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02B1 -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 Google Patents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02B1
KR930011202B1 KR1019900022827A KR900022827A KR930011202B1 KR 930011202 B1 KR930011202 B1 KR 930011202B1 KR 1019900022827 A KR1019900022827 A KR 1019900022827A KR 900022827 A KR900022827 A KR 900022827A KR 930011202 B1 KR930011202 B1 KR 93001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signal
command
maintenan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063A (ko
Inventor
김도영
이형호
박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202B1/ko
Publication of KR92001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 그룹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의 프로세서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의 로직부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이터 버스 전달군 2 : 신호단말 제어장치
3 :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 4 : 유지보수 신호군
5 :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6 : 레벨 1정합장치
A : 프로세서부 B : 로직부
20 : 중앙처리장치회로 21 :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 정합회로
22 : 신호단말 버스 송수신회로 23 :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
30 : 입출력 포트회로 31 : 인터럽트 제어회로
32 : 이중화 제어회로 33 :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34 :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 35 : 클럭 발생회로
36 :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
37 :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38 :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
39 :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
41 :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 42 : 신호단말 어드레스 읽음회로
43 :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 44 : 신호단말 명령 읽음회로
45 :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 46 : 메모리부
47 :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수신 버퍼부
48 : 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제어회로
50 : 제어 명령 수신/상태정보 송신부
51 :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 52 : 신호단말 명령 수신/상태 송신 버퍼부
53 :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신 버퍼부
54 :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 55 : 신호단말 상태 래치회로
본 발명은 신호단말 제어 명령 송수신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에 구현되는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의 신호단말 제어 명령 송수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단말 제어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상태 정보를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에 보고하며 제어정보를 송출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단말 제어 명령 송수신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이중화된 프로세서부와, 이중화된 프로세서부 및 로직부를 포함하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와, 데이터 전달버스군 및 유지보수 신호군을 구비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 그룹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의 프로세서부와 상기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의 로직부 내의 이중화 제어회로로부터 이중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출력 포트회로 및 인터럽트 제어회로와 연결되어 유지보수 신호군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신호단말에 대한 유지보수 명령을 송출하여 제어하고, 그 결과에 대한 해당 신호단말의 상태를 읽어들이는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과, 상기 신호단말 제어장치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에서 출력하는 명령에 대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역으로 유지보수 신호 군을 통하여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에 통보하는 제어명령 수신/상태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 그룹의 구조도로서, 본 신호단말 그룹은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버스 및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단말 버스는 데이터 전달버스군(1)과 유지보수 신호군(4)으로 구분되며 상기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는 이중화된 프로세서부(A)와 이중화된 로직부(B)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전달 버스군(1)은 최대 32개의 신호단말을 수용할 수있는 직렬(serial) 버스로서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등의 5가지 신호로 구성되는데 각 신호는 삼중화되어 TMR(Triple Modular Redundancy)방식으로 운용된다.
데이터 송신버스와 데이터 수신버스는 직렬 통신버스로서 각각 신호단말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버스이며 데이터 수신버스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가 데이터의 송신기(transmitter)가 되고 각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데이터의 수신기(recoiver)가 된다. 따라서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중 착신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면 된다. 그러니 송신버스의 경우 데이터의 수신기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이고 송신기는 신호단말 제어장치(2)로서 다수의 데이터 송신기가 존재함으로 이로 인한 데이터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한번에 하나의 신호단말만이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송신버스의 중재(arbitration)를 위하여 각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에 8비트 중재 카운터를 두고 동기신호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두는데 모든 중재 카운터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른 이진수 값으로 프리세트된 후 데이터 송수신용 클럭에 의하여 값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중재 카운터가 증가할 수 있는 최고값에 도달하면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송출할 메시지가 있을 경우에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하고 메시지를 송출하며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는 버스형태로 모든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에 전달되어 모든 중재 카운터가 동시에 정지되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송출(assert)한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자신의 메시지 송출이 끝나면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거두어(negate)들임으로써 모든 중재 카운터가 증가를 계속하도록 하며 모든 중재 카운터가 동기신호에 의하여 서로 다른 값으로 프리세트되므로 동시에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에서 메시지가 송출되지 않는다. 또한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내의 중재 카운터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프리세트될 때 다른 모든 중재 카운터의 초기값보다 작은 값으로 프리세트되게 하고 이 값이 최고값에 달했을 때 동기신호를 송출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이 신호단말 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게 공평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신호단말 제어장치(2)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로부터 전송되어온 수신메시지는 언제든지 받을 수 있으며 송신메시지의 경우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송신 차례가 돌아옴으로 한번 데이터 송신버스의 점유권을 부여받으면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5)와 전 이중방식(full duplex)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각 신호단말이 데이터 송신버스를 한번에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점유시간을 미리 결정해 둠으로써 데이터의 송신을 위하여 기다려야 하는 최대시간을 일정하게 한 데이터 송수신 버스로서 운용되게 한다.
상기 유지보수 신호군(4)는 신호단말 그룹 구분신호, 신호단말 구분신호, 클럭속도 구분신호,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전달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신호, 신호단말 그룹 경보신호, 데이터 송신 확인신호,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와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단말 그룹 구분신호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에 2개이상의 신호단말 그룹이 수용될 경우 그룹간의 물리적 구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동일 신호단말 그룹내의 모든 신호단말에 버스 형태로 전달되고 각 신호단말은 필요할 때 해당 입출력 포트를 액섹스하여 알 수 있다. 신호단말 구분신호는 동일 신호단말 그룹내의 신호단말의 물리적 주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호단말은 이에 해당하는 입출력 포트를 액세스하여 알 수 있다. 상기 클럭속도 구분신호는 변경가능하게 설계된 송수신 데이터의 속도를 각 신호단말로 알리기 위한 신호로서 각 신호단말은 자체의 데이터송신과 관련되는 에러 검출의 기준 데이터로 활용되고 상기 데이터 송신 확인신호는 각 신호단말에서 유지보수 회로로 자신이 데이터의 송신버스를 점유중임을 알리는 신호로서 상기 유지보수 회로는 이 신호들을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와 관련한 에러를 검출한다. 데이터 수신 확인신호와 데이터수신확인 요청신호는 데이터 수신버스 운용상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로서 유지보수 회로에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의 수신 주소를 확인 한 후 해당 신호단말로 데이터 수신확인 요청신호를 보내고 신호단말은 데이터를 수신중일 경우 데이터 수신 확인 신호를 보내게 하여 수신데이터가 상실되는 경우를 감시하기 위한신호이다.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전달 및 신호단말로 시스팀이 리세트등의 각종 명령을 데이터 전달버스를 경유하지 않고 전달함과 동시에 각 신호단말별로 장애의 원인을 파악할 수있게 설계된 버스신호이다. 신호단말 그룹 경보신호는 각 신호단말이 자체의 장애 상태를 검출하여 이을 유지보수 회로로 알리기 위한 버스신호로서 유지보수 회로에서는 신호단말 그룹 경보신호가 감지되면 각 신호단말의 상태를 읽어 봄으로써 신호단말 그룹내의 장애 발생위치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는 크게 프로세서부(A)의 로직부(B)로 나뉘어지며 각각은 다시 이중화((가)와 (나))되어 동작과 대기방식(active/standby)으로 운용되는데 프로세서부(가)와 (나)간에는 자체 이중화 제어가 수행되고 로직부(가)와 (나)간에도 자체 이중화 제어가 수행되며 필요시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A)가 로직부(B)의 동작과 대기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로직부(B)는 모든 입력 신호들을 동작상태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 없이 수신하고 모든 출력신호들은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만 구동하고 대기상태인 로직부에서는 트라이 상태(tri-state)를 유지하게 구성하며, 프로세서부(A )에서는 로직부(B)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에서만 구동되게 함으로써 프로세서부(A)와 로직부(B)사이에 교차접속(cross connection)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의 프로세서부(A)의 구성도로서, 로직부(B)에서 수집한 신호단말 그룹 내부의 각종 장애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전달버스를 통하여 시스팀 유지보수 센터 또는 레벨 3기능으로 보고하거나 시스팀 유지보수 센터 또는 레벨 3기능으로부터 수신된 유지보수 관련 명령에 따라 각 신호단말의 로직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부는 로직부를 제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레베 1정합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중화된 프로세서부는 데이터 전달버스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 기능에 장애가 없으면 동작 또는 대기상태에 관계 없이 데이터 전달버스를 점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세서부 동작 도는 대기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일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부는 중앙처리장치회로(20)와 자체이중화회로(23),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 정합회로(21)와 신호단말버스 송수신회로(22)를 구비한다.
중앙처리장치(20)는 범용의 CPU와 메모리와 프로그램 및 그 주변회로로 구성되어 로직부에서 수집한 장애정보를 분석하고 상위기능으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위 기능으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신호단말 그룹내의 각 신호단말과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6)를 중앙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단말 버스 송수신회로(22)는 프로세서부가 상위기능과 통신하기 위하여 신호단말 버스로 레벨 3기능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이중화된 프로세서부는 동작과 대기상태에서 관계없이 신호단말 버스를 점유하여 상위기능과 통신할 수 있되 동작상태인 프로세서부에서만 로직부와 레벨 1정합장치(6)를 제어할 수 있다. 로직부 및 레벨 1정합장치 정합회로(21)는 프로세서부의 시스팀 버스인 주소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로직부와 레벨 1정합장치로 연장하는 기능과 로직부와 레벨 1정합장치로부터 인터럽트를 접수하고 이에 대한 확인을 보내는 기능과 로직부와 레벨 1정합회로로 리셋신호를 송출하고 로직부와 레벨 1정합장치의 이중화 상태의 수집 및 이중화 상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23)는 프로세서부가 초기화될 경우 항상 한쪽만 동작상태로 되도록 하고 한쪽이 빠질 경우에는 실장된 보드가 동작상태로 되고 상대측으로부터 "고장발생(fault)"신호가 오면 받은 쪽은 동작상태로 되고 보낸 쪽은 대기상태로 되게 한다.
또한 동작과 대개상태 변경용 스위치를 각 보드에 두어서 스위치를 온시킨 쪽이 동작상태로 되게 한다. 양쪽 보드가 모두 "고장발생"을 보냈을 경우는 둘중 한쪽이 계속 동작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내의 로직부(B) 구성도로서, 자체이중화 기능과 함께 프로세서부 정합 기능, 노드정합기능 및 유지보수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보수 관련 기능은 첫째로 동시신호와 데이터 송수신 클럭을 발생시켜 신호단말 그룹 전체에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 신호의 정상여부를 감시하며 두번째로 전송순서에 맞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두개 이상이 신호단말이 동시에 메시지를 송출한 경우 이들 신호단말을 구분하며 하나의 신호단말이 규정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하는 것을 감지하며, 세째로 데이터 수신버스상의 메시지에 나타난 착신 주소에 해당되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하며, 네째로 장애가 검출된 신호단말을 신호단말 버스에서 분리시키고 특정 신호단말의 시스팀 리세트를 시키거나 신호단말의 자체시험을 요구할 수 있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 전달 기능과 장애가 발생한 신호단말의 장애 원인을 확인하는 기능을 둔다. 다섯째로 TMR방식으로 운용되는 각 신호의 3 신호선 중에서 데이터 결정 순간의 로직 상태가 나머지 두 신호선과 같지 않는 신호선을 검출하여 에러가 발생한 신호선을 식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직부(B)는 입출력 포트회로(30), 인터럽트 제어회로(31), 이중화 제어회로(32),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 데이터 수신 버스 감시회로(34), 클럭 발생회로(35), 버스 삼중화신호 감시회로(37),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38),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로 구성된다.
입출력 포트회로(30)는 프로세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주소버스와 데이터 버스의내용을 해석하여 프로세서부의 명령에 따라 관련 유지보수 회로를 동작시키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관련 유지보수 회로로부터 프로세서부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럭 발생회로(35)는 로직부에서는 신호단말버스 클럭인 데이터 송수신 클럭과, 이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같은 주파수의 노드 클럭을 발생시켜 각각 신호단말버스와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 공급하고 신호단말 버스의 동기신호를 발생시켜 공급한다. 데이터 송수신클럭 및 노드 클럭은 1MHz, 2MHz, 4MHz 또는 외부 클럭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클럭속도는 클럭속도 구분신호를 통하여 신호단말 그룹내의 전 신호단말 및 프로세서부에 알려진다. 이중화된 로직부중 동작상태인 로직부만이 외부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중화 제어회로(32)는 동작과 대기방식으로 운용되는 로직부 보드내의 고장을 검출하고 이를 상태 보드로 알려주어 상대보드가 동작상태로 되게 한다. 이중화 상태를 프로세서부가 결정할 수도 있으나 이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로직부가 초기화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23)와 동일한 수행을 하며 로직부의 동작과 대기상태에 변경이 생기면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된 보드가 레벨 1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낸다.
인터럽트 제어회로(31)에 의하여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는 레벨 1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낼 수 있다. 레벨 1인터럽트에는 8종류가 있는데 이중 7종류가 로직부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이고 한 종류는 레벨 1정합장치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이다. 로직부에서 발생되는 레벨 1인터럽트가 7종류이므로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알 필요가 생기는데 이는 로직부내의 상태 레지스터를 읽어 봄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로직부에는 인터럽트 인에이블(enable) 레지스터를 두어서 각 원인별 인터럽트를 인에이블(enable) 또는 디세이블(disable)시킬 수 있다.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에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능이 있다.
첫째로 전송순서에 맞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송출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기능으로서 로직부에는 현재 전송할 차례가 된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의 고유번호를 나타내는 카운터와 데이터 송신 버스상의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하는 기능이 있어서 카운터 값과 추출된 주소부의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두 값을 저장하고 레벨 1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서부는 이때 입출력 포트회로를 이용하여 저장된 값을 읽음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신호단말을 찾을 수 있다. 둘째는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를 감시하는 기능으로서 각 신호단말 및 프로세서부에서 보내오는 데이터 송신확인 신호를 조사하여 동시에 두개 이상의 신호가 유효 상태로 되면 고장이 난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를 찾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 1인터럽트를 보낸다. 세째는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를 감시하여 하나의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에서 규정된 전송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전송 상태를 유지할 경우 해당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 1인터럽트를 보내는 기능이다.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34)는 데이터 수신버스상에 현재 전송되고 있는 메시지를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가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한다. 이를 위하여 로직부는 데이터 수신버스로 메시지가 전송중일 때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하고 신호단말 또는 프로세서부에서 데이터 수신확인 신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비정상적인 경우 추출된 주소부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레벨 1인터럽트를 보낸다.
신호단말버스 신호중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데이터 전송버스 및 데이터 수신버스는 삼중화 TMR 방식으로 전송되는데 수신시에는 3개의 신호선중 신호의 로직레벨이 같은 2개의 신호선의 값을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1개의 신호선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무시하게 되고 2개의 신호선에 동기에 고장이 발생하면 이것을 고장으로 취급하지 않게 되므로 3중화된 신호선 중의 한곳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를 빨리 감지하여 수리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로직부에서는 3중화된 신호선을 감시하여 어느 한 신호선에 고장이 발생하면 발생부위를 버퍼에 저장하고 프로세서부로 인터럽트를 보내게 하는 버스 삼중화신호 감시회로(37)를 둔다.
신호단말내의 장애로 인하여 신호단말버스를 통한 정상적인 메시지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에서는 각 신호단말에 하드웨어 신호에 의한 제어를 시도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유지보수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에서 수행되는데 신호단말로 보낼 수 있는 명령으로는 신호단말 경보상태지움, 신호단말버스 점유허용, 신호단말버스 점유불허, 신호단말 시험요구 및 신호단말 리셋요구 등이 있다.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는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로 노드 클럭을 공급하고 3중화된 데이터 송신버스, 데이터 수신버스의 신호를 변형 또는 버퍼링 없이 차동신호로 변환하여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로 보내는 기능과 그 역 기능 및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9)는 이중화된 로직부에 위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와 정합된다. 이때 로직부와 노드에 장애가 없는 상태에서 로직부의 동작과 대기상태에 따라 로직부(가)와 노드(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로직부(나)와 노드(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만 노드폭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노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신호단말 버스로 송출한다. 이때 데이터를 송수신중인 노드로부터 경보신호가 접수되면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정합회로(39)는 경보가 송출되지 않는 다른 노드와 자동으로 연결되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장애가 복구되었을때 정상 상태로 다시 연결되므로써 신호단말 그룹과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의 접속에 있어서 교차접속(cross connection)을 실현하여 신호단말 그룹의 신뢰도를 극대화시킨다.
로직부에서는 상기 기능들을 로직회로로 구성하고 에러 검출시에는 인터럽트를 프로세서부로 보내서 프로세서부가 필요한 데이터를 로직부에서 수집하여 장애상태를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부가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명령을 전달하거나 신호단말 상태를 읽을 경우에도 로직부를 경유하여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부와 로직부 사이에는 데이터버스와 주소버스, 명령래치 신호, 인터럽트 및 로직부 이중화 제어신호를 둔다.
제4도는 본 발명인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부 블럭도로서, 다수의 신호단말이 데이타 전달 버스군(1)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특정한 신호단말에 장애가 발생하여 신호단말 버스를 통한 정상적인 메시지 전달이 불가능한 경우에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에서는 유지보수 신호군(4)을 통하여 각 신호단말에 하드웨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시도하고, 각 신호단말은 제어를 받아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태보고 요구시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로직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부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 장치 로직부(제3도)내의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와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2)내의 제어명령 수신/상태 정보 송신부(50)로 이루어진다.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는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의 프로세서부(제2도)와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의 로직부(제3도)내의 입출력 포트회로(30) 및 인터럽트 제어회로(31)와 연결되어 유지보수 신호군(4)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신호단말에 대한 유지보수 명령을 송출하여 제어하고, 그 결과에 대한 해당 신호단말의 상태를 읽도록 한다.
한편 신호단말 장치(2)내에서는 제어명령 수신/상태정보 송신부(50)를 배치하며,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에서 보내는 명령에 대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역으로 유지보수 신호군(4)을 통하여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에 통보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와 같은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부는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6)가 소속되어 있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의 액티브측이 마스터가 되어 하부의 최대 32개 신호단말에 대한 유지보수 제어송출명령 및 각 신호단말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위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보수 제어 명령 및 상태정보 수집 명령에는 신호단말 경보상태지움(STAR Clear), 신호단말 버스점유허용(Unblock), 신호단말 버스 점유블럭(Block), 신호단말시험요구, 및 신호단말 리셋요구(Reset), 신호단말 경보상태 읽음(STAR Read)등 6가지가 있다. 블럭(Block)은 신호단말이 오동작을 일으켜 신호단말 버스에 연결된 다른 신호단말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호단말 버스를 점유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언블럭(Unblock)은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복구된 신호단말에서 신호단말 버스 점유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초기상태에 각 신호단말은 신호단말 버스 점유를 허요하도록 되어 있다. 리셋(Reset)은 신호단말을 초기화 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파워 온 상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테스트(Test)는 신호단말에 대한 자체 진단시험을 요구하며, STSR 클리어(Clear)는 신호단말 경보상태를 래치하고 있는 레지스터를 클리어 시켜 새로운 경보상태 발생시 래치할 수 있도록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STSR 리드(read)는 신호단말에서 경보가 발생했을 때 경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과 상기 5가지 명령수행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의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상태 읽음회로(36)는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 신호단말 어드레스 읽음회로(42),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43), 신호단말 명령 읽음회로(44),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45), 메모리부(46),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부(47), 유지보수 명령 소우신 제어회로(4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부에서 수신된 신호단말 어드레스 (IDB0-IDB7)는 입출력 포트회로(30)의(Command Address Write)신호에 의해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입력된다. 신호단말 어드레스 읽음회로(42)는 프로세서부에서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쓴 신호단말 어드레스를(Command Address Read)신호에 의해 다시 읽어 프로세서부로 송출함으로서 내부 데이타버스 및 어드레스 버스의 정상동작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43) 및 신호단말 명령 읽음회로(44)에서도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읽음회로(42)와 같은 동작을 한다.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45)는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부(47)에서 입력되는 신호단말 상태 정보를 입출력 포트회로(30)의(Signalling Terminal Status Register Read)신호를 이용하여 프로세서부에 전달한다.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연결된 메모리부(46)는 4개의 PROM으로 구성하여 유지보수 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단말 어드레스 8비트에 따라서 해당하는 신호단말에 포인트-투-포인트 신호로(Enable Receive Acknowledge) 신호를 송출하여 유지보수 명령을 래치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신호단말 명령읽음 회로(44) 및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43)에 연결된 유지보수 명령송신/신호단말 상태수신 버퍼부(47)은 양방향성으로 최대 32개 신호단말에게 제어 데이타를 송출할 수 있으며 신호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버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정상상태에서는 수신 방향으로 결정되어 있다.
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제어회로(48)는 입출력 포트회로(30)의(Command Data Wtite),(Signalling Termainal Status Register Read) 신호와 이중화 제어회로(32)의(Active) 신호를 입력받으며, PAL(Programmable Array Logic)로 구성되어 상기 유지보수 명령송신/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부(47)의 방향을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하며, 신호단말에 위치한 신호단말 명령제어 수신 버퍼부(53)에/BSRRD (Bus Command Write/Bus ST Status Read)와 ICMDSTRB(Imput Command Strobe)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로직 부분은 이중화 되어 있으므로 액티브인 부분에서만 제어 가능하도록(Active)신호를 이용한다.
신호단말 제어장치(2)내의 제어 명령수신/상태 명령송신부(50)는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 신호단말 명령 수신/상태수신 버퍼부(52), 신호단말 명령제어 수신버퍼부(53),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54), 신호단말 상태 래치회로(55)를 구비하여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에서 송신되는 제어요구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고 결과를 래치하고 있다가 상태수집 명령에 따라 내용을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는 PAL 로 구성되어 메모리(46)에서 입력되는(Enable Receive Acknowledge) 신호, 신호단말 명령제어 수신버퍼부(53)에서 입력되는/SRRD(Command Write/ST Status Read)와 CMDSTRB(Command Strobe) 신호,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54)에서 입력되는 SRCLR(ST Status Register Clear)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DRVEN,CMDL,SRST)를 발생시킨다. 신호단말 명령수신/상태수신 버퍼부(52)는 버스 형태로 32개 신호단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로부터 입력되는 DRVEN(Drive Enable)신호에 따라 방향을 결정하며 초기화시에는 명령 수신상태로 버퍼의 방향이 결정되고 상기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부(47)에 연결되어 있다.
신호단말 명령 제어 수신버퍼부(53)는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신호(48)에서 입력되는/SRRD(Command Write/ST Status Read)신호를 받아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에 공급하는 버퍼구조로 32개 신호단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신호단말 명령수신/상태 송신 버퍼부(52)에 연결된 신호단말 명령 래치회로(54)는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에서 입력되는 래치클럭 신호(CMDL)를 이용하여 명령 데이터(TEST,RESET,BLOCK,UNBLOCK)를 신호단말내의 명령 수행회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신호단말 상태 래치회로(55) 클리어 명령 데이터가 입력되면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에 SRCLK(ST Status Register Clear)신호를 제공한다.
신호단말 상태 래치회로(55)는 신호단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때 그 상태정보를 래치하여 신호단말 명령 수신/상태송신 버퍼(52)에 입력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로부터 SRST신호를 받으면 자신의 플립플롭을 클리어 하여 새로운 에러 감시를 위해 사용한다.
제5도는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신/상태정보 수신 흐름도를 나타낸다.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신 흐름도(60)의 수행절차를 제어명령을 수행한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쓰고(6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신 모드 비트인 CMDEN(Command Enable) 비트를 세트(62)한 후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다시 읽는다(63)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쓰고 읽은 값을 확인(64)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상수행을 할 수 없으므로 다시 시도하며, 일치할 경우 유지보수 명령 데이터를 쓰고(65), 읽으며(66) 확인(67)한 후 일치하지 않으면 다시 시도한다. 정상일 경우 로딩한 명령 데이터가 유효하다는 CMDSTRB 신호를 발생(68)시켜 신호단말에 래치되게 한다. STSRRD 포트를 액세스(69)하여/SRRD 신호를 하이 상태로 변경하므로 신호단말 상태수신(47)방향으로 버퍼를 인에이블 한다. 유지보수 명령을 클리어(6A)하기 위하여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제로데이터를 쓰므로 메모리(46)을 통해신호를 하이로 유지시킨다. CMDEN 비트를 리셋(6B)하여 평상시에는 신호단말 수신버스 감시 모드로 변경시켜 둔다. 신호단말 상태정보 수신 흐름도(70)의 수행절차는 제어명령을 수행할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쓰고(7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신 모드 비트인 CMDEN 비트를 세트(72)한 후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다시 읽는다(73)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쓰고 읽은 값을 확인(74)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정상수행을 할 수 없으므로 다시 시도하며, 일치할 경우포트를 액세스(69)하여/SRRD 신호를 하이 상태로 변경하고 신호단말 상태수신(47)방향으로 버퍼를 인에이블 하여 신호단말 상태를 출력(76)시킨다. 유지보수 명령을 클리어(77)하기 위하여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제로 데이터를 쓰므로 메모리(46)을 통해신호를 하이로 유지시킨다. CMDEN 비트를 리세(78)하여 평상시에는 신호단말 수신버스 감시 모드로 변경시켜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의 공통선 신호장치에서 신호단말 제어장치의 장애 발생시 원인을 알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신호단말 제어장치(2)와 이중화된 프로세서부(A) 및 로직부(B)를 포함하는 신호 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3), 데이터 전달버스군(1)과 유지보수 신호군(4)을 구비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 그룹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의 프로세서부(A)와 상기 신호단말그룹 유지보수장치(3)의 로직부(B)내의 이중화 제어회로(32)로부터 이중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입출력 포트회로(30) 및 인터럽트 제어회로(31)와 연결되어 유지보수 신호군(4)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신호단말에 대한 유지보수 명령을 송출하여 제어하고, 그 결과에 대한 해당 신호단말의 상태를 읽어들이는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36)과, 상기 신호단말 제어장치(2)내에 설치되어 상기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36)에서 출력하는 명령에 대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그 결과를 역으로 유지보수 신호군(4)을 통하여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36)에 통보하는 제어명령 수신/상태정보 송신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36)은 인터럽트 제어회로로 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신호단말 어드레스(IDB0-IDB7)를 입출력 포트회로(30)에서 제공하는(Command Address Write) 신호에 의해 입력받아 래치하는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수단(41),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수단(41)의 출력을 입력받아 입출력 포트회로(3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 Command Address Read)를 이용하여 프로세서부로 다시 송출하는 신호단말 어드레스 읽음수단(42), 상기 입출력 포트회로(30)에서 제공하는(Command Address Write)에 따라 프로세서부가 쓴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읽어 송출하는 신호단말 명령 래치수단(43), 상기 신호단말 명령 래치수단(43)이 출력하는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입력받아 입출력 포트회로(30)에서 제공하는(Command Address Write)에 따라 프로세서부로 송출하는 신호단말 명령 읽음수단(44), 상기 입출력 포트회로(30)에서 제공하는(Signalling Terminal Status Register Read)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신호 단말 상태 정보를 프로세서부로 전달하는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45), 유지보수 명령을 전달하고자 하는 상기 신호단말 어드레스 래치수단(41)에서 출력하는 신호 단말 어드레스 8비트에 해당하는 신호단말에 포인트-투-포인트 신호로(Enable Receive Acknowledge)신호를 송출하여 유지보수 명령을 래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수단(46), 상기 신호단말 명령 래치수단(43)의 출력에 따른 명령 데이타를 신호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해 송출하며, 신호단말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단말 상태 읽음수단(45)로 출력하는 양방향성의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수신 버퍼수단(47), 및 상기 입출력 포트회로(30)로 부터(Command Address Write) 신호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중화 제어회로(32)로 부터 ACT (Active)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지보수 명령 송신/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수단(47)의 방향을 결정해 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BSRRD(Bus, Command Write/Bus ST Status Read) 신호와 ICMDSTRB(Input Command Strobe)신호를 송출하는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제어수단(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상태정보 송신수단(50)은, 상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수단(48)로 부터 입력되는/SRRD (Command Write/ST Status Read)신호를 입력받아 버퍼링하여 출력하며 다수의 신호단말에 공통으로 연결된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 버퍼수단(53), SRCLR(ST Status Register Clear)신호와 상기 메모리 수단(46)에서 입력되는(Enable Receive Acknowledge) 신호와, 상기 신호단말 명령제어 수신버퍼부(53)에서 입력되는/SRRD (Command Write/ST Status Read)와 CMDSTRB(Command Strobe)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DRVEN,CMDL,SRST)를 발생시키는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51), 신호단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때 그 상태정보를 래치하여 출력하며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51)으로 부터 SRST 신호를 받으면 새로운 에러 감시를 위해 자신의 플립플롭을 클리어하는 신호단말 상태 래치수단(55), 버스 형태로 다수의 신호단말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51)으로 부터 입력되는 DRVEN(Drive Enable)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버퍼방향에 따라 상기 유지보수 명령송신/ 신호단말 상태 수신 버퍼수단(47)으로부터의 신호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한 명령데이타의 전달 및 상기 신호단말 상태 래치수단(55)로 부터의 신호단말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단말 명령수신/상태 송신 버퍼수단(52), 및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회로(51)에서 입력되는 래치클럭 신호(CMDL)를 이용하여 상시 신호단말 명령수신/상태 송신 버퍼수단(52)에서 제공하는 명령데이타를 래치하였다가 명령 데이터(TEST,RESET,BLOCK,UNBLOCK)를 신호단말내의 명령 수행회로에 공급하며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51)에 SRCLK(ST Status Register Clear)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단말 명령 래치수단(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46)은, 신호단말 어드레스를 입력으로 하여 해당하는 신호단말에게 제어명령 수신이 가능하도록 통보하는 PRO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 명령 송수신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명령 송수신 제어수단(48)은 PAL(Programmable Array Logi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 명령 송수신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 명령 제어수단(51)은 PAL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 회로.
KR1019900022827A 1990-12-31 1990-12-3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KR93001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27A KR930011202B1 (ko) 1990-12-31 1990-12-3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27A KR930011202B1 (ko) 1990-12-31 1990-12-3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63A KR920014063A (ko) 1992-07-30
KR930011202B1 true KR930011202B1 (ko) 1993-11-25

Family

ID=1930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27A KR930011202B1 (ko) 1990-12-31 1990-12-31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2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063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5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US5349654A (en) Fault tolerant data exchange unit
US4845722A (en) Computer interconnect coupler employing crossbar switching
US4887076A (en) Computer interconnect coupler for clusters of data processing devices
US5778206A (en) Device for interfacing between a redundant-architecture computer and a means of communication
US5058056A (en) Workstation takeover control
JPH04242463A (ja) 状態変化通知装置及び方法
GB2184874A (en) Diagnostic system
US6002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CA1305555C (en) Adapter-bus switch for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a control unit
KR100293950B1 (ko) 주변소자 내부연결 버스 모니터를 이용한 장애 감지 장치 및 방법
KR930011202B1 (ko) 신호단말 제어명령 송수신회로
KR930006862B1 (ko)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930006894B1 (ko) 전자 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정합회로
KR930006863B1 (ko)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
KR920009097B1 (ko)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장치
CN114200855A (zh) 一种无中心裁决冗余控制系统
KR920007140B1 (ko)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EP0076494B1 (en) Data transmission bus system for a plurality of processors
JPS6032374B2 (ja) デ−タ伝送装置
CN112346922B (zh) 服务器装置及其通讯协议方法
JPH06290066A (ja) 二重化装置
JPH087442Y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装置
KR970002883B1 (ko) 다중 프로세서에서의 공통 버스 점유권 요구 방법
KR960014697B1 (ko) 이중화 프로세서 보드의 이중화 제어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