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00Y1 -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 Google Patents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00Y1
KR0140800Y1 KR2019930011600U KR930011600U KR0140800Y1 KR 0140800 Y1 KR0140800 Y1 KR 0140800Y1 KR 2019930011600 U KR2019930011600 U KR 2019930011600U KR 930011600 U KR930011600 U KR 930011600U KR 0140800 Y1 KR0140800 Y1 KR 014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glass
lower glass
cap
cab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1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73U (ko
Inventor
윤춘진
Original Assignee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니헬샴, 볼보건설기계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니헬샴
Priority to KR2019930011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800Y1/ko
Publication of KR950001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장비 운전실캡의 전방 하부유리를 작업환경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임의적으로 탈착가능하도록 장착시켜 작업시 하부유리를 작업요건에 따라 분리시켜 후방유리에 이중으로 겹치게 장착시켜 작업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장비의 상부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의 전방 상,하측에 운전자의 작업시야를 위해 유리가 장착되는 운전실캡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의 전방하측에 하부 유리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켜 작업조건에 따라 하부유리를 분리시켜 운전실 캡 내부의 후방유리를 이중으로 겹치게 장착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제1도는 종래 운전실 캡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운전실 캡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 유리의 상측 고정부의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 유리를 상측 고정부의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실 캡 2 : 하부유리
3 : 프레임 4, 14 : 고무재
5, 15 : 브라켓 6 : 단차부
7, 16 : 범퍼 8, 17 : 고정부재
9 : 고무패드 11, 19 : 웨더스트립
본 고안은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캡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 운전실캡의 전방 하부유리를 임의적으로 탈착가능하도록 장착시켜 작업시 작업환경에 따라 하부유리를 분리시켜 운전실 캡 후방유리에 겹치게 장착시킨후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의 운전실캡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구조러 형성되어 중장비의 상부프레임상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내부 전방에는 중장비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운전실캡의 전방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운전실캡은 중장비의 특성상 열악한 작업조건에서 주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전.후, 좌.우의 각 프레임에 운전자가 운전실외부의 주위환경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작업할수 있도록 유리가 장착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운전실캡 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실캡의 전방에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유리가 프레임에 시일(SEAL)접합으로 고정되어 장착된 것으로, 작업조건이 열악한 작업장(진흙땅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서 작업이 계속될 경우 흙이나 먼지등의 불순물이 특히 전방 하부유리에 집중적으로 유착되므로서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져 작업상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힘들었고, 이에 따라 중장비의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어 진행중인 작업을 중단한후 유착된 불순물을 제거해야 하므로서 작업의 연속성이 중지되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원인이 되었다.
또한, 중장비를 이용한 건설 또는 토목공사중에 종종 돌같은 파편조각이나 기타 공사용 자재로 인하여 전방하측유리의 일부가 훼손 또는 파손되는 경우에 전방하부유리를 교체해야 되는데, 작업현장에서 교체 작업을 할수 없어 가까운 정비업소에 보수작업을 맡기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어 일시적인 작업이 정지되는 비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하고 있었다.
게다가 작업이 끝난 후 정비를 하는 경우 전방유리창에 유착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운전자 또는 정비자는 보통 물을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서 금속재질인 프레임상에 녹등의 부식을 초래하여 운전실 캡 프레임의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장비 운전실캡의 전방 하측에 유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켜 작업조건에 따라 유리를 분리시켜 후방유리에 겹치게 고정한후 소정의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된 운전실캡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의 전방 상,하측에 운전자의 작업시야를 위해 유리가 장착되는 운전실캡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되, 작업조건에 따라 하부유리를 분리시켜 운전실캡의 후방유리에 겹치게 장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실캡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운전실캡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장비의 상부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에 운전자의 작업시야를 위해 유리를 장착시킴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1)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경우, 하부유리(2)의 상측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위는 운전실캡의 프레임(3)에 충격흡수용 고무재(4)가 코팅된 상측브라켓(5)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5)에 하부유리(2)가 삽입고정되는 단차부(6)가 형성된 범퍼(7)로서 하부유리(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하부유리(2)의 하측 고정부위는 프레임(3)에 하측 고무패드(9)를 부착하고, 동 프레임(3)에 외부로부터 운전실 캡(1)내부에 침부되는 이물질을 차단시키는 웨더스트립(11)이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유리(2)를 분리시켜 운전실캡(1)이 후방유리(12)에 겹치게 장착시켜 보관하는 경우 분리된 하부유리(2)의 상측은 운전실캡의 프레임(3)에 고무재(14)가 코팅된 상측 브라켓 (15)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5)에 범퍼(16)로서 분리된 하부유리(2)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7)가 형성된 것이며, 하부유리(2)의 하측고정부위는 프레임(3)에 형성된 하측 브라켓(18)에 하부유리(2) 삽입용 웨더스트립(19)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하부 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캡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운전실캡(1)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2)를 장착시키는 경우 하부유리(2)의 하측 고정은 운전실캡(1)의 프레임(3)에 부착된 고무패드(9)에 형성된 웨더스트립(11)에 하부유리(2)를 삽입시킨 다음, 하부유리(2) 상측을 고정시키는 프레임(3)에 고정된 상측 브라켓(5)에 하부유리(2)를 밀착시켜 단차부(6)가 형성된 범퍼(7)를 고정부재(8)로서 고정시키면 운전실캡(1)하측에 하부유리(2)의 장착착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실캡(1)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2)를 장착시켜 작업을 하는 도중 진흙장소와 같은 열악한 환경의 작업장에서 작업하거나 운전실 컵내부의 통풍을 위해 하부유리(2)를 분리하여 후방유리(12)에 겹치게 장착시킨후 소정의 작업을 행한다음, 후방유리(12)에 대해 그중으로 장착된 하부유리(2)를 분리시켜 운전실캡(1)의 전방하측에 재 장착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운전실캡은 중장비의 상부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의 전방 상,하측에 운전자의 작업시야를 위해 유리가 장착되는 운전실캡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켜 작업시 작업여건에 따라 하부유리를 분리시킨다음 작업을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운전실캡인 것으로, 운전자는 보다 편리한 작업여건에 작업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운전자의 건강을 지켜주는 것이다.

Claims (2)

  1. 중장비의 상부프레임상에 장착되는 운전실캡의 전방 상,하측에 운전자의 작업시야를 위해 유리가 장착되는 운전실캡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캡(1)의 전방하측에 하부유리(2)를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키되, 작업조건에 따라 하부유리(2)를 분리시켜 운전실 캡(1)의 후방유리(12)에 이중으로 장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리(2)는 운전실캡(1)의 프레임(3)에 고정된 브라켓(5)(15)에 착탈되는 범퍼(7)로서 상측이 고정되고, 하측은 프레임(3)에 형성된 브라켓(3)(18)에 장착된 웨더스트립(11)(19)로서 지지됨을 특징으로하는 운전실캡.
KR2019930011600U 1993-06-29 1993-06-29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KR014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600U KR0140800Y1 (ko) 1993-06-29 1993-06-29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1600U KR0140800Y1 (ko) 1993-06-29 1993-06-29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73U KR950001373U (ko) 1995-01-04
KR0140800Y1 true KR0140800Y1 (ko) 1999-04-01

Family

ID=1935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1600U KR0140800Y1 (ko) 1993-06-29 1993-06-29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8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022A (ko) * 2000-12-27 2002-07-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부유리 착탈장치
WO2012015078A1 (ko) * 2010-07-28 2012-02-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리어 유리 고정장치
EP3266941A4 (en) * 2015-03-04 2018-11-0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operator cabin of construction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8546B2 (ja) * 1999-12-28 2009-07-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用運転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022A (ko) * 2000-12-27 2002-07-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의 하부유리 착탈장치
WO2012015078A1 (ko) * 2010-07-28 2012-02-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운전실 리어 유리 고정장치
US9021764B2 (en) 2010-07-28 2015-05-05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pparatus for fixing the rear glass of an operator cab on construction machinery
EP3266941A4 (en) * 2015-03-04 2018-11-07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operator cabin of construction equipment
US10472802B2 (en) 2015-03-04 2019-11-1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operator cabin of construc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73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800Y1 (ko) 하부유리가 탈착가능한 운전실 캡
JP4337778B2 (ja) 車両のカウルルーバ
US3572819A (en) Enclosed guard canopy for tractors
KR101156740B1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JPH11280116A (ja) 運転室の保護装置
CN218757054U (zh) 一种高架桥桥面养护设备
CN104787122A (zh) 一种新型汽车挡泥板
US4668058A (en) Weather shield for side-mounted, rear-view, tractor-trailer mirror
CN220470444U (zh) 一种汽车底盘连接螺母板
CN217917613U (zh) 油箱的防护装置及商用车
DE9410489U1 (de) Einrichtung zum Nacharbeiten der Wischerblätter von Kraftfahrzeug-Scheibenwischern
CN220682329U (zh) 一种雨刮器清洁贴板
KR100750986B1 (ko) 건설기계 운전실의 천창구조
CN211543381U (zh) 一种混凝土搅拌运输车用后尾灯防护支架
CN218148622U (zh) 一种新能源装载车
CN212473645U (zh) 一种具有防护装置的汽车转向横拉杆
CN108688759B (zh) 减震器保护板、减震器保护结构及车辆
KR100220575B1 (ko) 자동차 리어 와셔노즐 장착구조
KR19980027960A (ko) 자동차용 흙받이구조
KR0183185B1 (ko) 중장비용 운전실 보호 구조물의 취부구조
JPH0858643A (ja) 建設機械の走行モータ用カバー装置
JP4175995B2 (ja) 油圧ショベルの窓保護装置
JP3729990B2 (ja) 車両のウインドシールド保護装置
JPH0446634B2 (ko)
KR200149294Y1 (ko) 자동차용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