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46B1 -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46B1
KR0140746B1 KR1019940003341A KR19940003341A KR0140746B1 KR 0140746 B1 KR0140746 B1 KR 0140746B1 KR 1019940003341 A KR1019940003341 A KR 1019940003341A KR 19940003341 A KR19940003341 A KR 19940003341A KR 0140746 B1 KR0140746 B1 KR 014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clutch
belt
transmission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309A (ko
Inventor
다카히코 우에무라
도시로오 나가이
켄지 시게마쓰
Original Assignee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 유키지,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 유키지
Priority to KR101994000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46B1/ko
Publication of KR95002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8Forced shifts into neutral for safety reasons, e.g. in case of transmission failure or emergency 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4Special control feat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8Control of clutches, or brakes for forward-reverse sh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바인, 트랙터, 이앙기, 운반차 등의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단변속을 행하는 변속레버를 무단변속주행 전동장치의 정지시에도 중립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는 주행클러치(40)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정속전동계(定速傳動系)와, 상기 주행클러치 및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무단변속전동계와로 유성치차기구(2)에 구동회전을 입력하고,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작동에 의해 상기 유성치차기구의 출력회전을 정, 역방향으로 무단변속 및 정지가능 하도록 한 주행전동장치에 있어서, 변속레버(32)와 동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변속작동하는 변속레버아암(34)과의 사이에 상기 변속레버와 변속레버아암과의 상태 위치를 일정하게 보지하기 위하여 부세하는 상대위치 보지수단을 개재함과 아울러, 상기 변속레버(32)의 중립위치(N) 또는 그 부근에서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주행클러치(40)를 끊도록 하는 연계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이다.

Description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부의 정면도이다.
제 2 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3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제 4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측면도이다.
제 5 도는 벨트무단변속기구부의 정면도이다.
제 6 도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제 7 도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제 8 도는 콤바인의 일부정면도이다.
제 9 도는 변속레버부의 일부를 달리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10 도는 주행클러치 단속용 모우터의 회로도이다.
제 11 도는 조작레버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제 12 도는 전동기구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 13 도는 변속레버의 측면도이다.
제 14 도는 주행클러치 단속용 모우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5 도는 일부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이다.
제 16 도는 작동조건을 나타내는 작동표.
제 17 도는 변속레버일부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 18 도는 제17도에 도시한 변속레버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제 19 도는 텐션클러치풀리부의 배선도이다.
제 20 도는 리프트콘트롤밸브부의 측면도이다.
제 21 도는 제20도에 도시한 리프트콘트롤밸브부의 정면도.
제 22 도는 콤바인의 일부측면도이다.
제 23 도는 콤바인의 트랜스미션케이스부의 정단면도이다.
제 24 도는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크의 정면도이다.
제 25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부의 측면도이다.
제 26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27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28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 29 도는 변속레버관계의 측면도이다.
제 30 도는 입력클러치관계의 작용도이다.
제 31 도는 변속레버관계의 평면도이다.
제 32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정면도이다.
제 33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측면도이다.
제 34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측면도이다.
제 35 도는 벨트무단변속기구부의 정면도이다.
제 36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37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 38 도는 벨트무단변속기구의 정면도이다.
제 39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측면도이다.
제 40 도는 트랜스미션케이스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주요도면부호의 설명 *
1... 입력축, 2... 유성치차기구,
4... 변속축, 5... 조향클러치,
7... 주행축, 8... 트랜스미션케이스,
11, 12... 할(割)풀리, 13... 무단변속벨트,
16... 벨트케이스, 17... 입력풀리,
18... 동력인출풀리, 32... 변속레버,
33... 복귀스프링, 34... 연동아암,
39... 벨트, 40... 주행클러치,
48... 파워스티어링레버, 49... 벼베기장치,
61... 변속연동기구, 75... 중립위치스위치,
76... 스위치캠, 85... 벼베기클러치레버,
84... 벼베기작업리미트스위치, 110... 공랭팬,
111... 흡기구, 112... 배풍구,
120... 유압실린더
본 발명은 콤바인, 트렉터, 이앙기, 운반차 등의 주행전동장치(走行電動裝置)의 변속조작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단변속조작을 행하는 변속레버를 무단변속 주행전동장치의 정지시에도 중립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할(割) 풀리를 가지는 무단변속벨트에 의한 무단변속에서는 이 벨트전동이 행하여지고 있는 때가 아니면 변속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동(傳動)도중에 엔진정지 등에 의해 회전이 멈추어버리면 할풀리를 이동하여 변속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변속레버를 작동할 수 없으며, 변속레버를 무리하게 작동할 경우에는 변속조작기구를 구부려뜨리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성치차기구(2)를 거치는 유성전동계(遊星傳動系)(A)와 무단변속벨트(13)를 거치는 무단변속벨트전동계(B)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 무단변속벨트(13)의 무단변속조작에 의해 출력회전을 중립(N), 정전(正傳)(F) 및 역전(逆轉)(R)으로 변속하는 주행전동장치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브레이크(60)에 의해 무단변속조작위치가 마찰보지(摩擦保持)되는 변속레버(32)와 이 변속레버(32)에 의해 연동되어 무단변속벨트(13)를 변속하는 변속연동기구(61)의 연동아암(34)과의 사이에 상기 변속레버(32)에 대하여 일정위치로 연동아암(34)을 되돌리는 복귀스프링(33)을 설치하고, 동 변속레버(32)의 중립(N)위치 영역에서의 조작에 의해 주행클러치(40)을 넣고 끊고 하는 중립위치스위치(75)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지는 변속조작장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변속레버(32)를 중립(N)의 위치에 놓아두면, 중립위치스위치(75)에 의해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짐으로써 유성전동계(A) 및 무단변속벨트전동계(B)로의 전동이 행해지지 않으며, 또한, 이 변속레버(32)를 중립(N)의 위치로부터 정전(F) 또는 역전(R)의 위치로 조작할 때는, 우선 이 중립(N)영역 내에서 중립스위치(75)에 의해 주행클러치(40)가 넣어지도록 작동되고, 이어서 정전(F) 또는 역전 (R)영역에서 유성전동계(A) 및 무단변속벨트전동계(B)로의 전동이 행하여 짐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주행전동장치에서는, 입력축의 구동에 의해 유성전동계(A)와 무단변속벨트전동계 (B)와에 의해 전동이 행하여지고, 출력축측은 중립(N)으로부터 정전(F)측으로의 순차 고속변속과 역전(R)측으로의 순차 고속변속을 행할 수 있다. 이 무단변속조작은, 변속레버(32)에 의해 변속연동기구(61)를 개재하여 무단변속벨트(13)를 변속하면, 이 무단변속에 의한 회전이 유성치차기구(2)의 일정회전과 평행한 때 출력축측이 회전되지 않는 중립(N)상태로서, 이것을 경계로하여 무단변속에 의한 전동회전을 고저로 변속함으로써 출력축측을 정전(F) 영역에서 증감속한다거나 역전(R) 영역에서 증감속할 수 있다.
이러한 무단변속조작을 행하는 변속레버(32)는 레버브레이크(60)에 대항하여 회동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레버(32)로부터 손을 놓으면 변속레버(32)의 변속위치는 변하지 않고, 또, 무단변속위치도 유지될 수 있다. 이 변속레버(32)를 레버브레이크(60)에 대항하여 회동하면, 복귀스프링(33)을 거쳐 변속연동기구(61)의 연동아암(34)이 회동되어 무단변속벨트 전동계(B)가 무단변속된다.
변속레버(32)가 중립(N)영역 외로 조작되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엔진의 급정지 등에 의해 이 무단변속벨트전동계(B)가 전동정지한 경우, 이 무단변속벨트(13)의 회전이 행하여지지 않게되어, 변속연동기구(61) 및 연동아암(34)을 회동조작하기가 곤란해진다. 그렇지만, 변속레버(32)는 복귀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에 대항하여 회동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종료후 그 회동조작 위치를 레버브레이크(60)에 의해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처럼 무단변속벨트전동계(B)가 전동정지한 경우이어도 변속레버(32)의 중립(N) 영역내로의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이 조작에 의해 중립위치스위치(75)를 ON/OFF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이 변속레버(32)를 중립영역내로부터 정전(F) 또는 역전(R)의 영역으로 조작하여 변속주행을 행할 때는, 무단변속벨트전동계(B)에는 이미 상기 중립위치스위치(75)의 ON/OFF에 의해 주행클러치(40)가 넣어짐으로써 전동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변속연동기구(61) 및 이 연동아암(34)을 회동조작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라 무단변속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콤바인의 주행 트랜스미션케이스(8)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축방향의 할형(割形)으로서 상부에 입력축(1)과 변속축(4)을 축받침하고, 하부에 중간축(15), 조향클러치축(6) 및 좌우의 주행축(7)을 축받침하고 있다. 이 중 입력축(1)과 변속축(4)의 각 일측단부는 풀리축부(1B)(4B)로 되어 있고, 벨트케이스(16)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무단변속벨트(13) 및 동 무단변속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할형변속풀리(11)(12) 등을 수용한다.
입력축(1)의 외측단에는 엔진(E)측으로부터 벨트(39)전동되는 입력풀리(17) 및 벼베기장치를 벨트전동하는 동력인출풀리(18) 등이 장착되며, 기어케이스(19) 내에는 구동치차(9)가 장착된다. 이 입력축(1)의 벨트케이스(16) 내에는 풀리축부(1B)가 스플라인 감합에 의해 착탈자재로 연결되며 할풀리(11)를 갖는다. 또, 변속축(4)은 기어케이스부(19)에서 구동치차(9)와 치합하여 회전되는 링치차(10), 이 링치차(10)의 내주에 치합하는 유성치차(20)의 캐리어(14) 및 이 캐리어(14)와 유성치차(20)의 축(21)을 개재하여 일체 회전되는 변속치차(22) 등을 축장하고, 벨트케이스부(16)에는 상기 변속축(4)에 대하여 스플라인 감합에 의해 착탈자재한 풀리축부(4B)를 가져 할풀리(12)를 설치한다.
이들의 풀리축부(1B), (4B)의 할풀리(11)(12)는 각 축방향에 있어서 할풀리 간격, 즉 풀리 지름이 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이들에 감아걸리는 벨트(13)에 의해 전동을 변속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변속축(4)은 무단변속벨트(13)에 의해 변속되는 것이기 때문에 태양치차(3)가 일체로 회전하지만 상기 링치차(10), 캐리어(14) 및 변속치차(22) 등은 회전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기어케이스부(19) 내에는 상기 변속치차(22)와 치합하는 중간축(15)상의 중간치차(23)를 거쳐, 조향클러치축(6)상에 회전자재로 장착된 링치차(24)를 연동회전할 수 있는 일련의 기어군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링치차(24)의 연동회전할 수 있는 일련의 기어군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링치차(24)의 좌우 양측에 조향클러치(5)가 시프트아암(25)에 의해 넣고 끊도록 조작되며, 또한 이 조향클러치(5)의 치차부에 치합하는 휠치차(26)을 거쳐 좌우 주행축(7)이 전동된다.
상기 무단변속벨트(12)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11)(12)의 축방향이동을 행하게 하는 캠(37)(38)을 가진 아암(27)(28) 사이를 로드(29)로 연결하고, 이들 중 어느 것인가의 아암(28)을 자유연결부(自在繼手)를 갖는 로드(30)를 개재하여 트랜스미션케이스(8)에 회전자재로 축지한 벨 크랭크축(31)과 연동시켜 변속레버(32)의 전후방향 회동에 의해 복귀스프링(33), 연동아암(34) 및 로드(35) 등을 통해 무단변속조작할 수 있는 구성이다. 62, 63은 캠(37)(38)을 슬라이딩시키는 정위치에서 회전자재하는 캠롤러이다.
다음으로, 변속레버(32)와 변속연동기구(61)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대(47)의 프레임(64)의 브라ㅋ트(65)에 레버축(66)이 고정 또는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이 레버축(66)의 둘레에 레버아암(67)이 브레이크라이닝디스크(68)로 협지되어 마찰제동되도록 회동자재로 지지되며, 스프링(70)을 개재하여 외측으로부터 너트(69)로 체결되어 있다. 변속레버(32)는 상기 레버아암(67)의 상단에, 그 레버축(66)과 직교하는 방향의 요동축(71)으로 피봇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축(66)의 타단부측에는 회동자재의 연동아암(34)이 지지되며, 이 연동아암(34)의 일단에는 변속연동기구(61)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연동아암(34)의 상단부에는 레버아암(67)측으로 향하여 핀(72)을 돌설하되 레버아암(67)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핀(73)의 내측에 위치시키며, 레버축(66)의 둘레에 감합지지된 복귀스프링(33)의 양단부로 이들 양 핀(72)(73)을 함께 협지하도록 하여 양 핀(72)(73)을 같은 위상(位相)으로 회동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변속레버(32)를 레버브레이크(60)에 대항하여 회동조작하면, 핀(73)으로부터 복귀스프링(33)을 개재하여 핀(72)과 일체로 된 연동아암(34)이 회동되어 변속연동기구(61)가 조작연동된다.
주행전동은, 상기 입력축(1)의 구동에 따라 변속레버(32)에 의해 풀리(11)(12)를 변속조작하면서, 일정 회전의 링치차(10)에 대하여 태양치차(3)의 회전수를 바꾸어, 중립(N)으로부터 정전(F) 고속역(域)으로, 또는 역으로 역전(R)역(域)으로 변속할 수 있는데, 하향 비탈길 처럼 주행축(7)측으로부터 역구동이나 엔진브레이크를 작용시킬 때는 조향클러치(5)가 넣어진 상태에서 주행축(7)측으로부터 상기 유성치차기구(2)의 변속치차(22) 및 기어(14)가 역구동되기 때문에 이 캐리어(14)에 유성치차(20)가 공전되도록 하여도 입력축(1), 무단변속벨트(13), 변속축(4) 등을 거쳐 유동하지 않는 링치차(10)와 태양치차(3)와의 사이에 치합되어 공전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내부제동이 행하여져 역구동을 제동하는 것으로 된다. 특히, 벨트(39)에 의한 입력풀리(17)로의 텐션클러치풀리로 이루어지는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짐으로써 입력축(1)이 구동되지 않을 때는 무단변속벨트(13)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캐리어(14)로부터 태양치차(3)측이 역구동되도록 하여도 구동이 행하여지지 않는다.
36은 기어케이스(19)와 벨트케이스(16)와의 사이를 막는 칸막이 벽이고, 상기 입력축(1) 및 변속축(4)을 축받침한다.
상기와 같은 주행전동장치를 가지는 콤바인의 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전동장치를 가지는 콤바인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 쌍의 주행축(7)에 의해 구동되는 스프로켓(41)과, 중간전륜(中間轉輪)(42) 및 단부전륜(端部轉輪)(43)에 의해 크롤러(crawler)(44)를 걸어 회동시키고 있다. 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44)를 가진 차대(車臺)(45)의 앞쪽에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를 설치하여 횡측 조종석(46)하방에 탑재된 엔진(E)으로부터 벨트(39) 및 주행클러치(40)의 장압(張壓)에 의해 동력을 전동할 수 있다. 상기 무단변속벨트(13)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레버(32)는 조종석(46) 횡측의 조종대(47)에 설치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조작하여 중립(N)위치로부터 전방의 정전(F)위치로 조작함에 따라 전진고속으로 무단변속할 수 있고, 후방의 역전(R)위치로 조작함에 따라 후진고속으로 무단변속할 수 있다. 또 이 조종대(47)에는 파워스티어링레버(48)를 설치하여, 이 파워스티어링(48)의 좌우경사(傾斜)에 의해 상기 조향클러치(5) 및 조향브레이크(86)의 시프트 아암(25)을 조작하여 조향을 행하고, 그 전후경사에 의해 벼베기장치(49)를 승강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벼베기장치(49)는 벼베기프레임(50)에 벼베기칼장치(51), 볏짚일으키는 장치(52), 볏짚끌어넣는 장치(53), 벤 볏짚을 반송하는 반송장치(54) 등을 가지며, 이 벼베기프레임(50)의 후단의 지축(55)을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상의 벼베기지지메탈(56)에 상하 회동자재로 감합시켜 차대(45)와 상기 벼베기프레임(50)과의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벼베기장치(49)를 승강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송장치(54)에 의해 반송된 볏짚을 피드체인(57)과 협지간과의 사이에 협지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탈곡하는 탈곡장치(58)를 차대(45)의 후부에 탑재하고 있다.
상기 엔진(E)으로부터 입력풀리(17)로의 벨트(39)에 의한 전동은, 상기 유성치차기구(2)가 입력축(1) 다음의 두 번째 축인 변속축(4)상에 설치되어 있어서 입력축(1)이나 상기 입력풀리(17)의 지름을 작게할 수 있으며, 또한 트랜스미션케이스를 콤팩트하게 하여 좌우의 크롤러(44) 등도 내측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벼베기장치(49)로의 입력축(87)은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축(55)부에서 상기 조종석(46)측에 고정한 풀리(59)와 상기 입력축(1)상의 동력인출풀리(18)와의 사이가 벨트전동됨으로써 구동된다. 이러한 풀리(59)(18)와, 엔진(E)으로부터의 입력풀리(17) 및 무단변속벨트(13)의 변속조작용 벨크랭크축(31) 등이 조종대(47)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벨트케이스(16)부를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다.
상기 벨트케이스(16)를 기어케애스(19)측으로부터 떼어내면 풀리(11)(12) 및 무단변속벨트(13) 등이 노출되기 때문에 벨크랭크축(31)에 연결된 로드(30)와, 아암(28) 및 로드(29)와의 사이의 연결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 제5도에 도시된 연결핀(74)을 빼냄으로써 분리하면, 풀리축부(1B)(4B)를 입력축(1), 변속축(4)과의 사이의 스플라인 감합이 풀려지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주행클러치(40)는 정역전하는 클러치모우터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그 클러치모우터의 제어회로를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중립위치스위치(75)의 ON, OFF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이 중립위치스위치(75)는, 변속레버(32)에 의해 회동되는 레버아암(67)의 스위치 캠(76)에 의해 ON, OFF된다. 중립위치스위치(75)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져 있고 브라ㅋ(65)에 취부되어 있다. 변속레버(32)가 회동하여 중립(N)영역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면 이 중립위치스위치(75)가 OFF로 되어 제어회로에 의해 클러치모우터(M)가 주행클러치(40)를 끊도록 구동된다. 또 변속레버(32)를 이 중립(N)영역의 정전(F)측 또는 역전(R)측으로 회동조작하면, 상기 복귀스프링(33)을 개재하여 연동아암(34) 등의 변속기구(61)를 거쳐 무단변속벨트(13)가 변속연동조작되기까지의 사이에 중립위치스위치(75)가 ON으로 되어 주행클러치(40)가 넣어짐으로써, 입력축(1) 및 무단변속벨트(13)가 회전된다. 이처럼 변속레버(32)가 복귀스프링(33)에 의해 유동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 주행크러치(40)가 넣어지도록 작동되어 무단변속벨트(13)가 구동되기 때문에 변속레버(32)에 의해 무단변속벨트(13)가 변속이동될 때는 변속회전지름이 원활하게 변화된다.
제9도는 변속레버의 일부를 달리 구성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도면에 도시된 변속레버가 상술한 예와 다른 점은, 콤바인에는 벼 베기장치와 같은 작업장치가 필요한 바, 이 장치로의 동력을 넣거나 끊을 수 있는, 전술한 동력인출풀리(18)을 통해 벼 베기장치의 입력축(87)을 전동하는 벼베기클러치레버(83)에 리미트 스위치(84)를 설치하여, 이 리미트스위치(84)와, 변속레버(32)의 조작에 의해 접속되는 상기 중립위치스위치(75)와에 의해, 주행클러치(40)를 넣고 끊는 클러치모타(M) 및 조향클러치(5)의 시프트아암(25)을 작동하는 푸시 실린더(85)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벼베기작업시, 벼베기클러치넣음과 변속레버(32)의 중립(N)위치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84) 및 중립위치스위치(75)에 의해 클러치 모타(M)를 구동하여, 주행클러치(40)를 넣은 상태로부터 끊는 상태로 작동시켜 주행을 정지시킨다. 또한, 단순한 주행시는, 벼베기클러치레버(83)가 벼베기클러치를 끊는 위치에 있어, 변속레버(32)의 중립(N)위치의 조작만으로 중립위치스위치(75)에 의해 좌우의 조향클러치(5)를 끊음으로 함과 동시에 조향브레이크(86)를 작동시킴으로써 주행을 정지하도록 구성하여 경사도로 등에서의 정지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벼베기클러치인 동력인출클러치(49A)가 넣음 위치에 있을 때에,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에 있을 때만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단, 변속레버(32)를 중립위치로 조작한 때만 주 클러치(40)를 끊는 것으로 하는 구성에서는 변속레버(32)를 중립(N)으로 하는 때마다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변속레버(32)를 전진(F) 또는 후진(R)으로 한 때에, 변속레버(32)를 움직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하지 않은 타임래그(time lag)를 일으킨다. 이 타임래그는 벼베기작업중보다도 노상주행시에 현저하다. 작업중의 변속레버(32)의 조작은 완만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타임래그는 그다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노상주행중에 벼베기작업 클러치레버(83)의 조작에 의한 동력인출클러치(49A)의 끊음, 즉 작업스위치(84)가 OFF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레버(32)를 중립(N)위치로 조작하여도 주 클러치(40)는 끊어지는 것으로는 되지 않음으로써 타임래그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예에 있어서 변속레버(32)를 정전(F)위치로부터 역전(R)위치로 조작한 때에만 그 도중의 중립(N)위치에서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지도록 함으로써, 모타(M)의 사용회수를 줄이고, 역으로, 역전(R)위치로부터 정전(F)위치로 조작하는 때는 정지로부터 스타트 때의 타임래그(time lag)가 줄어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전(F), 역전(R) 등은 회전센서로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에 있는 때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T)로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을 요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즉,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에 정하여진 일정시간 이상 위치한 때에만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지기 때문에 클러치 모타(M)의 사용회수를 줄일 수 있다. 90, 91은 주행클러치(40)의 텐션아암의 회동에 의해 넣고 끊도록 되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92, 93은 클러치 모타(M)의 정전, 역전을 전환하는 릴레이스위치이다.
제11도는 변속레버(3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도면에 도시된 변속레버(32)의 구성이 상술한 예와 다른 점은, 클러치페달(79)과 변속레버(32)의 브레이크라이닝디스크(68)를 암압하는 변속레버축(66)과를 상호 연동시킨 것으로서 엔진시동시에 클러치페달(79)를 밟아 주행클러치를 끊으면, 와이어(80)가 느슨해짐으로써 브레이크라이닝디스크(68)의 마찰제동력이 풀려 상기 무단변속벨트(13)와 풀리(11)(12)와의 사이가 무부하(無負荷)로 되도록 하는 작용력에 의해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로 돌아가고, 따라서 주행클러치가 연계되어도 주행의 급발진이 행하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81은 레버축(66)과 브레이크라이닝디스크(68)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이다. 레버축(66)과 클러치페달(79)과의 사이는 와이어(80)로 연결되어 있어서, 이 클러치페달(79)을 복귀스프링(82)에 대항하여 밟아 주 클러치를 끊을 때, 와이어(80)가 느슨해져서 레버축(66)이 스프링(81)에 의해 되돌아감으로써, 브레이크라이닝(68)의 브레이크력이 풀려진다. 또한, 역으로 이 클러치페달(79)의 밟는 것을 해제하면 변속레버(32)에 브레이크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제12도는 벼베기클러치(49A)의 넣음 상태에서 변속레버(32)를 중립(N)위치 내지 역전(R)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이 벼베기클러치(49A)를 끊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이 벼베기 클러치(49A)는 전자기구로 하여도 좋다. 벼베기장치는 입력축(1)으로부터 동력인출풀리(18), 벨트(150), 풀리(59), 벼베기클러치(49A), 벼베기입력축(87) 등을 거쳐 항상 일정회전으로 전동되고 있기 때문에 변속레버(32)를 중립(N)위치로 조작한 때, 벼베기장치로부터 탈곡장치로의 인계부(引繼部)에서, 이삭 달린 부분이 먼저 통과하여 반송볏짚이 떨어지는 것이 많아지지만 벼베기장치의 전동이 타이밍좋게 정지됨으로써 이러한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저속(예컨대 0-0.2m/sec)일 때는 벼베기클러치(49A)를 끊는 것으로 하고, 고속(0.2m/sec 이상)에서는 벼베기클러치(49A)가 넣어지도록 변속레버(32)의 캠부(76)에 폭을 가지게 한다. 주행은 무단변속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초저속에서도 벼베기 작업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여기서, 차속이 저속일 때는 벼베기클러치(49A)를 끊는 것으로 하여 이상적인 고속역 주행에서의 벼베기 전동으로 벼베기를 행할 수 있다.
제13도는 동력인출클러치(49A)의 넣음 및 변속레버(32)의 중립(N)시에 상기 클러치모타(M)로 주행클러치(40)를 자동적으로 끊음으로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32)의 스위치캠(76)부에 차속이 비교적 저속역(低速域)(예컨대, 콤바인의 경우에는 0-0.2m/sec)으로 되는 폭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스위치캠(76)의 저속역 폭에서는 리미트스위치(75)가 OFF로 되어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짐으로써 중립(N)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며, 주행부 및 작업부와 함께 정지하고, 이 저속역을 넘은 고속역에서 주행클러치(40)가 끊어짐으로부터 넣음으로 되기 때문에 벼베기작업부의 적절한 차속에서의 벼베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중간축(15)에 차속센서(75A)를 설치하여 이 차속센서(75A)에 의해 차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검출치가 일정의 영역, 예컨대 -0.1m/sec로부터 +0.2m/sec인 때는 상기 푸시실린더(85)의 작용에 의해 조향클러치(5) 및 조향브레이크를 시프트아암(25)에 의해 작용시켜 중위(中位)위치를 일정의 영역으로 설정하여 확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14도에 있어서 상기예와 다른 점은 상기 모타(M)에 의해 주행클러치(40)를 넣고 끊는 것으로 하는 조작연동구성에 있어서, 주행클러치(40)를 구동하는 아암(94)과 모타(M) 정지용 리미트 스위치(90(91)의 스위치캠(95)과를 일체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한 주행클러치(40)의 텐션풀리의 아암(96)은 턴버클(97)을 가지고 신축조절자재의 로드(98)에 연결되어 있다. 99는 스프링(100)을 개재하여 상기 아암(96)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로드이다. 상기 모타(M)는 워엄축(101)을 전동하고 워엄치차기구를 거쳐 캠축(102)을 전동회전한다. 상기 스위치 캠(95)과 일체로 된 아암(94)은 상기 캠축(102)과 일체로서 회전한다. 103은 캠축(102) 등을 지지하는 케이스이고, 104는 그 카바이다. 또, 아암(94)의 회동단을 계지하는 스토퍼(105)(106)가 상기 케이스(103)에 설치되어, 리미트스위치(90)(91)에 의한 정지제어가 작용하지 않는 오버런한 때의 아암(94)을 정지시킨다.
이처럼, 아암(94)과 캠(95)과를 일체구성으로 함으로써 덜컹거림이 없어지고, 주행클러치(40)의 타임래그를 줄일 수 있다. 또 변속레버(32)가 중립(N)일 때, 주행클러치(40)의 장력(張力)이 항상 작용하고 있어도 그 장력을 로드(98)로 받기 때문에 늘어날 염려는 없다.
제15도, 제16도는 상기 벼베기클러치레버(83)에 의한 벼베기 스위치(84)와, 변속레버(32)에 의한 스위치(75)에 의해, 주행클러치(40)를 구동하는 클러치모터(M)의 작동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주행클러치(40)를 제16도와 같은 조건하에 작동시킨다. 107은 써멀프로텍터(thermal protector)로서 트랜스미션케이스가 고온에 달했을 때 모타(M)를 자동정지시키는 안전스위치이다. 108은 비상용스위치이다.
제17도 내지 제 19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변속레버(32)의 복귀스프링(33)을 강약의 2단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변속레버(32)의 조작초기는 약한 토르크스프링(33A)만이 작용하여 마이크로스위치(75)를 ON으로 함으로써 주행텐선클러치(40)를 넣음으로 하기까지의 조작력을 작도록 하여 그 조작을 편리하도록한 것이고, 또 변속역에서는 강한 토르크 스프링(33B)으로 추수성(追隨性)이 좋은 변속조작을 행한다.
변속레버(32)는 조종대(47)의 브라ㅋ트(65)에 레버축(66)을 설치하고 동 레버축상에 전후회동자재되도록 마찰브레이크(68)를 설치함으로써 동 브레이크를 작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변속레버(32)의 기부의 레버플레이트(67)에 레버축(66)과 평행하게 외핀(73)을 돌설하고, 또한 상기 무단변속을 행하는 연동아암(34)을 회동자재로 설치하여 상기 외핀(73)보다도 레버축(66) 쪽으로 내핀(72)을 평행하게 대향 돌설하며, 상기 레버축(66)의 둘레에 감합한 강, 온의 토르크스프링(33A)(33B)은 그 선단부가 상기 양 내외핀(72)(73)을 협지함으로써 변속레버(32)와 연동아암(34)과를 일정의 관계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한 토르크스프링(33A)은 양 핀(72)(73)을 밀착하여 협지하지만 강한 토르크스프링(33B)은 외핀(77)에 직접밀접하지 않고 적당한 간격(78)을 찾는다.
마이크로 스위치(75)는 브라ㅋ트(65)에 취부되고 레버플레이트(67)의 접촉자(76)의 당접에 의해 ON으로 되어, 상기 텐숀클러치풀리(40)의 클러치아암(49A)을 모타(M)로 클러치 넣어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20도, 제21도에 있어서는, 상기 벼베기장치(49)의 벼베기프레임(50)을 승강하는 유압실 린더(120)의 유압회로(121)를 압유펌프(P)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지부로부터 필터(122)를 통해 흡입하고, 이 압유를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조종대(47)측에 취부한 스풀밸브형태의 리프트콘트롤밸브(123)를 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20)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유압실린더(120)의 폐유는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 내의 유성치차전동계(A)에 직접 주입되도록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하여, 고속회전하는 유성치차기구부의 기름이 끊어지는 것이 없도록 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콘트롤밸브(123)는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조타대(47)측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워스티어링(48)의 전후방향 회동에 의해 링크기구(124)의 연동기구가 간단하다.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벨트케이스(16)부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상부에 취부지지된 벼베기지지메탈(56)과,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하부측면으로 돌출하는 브레이크케이스(125)와, 앞쪽에 있어서 앞쪽하방으로 경사된 벼베기프레임(50)과, 그리고 차대(45) 앞쪽의 주행프레임(126) 등의 사이에 둘러싸인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동 벼베기지지메탈(56)은 그 벼베기프레임(50)의 상단지축(55)부를 상하회동자재로 지지하는 것이다. 브레이크케이스(125)는 전술한 조향클러치(5) 및 조향브레이크(86)부에 대향하는 트랜스미션케이스(8)부 측면을 외측방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벼베기지지메탈(56)을 취부하는 제23도에 도시된 지지좌(支持座)(127)(128)는 트랜스미션케이스(8)부의 상면과, 벨트케이스(16)부의 상면과에 형성되며 볼트 등으로 체결고정된다.
제 24도는, 벼베기장치 승강용 유압회로의 유압밸브(130)를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좌우할형의 접합면(Y)에 대하여 상기 조종적(46)측의 할형케이스(131)의 외측면에 취부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성치차기구(2)나 중간치차(23), 링치차(24) 등의 좌우중앙부를 상기 접합면(Y)에 연하여 배설함으로써 상기 유압밸브(130)의 취부구조와 더불어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5도 내지 제 28도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텐션클러치풀리(40)를 변속레버(32)조작에 의한 모타(M)로 넣고 끊도록 구동연동함에 있어서 이 연동기구의 아암(94)의 핀(132)과, 로드(98)의 장공(133)과의 계합에 의해 유격을 가지게 하여 연동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최초에 로드(98)의 길이를 턴버클(97) 등으로 조정하여도 벨트(39)는 사용하고 있는 동안 늘어난다. 이 때문에 텐션클러치풀리(40)가 벨트(39)에 꽉눌려지지 않아 벨트(39)의 전동슬립(slip)을 생기기 쉽고, 작업중에 벨트(39)가 펄럭인다든지 텐션클러치풀리(40)가 진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러한 결함을 해소할 수 있다.
벨트(39)가 늘어나 텐션풀리(40)를 내리고자 할 때의 하향이동 여유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텐션풀리(40)의 상하를 로드(98)의 장공(133)과 아암(94)의 핀(132)과의 사이의 유격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98)의 선단부의 장공(134)과, 텐션풀리(40)를 갖는 텐션아암(96)의 핀(135)과를 계합하여 연동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아암(94)이 클러치의 넣음 위치일 때에 로드(98)의 장공(133)(134)의 내단에 핀(132)(135)이 닿도록 연동하고, 장공(133)(134)의 외측에 유격이 생기도록 설정한다.
상기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일 때 텐션클러치풀리(40)를 모타(M)로 끊는 것으로 된다. 이 중립(N) 위치마다에 텐션클러치풀리(40)를 넣고 끊기 때문에 타임래그가 발생하기 쉽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설정에 의해 텐션클러치풀리(40)가 넣음으로부터 끊어지도록 작동하는 때는 로드(98)의 스트로크전반에서 로드(98)의 유격분을 인장하고, 후반에서 텐션클러치풀리(40)를 끌어올리는 작동을 한다. 또한 텐션클러치풀리(40)를 끊는 것으로부터 넣는 것으로 하는 때는, 전반에서 텐션클러치풀리(40)를 내리고, 후반에서 로드(98)의 유격분을 이동하는 움직임으로 되기 때문에 타임래그는 텐션클러치풀리(40)가 끊어짐으로부터 넣어지는 경우에 줄어들어 기체를 이동시키는 스타트 때의 타임래그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텐션클러치풀리(40)가 넣음으로부터 끊어질 때는 끊어짐으로부터 넣어지는 때의 약 두 배의 타임래그로 되지만, 이 타임래그에 의해 무단변속벨트전동이 전진(F)으로부터 중립(N) 또는 후진(R)으로부터 중립(N)으로 되돌아가기까지의 타임래그를 부여할 수 있다.
136은 텐션아암(96)의 지축이고, 100은 클러치스프링이며, 90, 91은 아암(94)의 회동을 규제하는 피드백 스위치이며, 137는 벼베기입력풀리로서 입력축(1)의 동력인출풀리(18)로부터 벨트(138)로 전동된다. 130은 리프트실린더(120)의 유압승강밸브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엔진을 시동하는 안전스위치를 조종석의 페달부에 설치하여, 셀(cell)시동시에 이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해 구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페달을 밟지 않으면 엔진의 시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체가 이동하는 것이 없어 안전하다.
상기와 같은 무단변속벨트전동기구를 가지는 형태에서는 엔진 등으로 변속레버(32)가 전진(F) 또는 후진(R)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고, 재시동하는 때 기체가 급하게 이동할 위험성이 있으며, 또한 변속레버(32)를 중립(N)위치로 한 때에 텐션클러치풀리(40)를 모타(M)에 의해 자동적으로 끊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레버(32)의 움직임이 직접변동되지 않고 변속레버(32)가 중립(N)위치에 있기 위해 엔진시동시에 기체가 약간 이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지만 상기 안전스위치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변속벨트(13)의 변속을 행하는 변속레버(32)는 그 상단부의 덮개부(32a)에 입력클러치(140)를 넣고, 끊는 수동스위치(141)를 수동조작가능하게 위치시킴과 동시에, 조종석(46) 횡측의 조종대(47)에 설치된 브라ㅋ트(65)에, 레버축(66)에 의해 레버플레이트(142)와 상기 연동아암(34)을 일정의 관계위치로 보지시키면서 완충하는 연결스프링(33)에 의한 연결과, 마찰브레이크(143)에 의한 브레이크에 의해, 변속레버(32)의 흔들거림을 방지하여 전후회동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전후방향에로의 회동조작으로 중립(N)위치로부터 전방의 정전(F)위치로 조작함에 따라 전진고속으로 무단변속할 수 있고 후방의 역전(R)위치로 조작함에 따라 후진고속으로 무단변속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32)의 중립위치에 있어서 레버플레이트(142)에 설치된 따냄부(142A)에, 브라ㅋ트(65)에 취부된 위치검출스위치(144)의 접촉자(144A)가 접촉하여 OFF하고, 이 OFF에 의한 텐션아암(96)에 지지된 텐션풀리(40)를, 클러치모타(147)의 비작용(非作用)에 의해 로드(145)를 개재하여 복귀스프링(146)의 복귀력으로 전동벨트(39)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고, 상기 엔진풀리(148)로부터 입력풀리(17)로의 동력전달을 끊음으로 하는 입력클러치(140)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클러치모타(147)를 제어하는 위치검출스위치(144)의 전기회로로 그 수동스위치(141)를 병렬로 접속한다.
중립(N)위치에 있어서 위치검출 스위치(144)가 OFF로 되고 입력클러치(140)가 끊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는 때는 주행발진시 등에 있어서 변속레버(32)의 변속조작하증이 무겁게 되기 때문에, 이 때는 변속레버(32)의 변속조작을 행하기 전에 수동스위치(141)를 ON시켜 입력클러치(140)를 넣도록 하여 전동벨트(39)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변속조작하증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주행발진후는 위치검출스위치(144)가 ON으로 되기 때문에 수동스위치(141)는 OFF로 되어도 입력클러치(140)는 넣어진 상태를 지속한다.
또한, 제31도에 있어서는 상기예와 달리, 상기 위치검출스위치(144)의 접촉자(144A)를 변속레버(32)의 레버플레이트(142)에 설치된 따냄부(142A)에 당접하여 OFF시키는 구성으로 하지 않고, 변속레버(32)의 슬라이딩 홈부(149)에 돌출부(149A)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149A)에 변속레버(32)를 계합시킴으로써 위치검출 스위치(144)를 OFF시켜 상기 입력클러치(140)를 끊음으로써 전동벨트(39)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중립(N)위치로부터 변속조작을 행하는 때는, 상기 예와 같이, 별도로 수동스위치(141)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변속레버(32)의 조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위치검출스위치(144)를 ON시켜서 입력클러치(140)를 넣어 전동벨트(39)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변속조작하중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2도 내지 제40도에는 변속부의 냉각과 관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이를 상술한다.
제32도 내지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랭팬(110)는 풀리축(1B)의 풀리(11)의 측면, 풀리축(4B)의 풀리(12)의 측면 등에 일체 구성으로서 핀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풀리(11)(12)의 회전에 의해 벨트케이스(16)내에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벨트케이스(16)의 내부로 냉각풍을 불어보내기 위하여 이 벨트케이스(16)의 상기 엔진(E)측과는 반대측에 풀리축(1B)의 공랭팬(110)의 축방향에 대향시켜 흡기구(111)를 설치하며, 전방에서 풀리축(4B)의 공랭팬(110)의 방사방향으로 배풍구(排風口)(112)를 설치하고 있다. 무단변속벨트전동에 의해 이들 공랭팬(110)의 회전에 의해 벨트케이스(16) 내를 외기가 통하기 때문에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공랭을 행할 수 있다. 113은 벨트케이스(16)의 하측에 형성한 소제구(114)를 개폐하는 카바이다.
제36도에 있어서 상기예와 다른 점은 벨트케이스(16)와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외폐부(外閉部)를 흡기카바(115)로 덮는 것으로서, 이 흡기카바(115)에 엔진(E)과 반대측으로 흡기구(111)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벨트케이스(16)의 흡기구는 상기 엔진(E)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배풍구(112)의 앞쪽에는 배풍(排風)을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배풍카바(115A)를 설치하여 배풍의 상승에 의해 먼지를 조정석(46)측으로 비산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37도 및 제38도에는 벨트케이스(16) 내벽에 공랭팬(110)의 외주단 근방위치로부터 풀리(12)의 외측면근방위치까지 내측으로 향하여 융기한 안내돌출부(116)을 설치함으로써 이 안내돌출부(116)에 의해 공랭팬(110)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바람을 무단변속벨트 전동계(13)측으로 향하게 하여, 특히 열발생원으로 되는 벨트(13)의 고온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공랭팬(110A)(110B)에 의해 일으켜진 바람에 의해 벨트케이스(16)내로 외기가 통하기 때문에 트랜스미션케이스(8)의 공랭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랭팬(110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벨트케이스(16)의 내벽으로부터 공랭팬(110A)의 폭만큼 돌출시켜 공랭팬(110B) 방향을 개방시킨 바람막이(風胴)(117)을 구성함으로써 이 바람막이(117)에 의해 강력해진 냉각풍을 무단변속벨트로 불어보내 냉각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배풍구(112)는 앞쭉의 벼베기프레임(50), 좌우양측부의 트랜스미션케이스부 및 리프트실린더(120) 등에 의해 둘러싸이는 구성이므로 지푸라기나 진흙 등으로 막히지는 않는다.
제40도에 있어서 상기예와 다른 점은 벨트케이스(16)의 내주면에 리브(118)를 형성하여, 풀리(11)(12)에 일체로 구성 한 공랭팬(110)의 회전에 의해 일으켜진 바람을 쐬어 트랜스미션케이스의 냉각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벨트케이스(16)의 측면에는 축수부의 둘레에 흡기구(111)를 배설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는 주행클러치(40)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구동치차(9)와 링치차(10)와의 치합에 의해 일정속도로의 전동을 이루는 정속전동계와 상기 주행클러치 및 벨트식 무단변속 전동계와로 유성치차기구에 구동회전을 입력하고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작동에 의해 상기 유성치차기구의 출력회전을 정역방향으로 무단변속 및 정지가능하도록 한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에 있어서, 전동정지시 변속레버(32)의 조작을 자유로이 행할 수 있고, 이 변속레버(32)의 중립위치(N) 영역을 넓히고 중립위치 영역에서의 변속레버(32)의 조작으로 주행클러치(40)를 넣고 끊도록하여 무단변속벨트(13)의 변속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주행클러치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정속전동계(定速傳動系)와 상기 주행클러치 및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무단변속전동계와로 유성치차기구에 구동회전을 입력하고,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작동에 의해 상기 유성치차기구의 출력회전을 정, 역방향으로 무단변속 및 정지가능하도록 한 주행전동장치에 있어서, 변속레버와 동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변속작동하는 변속레버아암과의 사이에 상기 변속레버와 변속레버아암과의 상대 위치를 일정하게 보지하기 위하여 부세하는 상대위치 보지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변속레버의 중립위치 또는 그 부근에서의 조작에 관련하여 상기 주행클러치를 끊도록 하는 연계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위치보지수단은 상기 변속레버와 동 변속레버에 의해 연동되어 무단변속벨트를 변속하는 변속연동기구의 연동아암과의 사이에 설치된, 변속레버에 대하여 일정위치로 연동아암을 되돌리는 복귀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와 주행클러치와의 연계수단은 변속레버의 중립위치 영역에서의 조작에 의해 단속되는 중립위치스위치와, 이 중립위치스위치의 단속에 의해 출력되어 정역회전하는 전동모우터와, 그리고 동 전동모우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주행클러치를 넣고 끊도록 연계된 일련의 작동로드 및/또는 아암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변속 조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풀리의 측면과 변속풀리의 측면 양자에 또는 이들 중의 어느 한 쪽에 일체구성으로서 공랭팬을 형성하고, 이들 풀리의 회전에 의해 일으켜진 냉각풍이 벨트케이스 내부에 통하도록 벨트케이스에 소정의 흡기구 및 배풍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KR1019940003341A 1994-02-24 1994-02-24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KR014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341A KR0140746B1 (ko) 1994-02-24 1994-02-24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341A KR0140746B1 (ko) 1994-02-24 1994-02-24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09A KR950025309A (ko) 1995-09-15
KR0140746B1 true KR0140746B1 (ko) 1998-06-01

Family

ID=1937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341A KR0140746B1 (ko) 1994-02-24 1994-02-24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09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4806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2330891A1 (en) Tensioning device for a flexible driving element
ATE465361T1 (de) Antriebseinheit und zweiradfahrzeug damit
CA1096200A (en) Variable speed drive
KR0140746B1 (ko) 주행전동장치의 변속조작장치
KR100955857B1 (ko) 콤바인
JPH0642599A (ja) 駆動力の伝達方法及びその装置
DE69516777T2 (de) Stufenloses, automatisches und handbetätigtes, mehrgängiges Keilriemengetriebe
NO155271C (no) Remtransmisjon for motordrevne gressklippere.
JP3360369B2 (ja) コンバイン等の走行伝動装置
JPS5824662Y2 (ja) 動力伝動用ベルトの多軸伝動装置
JP2018154192A (ja) 作業車
JP2896700B2 (ja) 除雪機
JP3582086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伝動装置
JP4691832B2 (ja) コンバイン
JP3629714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伝動装置
IT247757Y1 (it) Trasmissione automatica a variatore continuo perfezionata particolarmente per motocicli o simili
JPH017618Y2 (ko)
JP2906446B2 (ja) 農業用走行車の変速装置
JP2949751B2 (ja) 草刈機の伝動装置
JPH07327468A (ja) 農作業車等の走行伝動装置
RU2001110176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H07163229A (ja) コンバイン等の刈取伝動装置
JPH09175208A (ja) 作業車の伝動構造
JPH0681947A (ja) ベルト式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