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363B1 -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63B1
KR960002363B1 KR1019930005419A KR930005419A KR960002363B1 KR 960002363 B1 KR960002363 B1 KR 960002363B1 KR 1019930005419 A KR1019930005419 A KR 1019930005419A KR 930005419 A KR930005419 A KR 930005419A KR 960002363 B1 KR960002363 B1 KR 96000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board
state
information
failur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126A (ko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5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363B1/ko
Publication of KR940023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27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PP에서의 디바이스 보드 액세스에 대한 상태 감시 흐름도.
제3도는 MP에서의 PP로 부터의 상태 보고 정보의 처리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바이스 보드 2 : 하위 프로세스(PP)
3 : 상위 프로세스(MP) 4 : 버스
5 : 데이타 베이스
본 발명은 전전자 교한기에 있어서, 디바이스 보드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다수의 디바이스 보드, 2는 하위 프로세스(Peripheral Processor ; 이하 PP라 한다), 3은 상위 프로세스(Main Processor ; 이하 MP라한다), 4는 버스, 5는 데이타 베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제1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전자 교환기에서 PP(2)가 디바이스 보드(1)를 제어하려면 버스(4)를 통하여 데이타를 주고 받아야 한다. 그런데, PP(2)가 버스(4)를 통하여 디바이스 보드(1)의 특정 어드레스에 약속된 데이타를 쓰면 이를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버스(4)상에 문제가 발생하면 PP(2)는 해당 디바이스 보드(1)를 액세스할 수 없게 되고 이런 상황에서는 PP(2)가 디바이스 보드(1)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현장에서 이런 상황이 발생하면 원인도 모르게 해당 디바이스 보드(1)가 서비스를 못하게 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운용자가 취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운용자가 아닌 해당 디바이스를 제작한 담당자가 직접 현장에 가서 여러가지 시험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밖에 없었다.
이상과 같은 현상의 주된 원인은 기존 전전자 교환기의 PP(2)는 버스(4)를 통하여 디바이스 보드(1)를 엑세스할 경우, 성공 실패 여부를 알 수도 있게 설계되었으나, 외부로의 보고 기능이 없이 운용자가 세부적인 상황을 알 수 없어 문제해결을 위해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PP(2)의 버스 액세스시 디바이스 보드(1)의 상태를 감시하여 장애가 발생할 경우 바로 운용자에게 장애 상태를 보고하여 빠른 시간안에 해당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 보드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타를 초기화시키고, 디바이스 보드에 대한 버스 액세스시 디바이스 보드의 상태를 검사하여 상태가 변하는 디바이스 보드가 발생하면 MP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후, MP가 상태 변화의 내용이 장애인 경우는 장애 메시지를, 장애가 아닌 경우에는 복구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후, MP가 상태 변화의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에 저장하고 운용자의 요구시 이를 판독하여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3단계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PP(2)에서의 디바이스 보드(1) 액세스에 따르는 상태 감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타를 초기화시키고(21), 상태가 변하는 디바이스 보드(1)를 찾는다(22). 상태가 변환 디바이스 보드(1)를 발견하면 상태 변화가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1)의 정보를 MP(3)로 통보하고, 어떤 디바이스 보드(1)에서도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MP(3)측으로부터 상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발생했는지 조사한다(23 내지 25). MP(3)로부터 상태 정보의 요구가 있었으면 MP(3)가 현재까지 발생한 장애 정보를 전송한 후에, 그렇지 않으면 바로 담당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액세스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26,27). 그리고 상기 단계(22)로 점프하면 상기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제3도는 MP(3)에서의 PP(2)로부터의 상태 보고 정보의 처리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타를 초기화시키고 PP(2)에 현재 상태를 요구한다(31). 그리고 난 후 PP(2)로부터 현재상태를 보고받고 장애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1)가 존재할 경우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한편, 데이타 베이스(5)에 저장한다(32). 그리고 PP(2)로부터 상태 변호 정보가 수신되기를 대기하는데(33), PP(2)로부터 정보를 받으면, 수신한 정보가 전 상태 정보와 틀리는가를 조사하여(34), 틀리지 않으면 상기 대기 단계(33)로 복귀하고, 틀리면 변화된 상태가 장애상태인지를 조사한다(35). 상기 조사결과 장애이면 운용자에게 장애 메시지를 출력하고, 장애가 아니면 복구 메시지를 추력한다(36,37). 그리고 난 후 상태 변화가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5)에 저장한 후 상기 대기 단계(33)로 복귀하여, 이상과 같은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운용자가 현재 각 PP별 디바이스 보드 액세스 상태를 요구할 경우, 데이타 베이스에서 해당 PP의 디바이스 보드 상태를 찾아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 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은, 해당 디바이스 보드(1)의 장애 발생시 운용자에게로의 보고를 통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게 하여 전전자 교환기의 유지 보수 및 운용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위 프로세스(MP ; 3)와, 상기 상위 프로세스 (MP ; 3)의 제어를 받는 하위 프로세스(PP ; 2)와, 상기 하위 프로세스(PP ; 2)에 버스로 연결되는 디바이스 보드(1)와, 상기 상위 프로세스(MP ; 3)에 연결된 데이타 베이스(5)를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에 있어서, 데이타를 초기화시키고,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버스 액세스시 디바이스 보드(1)의 상태를 검사하여 상태가 변하는 디바이스 보드(1)가 발생하면 MP(3)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수행후, MP(3)가 상태 변화의 내용이 장애인 경우는 장애 메시지를, 장애가 아닌 경우에는 복구 메시지를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후, MP(3)가 상태 변화의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5)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 베이스(5)에 저장하고 운용자 요구시 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검사는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수행도중 MP(3)로부터의 정보 제공 요구가 들어오면 현재까지 발생한 디바이스 보드(1)의 상태 정보를 MP(3)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보드(1)에 대한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 방법.
KR1019930005419A 1993-03-31 1993-03-31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KR96000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19A KR960002363B1 (ko) 1993-03-31 1993-03-31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19A KR960002363B1 (ko) 1993-03-31 1993-03-31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26A KR940023126A (ko) 1994-10-22
KR960002363B1 true KR960002363B1 (ko) 1996-02-16

Family

ID=1935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419A KR960002363B1 (ko) 1993-03-31 1993-03-31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930A (ko) * 1999-12-30 2001-07-11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하위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인터페이싱장치
KR100930010B1 (ko) * 2008-04-10 2009-12-07 프롬써어티 주식회사 웨이퍼 번인 시스템의 점검장치, 이를 구비한 웨이퍼 번인시스템 및 웨이퍼 번인 시스템의 점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300B1 (ko) * 1999-10-28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위 프로세서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930A (ko) * 1999-12-30 2001-07-11 박종섭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하위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인터페이싱장치
KR100930010B1 (ko) * 2008-04-10 2009-12-07 프롬써어티 주식회사 웨이퍼 번인 시스템의 점검장치, 이를 구비한 웨이퍼 번인시스템 및 웨이퍼 번인 시스템의 점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126A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8795A (en) Data processing scan-art system
KR96000236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보드의 버스 액세스 상태 감시 및 보고방법
EP4206697A1 (en) Self-locking and detection circuit and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95000598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 장애 검증 방법
KR100216573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동적 감시 주기를 이용한 다중 프로세서 상태 관리방법
JP2947571B2 (ja) 障害診断装置
JPS5911452A (ja) パリテイチエツク回路の試験方式
JPH0415834A (ja) コンピュータの試験方式
KR940004732B1 (ko) 실시간 운영체계에서의 입출력 장치의 초기화 방법
JPH0662114A (ja) プロセッサ間診断処理方式
KR930010950B1 (ko) 에러위치 및 상태 확인장치
KR20000039688A (ko) 교환기의 에러 원인 정보 제공 방법
KR100270967B1 (ko) 데이터 및 어드레스 신호점검 시스템
JPH04222031A (ja) 障害部位切り分け方式
CN116089155A (zh) 故障处理方法、计算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5708063A (zh) 总线系统及其控制方法、计算设备
JPH0826532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障害検出処理回路
JP3465623B2 (ja) 回線制御装置、回線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980013096A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 경보취합장치의 시험방법
JP2019160116A (ja) 情報処理装置、試験制御方法、及び試験制御プログラム
JPS59123056A (ja) 冗長機能自動切替システム
JPH0468450A (ja) 障害データロギング方式
KR20020046300A (ko) 인터넷 게이트웨이 액세스 시스템의 상태 관리 방법
KR960030727A (ko) 이중화된 버스통신에서 버스케이블 탈장에 따른 절체장치 및 방법
JPH06209367A (ja) 障害診断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