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589B1 - 칼라음극선관시스템및편향유니트 - Google Patents

칼라음극선관시스템및편향유니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589B1
KR0141589B1 KR1019900001502A KR900001502A KR0141589B1 KR 0141589 B1 KR0141589 B1 KR 0141589B1 KR 1019900001502 A KR1019900001502 A KR 1019900001502A KR 900001502 A KR900001502 A KR 900001502A KR 0141589 B1 KR0141589 B1 KR 014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magnetic field
deflection
colo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566A (ko
Inventor
아에밀리우스 세이노 슬루이테르만 알베르투스
루도비쿠스 아드리아누스 브린텐 마리누스
Original Assignee
프레데릭 얀 스미트
필립스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8900306A external-priority patent/NL8900306A/nl
Priority claimed from NL8902529A external-priority patent/NL8902529A/nl
Application filed by 프레데릭 얀 스미트, 필립스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프레데릭 얀 스미트
Publication of KR90001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01J29/56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및 편향 유니트
제 1도는 언더컨버젼스(underconvergence)를 야기하는 엘리멘트(1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 종단면도.
제 2A도는 제 1도의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14)의 입면도.
제 2B도는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다른 엘리멘트의 횡단면도.
제 3도, 4도 및 제 5도는 본 발명의 몇몇 특징을 예시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개략적 횡단면도.
제 6도는 회로에서 엘리멘트(14)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7도는 45˚ 자기 4극 엘리멘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에 적합한 전자총의 종단면도.
제 9도는 제 8도의 전자총으로부터의 2개의 보조 전극의 정면도
제 10도는 여자될때 90˚ 4극 자계를 발생하는 4개 코일(56, 57, 58, 59)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11도는 여자될때 90˚ 4극 자계를 발생하는 4개 코일(56, 57, 58, 59)의 구성을, 여자될때 45˚ 4극자계를 발생하는 4개 코일(60, 61, 62, 63)의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글래스 엔벨로프 2 : 디스플레이 원도우
3 : 원추부 4 : 목부
11 : 새도우 마스크 15 : 환상 코어
16, 17, 18, 19 : 코일 53, 54 : 편향 시스템(유니트)
55 : 전자총
본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시스템은
a) 목부와 원추부 및 디스플레이 원도우를 가진 진공 엔벨로프와,
b) 중앙 전자 빔과 그 축이 동일 평면상에 있는 2개의 외부 전자 빔을 발생하기 위한 빔 형성부와 동작중에 공동으로 주 렌즈를 형성하고 여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전극 시스템을 갖고 있는 상기 목부내의 전자총과,
c) 전자 빔에 비점수차적으로 작용하는 상기 전자총내의 비점수차 엘리멘트(astimatic element)와,
d)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라인 및 필드(line and field)편향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편향 유니트(deflection unit)를 포함한다.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에 의해 발생되어 주렌즈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포커스되는 3개의 전자 빔이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수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동작중에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하는 자체-수렴 편향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전자 빔이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수직으로 오버포커스(overfocus)되게 된다. 이것은 전자총내의 정적 비점수차 엘리멘트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를들어 고해상도 칼라 화상 표시관에 있어 선명도에 더욱 엄격한 조건을 요하는 응용물에 대해서는 때로 불충분하다. 유럽특허원 제 0,231,964호는 편향 자계의 세기에 비점수차 엘리멘트의 세기를 동적으로 결합시켜 수직 오버포커싱을 거의 완전하게 정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총(소위 DAF총)에 대한 구성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또한 편향의 경우에 요소가 110˚칼라 음극선관 시스템보다 크게 될 수도 있는 주어진 스폿 확장 요소에 의해 수평 스폿 성장이 증가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포커스에 스폿(spot)이 남아 있다. 이 공지된 구성에서 상기 수평 스폿 확장 요소는 적은 정도로만 감소된다. 고해상도 칼라 음극선관에서 현저하게, 또는 고선명 텔레비젼용 칼라 음극선관을 이용할때 영상의 선명도에 부과되는 더욱 엄격한 요구 조건으로인해, 수평 스폿 확장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편향에 대한 수평 스풋 확장 요인이 감소된 서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형태의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가 전자총의 빔-형성부와 편향 유니트 사이에 배열되어, 관련 외부 전자 빔의 축을 횡단하여 중앙 전자빔으로부터 떨어진 전자 빔의 평편에서의 성분을 가진 각 외부 전자 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편향 유니트가 상기 언더컨버젼스를 보상하는 오버컨버젼스를 야기하는 편향 자계를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즉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에서, 외부 전자 빔이 동작중에 중앙 전자 빔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들 전자 빔을 편향시키는 힘을 받는다는 것이다. 종래의 자체-컨버젼스(수렴) 편향 시스템과 비교하여, 이 편향 시스템은 칼라음극선관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여전히 자체-컨버젼스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화된다. 이것은 편향 유니트에 대한 자체-컨버젼스의 요구가 사실상 그것이 디스플레이 윈도우 위의 전자 빔의 오버컨버젼스를 야기하도록 방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향 유니트의 변화는 적어도 라인 편향 자계가 보다 덜 현저한 비점수차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자계가 약한 6극 자계 성분을 갖거나 또는 전혀 6극 자계 성분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향 자계의 비점수차 특성을 감소시킬때, 외부 전자 빔은 편향 자계에의해 중앙 전자 빔을 향해 더 편향된다. 전자 빔의 컨버젼스에 관한 본 발명에 의해 유도되는 두가지 효과는 서로 보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라인 편향 자계의 보다 덜 현저한 비점수차 특성이 수평 스폿 확장 요인으로 감소를 초래하게 되므로 실현된다.
본 발명은 두가지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첫째로, 스폿 성장(spot growth)은 전자 빔이 떨어지게 되는 위치가 스크린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짐에따라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적어도 자체-컨버젼스 라인 편향 코일이 외부 빔의 일정한 정도의 오버 컨버젼스를 유도하고 코일의 전자총측의 빔이 떨어져 구동된다. 실제로 이 목적에는 45˚ 4극 자계가 매우 적합하다. 이 4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는 유익하게도 라인 편향 코일의 주파수에서 포물선 함수를 가질 수도 있다.
두번째는 어떤 실제적인 전자총에서도 2극 편향 자계가 적어도 DAF총을 이동할때 현재 자체-컨버젼스 자계보다 잘 포커스된다는 것이다. 이 제안된 해결책은 만족스럽지 못한 포커싱 가능성 없이 수평 스풋 확장 요인의 감소에 관한 이극편향 자계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전자 빔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출력이 자체-컨버젼스 편향 유니트의 자계에서와 비슷하게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외부) 전자 빔의 위치에 자계가 존재하므로써 실현된다. 이와같은 점진적 자계 전이(특히 4극 자계에 의해 실현됨)로 인해 접속(focusing) 가능성이 만족스럽게 된다. 이 접속 가능성은 빔 사이의 계단형 자계경도(step-wise field gradient)경우에는 더 나빠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자될 때 적어도 그것이 자체-컨버젼스에 너무 약한 6극 자계 성분을 갖거나 전혀 6극 자계 성분을 갖지 않는 2극 자계를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라인 편향 코일(line defiection coil)이 구성된다. 발생된 2극 자계는 y컨버젼스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한 고조파 자계 성분(예를들어 10극 성분, 14극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이것은 예를들어 yx3 또는 yx 형태의 에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편향 자계를 발생하기에 적합한 편향 코일은 일반적으로 북-남 래스터(raster)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전기 회로를 필요로 한다.
y컨버젼스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은 대안으로, 음극선관 축과 동축으로 되어 있고 90˚ 4극 자계를 발생하기에 적합한 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이때 편향 코일은 북-남 래스터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전기 회로가 필요없게 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따. 이 설계의 장점은 90˚4극 자계 수단을 제어하는데에 예를 들어 자계편향 전류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는 작은 전기 신호면 족할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들어 라인편향 전류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작은 전기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수단인 45˚ 4극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과 비슷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정정을 보상하는 북-남 래스터 정정회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강한 동적 신호가 필요하다.
90˚ 4극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전자총의 빔-형성부와 편향 유니트 사이에 배열된다.
한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단이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 즉 45˚ 4극 자계 발생 수단과 동축 위치에 배열된다. 이것은 예를들어, 두개의 수단이 동일한 환상 코어에 배열된 코일(각각 4개씩)을 포함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 환상 코어는 전자총의 포커싱 렌즈 가까이 적당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윈도우(2)와 원추부(3) 및 목부(4)로 이루어진 글래스 엔벨로프(1)는 그 축이 도면의 평면에 위치한 3개의 전자 빔(6, 7, 8)을 발생하는 전자총(5)을 목부에 수용한다.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 전자 빔(7)의 축은 관축(9)과 일치한다. 디스플레이 윈도우(2)은 내면쪽에 3쌍(트리플릿)씩으로된 다수의 형광체 엘리멘트를 갖고 있다. 이 엘리멘트는 예를들어 횡렬 또는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련 실시예는 횡렬 형태의 엘리멘트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트리플릿은 한 행의 녹색 발광 형광체와 한 행의 청색 발광 형광체 및 한 행의 적색 발광 형광체를 포함하고 있다. 형광체 횡렬은 도면의 평면에 직각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에는 새도우 마스크(11)가 배열되는데, 이 마스크는 다수의 가늘고 긴 개구(12)를 갖고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해 전자 빔 (6, 7, 8)이 통과하여 오직 한 색의 형광체 횡렬에 각각 충돌하게 된다. 3개의 동일 평면상의 전자 빔은 편향 코일 시스템(13)(라인 편향용)과(13')(필드 편향용)에 의해 편향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관점은 완전히 자체-컨버젼스 되는 코일보다 스폿 성장이 적어지도록 자체-컨버젼스 되지 않는 코일의 컨버젼스 정정을 위해 4극 자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4극 자계는 엘리멘트(14)에 의해 발생된다 (제 4도 참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엘리멘트(14)는 자화가능 물질로된 환상 코어(15)를 포함하는데, 이 코어에는 3개의 빔(20, 21, 22)에 관해 도시된 지향성을 가진 4극 자계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4개의 코일(16, 17, 18, 19)이 감겨진다. 대안으로, 제 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감겨진 C코어를 이용하여 4극 자계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자체-컨버젼스 되지 않는 편향 유니트를 이용한다는 사실은 별문제로 하고, 70년대초의 4극 권선이 요크링(yoke ring)에 배열된 자체-컨버젼스 편향 유니트를 가진 종래의 인-라인(in-line)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과 비교하여, 차이는 상기 음극선관 시스템에서의 경우처럼 본 발명에 따른 4극이 편향 유니트의 정면에 완전하게 위치되고, 편향 유니트의 편향 중심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2개의 외부 빔 각각의 주위의 국부적인 2극 자계가 컨버젼스 정정을 위해 이용되는, 자체-컨버젼스 되지 않는 편향 유니트를 가진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과 비교하여, 빔 사이의 자계 경도가 계단형 방식으로 변화되도록 하는 이들 2극 자계와, 전술한 덜 만족스런 포커싱 가능성의 결점에 그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음극선관내의 DAF층과 조합하여 편향 유니트의 정면에 4극을 가진 편향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4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코일에 배열될 수도 있다. 다른 특징은 국부 2극 자계를 이용하여 측면 빔을 정정하기 위해 음극선관에 폴슈(poleshoes)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만일 높은 라인 주파수가 이용되면 와동 전류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 이용은 고해상도 모니터와 미래의 HDTV장치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4:3보다 높은, 예를들어 16:9의 종횡비를 가진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갖춘 음극선관에서 현저하게 유리하다.
본 발명이 근거로 하는 인식점은 칼라 음극선관의 도식적 횡단면도를 도시하는 제 3도 내지 제 5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기술된다. 제 3도는 전자총(55)과 편향 유니트(53)를 갖춘 칼라 음극선관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 빔은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통해 수렴된다.
제 3도와 비교하여, 제 4도에서 편향 시스템(53)은 보다 덜 현저한 비점수차 특성을 가진 자계를 발생하는 편향 시스템으로 변경된다. 편향의 경우에는 오버컨버젼스가 발생하고 전자 빔은 D평면에 있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정면에서 서로 교차한다. 두가지 효과, 즉 언더컨버젼스와 오버컨버젼스는 자체적으로 영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피하거나 최대로 가능한 한도까지 최소화된다.
제 5도는 전자총(55)과 편향 시스템(54)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편향 유니트(54)의 정면에 배열되어 외부 빔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엘리멘트(14)에 의해 유도되는 언더컨버젼스와, 편향 시스템(54)에 의해 유도되는 오버컨버젼스는 칼라 음극선관이 자체-컨버젼스되는 방식으로 서로 보상된다. 그러므로 만일 조합하여 사용되면, 두가지 방책 모두 전자 빔의 컨버젼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점은 적어도 라인 편향 자계가 보다 덜 현저한 비점수차 특성을 갖기 때문에 편향에 대한 수평 스폿 확장 요인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컨버젼스에 영향을 주는 엘리멘트에 의해 유도되는 언더컨버젼스가 클수록 더 커지게 된다. 초대 스폿 확장 요인, 즉,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연부(edge)에서의 스폿 직경과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중앙에서의 스폿 직경 사이의 비율은 공지된 110˚칼라 음극선관에서 약 2.2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이 계수는 양호하게도 적어도 2.0으로 감소된다.
적어도 라인 편향 자계의 덜 현저한 비점수차 특성의 다른 장점은 스폿 형태가 보다 더 원형이라는 것이다. 공지된 상태의 이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연부(edge)에서의 스폿의 수평 규격이 수직 규격보다 상당히 더 크다. 특히 데이타 표시에 있어서는 보다 균일한 스폿 모양이 요구된다. 너무 작은 수직 규격은 또한 모이레 효과(Moir
Figure kpo00001
effects)를 초래할 수도 있다.
제 6도는 예를들어 라인 편향 코일(13)을 가진 회로에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14)가 병합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제 7도는 제 2A도 및 제 2B도의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45˚4극 자계가 발생될 수 있는 소위 고정자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D(Dynamic) A(Astigmatic) F(Focus)를 갖는 전자총의 원리는 제 8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 목적으로, 제 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한 전자총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이 전자총은 3개의 음극(21, 22, 23)이 고착되는 공통 컵모양 전극(20)과 공통 플레이트 모양 스크린 그리드(24)를 포함하고 있다. 3개의 동일 평면상의 전자 빔은 3개의 전자 빔에 대해 공통인 전극 시스템(G3, G4)에 의해 포커스된다. 전극 시스템(G3)은 그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컵모양 부분(27, 28)을 포함하고 있다. 제 1전극 시스템(G3)과 제 2 전극 시스템 또는 애노드(G4)에 적당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주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 시스템(G4)는 G3에 인접한 하나의 컵모양 부분(29)과, 그 바닥부가 전자 빔이 통과하는 개구(31)를 갖고 있는 센트링 버쉬(30)(centring bush)를 갖추고 있다. 전극의 컵모양 부분(28)은 전극의 컵모양 부분(29)를 향해 뻗은 외부 연부(32)를 갖고 있으며, 이 부분(29)은 상기 부분(28)을 향해 뻗은 외부 연부(33)를 갖고 있다. 전자 빔(6, 7, 8)의 축(35, 36, 37)을 통하는 평면을 횡단하여 뻗은 절제 부분(34)은 개구(38, 39, 40)을 갖고 있다. 절제 부분(34, 41)은 각각 전극의 컵모양 부분(28, 29)과의 조립체를 형성한다. 원하는 포커싱 자계를 얻기 위해 절제 부분내의 개구는 예를 들어 원형이거나 깃(collar)를 갖출 수도 있으며, 또는 다각형이고 깃이 없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다각형 총이 관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늘고 긴(수직) 개구(45, 46, 47)와 가늘고 긴(수평) 개구(48, 49, 50)를 각각 갖고 있는 편평한 판 형태의 보조 전극(25, 26)을 컵모양 부분(27, 28)의 개방된 단부에 제공함으로써 전극 시스템(63)에 비점수차 엘리멘트가 형성된다. 이 개구는 예를들어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이아몬드형과 같이, 개구를 통해 통과하는 전자 빔에 대한 4극 자계의 형성을 유도하는 어떤 형태도 가질 수 있다.
동작중에 전극(27)은 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정한 포커싱 전압Vfoc 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극(28)은 제어 전압 Vfoc + Vc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 9도는 제 8도의 전극 시스템의 보조 전극(25, 26)을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전자 빔(6, 7, 8)의 축은 이 도면에서 십자로 도시되어 있으며, (수직) 개구(45, 46, 47)의 중심과 거의 일치한다. 이와달리 보조 전극에 하나는 3개의 거의 수직인 개구를 갖고 있고 다른 하나는 하나의 거의 수평인 가늘고 긴 개구를 갖고 있는 2개의 평행한 전극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한적 의미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예를들어, Vfoc에서 제어되는 오직 하나의 보조전극이 컵모양 전극부분(27, 28)사이에 배열되고, 제어 전압 Vfoc + Vc이 2개의 전극부분(27, 28) 사이에 인가될 수도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정적, 또는 동적인 비점수차 포커스를 가진 어떤 형태의 전자총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빔에 x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4극의 이용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수평 스폿 성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컨버젼스를 실현하는 대안의 방법은 빔 주위에 배열된 2개의 동적으로 제어되는 자기 4극을 이용하는 것이다(제 11도 참조). 이들 4극을 발생하기 위해 코일 장치(56, 57, 58, 59) (제 10도)와 (60, 61, 62, 63)가 상이한 축 위치 또는 동일한 축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은 오직 x방향으로 컨버젼스를 조정할 수 있는 4극에 근거하고 있다. 이때 다른 컨버젼스 에러는 코일을 이용하여 정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시스템은 북-남 래스터 정정을 요하며, 관련 실시예에서 y컨버젼스 에러는 또한 여분의 y-4극으로 정정될 수 있다. 제 11도에는 이들 4극의 자계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어떤 북-남 래스터 정정도 필요로 하지 않는 코일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개념의 장점은 전자 회로의 설계에 있다. 제 1도의 시스템은 x-4극 및 북-남 래스터 정정을 위한 동적인 신호를 필요로 한다. 래스터 정정과 대조적으로 4극은 작은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안된 시스템은 2개의 4극 제어 장치를 필요로 하는 데, 두개 모두 작은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Claims (11)

  1. (정정) a) 목부와 원추부 및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가진 진공 엔벨로프와,
    b) 그 축이 동일 평면상에 있는 두개의 외부 전자 빔과 한 중앙 전자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빔 형성부와, 여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에 접속 가능하고 동작중에 연합하여 주 렌즈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 시스템을 갖춘 목부내의 전자총과,
    c) 전자 빔에 비점수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전자총 내의 비점수차 엘리멘트(astigmatic element) 및,
    d) 전자 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라인 및 필드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편향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총의 빔 형성부와 편향 유니트 사이에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가 배열되며, 이 엘리멘트는 관련 외부 전자 빔의 축을 가로질러 중앙 전자 빔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자 빔 평면내에 있는 성분을 가진 각각의 외부 전자 빔에 영향을 주며, 상기 편향 유니트는 그것이 상기 언더컨버젼스를 보상하는 오버컨버젼스를 야기하는 편향자계를 발생하게 되는 그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컨버젼스에 영향을 주는 엘리멘트가 음극선관 축과 동축이고 45˚ 4극 자계를 발생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3.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칼라 음극선관이 라인 편향 자계의 세기에 상기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의 세기를 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편향 자계의 세기에 상기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의 세기를 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 적어도 라인 편향 자계와 동기하여 변화하는 성분을 가진 동적으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이 포물선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 축에 동축인 수단이 전차총의 빔 형성부와 편향 유니트 사이에 배열되며, 이 수단이 90˚ 4극 자계를 발생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음극선관이 필드 편향 전류로부터 유도되는 전류로 상기 수단을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와 동일한 축 위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9. (정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자에 대한 최대 편향각이 55˚이고, 최대 수평 스폿 확장 계수가 2.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
  10. 제 1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 시스템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언더컨버젼스를 야기하는 엘리멘트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편향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90˚ 4극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해서 이루어진 편향 유니트.
KR1019900001502A 1989-02-08 1990-02-08 칼라음극선관시스템및편향유니트 KR0141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900306A NL8900306A (nl) 1989-02-08 1989-02-08 Kleurenbeeldbuissysteem met gereduceerde spotgroei.
NL8902529A NL8902529A (nl) 1989-10-12 1989-10-12 Kleurenbeeldbuissysteem met gereduceerde spotgroei (daf-q).
NL8900306 1989-10-12
NL8902529 1989-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566A KR900013566A (ko) 1990-09-06
KR0141589B1 true KR0141589B1 (ko) 1998-06-01

Family

ID=2664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502A KR0141589B1 (ko) 1989-02-08 1990-02-08 칼라음극선관시스템및편향유니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8926A (ko)
EP (1) EP0382299B1 (ko)
JP (1) JP3064317B2 (ko)
KR (1) KR0141589B1 (ko)
CN (1) CN1023043C (ko)
DE (1) DE6901318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78B2 (ja) * 1989-10-16 1996-01-29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US5327051A (en) * 1990-07-19 1994-07-05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Deflection system with a pair of quadrupole arrangements
ATE124571T1 (de) * 1991-04-04 1995-07-15 Philips Electronics Nv Farbbildröhrensystem.
JPH0612998A (ja) * 1992-06-29 1994-01-21 Sony Corp カラーcrt用電子銃
JPH0950772A (ja) * 1995-06-01 1997-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crt
US6376981B1 (en) 1997-12-29 2002-04-23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EP0968514B1 (en) * 1997-12-29 2004-03-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r display device with a deflection-dependent distance between outer beams
US6411027B1 (en) 1997-12-29 2002-06-25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display device having quadrupole convergence coils
TW428200B (en) * 1998-12-01 2001-04-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display device with a deflection-dependent distance between outer beams
KR20010101223A (ko) * 1999-10-15 2001-11-14 요트.게.아. 롤페즈 편향 수단 및 전자빔들 사이의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한쌍의 상호동작 수단을 갖는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
CN1409352A (zh) * 2001-10-01 2003-04-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有改善的水平分辨率的彩色显像管
US6924589B2 (en) 2001-10-23 2005-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picture tube device having improved horizontal convergen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266A (en) * 1973-06-11 1976-03-23 Sony Corporation Electrostatic and dynamic magnetic control of cathode ray for distortion compensation
JPH0736623B2 (ja) * 1981-04-30 1995-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ラインカラ−受像管装置
DE3124235A1 (de) * 1981-06-20 1983-06-16 Videocolor S.A., 92128 Montrouge Strahlerzeugersystem einer fernseh-bildroehre o.dgl.
DE3665111D1 (en) * 1985-09-27 1989-09-21 Hitachi Ltd Convergence correcting device capable of coma correction for use in a cathode ray tube having in-line electron guns
NL8600117A (nl) * 1986-01-21 1987-08-17 Philips Nv Kleurenbeeldbuis met verminderde deflectie defocussering.
US4864195A (en) * 1988-05-05 1989-09-05 Rca Licensing Corp. Color display system with dynamically varied beam sp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873A (zh) 1990-08-22
DE69013183D1 (de) 1994-11-17
JPH02239545A (ja) 1990-09-21
EP0382299B1 (en) 1994-10-12
KR900013566A (ko) 1990-09-06
CN1023043C (zh) 1993-12-08
DE69013183T2 (de) 1995-04-20
EP0382299A1 (en) 1990-08-16
US4988926A (en) 1991-01-29
JP3064317B2 (ja)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8106B2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管システム
EP04248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JP2611942B2 (ja) カラー表示装置及びカラー陰極線管
KR0141589B1 (ko) 칼라음극선관시스템및편향유니트
US3984723A (en) Display system utilizing beam shape correction
EP0968514B1 (en) Color display device with a deflection-dependent distance between outer beams
JP2711553B2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管及びそれに使用する電子銃
JP3320442B2 (ja) 表示装置及び陰極線管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US5196768A (en) Color display tube system
US5703430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eddy current reducing electron gun
KR100201523B1 (ko) 칼라 디스플레이 튜브 시스템
KR970006037B1 (ko) 개선된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
KR100405233B1 (ko) 칼라음극선관 장치
US5448134A (en) 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structure for controlling image quality
EP0716771A1 (en) Display device and cathode ray tube
WO2002099834A2 (en) Spot optimization in a color display tube system
US20010052747A1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electron gun
NL8902529A (nl) Kleurenbeeldbuissysteem met gereduceerde spotgroei (daf-q).
KR20000041356A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JP2000285823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JP2000340136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WO1997002587A1 (en) Display device and colour cathode ray tube for use in a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