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862B1 -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862B1
KR930006862B1 KR1019900022826A KR900022826A KR930006862B1 KR 930006862 B1 KR930006862 B1 KR 930006862B1 KR 1019900022826 A KR1019900022826 A KR 1019900022826A KR 900022826 A KR900022826 A KR 900022826A KR 930006862 B1 KR930006862 B1 KR 93000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us
signal terminal
data
tr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297A (ko
Inventor
김도영
이형호
박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862B1/ko
Publication of KR92001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이 신호단말그룹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 회로의 프로세서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 회로의 로직부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이터 버스 전갈군 2 : 신호단말 제어장치
3 :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 4 : 유지보수 신호군
5 : 산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6 : 레벨 1 정합장치
A : 프로세서부 B : 로직부
20 : 중앙처리장치회로 21 :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 정합회로
22 : 신호단말 버스 송수신회로 23 :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
30 : 입출력 포트회로 31 : 인터텁트 제어회로
32 : 이중화 제어회로 33 :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34 : 데이터 수신 버스 감시회로 35 : 클럭 발생회로
36 :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
37 :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38 :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
39 :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
40 : 삼중화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 41 : 삼중화 버스 변환부
42 : 삼중화 버스 장애검출부 43 : 삼중화 버스 인터럽트 발생부
44 : 삼중화버스 장애 상태 읽음 회로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에 구현되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 장치내의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삼중화된 신호단말그룹 버스상에 장애 발생시 발생부위를 감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호단말그룹 삼중화 신호감시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에 있어서, 신호단말그룹버스 신호를 각각 삼중화하여 송수신하여 동기신호와 망출력 클럭 및 상위블럭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삼중화버스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삼중화 버스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망출력 클럭을 수신하며 전송데이터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와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클럭을 송신하는 삼중화 버스 변환수단, 상기 삼중화 버스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클럭 1을 수신하며 인터럽트가 발생되도록 하는신호와 장애 발생정보를 출력하는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수단, 상기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수단에 연결되며 래치회로로 구성되어 인터럽트 발생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장애신호를 발생시키는 삼중화버스 인터럽트 발생수단, 상기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 수단에 연결되며 래치회로로 구성되어 장애 발생정보를 수신한 후 발생부위 정보를 선로 장애 리드 신호로 검출하여 내부 데이터 버스을 통해 출력하는 삼중화버스 장애상태 읽음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그룹 구조도로서 본 신호단말그룹은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버스 및 신호 단말그룹 유지부수장치(3)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단말 버스는 데이터 전달버스군(1)과 유지보수 신호군(4)으로 구분되며 상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는 이중화된 프로세서부(A)와 이중화된 로직부(B)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전달 버스군(1)은 최대 32개의 신호단말을 수용할 수 있는 직렬(serial)버스로서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등의 5가지 신호로 구성되는데 각 신호는 삼중화 되어 TMR(Triple Modular Redundancy)방식으로 운용된다.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는 직렬 통신버스로서 각각 신호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버스이며 데이터 수신버스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가 데이터의 송신기(transmitter)가 되고 각 신호 단말 제어장치(2)는 데이터의 수신기(receiver)가 된다. 따라서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중 착신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된다. 그러나 송신버스의 경우 데이터의 수신기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이고 송신기는 신호단말 제어장치(2)로서 다수의 데이터 송신기가 존재함으로 이로 인한 데이터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한번에 하나의 신호단말만이 데이터를 송출 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송신버스의 중재(arbitration)를 위하여 각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에 8비트 중재 카운터를 두고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두는데 모든 중재 카운터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른 이진수 값으로 프리세트된 후 데이터 송수신용 클럭에 의하여 값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중재 카운터가 증가할 수 있는 최고값에 도달하면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송출할 메시지가 있을 경우에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하고 메시지를 송출하며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는 버스형태로 모든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에 전달되어 모든 중재 카운터가 동시에 정지되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assert)한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자신의 메시지 송출이 끝나면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거두어(negate) 들임으로써 모든 중재 카운터가 증가를 계속하도록 하며 모든 중재 카운터가 동시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음 값으로 프리세트 되므로 동시에 두개 이상의 신호 단말에서 메시지가 송출되지 않는다. 또한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 내부의 중재 카운터는 동기 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 될 때 다른 모든 중재 카운터의 초기값 보다 작은 값으로 프리세트되게 하고 이 값이 최고값에 달했을 때 동기신호를 송출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이 신호단말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로 부터 전송되어온 수신메시지는 언제든지 받을 수 있으며 송신메시지의 경우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송신 차례가 돌아옴으로 한번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을 부여 받으면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5)와 전 이중방식(full duplex)이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각 신호단말이 데이터 송신버스를 한번에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점유시간을 미리 결정해 둠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을 위하여 기다려야 하는 최대시간이 일정한 데이터 송수신 버스로서 운용되게 한다.
상기 유지보수 신호군(4)는 신호단말그룹 구분신호, 신호단말 구분신호, 클럭속도 구분신호,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읽음신호,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 데이터 송신 학인신호,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와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단말그룹 구분신호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에 2개 이상의 신호단말그룹이 수용될 경우 그룹간의 물리적 구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동일 신호단말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 버스 형태로 전달되고 각 신호단말은 필요할 때 해당 입출력 포트를 액세스하여 알 수 있다. 신호단말 구분신호는 동일 신호단말그룹내의 시호단말의 물리적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호단말은 이에 해당하는 입출력 포트를 액세스하여 알 수 있다. 상기 클럭속도 구분신호는 변경 가능하게 설계된 송수신 데이터의 속도를 각 신호단말로 알리기 위한 신호로서 각 신호단말은 자체의 데이터 송신과 관련되는 에러 검출의 기준 데이터로 활용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확인신호는 각 신호단말에서 유지보수 회로로 자신이 데이타 송신버스를 점유중임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유지보수 회로는 이 신호들을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와 관련한 에러를 검출한다.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와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는 데이터 수신버스 운용상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서 유지보수 회로에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의 수신 주소를 확인한 후 해당 신호단말로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를 보내고 신호단말은 데이터를 수신중일 경우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를 보내게 하여 수신데이터가 상실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전달 및 신호단말로 시스팀 리세트 등의 각종 명령을 데이터 전달버스를 경유하지 않고 전달함과 동시에 각 신호단말별로 장애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설계된 버스 신호이다.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는 각 신호단말이 자체의 장애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유지보수 회로로 알리기 위한 버스신호로서 유지보수 회로에서는 신호단말그룹 경보신호가 감지되면 각 신호단말의 상태를읽어 봄으로써 신호단말그룹내의 장애 발생위치를 알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는 크게 프로세서부(A)의 로직부(B)로 나뉘어 지며 각각은 다시 (가)와 (나)로 이중화되어 동작과 대기방식(active/standly)으로 운용되는데 프로세서부 (가)와 (나)간에는 자체 이중화 제어가 수행되고 로직부 (가)와 (나)간에도 자체 이중화 제어가 수행되며 필요시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A)가 로직부(B)의 동작과 대기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로직부(B)는 모든 입력 신호들을 동작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없이 수신하고 모든 출력신호들은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만 구동하고 대기상태인 로직부에서는 트라이 상태(tri-state)를 유지하게 구성하며, 프로세서부(A)에서는 로직부(B)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에서만 구동되게 함으로써 프로세서부(A)와 로직부(B)사이에 교차접속(cross connection)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의 프로세서부(A)로서 로직부(B)에서 수집한 신호단말그룹내부의 각종 장애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전달버스를 통하여 시스팀 유지보수센터 또는 레벨 3기능으로 보고하거나 시스팀 유지보수 센터 또는 레벨 3기능으로 부터 수신된 유지보수 관련명령에 따라 각 신호단말이 로직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부는 로직부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레벨 1정합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중화된 프로세서부는 데이터 전달 버스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기능에 장애가 없으면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없이 데이터 전달버스를 점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부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부는 중앙처리장치회로(20)와 자체이중화회로(23), 로직부 및 레벨1정합장치 정합회로(21)와 신호 단말버스 송수신회로(22)로 구성된다. 중앙처리장치회로(20)는 범용의 CPU와 메모리와 프로그램 및 그 주변회로로 구성되어 로직부에서 수집한 장애정보를 분석하고 상위기능으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위 기능으로 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신호단말그룹내의 각 신호단말과 로직부 및 레벨1정합장치를 중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단말 버스 송수신회로(22)는 프로세서부가 상위기능과 통신하기 위하여 신호단말 버스로 레벨3기능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중화된 프로세서부는 동작과 대기상태에서 관계없이 신호단말 버스를 점유하여 상위기능과 통신할 수 있되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에서만 로직부와 레벨1정합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 정합회로(21)는 프로세서부의 시스팀 버스인 주소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로직부와 레벨1정합장치로 연장하는 기능과 로직부와 레벨1정합장치로 부터 인터럽트를 접수하고 이에 대한 확인을 보내는 기능과 로직부와 레벨1정합회로로 리셋신호를 송출하고 로직부와 레벨1정합장치의 이중화 상태의 수집 및 이중화 상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23)는 프로세서부가 초기화될 경우 항상 한 쪽만 동작상태로 되도록 하고 한쪽이 빠질 경우에는 실장된 보드가 동작상태로 되고 상대측으로 부터 "고장발생(fault)"신호가 오면 받은 쪽은 동작 상태로 되고 보낸 쪽은 대기상태로 되게 한다.
또한 동작과 대기상태 변경용 스위치를 각 보도에 두어서 스위치를 온시킨 쪽이 동작상태로 되게 한다.
양쪽 보드가 모두 "고장발생"을 보냈을 경우는 둘줄 한쪽이 계속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의 로직부(B)로서 자체이중화 기능과 함께 프로세서부 정합기능, 노드정합기능 및 유지보수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보수 관련 기능은 첫째로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수신 클럭을 발생시켜 신호단말그룹 전체에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 신호의 정상여부를 감시하며 두번째로 전송순서에 맞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이 동시에 메시지를 송출한 경우 이들 신호단말을 구분하며 하나의 신호단말이 규정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하는 것을 감지하며, 세째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에 나타난 착신 주소에 해당되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하며, 네째로 장애가 검출된 신호단말을 신호단말 버스에서 분리시키고 특정 신호단말의 시스팀 리스트를 시키거나 신호단말의 자체시험을 요구할 수 있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 전달 기능과 장애가 발생한 신호단말의 장애원인을 확인하는 기능을 둔다. 다섯째로 TMR 방식으로 운용되는 각 신호의 3신호선 중에서 데이터 결정순간의 로직 상태가 나머지 두 신호선과 같지 않는 신호선을 검출하여 에러가 발생한 신호선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직부는 입출력 포트회로(30), 인터럽트 제어회로(31), 이중화 제어회로(32),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 데이터 수신 버스 감시회로(34), 클럭 발생회로(35), 버스 삼중화신호 감시회로(37),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38),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로 구성된다.
입출력 포트회로(30)는 프로세서부로 부터 입력되는 주소버스와 데이터 버스의 내용을 해석하여 프로세서부의 명령에 따라 관련 유지보수 회로를 동작시키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관련 유지보수 회로로 부터 프로세서부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럭 발생회로(35)는 로직부에서는 신호단말버스 클럭인 데이터 송수신 클럭과, 이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같은 주파수의 노드 클럭을 발생시켜 각각 신호단말버스와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 공급하고 신호단말버스의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공급한다. 데이터 송수신클럭 및 노트 클럭은 1MHz, 2MHz, 4MHz 또는 외부클럭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클럭속도는 클럭속도 구분신호를 통하여 신호단말 그룹내의 전 신호단말 및 프로세서부에 알려진다. 이중화된 로직부중 동작상태인 로직부만이 외부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회로(32)는 동작과 대기방식으로 운용되는 로직부 보드내의 고장을 검출하고 이를 상대 보드로 알려주어 상대보드가 동작상태로 되게 한다. 이중화 상태를 프로세서부가 결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로직부가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23)와 동일한 수행을 하며 로직부의 동작과 대기상태에 변경이 생기면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된 보드가 레벨1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낸다.
인터럽트 제어회로(31)에 의하여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는 레벨 1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낼 수 있다.
레벨1인터럽트에는 8종류가 있는데 이 중 7종류가 로직부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이고 한 종류는 레벨1정합장치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이다. 로직부에서 발생되는 레벨1인터럽트가 7종류이므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알 필요가 생기는데 이는 로직부내의 상태 레지스터를 읽어 봄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로직부에는 인터럽트 인에이블(enable) 레지스터를 두어서 각 원인별 인터럽트를 인에이블(enable) 레지스터를 두어서 각 원인별 인터럽트를 인에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시킬 수 있다.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능이 있다.
첫째로 전송순서에 맞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기능으로서 로직부에는 현재 전송할 차례가 된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의 고유번호를 나타내는 카운터와 데이터 송신버스상의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하는 기능이 있어서 카운터 값과 추출된 주소부의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두 값을 저장하고 레벨 1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서부는 이때 입출력 포트회로를 이용하여 저장된 값을 읽음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신호단말을 찾을수 있다. 둘째는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를 감시하는 기능으로서 각 신호단말 및 프로세서부에서 보내오는 데이터 송신확인 신호를 조사하여 동시에 두개 이상의 신호가 유효 상태로 되면 고장이 난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를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1인터럽트를 보낸다. 세째는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감시하여 하나의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에서 규정된 전송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전송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해당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1인터럽트를 보내는 기능이다.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34)는 데이터 수신버스상에 현재 전송되고 있는 메시지를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가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를 위하여 로직부는 데이터 수신버스로 메시지가 전송중일 때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하고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에서 데이터 수신확인 신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비정상적인 경우 추출된 주소부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1인터럽트를 보낸다.
신호단말버스 신호중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데이터 전송버스 및 데이터 수신버스는 삼중화 TMR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수신시에는 3개의 신호선중 신호의 로직 레벨이 같은 2개의 신호선의 값을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1개의 신호선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무시하게 되고 2개의 신호선에서 동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이것을 고정으로 취급하지 않게 되므로 3중화된 신호선 중의 한곳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를 빨리 감지하여 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로직부에서는 3중화된 신호선을 감시하여 어느 한 신호선에 고장이 발생하면 발생부위를 버퍼에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인터럽트를 보내게 하는 버스 삼중화신호 감시회로(37)를 둔다.
신호단말내의 장애로 인하여 신호단말버스를 통한 정상적인 메시지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에서는 각 신호단말에 하드웨어 신호에 의한 제어를 시도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유지보수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읽음회로(36)에서 수행되는데 신호단말로 보낼 수 있는 명령으로는 신호단말 경보상태지움, 신호단말버스 점유허용, 신호단말버스 점유불허, 신호단말 시험요구 및 신호단말 리셋요구 등이 있다.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 노드 클럭을 공급하고 3중화된 데이터 송신버스, 데이터 수신버스의 신호를 변형 또는 버퍼링 없이 차동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 보내는 기능과 그 역 기능 및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 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는 이중화된 로직부에 위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와 정합된다. 이때 로직부와 노드에 장애가 없는 상태에서 로직부의 동작과 대기상태에 따라 로직부(가)와 노드(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로직부(나)와 노드(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만 노드폭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노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신호단말버스로 송출한다. 이때 데이터를 송수신중인 노드로부터 경보신호가 접수되면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는 경보가 송출되지 않는 다른 노드와 자동으로 연결되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장애가 복구되었을때 정상 상태로 다시 연결되므로써 신호단말 그룹과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의 접속에 있어서 교차접속(cross connection)을 실현하여 신호단말 그룹의 신뢰도를 극대화시킨다.
로직부에서는 상기 기능들을 로직회로로 구성하고 에러 검출시에는 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내서 프로세서부가 필요한 데이터를 로직부에서 수집하여 장애상태를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부가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을 전달하거나 신호단말 상태를 읽을 경우에도 로직부를 경유하여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부와 로직부 사이에는 데이터버스와 주소버스, 명령래치 신호, 인터럽트 및 로직부 이중화 제어신호를 둔다.
제4도는 본 발명인 상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회로(3)의 로직부(B)내에 있는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37)에 관한 것으로 삼중화버스 인터페이스 회로(40), 삼중화버스 변환부(41), 삼중화버스 장애 검출부(42), 삼중화버스 인터럽트 발생부(43), 삼중화버스 장애상태 읽음회로(44)로 구성하여 삼중화 버스로 운용중 발생하는 장애상태를 감시하여 상위 유지보수 블럭으로 보고하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삼중화버스 인터페이스 회로(40)는 드라이버/리시버의 양방향성 버퍼로 구성하여 신호단말그룹 버스 신호인 데이터 송신버스(NTXD), 데이터 수신버스(NRXD), 데이터 송수신 클럭(NLCK),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동기신호()를 각각 삼중화시켜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위블럭에서 수신되는 데이터(RXD)는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호로(34)의 시프트레지스터를 통해 입력되며 동기신호(SYNC)와 클럭(NCLKOUT)은 클럭 발생회로(35)에서 입력된다. 삼중화 버스 변환부(41)는 삼중화된 신호단말그룹 버스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두개 이상의 신호가 같으면 그 신호를 출력으로 송출하는 역할을 하도록 클럭()을 이용한 래치 형태의 PAL(Programmable Array Logic)로 구성하였다. 삼중화버스 변환부(41) 출력인 전송데이터(TXD)는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 및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로 전송되며,, NCLK(Network Clock) 신호는 클럭발생회로(35)에 공급된다.
삼중화버스 장애 검출부(42)는 역시 삼중화된 신호단말그룹 버스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3개 입력신호중 다른 하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PAL을 구현하며 삼중화된 각 신호에 대한 장애발생 정보(15개 신호)를 삼중화버스 장애상태 읽음회로(44)에 로딩한다. 삼중화버스 인터럽트 발생부(43)에 입력되는 LFLT(Line Fault) 신호가 삼중화된 15개 신호의 장애발생 정보를 취합하여 이중 하나라도 오류가 있으면 인터럽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삼중화버스 인터럽트 발생부(43)는 래치회로로 구성하여 LFLT 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제어회로(31)에(Interrupt Line Fault) 신호를 발생시켜 프로세서부(A)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한다. 삼중화버스 장애상태 읽음회로(44)는 래치회로로 구성되며 삼중화버스 장애 인터럽트 발생시 입출력 포트회로(30)의신호로 발생부위 정보를 검출하여 내부 데이터버스(IDB0-IDB7)를 통해 프로세서부(A)에게 통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에서 신호단말 그룹 버스를 삼중화로 운용하므로 신뢰성을 높여주며, 장애 여부를 감시하여 장애 발생시 발생부위를 감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 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에 있어서; 신호단말 그룹 버스신호를 각각 삼중화하여 송수신하여 동기신호(SYNC)와 망출력 클럭(NCLKOUT:Network Clock OUT) 및 상위블럭에서 수신되는 데이터(RXD)를 수신하여 삼중화버스 인터페이스 수단(40), 상기 삼중화 버스 인터페이스 수단(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망출력 클럭(NCLKOUT)을 수신하며 전송데이터(TXD)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와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 클럭(NCLK)을 송신하는 삼중화 버스 변환수단(41), 상기 삼중화 버스 인터페이스 수단(40)에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 클럭1(MCLK1)을 수신하며 인터럽트가 발생되도록 하는신호(LFLT)와 장애 발생정보를 출력하는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수단(42), 상기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수단(42)에 연결되며 래치회로로 구성되어 인터럽트 발생신호(LEFT)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장애신호(INTLINFLT : Interrupt Line Fault)를 발생시키는 삼중화버스 인터럽트 발생수단(43), 상기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 수단(42)에 연결되며 래치회로로 구성되어 장애 발생정보를 수신한 후 발생부위 정보를 선로 장애 리드(LINFLTRD : Line Fault Read) 신호로 검출하여 내부 데이터 버스(IDB0-IDB7)을 통해 출력하는 삼중화버스 장애상태 읽음수단(4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 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화 버스 변환수단(41)은 신호단말 그룹 버스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신호단말 유지보수장치의 로직부의 각 블럭에 동일위상의 단일신호를 공급하도록 PAL(Programmable Array Logi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 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화 버스 장애 검출수단(42)은 신호단말 그룹 버스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삼중화된 각 신호의 장애발생 여부 및 장애 발생부위를 출력할 수 있도록 PAL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 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1019900022826A 1990-12-31 1990-12-31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93000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26A KR930006862B1 (ko) 1990-12-31 1990-12-31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26A KR930006862B1 (ko) 1990-12-31 1990-12-31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97A KR920014297A (ko) 1992-07-30
KR930006862B1 true KR930006862B1 (ko) 1993-07-24

Family

ID=1930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26A KR930006862B1 (ko) 1990-12-31 1990-12-31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364B1 (ko) * 1997-12-27 2001-07-12 박종섭 공통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상위, 하위 프로세서간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97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KR100293950B1 (ko) 주변소자 내부연결 버스 모니터를 이용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KR930006862B1 (ko)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920009097B1 (ko)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KR930006894B1 (ko)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정합회로
KR930006863B1 (ko)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
CN107659413B (zh) 小型通信设备
KR930011202B1 (ko)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JPH0936859A (ja) 監視情報中継方法および装置
KR0152229B1 (ko) 시스팀의 이중화를 위한 저가형 이중화 노드
KR100202398B1 (ko) 이중화구조를 갖는 종합정보통신망 디바이스 제어계
KR920007140B1 (ko)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KR950007438B1 (ko) 전자교환기용 패킷 버스 장치의 중앙 중재기
KR100229434B1 (ko) 이중화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KR950011481B1 (ko)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통신망에서 노드의 경보주소 생성방법 및 경보주소 생성시스템
KR910006445B1 (ko) 경보 취합 장치
JP3910903B2 (ja) 制御パケットの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KR10020297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엠버스 절제 장치
JP3324355B2 (ja) 動作異常監視システム
KR920009156B1 (ko) 공통선 시스템의 신호 단말 제어장치
JP2513007B2 (ja) 遠方監視制御装置のデ―タ送受信方式
KR100305870B1 (ko) 공통버스 구조에서의 버스 감시기
KR93000747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d-버스 장애 노드 어드레스 감지회로
KR100342687B1 (ko) 글로벌 버스를 이용한 에이티엠 라우터 내의 콘트롤 버스구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