, 이것과의 상대적인 표시로 하고 있다.
Figure kpo00002
제4도와 같이 본 발명품 ①을 사용하면 종래품 ②보다도 수직면 B, 경사면 C, 수평면 D의 모든 것에 있어서 표면 강도가 향상되고 있다.
또, 표면 강도 뿐만 아니라 내부의 일축 압축 강도도 종래품 ②보다 커지고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실시예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형틀 첩부용 시이트에 의하면, 시이트를 형틀측에 배치되는 투수재와, 이 투수재에 접착되고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불투수성의 필름으로 구성되므로,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떼어내는 것이 간단해 질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습윤 상태에서 양생할 수 있으므로 고강도이고 고품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타설된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형틀면에 첩부되는 시이트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는 상기 형틀측에 배치되는 투수재와, 이 투수재에 접착되고 상기 콘크리트와의 접촉면 측에 배치되는 불투수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불투수성 필름에는 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가는 골재의 평균 입경 보다도 작고, 또한 시멘트의 최대 입경 보다 큰 복수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첩부용 시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면에 평활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첩부용 시이트.
KR1019890008115A 1989-06-12 1989-06-12 형틀 첩부용 시이트 KR014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115A KR0142882B1 (ko) 1989-06-12 1989-06-12 형틀 첩부용 시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115A KR0142882B1 (ko) 1989-06-12 1989-06-12 형틀 첩부용 시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9A KR910001199A (ko) 1991-01-30
KR0142882B1 true KR0142882B1 (ko) 1998-09-15

Family

ID=1928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115A KR0142882B1 (ko) 1989-06-12 1989-06-12 형틀 첩부용 시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302B1 (ko) * 2015-03-26 2016-08-18 현대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습윤 양생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73A (ja) * 2000-06-22 2002-01-1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情報出力記録システ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302B1 (ko) * 2015-03-26 2016-08-18 현대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습윤 양생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9A (ko) 199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9387B1 (en) Concrete form liner
WO2006096820A2 (en) Concrete curing blanket
DE3418002C2 (ko)
KR100276990B1 (ko) 콘크리트 거푸집 라이너로 유용한 적층 직물
JPS62256607A (ja) 運搬可能なレンガ壁の製造方法
KR0142882B1 (ko) 형틀 첩부용 시이트
SK139793A3 (en) Mineral-wool moulding
Bettencourt Ribeiro et al. Roller compacted concrete-tensile strength of horizontal joints
EP2374768B1 (de) Fußbodenuntergrund
US4005954A (en) Production of plaster floors by the flooding process
AU662913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consistency of ready mix concrete
CN101680221A (zh) 建筑外墙隔热用的外墙隔热板、包含该外墙隔热板的复合隔热系统以及外墙隔热板的制作方法
JPH0354754B2 (ko)
JPH07103685B2 (ja) 型枠貼付用シート
JPH0317351A (ja) 型枠貼付用シート
JPH1061184A (ja) コンクリート体の養生方法
JPH0784354B2 (ja) コンクリート養生パッド及びこのコンクリート養生パッドを用いた養生方法
WO1989009864A1 (en) A formwork panel
JP2006077433A (ja) コンクリート表面仕上げ方法
JPH1135061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複合パネルの大型化粧板間の目地構造
JP2514897B2 (ja) 高吸水性打込型枠
JPH02164968A (ja) スチールフレーム型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JP2605793B2 (ja) 水硬性セメント組成物の養生方法
JPH0216977Y2 (ko)
McWhannell The effects of polypropylene fibres in fresh concre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