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394B1 -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급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394B1
KR0142394B1 KR1019940031440A KR19940031440A KR0142394B1 KR 0142394 B1 KR0142394 B1 KR 0142394B1 KR 1019940031440 A KR1019940031440 A KR 1019940031440A KR 19940031440 A KR19940031440 A KR 19940031440A KR 0142394 B1 KR0142394 B1 KR 014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aucet
water
swit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934A (ko
Inventor
아쯔후미 야스후지
쯔또무 쯔게
Original Assignee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끼 가이샤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또오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끼 가이샤, 최창선,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또오 스스무
Publication of KR95002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5Devices for 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Cooker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등에 의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도,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나는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모터(3)에의 통전을 개시하고 나서 5초 경과하여도 수전스위치(41)의 접점상태가 바뀌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3)가 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3)에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Description

급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되는 가스순간탕비기의 외관도.
제2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구조설명도.
제3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위치검출수단의 설명도.
제4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블록도.
제5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6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7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8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9도는 그 가스순간탕비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가스순간탕비기(급수장치)S: 수류스위치(수류센서)
1: 조작스위치2: 열교수로(수관로)
3: 모터4: 위치검출수단
21: 수전(水栓)500: 마이크로컴퓨터(모터록 감시수단)
501: 모터구동회로(모터 통전수단)706: 전지
본 발명은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급수관, 열교환기 및 출탕관(出湯管)을 연결하여 설치해 이루어지는 열교수로와, 급수관중에 배설되는 전동식의 수전과, 열교환기를 가열하는 가스버너와, 가스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관로중에 배설되는 전자밸브와, 가스버너의 점화를 행하는 점화전극과, 급수관중을 흐르는 유수를 검지하는 수류스위치와, 출탕의 개시나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스위치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개방위치를 검지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수전이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될때까지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통전수단과, 유수를 검지하면 전자밸브로의 통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점화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연소제어기를 구비한 가스탕비가 알려져 있다.
이 가스탕비기에서는, 정지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수전이 개방 위치로 될때까지 모터통전수단이 모터에 통전을 행하고, 급수관내로 물이 흐름으로서, 전자밸브가 밸브를 개방하는 동시에, 점화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가스버너가 연소를 개시하고, 출탕관으로부터 뜨거운물이 토출된다.
탕비기가 정지상태일때, 기온이 현저하게 낮은 경우에는 급수로 관중의 물이 완전히 동결 또는 일부가 동결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되는 일이 있다.
완전히 동결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상태인 경우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수전이 전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모터가 록되고 대전류가 흘러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부담이 간다.
또, 일부가 동결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제어상태인 경우에,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수전이 약간 움직이나 반열린 상태로 된 상태에서 모터가 록되고,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부담이 가는 동시에 물이 멈추지 않는 상태로 된다.
더욱이, 모터등으로의 전원이 전지인 경우에는, 모터의 록에 의하여 전지가 현저히 소모한다. 또, 수전이 반열린 상태일때 모터가 록되고 모터에의 통전을 계속하였기 때문에 전지가 소모한 경우에는, 기온이 높아져 동결이 해소되어도 전지의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할 수가 없기 때문에 수전이 반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물이 계속 유출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동결등에 의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도,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나는 급수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수전이 반열린 상태로 제어되어도,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나는 동시에, 그후, 동결등이 해소된 경우에 물이 유출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급수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동결등에 의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도, 전지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나는 급수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 조작에 의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스위치와, 수관로중에 배설되는 전동식의 수전과, 상기 수전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개방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전이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통전수단을 구비한 급수장치에 있어서,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터에의 통정을 정지하는 모터록 감시수단을 설치하였다.
(2) 조작에 의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스위치와, 수관로 중에 배설되는 전동식의 수전과, 상기 수전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개방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수관로를 통과하는 유수를 검지하는 수류센서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전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통전수단을 구비한 급수장치에 있어서,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수전의 위치가 바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모터통전 정지중에 상기 수류센서에 의하여 유수를 검지하면 상기 수전이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록 감시수단을 설치하였다.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용 전원이 전지이다.
(작용)
[청구항 1에 대하여]
(정상의 경우]
수전은 밸브폐쇄상태에 있고 위치검출수단은 수전의 개방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은, 수전이 개방위치로 될때가지에 통전을 행한다. 수전은 밸브개방상태가 되어 물이 토출되고, 위치검출위치가 수전의 개방위치를 검출하여 모터가 정지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은 수전이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모터에 통전을 행한다. 수전은 밸브폐쇄상태로 되어 물이 멈추고, 위치검출수단이 수전의 폐쇄위치를 검출하여 모터가 정지한다.
(동결등이 발생한 경우)
수전은 밸브폐쇄상태에 있고, 위치검출수단은 수전의 폐쇄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이 모터에 통전을 행하나 수전의 개방동작이 동결등에 의하여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전이 전체개방상태로 되지 않고 모터가 록된다. 또한, 수전은 밸브개방 또는 반열린상태로 유지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므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청구항 2에 대하여]
정상의 경우는 청구항 1과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동결등이 발생한 경우)
수전은 밸브폐쇄상태에 있고, 위치검출수단은 수전의 폐쇄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이 모터에 통전을 행하나 수전의 개방동작이 동결등에 의하여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전이 전체개방상태로 되지 않고 모터가 록된다. 또한, 수전은 밸브개방 또는 반열린상태로 유지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므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수전의 개방동작이 제어되고 반열린 상태로 모터에의 통전이 정지한 경우, 기온의 상승등으로 동결등이 해소되면 물이 유출하여 수류센서가 수관로를 통과하는 유수를 검지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수전이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모터에 통전을 행하고, 수전은 밸브폐쇄상태로 되어 물이 멈춘다.
[청구항 3에 대하여 ; 청구항 1에 적용한 경우]
(동결등이 발생한 경우)
수전은 밸브폐쇄상태에 있고, 위치검출수단은 수전의 개방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이 모터에 통전을 행하나 수전의 개방동작이 동결등에 의하여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전이 전체개방상태로 되지 않고, 모터가 록되어 대전류가 흐른다. 또한, 수전은 밸브폐쇄 또는 반열린상태로 유지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므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전지는 부하로부터 개방된다.
[청구항 3에 대하여 ; 청구항 2에 적용한 경우]
(동결등이 발생한 경우)
수전은 밸브폐쇄상태에 있고, 위치검출수단은 수전의 개방위치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신호가 출력된다.
모터통전수단이 모터에 통전을 행하나 수전의 개방동작이 동결등에 의하여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수전이 전체개방상태로 되지 않고, 모터가 록되어 대전류가 흐른다. 또한, 수전은 밸브폐쇄 또는 반열린상태로 유지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므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고, 전지는 부하로부터 개방된다.
수전의 개방동작이 제어되고, 반열린상태에서 모터에의 통전이 정지한 경우, 기온의 상승등으로 동결들이 해소되면 물이 유출되어, 수류센서가 수관로를 통과하는 유수를 검지한다.
모터록 감시수단은, 수전이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모터에 통전을 행하여 수전은 밸브폐쇄상태로 되어 물이 멈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대하여]
동결등에 의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가 록되어도,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구성이므로 모터 또는 모터구동회로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난다.
[청구항 2에 대하여]
수전이 반열린 상태에서 모터에의 통전이 정지한 경우, 기온의 상승들으로 동결등이 해소되면 물이 유출되는데, 수류센서가 수관로를 통과하는 유수를 검지하고, 모터록 감시수단이 수전이 전체폐쇄위치로 될때까지 모터에 통전을 행하고 수전을 밸브폐쇄상태로하여 물을 멈추게 한다.
이 때문에 동결등이 해소된 후에 물이 계속 흘러버리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대하여]
동결등에 의하여 수전의 개방동작이 구속 또는 제어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가 록되어도,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구성이므로, 전지가 신속히 과대부하로부터 개방되어 전지에 가해지는 부담이 가볍게 끝나고, 전지수명이 짧아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청구항 1, 2, 3에 대응)를 제1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수장치인 가스순간탕비기(A)는, 급탕의 개시라든가 정지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스위치(1)와, 열교수로(2)에 배설되는 수전(21)과, 수전(21)을 구동하는 모터(3)와, 수전(2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4)과, 모터(3)등을 제어하는 제어기(5)를 구비한다.
조작스위치(1)는 압압시에 접점이 통전상태로 되는 항상 개방형의 푸시버튼스위치이다.
열교수로(2)는 급수관(211), 열교환기(221), 출탕관(231)을 순서로 연결설치하여 이루어진다. 급수관(211)은, 최상류에 수전(21)을 배설하고, 그 하류에 수압응동부재로서도 역할을 하는 수(水)거버너밸브(22)를 배설하고, 수거버너(22)의 하류에 수량조절밸브(23)를 배설하고 있다.
출탕관(231)은 금속제이고 하류측이 금속제의 플렉시블관에 수지관을 피복하여 구성되고, 선단에 샤워헤드(232)를 감착하고 있다. 이 샤워헤드(232)에는 수류절환기(233)가 부착되어 있고, 샤워 또는 스트레이트상의 수류(234)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스버너(6)는 열교환기(221)의 하방에 설치되고 가스관로(610)에 의하여 가스가 공급되어 연소한다.
가스관로(610)는 상류측으로부터 전자밸브(61), 수거버너밸브(22)에 연결된 수압응동밸브(62), 가스거버너밸브(63) 및 가스량 조절밸브(64)를 배설하고 있다. 또한, 가스량 조절밸브(64)는 수량조절밸브(23)와 함께 탕온도설정레버(L)에 연결되고, 탕온설정레버(L)의 슬라이드량에 대응한 가스량, 수량이 가스버너(6), 열교환기(221)에 각각 공급된다. 또, 탕온설정레버(L)를 좌단으로한 경우는 물/탕 절환스위치(701)가 개방상태로 되어 가스버너(6)는 점화되지 않고, 샤워헤드(232)로부터 물이 토출된다.
위치검출수단(4)은 수전(21)의 전체개방위치 또는 전체폐쇄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상의 가동편(411)을 가지는 항상 개방형의 수전스위치(41)와, 모터(3)의 구동축(31)에 고착되어 회전하는 캠(42)에 의하여 구성된다.
수전스위치(41)는, 수전(21)이 밸브폐쇄위치시, 스프링상의 가동편(411)이 캠(42)의 측 주위벽에 접하도록 배치되고{제3도의 (a)참조}, 수전(21)이 밸브개방위치로 되면, 가동편(411)이 경대부(俓大部)(422)(외주의 약 ⅓)에 의하여 압접상태로 되고{제3도의 (b)참조}, 전기접점이 폐쇄되어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스위치이다. 즉, 수전스위치(41)가 개방으로부터 폐쇄로 절환되었을때가 수전(21)의 전체개방위치이고, 수전스위치(41)가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절환되었을때가 수전(21)의 전체폐쇄위치이다.
캠(42)은, 단면이 대략 원형을 이루고 두께부(421)측의 외주가 경대(경대부(422))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께부(421)가 스핀들 위치로 오면 스핀들(212)을 압압하여 수전(21)을 밸브개방상태로 한다.
급탕개시시에 있어서, 수전(21)이 전체개방상태(수전(21)의 스핀들(212)이 두께부(421)에 의하여 제일압압된 상태)로 될때가지,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은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모터(3)는 수전(21)이 전체개방위치(수전 스위치(41)의 접점이 개방상태로 됨)로 될때까지{제3도의 (b)참조} 계속 회전한다.
급탕종료시에 있어서, 수전(21)이 전체개방상태(수전(21)의 스핀들(212)이 전혀 압압되지 않은 상태)로 될때까지,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경대부(422)에 압압되어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수전(21)이 전체폐쇄위치(수전 스위치(41)의 접점이 개방상태로 됨)로 될때까지{제3도의 (a)참조} 모터(3)가 계속 회전한다.
제어기(5)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500), 모터구동회로(501), 스위치회로(502), 이그나이터회로(503), 전자밸브구동회로(504), 더모커플(505), 안전회로(506), 조작스위치회로(507), 전지확인램프회로(508), 부저구동회로(509), 프레임로드회로(510) 및 전지전압검지회로(511)등을 가진다.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출탕정지중(수전(21)이 닫힌 상태)에 조작스위치(1)가 압압되면, 수전(21)이 전체개방상태로 될때까지,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을 계속하도록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또, 출탕중(수전(21)이 열린상태)에 조작스위치(1)가 압압되면, 수전(21)이 폐쇄상태로 될때까지,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을 계속하도록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3)에의 통전개시로부터 5초가 경과하여도 수전스위치(41)의 접점상태(수전(21)의 상태)가 바뀌지 않는 경우에는, 모터(3)가 록한것으로 판단하고,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그리고, 모터통전정지중에 수류스위치(S)가 수류를 검지하면,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개방→폐쇄→개방으로 될때까지(수전(21)이 반개방→완전폐쇄→전체폐쇄), 모터(3)에 통전을 행한다.
이그나이터회로(503)는 마이크로컴퓨터(500)에 의하여 제어되고, 작동이 지시되면 이그나이터전극(702)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더모커플회로(505)는 더모커플(703)이 송출하는 열기전력을 입력하고, 정상연소를 검지하면 마이크로컴퓨터(500) 및 전자밸브 구동회로(504)에 안전신호를 송출한다.
706은 전원으로서의 전지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형 1.5V의 망간건전지 2개를 직렬로 배치하여 3V의 기전력을 가지고, 모터(3)등의 작동용 전원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수류스위치(S)는 수거버너밸브(22) 및 수압응동밸브(62)에 연결되고, 수거버너밸브(22)에 물이 흐르면 전기접점이 도통한다.
다음으로 가스순간탕비기(A)의 작동을 제4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서술한다.
[사용개시시]
사용자가 압압조작을 조작스위치(1)에 실시하면, 조작스위치회로(507)를 거쳐 온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500)에 입력된다.
스텝(S1)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부저구동회로(509)에 출력하고 부저가 구동한다.
스텝(S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류스위치(S)의 접점이 온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한다. 그리고 오프의 경우(YES)는, 스텝(S3)으로 진행하고, 온(수류검지상태)의 경우(NO)는, 수류스위치(S)가 온고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스텝(S31)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개시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4)에서 모터(3)에 통전개시하고나서(스텝(S3)이 실시되고 나서) 5초가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5)으로 진행하고, 5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는, 모터(3)가 록된 것으로 간주하여 스텝(S26)으로 진행한다.
모터(3)의 회전에 의하여 스텝(S5)에서 수전(21)이 개시한다. 또한, 전체개방위치에서 수전스위치(41)가 온한다.
스텝(S6)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전(21)이 전체개방상태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온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판별하여, 전체개방상태(온의 경우; YES)는 스텝(S7)으로 진행하고, 밸브폐쇄 또는 반열린상태(오프의 경우; NO)의 경우는 스텝(S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7)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의 통전을 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류스위치(S)의 접점이 온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고, 온(수류검지상태)의 경우(YES)는 스텝(S9)으로 진행하고, 오프의 경우(NO)는 단수로 간주하고 스텝(S32)으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물/탕 절환스위치(701)가 폐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여, 폐쇄되어 있는 경우(탕측에 설정; YES)는 스텝(S10)으로 진행하고, 개방되어 있는 경우(수측에 설정; NO)는 샤워헤드(232)로부터 물이 토출된다.
스텝(S10)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이그나이터회로(503)에 지시하고, 이그나이터전극(702)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또, 프레임로드회로(510)에 전지전력의 공급을 개시하여 프레임로드(704)에 의한 불꽃 검지를 행한다.
스텝(S11)에서 0.1초 경과했는지(스텝(S10)으로부터)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0.1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2)으로 진행하고, 0.1초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1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프레임로드회로(510)의 출력이 Lo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Lo(착화를 검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인 경우(YES)는 스텝(S13)으로 진행하고, Hi(착화검출상태)인 경우(NO)는, 프레임로드(704) 또는 프레임로드회로(510)가 고장인 것으로 간주하고, 스템(S39)으로 진행한다.
스텝(S13)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자밸브(61)를 강제흡착하고 흡착유지하도록 전자밸브 구동회로(504)에 지시하고, 스텝(S14)으로 진행한다.
스텝(S14)에서 전지전압 검출회로(511)가 2.1V 이상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5)으로 진행하고, 2.1V 미만의 경우(NO)는 스텝(S41)으로 진행한다.
스텝(S15)에서 스텝(S13)으로부터 0.31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16)으로 진행하고,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1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16)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자밸브(61)의 강제흡착전류를 정지하도록 전자밸브 구동회로(504)에 지시하고 스텝(S17)으로 진행한다. 또한, 전자밸브(61)는 강제흡착전류(예를 들면 250㎃)가 정지하여도 흡착지지전류(예를 들면 2.5㎃)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밸브개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스텝(S17)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프레임로드회로(510)의 출력이 Hi(착화검출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Hi인 경우(YES)는 스텝(S18)으로 진행하고, Lo인 경우(NO)는 불착화로 간주하고 스텝(S50)으로 진행한다.
스텝(S1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이그나이터전극(702)에의 고전압인가를 중지하도록 이그나이터회로(503)에 지시하고, 스텝(S19)으로 진행한다.
스텝(S19)에서 스텝(S13)으로부터 1.6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20)으로 진행한다.
스텝(S20)에서 더모커플회로(505)의 출력이 Hi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Hi(정상연소상태)인 경우(YES)는 스텝(S21)으로 진행하고, Lo(실화 또는 이상 연소상태)인 경우(NO)는 스텝(S52)으로 진행한다.
스텝(S21)에서 더모커플회로(505)의 출력이 Hi로 판별되고나서(스텝(S20)에서 YES) 1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1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22)으로 진행하고,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2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2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프레임로드회로(510)로의 전지전력의 공급을 중단하고, 프레임로드(704)에 의한 불고ㅊ검지를 중지하고, 더모커플(703)에 의한 불꽃검지로 절환한다.
스텝(S23)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조작스위치(1)가 연속하여 10초 이상 압압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10초 이상 연속압압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24)으로 진행되고, 연속압압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53)으로 진행한다.
스텝(S24)에서 더모커플회로(505)의 출력이 계속 Hi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Hi(정상연소상태)인 경우(YES)는 스텝(S2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54)으로 진행한다.
스텝(S25)에서 스텝(S13)으로부터 30분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24)으로 되돌아가고,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55)으로 진행한다.
스텝(S26)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27)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류스위치(S)의 접점이 온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여, 온(수류검지상태)의 경우(YES)는 스텝(S28)으로 진행하고, 오프(수류가 검지되고 있지 않은 상태)의 경우(NO)의 스텝(S26)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28)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개시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29)에서 모터(3)에 통전개시하고나서(스텝(S28)이 실시되고나서) 5초가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30)으로 진행하고, 5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S26)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0)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오프→온→오프로 되었는지(YES), 아닌지(NO)를 판별하여, YES의 경우는 스텝(S31)으로 진행하고, NO의 경우는 스텝(S28)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1)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32)에서 모터(3)에의 통전을 정지하고나서(스텝(S7)이 실시되고나서) 30분이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30분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33)으로 진행하고, 30분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스텝(S8)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3)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개시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34)에서 모터(3)에 통전개시하고나서(스텝(S33)이 실시되고나서) 5초가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35)으로 진행하고, 5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37)으로 진행한다.
모터(3)의 회전에 의하여 스텝(S35)에서 수전(21)이 밸브폐쇄하고, 수전스위치(41)가 개방된다.
스텝(S36)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전(21)이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아닌지를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오프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판별하여 오프(수전(21)이 완전히 닫힌상태)의 경우(YES)는 스텝(S31)으로 되돌아가고, 온의 경우(NO)는 스텝(S3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7)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을 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템(S3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류스위치(S)의 접점이 오프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여 오프인 경우(수류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 NO)는 스텝(S31)으로 되돌아가고, 온의 경우(YES)는 스텝(S3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7)에서 스텝(S10)으로 이행하고 나서 2초가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40)으로 진행하고,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12)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40)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이그나이터회로(503)에 지시하고, 고전압의 이그나이터전극(702)으로의 인가를 정지한다. 또, 프레임로드회로(510)로의 전지전력의 공급을 정지하여 프레임로드(704)에 의한 불꽃검지를 정지하고 스텝(S33)으로 진행한다.
스텝(S41)에서 전지전압검출회로(511)가 1.9V 이상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42)으로 진행하고, 1.9V 미만의 경우(NO)는 스텝(S45)으로 진행한다.
스텝(S4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지확인램프회로(508)에 지시하고, 전지확인램프(705)를 점멸상태로 하여 스텝(S43)으로 진행한다.
스텝(S43)에서 스텝(S14)으로부터 30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44)으로 진행한다.
스텝(S44)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지확인램프회로(508)에 지시하고, 전지확인램프(705)를 소등상태로 하여 스텝(S15)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45)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지확인램프회로(508)에 지시하고, 전지확인램프(705)를 점등상태로 하여 스텝(S46)으로 진행한다.
스텝(S46)에서 전지전압검출회로(511)가 1.8V 이상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43)으로 되돌아가고, 1.8V 미만희 경우(NO)는 스텝(S47)으로 진행한다.
스텝(S47)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자밸브 구동회로(504)에 지시하여 전자밸브(61)를 밸브폐쇄한다.
스텝(S48)에 있어서 스텝(S13)으로 이행하고 나서 1.6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49)으로 진행한다.
스텝(S49)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이그나이터회로(503)에 지시하고, 고전압의 이그나이터 전극(702)으로의 인가를 정지한다. 또, 프레임로드회로(510)로의 전지전력의 공급을 차단하여 프레임로드(704)에 의한 불꽃검지를 정지한다.
스텝(S50)에 있어서 스텝(S13)으로 이행하고 나서 1.6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51)으로 진행한다.
스텝(S51)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이그나이터회로(503)에 지시하고, 고전압의 이그나이터 전극(702)으로의 인가를 정지한다. 또, 전자밸브구동회로(504)에 지시하고, 전자밸브(61)를 밸브폐쇄상태로 한다. 또한, 프레임로드회로(510)에의 전지전력의 공급을 차단하여 프레임로드(704)에 의한 불꽃검지를 정지한다.
스텝(S52)에 있어서 스텝(S13)으로 이행하고 나서 50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경과하고 있는경우(YES)는 스텝(S53)으로 진행한다.
스텝(S53)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자밸브(61)의 흡착지지전류를 정지하도록 전자밸브구동회로(504)에 지시한 스텝(S3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54)에서 더모커플회로(505)의 출력이 Hi→Lo(실화 또는 이상연소)로 된 것은, 스텝(S21)으로 이행하고 나서 30초 경과 후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30초 경과 후인 경우(YES)는 스텝(S55)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53)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55)에서 실화 또는 불완전 연소상태에 빠진 것으로 간주하여 부저를 구동하고, 스텝(S53)으로 되돌아간다.
[사용정지시]
급탕중에 사용자가 압압조작을 조작스위치(1)에 실시하면, 조작스위치회로(507)를 거쳐 온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500)에 입력된다.
스텝(S1)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부저구동회로(509)에 출력하고, 부저가 구동한다.
스텝(S2)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개시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전자밸브 구동회로(504)에 전자밸브(61)를 밸브폐쇄상태로 하도록 지시한다.
스텝(S3)에 있어서 스텝(S2)으로 이행하고 나서 5초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별하여, 5초 경과하고 있는 경우(YES)는 스텝(S7)으로 진행하고,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NO)는 스텝(S4)으로 진행한다.
스텝(S4)에서 모터(3)의 회전에 의하여 수전(21)이 밸브폐쇄하고, 수전스위치(41)가 오프한다.
스텝(S5)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전스위치(41)의 접접이 오프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여, 오프(수전밸브 폐쇄상태)의 경우(YES)는 스텝(S6)으로 진행하고, 온의 경우(NO)는 스텝(S2)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7)에서 모터(3)가 록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모터구동회로(501)가 모터(3)에 통전정지하도록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구동회로(501)에 지시한다.
스텝(S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수류스위치(S)의 접점이 온인지 아닌지를 스위치회로(502)를 거쳐 판별하여, 온(수류검지상태)의 경우(YES)는 스텝(S2)으로 되돌아가고, 오프의 경우(NO)는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가스순간탕비기(A)의 이점을 서술한다.
(ㄱ)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모터(3)에의 통전개시로부터 5초 경과(반드시 수전(21)이 바뀌게 된다)하여도 수전(21)의 상태(마이크로스위치(41)의 접점상태)가 바뀌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열교수로(2)중의 물의 동결에 의하여 수전(21)이 구속 또는 억제상태로 된 경우), 모터(3)가 록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3)에의 통전정지를 지시하고 있다{스텝(S3)→스텝(S4)에서 YES→스텝(S26)}.
그리고, 모터통전정지중에 수류스위치(S)가 폐쇄상태로 되면(기온의 상승등에 의하여 동결한 경우), 수전스위치(41)의 접점이 오프→온→오프로 될때까지(수전(21)이 반열림→완전개방→완전폐쇄), 모터(3)에의 통전을 지시하고 있다{스텝(S27)에서 YES→스텝(S28)→스텝(S29)에서 NO→스텝(S30)에서 YES→스텝(S31)}.
이때문에 최대 5초간 밖에 모터(3)가 록상태로 되지 않으므로 모터(3)나 모터구동회로(50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동결이 해소하면 수전(21)이 완전히 개방될때까지, 모터(3)에 통전이 행해지므로 물이 계속 흐르게 되는 일이 없다.
또, 모터(3)가 록하여도, 5초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모터(3)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구성이므로 전지(703)가 신속히 과부하로부터 개방되어, 전지수명이 짧아지지 않는다.
(ㄴ) 수전(21)이 폐쇄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류스위치(S)가 온상태에 있는 수류스위치(S)의 단락고장지의 유무를 스텝(S2)에서 체크하여 두어 고장의 경우는, 연소시퀀스로 이행하지 않고 있으므로 쓸데없이 불을 지피는 일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하다.
(ㄷ) 스텝(S10)~스텝(S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그나이터회로(503)의 작동(스파크용 고전압의 발생) 및 프레임로드회로(510)의 작동(불꽃검지의 개시)을 행하고 나서 0.1초 경과하여 전자밸브(61)의 흡착·흡착지지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입전류가 커지지 않으므로, 각 회로의 동작불량을 초래하지 않고(전지전압의 전압강하 작음) 동시에 전지(706)가 오래간다.
(ㄹ) 스텝(S12)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500)는 전자밸브(61)를 밸브개방하기 전에 프레임로드회로(510)에 통전하며 프레임로드(704) 또는 프레임로드회로(510)가 고장나고 있는지 아닌지의 초기체크를 실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시의 폭발착화(프레임로드(704)나 프레임로드회로(510)의 고장시에 일어날 수 있다)를 방지할 수 있다.
(ㅁ) 점화미스에서는 부저를 구동시키지 않고, 중요도가 높은 이상(異常)인, 도중실화나 불완전연소로 되었을때, 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스위치(1)의 조작시에만 부저를 구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때문에 필요시에만 부저가 구동하므로, 사용자에 확실히 주의를 재촉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전지(706)에 부담이 가지 않는다. 또, 조작의 확인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수장치로서 가스탕비기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의 구성을 가열원을 구비하지 않은 급수장치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류센서로서 수류스위치를 나타냈는데 수류센서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위치검출수단은 수전(21)의 전체개방위치와 전체폐쇄위치를 하나의 스위치(수전스위치(41))로 검출하는 것을 나타냈는데, 수전(21)의 전체개방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와 전체폐쇄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캠의 전체개방위치와 전체폐쇄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오목부(스위치가 항상 개방된 스위치의 경우)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경우 한쪽의 스위치는 수전의 전체폐쇄위치에서만 개방하고, 다른쪽의 스위치는 전체개방위치에서만 개방하므로, 2개의 스위치를 모터의 전원공급회로 직렬로 개입시킴으로서 모터에의 통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검출수단을 캠(42)과 수전스위치(41)로 구성했는데, 포텐션메이터로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2)

  1. 조작에 의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스위치와, 수관로중에 배설되는 전동식의 수전과, 상기 수전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전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통전수단을 구비한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터에의 통전을 정지하는 모터록 감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2. 조작에 의하여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스위치와, 수관로중에 배설되는 전동식의 수전과, 상기 수전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수관로를 통과하는 유수를 검지하는 수류센서와, 상기 수전의 폐쇄위치 또는 개방위치에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전이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통전수단을 구비한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의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수전의 위치가 바뀌지 않는 경우에, 상기 모터에의 통전을 일단 정지하고, 모터통전정지중에 상기 수류센서에 의하여 유수를 검지하면, 상기 수전이 폐쇄위치로 될때까지 상기 모터에 통전을 행하는 모터록 감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
KR1019940031440A 1994-01-12 1994-11-28 급수장치 KR0142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01787 1994-01-12
JP6001787A JP2954472B2 (ja) 1994-01-12 1994-01-12 給水装置
JP94-1787 1994-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34A KR950023934A (ko) 1995-08-18
KR0142394B1 true KR0142394B1 (ko) 1998-07-01

Family

ID=1151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440A KR0142394B1 (ko) 1994-01-12 1994-11-28 급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54472B2 (ko)
KR (1) KR0142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4902B (zh) * 2020-06-02 2022-03-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防冻方法及地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31989Y1 (ko) * 1966-06-08 1970-12-07
GB2229627A (en) * 1989-03-28 1990-10-03 Scot Young Serv Syst Ltd Mop pad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98198A (ja) 1995-08-01
JP2954472B2 (ja) 1999-09-27
KR950023934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394B1 (ko) 급수장치
JP2765802B2 (ja) 燃焼装置
JP2540258B2 (ja) 燃焼安全制御装置
JP3005494B2 (ja) 湯沸器
JP2525100B2 (ja) 湯沸器
JP3650389B2 (ja) 燃焼装置
KR950012160B1 (ko) 가스탕비기
JPH08285268A (ja) 燃焼装置
JP3418579B2 (ja) 湯沸器
KR960005777B1 (ko) 가스탕비기
JP2640013B2 (ja) 湯沸器
JP3067691B2 (ja) 湯沸器
JP3067689B2 (ja) 湯沸器
JPH0318840Y2 (ko)
JP2580097B2 (ja) 給湯器
JP3631305B2 (ja) 湯沸器
JP2828153B2 (ja) 給水装置
JP3203114B2 (ja) 燃焼器具における作動停止装置
JP3351985B2 (ja) 湯沸器
JP2525100C (ko)
JP3067690B2 (ja) 湯沸器
JPH068698B2 (ja) 給湯器
JP3342455B2 (ja) 湯沸器
JP5081108B2 (ja) 湯沸器
JPH08226639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