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357B1 -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357B1
KR0142357B1 KR1019950016817A KR19950016817A KR0142357B1 KR 0142357 B1 KR0142357 B1 KR 0142357B1 KR 1019950016817 A KR1019950016817 A KR 1019950016817A KR 19950016817 A KR19950016817 A KR 19950016817A KR 0142357 B1 KR0142357 B1 KR 0142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larm
mask
output
multi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729A (ko
Inventor
김형동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5001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357B1/ko
Publication of KR97000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357B1/ko

Links

Landscapes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의 장애 경보를 그룹 별로 발생시켜 장애 그룹만을 스캐닝함으로써 감지 지연 및 오버 로드를 줄여 주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마스크 신호의 입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와, 상기 마스크 신호의 출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제1신호를 AND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2신호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스캔 신호를 상기 마스크 신호로 초기화 시키는 신호를 AND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2 AND게이트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알람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한 제2AND 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1비퍼(4)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상기 제1AND 게이트(1)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1 멀티플렉서(3)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비트 단위로 비교해서 서로 다른 경우에는 비교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5)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3)의 출력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1AND 게이트(1)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2비퍼(6)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2멀티플렉서(7)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알람 신호를 스캔 신호로 혹은, 마스크 신호를 스캔 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멀티플렉서(1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경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제1AND게치트2:제2AND 게이트
3:제1멀티플렉서4:제1버퍼
5:비교기6:제2버퍼
7:제2멀티플렉서8:인버터
9:제3AND 게이트10:제3멀티플렉서
21~24:시스템25~28:알람 감지부
29~32:경보 처리부33:제어부
제1신호:MRRO제2신호:SRRO
본 발명은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보를 그룹 별로 발생시켜 장애 그룹만을 스캐닝(scanning)함으로써 감지 지연 및 오버 로드(over load)를 줄려 주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는 각 시스템에 연결되어 시스템의 알람을 감지하는 알람 감비부와, 각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기 쉬해 상기한 알람 감지부를 스캐닝 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알람 처리부로 구성되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중 장애 경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알람 감지부에 연결된 시스템의 장애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가 알람 처리부가 주기적으로 풀 스캐닝(full scanning)할 때 버스 라인을 통해 각 시스템의 장애 여부를 알람 처리부에 알린다.
알람 처리부는 각 시스템의 알람 상태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알람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면 정상 상태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각 시스템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 시스템으로 판정된 경우 장애가 발생된 시스템에 대한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중 경보 처리 시스템은 알람 경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순차적인 방법으로 알람 감지부 전체를 체크하므로, 1개의 알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전체를 순차적으로 폴 스태닝 해야만 알람이 발생된 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알람이 발생된 시스템에 대해서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시간 지연 문제와, 계속되는 폴 스캐닝에 의한 오보 로드(over load)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다중 경보 처리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알람에 대한 시간 지연 및 오버 로드를 해결 해 줄 수 있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마스크 신호( MASK)의 입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MRWO)와, 상기 마스크 신호의 출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제1신호(MRRO)를 AND 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1AND게이트와,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SRRO)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스캔(SCAN)신호를 상기 마스크 신호로 초기화시키는 신호(REMASK)를 AND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2 AND 게이트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알람(ALM)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한 제2 AND 게이트의 출력에 의한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1버퍼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상기 제1 AND 게이트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1 멀티플렉서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비트 단위로 비교해서 서로 다른 경우에는 비교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출력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1 AND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2버퍼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2멀티플렉서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알람 신호를 스캔 신호로 혹은, 마스크 신호를 스캔 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멀티플렉서로 이루어지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를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경보 처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개선된 경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시스템(21~24)에 연결되어 상시 시스템(21~24)의 알람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 상기 시스템(21~24)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상태를 알람(ALM)신호로 출력시키는 알람 감지부(25~28)와, 상기한 각각의 알람 감지부(25~28)에 연결되어 상기한 알람 신호를 입력받아 플래그(FLAG)신호와 스캔(SCAN)신호를 발생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29~32)와, 상기한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29~32)에 의해 발생된 플래그(FLAG)신호에 의해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을 파악하여 그 시스템에 대한 장애 내용을 상기한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29~32)를 통해 스캔 신호(SCAN)로 출력되는 알람 데이터를 스캐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장애 내용을 처리하는 도중 발생할지도 모르는 다른 장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29~32)의 마스크(MASK) 신호를 리셋시켜 주는 제어부(3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종 신호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람(ALM)신호는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에 대해서 알람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16비트로 이루어진 알람 데이터이며, 마스크(MASK)신호는 사용자가 임의로 세팅할 수 있는 신호로 상기한 ALM 신호와 비교되어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신호이다.
MRWO신호는 MASK 신호를 쓰기 가능하게 하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active low)이고, MRRO신호는 MASK 신호를 읽을 수 있게 하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이다.
SRRO 신호는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이며, REMASK 신호는 스캔(SCAN)신호를 MASK신호로 초기화시키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이다.
SRENO 신호는 플래그(FLAG)신호의 발생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로 액티브 로우이며, MSKO신호는 시스템별로 마스킹할 때 필요한 신호로 액티브 로우이다.
한편, 마스킹을 하는 까닭은 하드웨어의 증설을 예상하여 하는 것으로, 시스템 전체가 완전히 구성되어 있지 않은 때 즉, 하드웨어가 모두 실장 되지 않은 상태일 때, 실장 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플래그를 발생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데스트(TEST)신호는 추후 다른 신호로 대체시키기 위한 예비 신호로 항상 '1'의 상태를 유지하며, MASK2 신호는 테스트 포트(test port)를 초기화시키기 위해 데스트 포트에 입력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클럭(CLK)신호는 제1,2,3멀티플렉서(3,7,10)와, 제1,2버퍼(4,6), 그리고 비교기(5)에 공급되는 클럭 신호로 제1,3멀티플렉서(3,10)와 제1,2버퍼(4,6)에 공급되는 클럭의 액티브 시점은 하강 시점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MRWO 신호와 MRRO 신호를 AND 연산하여 그 결과를 제1멀티플렉서(3)의 SEL 포트와 제2버퍼의 EN 포트로 출력시키는 제1AND 게이트(1)와, SRRO신호와 REMASK 신호를 AND연산하여 그 결과를 제1버퍼(4)의 EN 포트와 제2멀티플렉서(7)의 SRRO 포트로 출력시키는 제2 AND 게이트(2)와, ALM 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한 제2 AND 게이트(2)의 출력을 EN 포트로 입력받아 EN 포트에 '0'이 입력될 때 제2멀티플렉서(7)의 ALM 포트와 제3멀티플렉서(10)의 DB 포트로 ALM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버퍼(4)와, SEL 포트에 입력되는 신호가 '0'인 경우에는 제2멀티플렉서(7)의 Q 포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ALM 신호를 그 외의 경우에는 MASK 신호를 제2버퍼(6)의 D 포트와 비교기(5)의 MASK 포트 그리고 MASK2 포트로 출력시키는 제1멀티플렉서(3)와, ALM 신호와 제1멀티플렉서(3)의 Z로부터 출력되는 MASK 신호를 비트(bit) 별로 비교해서 서로 다르면 '1'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5)와, 상기한 제1멀티플렉서(3)의 출력을 D 포트로 입력받았다가 상기한 제1 AND 게이트(1)의 출력이 '0'으로써 EN 포트에 입력되면 제3멀티플렉서(10)의 DA 포트로 출력시키는 제2버퍼(6)와, 제1버퍼(4)로부터의 ALM 신호와 제1멀티플렉서(3)로부터의 MASK 신호를 입력받아 SRRO 신호가 '0'일 때 ALM 신호를 그 외의 경우는 MASK 신호를 제1멀티플렉서(3)의 DB 포트로 출력시키는 제2멀티플렉서(7)와, 제1버퍼(4)의 Q 포트로부터 ALM 신호를 DA 포트로 입력받고 제2 버퍼(6)의 Q 포트로부터 MASK 신호를 DA 포트로 입력받아 MRRO 신호를 SEL 포트로 받아들여 그 값이 '0'일 때 MASK 신호를 Z 포트를 통하여 SCAN신호로 출력시키고 그 외의 경우는 ALM 신호를 SCAN 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멀티플렉서(10)와, SREN0 신호를 반대로 바꿔서 제3 AND 게이트(9)로 입력시켜 주는 인버터(8)와, SREN0 신호는 '0'이고 MSK0 신호와 TEST 신호가 '1'일 때 상기한 비교기(5)의 출력을 입력받아서 그대로 출력시키는 제3 AND 게이트(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은 ALM 신호와 사용자가 임의로 세팅한 MASK 신호를 비교기(5)가 비트 단위로 비교해서 1비트라도 서로 다르면 '1'의 값이 출력되어 '0'의 SREN0 신호와 '1'의 MSK0 신호와 그리고, 항상'1'의 신호인 TEST 신호를 제3 AND 게이트(9)에서 AND 연산하여 '1'의 FLAG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시킨다.
한편, FLAG 신호가 '1'로 세팅되어 있어서 다른 알람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에 대한 FLAG 신호를 발생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제어부에서는 알람이 발생된 시스템의 위치를 확인하고 FLAG 신호를 '0'으로 리셋시키므로써 다음에 발생될 알람에 대해서 FLAG 신호를 발생시킬 준비를 한다. 이 때, FLAG 신호를 '0'으로 리셋시키는 방법은 MASK 신호를 ALM 신호로 변화시켜 주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티브 상태가 '0'인 REMASK 신호에 의해 제2 AND 게이트(2)의 출력이 '0'이 되고, 상기한 제2 AND 게이트(2)의 출력이 '0'이 제1버퍼(4)의 EN 포트의 인에이블 신호로 입력되면 제1버퍼(4)는 ALM 신호를 제2멀티플렉서(7)로 출력시키고, 상기한 제2멀티플렉서(7)는 상기한 ALM 신호를 SRRO 포트에 '0' 이 입력되면 Q 포트를 통해 제1멀티플렉서(3)의 DB 포트에 입력시킨다.
제1멀티플렉서(3)는 SEL 포트에 '1'이 입력되면 Z 포트를 통하여 비교기(5)의 MASK 포트로 상기한 ALM 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비교기(5)는 ALM 포트와 MASK 포트에 같은 신호가 입력되므로 COMP 포트를 통하여 '0'을 출력시켜 FLAG 신호를 리셋시킨다.
장애가 복구된 다음, 현재의 시스템 상태를 마스킹하여 주기 위해서 장애가 복구된 후의 변화된 ALM 신호 즉, 정상 상태의 ALM 신호를 MASK 신호로 변화시켜 MASK 신호는 시스템이 정상 상태일 때의 데이터를 갖게 되고, 다음에 알람이 발생했을 때 ALM 신호와 비교되어 FLAG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SRRO 신호와 REMASK 신호 중 어느 하나가 '0'일 때 제1버퍼(4)는 인에이블 상태가 되어 시스템의 장애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갖고 있는 ALM 신호를 제3멀티플렉서(10)의 DB 포트로 입력시킨다.
상기한 제3멀티플렉서(10)는 SEL 포트에 입력되는 MRRO 신호가'1'이 될 때 인에이블되어 ALM 신호를 Z 포트를 통해 제어부에 SCAN 신호로 출력시킨다.
한편, 제어부는 각 시스템에 연결된 각각의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로부터 플래그 신호가 발생하면 그 시스템을 스캐닝하여 스캔 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의 장애 상태를 시스템 운용자에게 알려주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 발명은 종래에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 알람 감지부 전체를 풀 스캐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 및 오버 로드를 줄일수 있다. 즉, 16비트를 1개의 그룹으로 묶어서 사용할 경우 N개의 시스템이 있다면, 종래의 풀 스캐닝 방법은 N개의 그룹을 모두 스캐닝 한 후에야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을 알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벤트 플레그 방식은 플래그가 발생된 시스템만 스캐닝 하면 되므로 종래의 방법보다 1/N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고, 종래의 방법은 스캐닝을 모든 시스템에 대해서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플래그 방식은 플래그가 발생된 시스템만 스캐닝 하므로 종래의 오버 로드를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마스크 신호(MASK)의 입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MRW0)와, 상기 마스크 신호의 출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제1신호(MRRO)를 AND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1 AND 게이트(1)와,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SRRO)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스캔(SCAN) 신호를 상기 마스크 신호로 초기화 시키는 신호(REMASK)를 AND 연산하여 출력시키는 제 2 AND 게이트(2)와, 다수의 비트로 이루어진 알람(ALM)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한 제2 AND 게이트(2)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1버퍼(4)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상기 제1 AND 게이트(1)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1멀티플렉서(3)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비트 단위로 비교해서 서로 다른 경우에는 비교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5)와, 상기 제1멀티플렉서(3)의 출력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1 AND 게이트(1)의 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출력시키는 제2버퍼(6)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2멀티플렉서(7)와, 상기 알람 신호와 마스크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알람 신호를 스캔 신호로 혹은, 마스크 신호를 스캔신호로 출력시키는 제3 멀티플렉서(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장애 발생을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FLAG)의 발생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SRENO)의 반전 신호와, 사용되지 않는 시스템을 마스킹하기 위한 시스템 마스킹 신호(MSKO)와, 상기한 비교기(5)의 비교 출력을 AND 연산하여 상기 플래그 신호를 발생하는 제3 AND 게이트(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 장애 경보 처리 장치.
KR1019950016817A 1995-06-22 1995-06-22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KR014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17A KR0142357B1 (ko) 1995-06-22 1995-06-22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17A KR0142357B1 (ko) 1995-06-22 1995-06-22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29A KR970002729A (ko) 1997-01-28
KR0142357B1 true KR0142357B1 (ko) 1998-07-01

Family

ID=6652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817A KR0142357B1 (ko) 1995-06-22 1995-06-22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3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29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8066B2 (ja) ユニット切替装置
KR0142357B1 (ko) 그룹별 이벤트 플래그를 이용한 다중장애 경보처리 장치
US20040078653A1 (en) Dynamic sparing during normal computer system operation
JP2508305B2 (ja) 初期値決定装置
KR96000236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JP2569892B2 (ja) 切替制御監視回路
JPH0792230A (ja) 集積回路と集積回路の故障検出回路
US6473722B1 (en) Compact fault detect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fault without omission
KR960004061B1 (ko) 무정지형 자기진단 장치
KR930006862B1 (ko)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93000747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d-버스 장애 노드 어드레스 감지회로
JPH0331953A (ja) 情報処理装置
JP3181485B2 (ja) 通信装置の監視システム
KR960003096B1 (ko) 에러 발생 검출회로
JPH06202889A (ja) 多重入出力回路系の故障検出装置
JPH07160521A (ja) 耐障害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KR980013096A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경보취합장치의 시험방법
JPS62171045A (ja) 障害情報保持回路
KR960020561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 초기화시 공통 버스 상태 보고 방법
KR19990061494A (ko) 클럭신호 자동 절체장치
KR20010039096A (ko)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JPS63136141A (ja) 障害処理方式
JPS6037040A (ja) 二系列切換制御方式
JPH08242271A (ja) 系切替え装置
JPH031415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