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42Y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42Y1
KR0140742Y1 KR2019940038747U KR19940038747U KR0140742Y1 KR 0140742 Y1 KR0140742 Y1 KR 0140742Y1 KR 2019940038747 U KR2019940038747 U KR 2019940038747U KR 19940038747 U KR19940038747 U KR 19940038747U KR 0140742 Y1 KR0140742 Y1 KR 0140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elastic member
vehicle body
flui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865U (ko
Inventor
한용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8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42Y1/ko
Publication of KR960020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60G2204/4106Elastokinematic mounts
    • B60G2204/41062Elastokinematic mounts hydromounts; interconnected mounts

Abstract

본 고안은 휠에 횡력이 가해질 때 잭 업(Jack Up)과 잭 다운(Jack Down)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회 안정성 향상으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토오션 비임 현가장치에 있어서, 레터럴 로드를 액슬과 차체에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에 2개의 유체실을 갖은 유체 봉입식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횡력의 입력 방향에 따라 상기 유체가 유동되면서 차체를 하측으로 당겨주거나 상측으로 밀어주어 차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현가장치의 배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제3도는 휠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횡력을 받을 때의 작동 상태도.
제4도는 휠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횡력을 받을 때의 작동 상태도.
제5도는 종래 현가장치의 설명을 위한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액슬 4 : 휠
6 : 차체 8 : 레터럴 로드
10,12 : 연결부 14,16 : 탄성부재
18,20 : 격벽 22,26 : 제1유체실
24,28 : 제2 유체실 30,32 : 관로
34 : 보스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오션 비아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휠에 횡력이 가해질 때 잭 업(Jack Up) 잭 다운(Jack Down)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회 안정성 향상으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키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라 함은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력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 등을 이겨낼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연결이 견고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는 구조상으로 일체 차축 현가장치와, 독립현가장치로 구분되는데, 일체 차축 현가장치는 버스, 화물차등과 같은 대형차량과 승용차의 뒤차축에 적용되며, 독립 현가장치는 차축을 분할하여야 휠이 서로 관계없이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서 승용차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안전성에 있어서는 차체의 진동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자동차는 주행중에 차체의 상하진동(Bounce) 이외에 로울링(Rolling), 피칭(Piching), 요우잉(Yawing)이 일어나기 마련이며, 이들 진동을 현가장치에서 유연하게 흡수하여야만 승차감은 물론 안정성이 향상 된다.
이와같은 차체의 진동에 있어서, 자동차의 선회시에 발생되는 진동은 차체가 옆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뜻하는 로울링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의 로울링이 선회시의 안전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현가장치에는 상기와 같은 로울링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서, 제5도와 같은 토오션 비임형 현가장치를 들 수가 있다.
상기 토오션 비임형 현가장치는 토오션 비임으로 이루어지는 액슬(100)의 양측단에 휠(1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의 액슬(100) 일측단과 그의 반대측 차체(104) 저면을 연결하는 레터럴 로드(106)를 배치하며, 상기 액슬의 양측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로울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휠에 횡력이 가해질 때, 차체에 잭 업과 잭 다운현상이 발생된다는 폐단이 있다.
즉, 제5도에서 횡력이 일점쇄선이 화살표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해지면 레터럴 로드(106)의 상단 연결부가 차체(104)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결과가 되므로 잭업 현상이 발생되고, 반대고 이점쇄선의 화살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횡력이 가해지면 레터럴 로드(106)가 차체(104)를 하측으로 당기는 결과가 되어 잭다운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선회 안정성과 조정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토오션 바아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휠에 횡력이 가해질 때 잭 업(Jack Up)과 잭 다운(Jack Down)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회 안정성 향상으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오션 비임 현가장치에 있어서, 레터럴 로드를 액슬과 차체에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에 2개의 유체실을 갖는 유체봉입식 탄성부재를 배치하고, 횡력의 입력 방향에 따라 유체가 유동되면서 차체를 하측으로 당겨주거나 상측으로 밀어주어 차체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토오션 비임형 현가장치의 배면도로서, 이의 현가장치는 토오션 비임으로 이루어지는 액슬(28)의 양측단에 휠(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의 액슬(2) 일측단과 그의 반대측 차체(6) 저면을 연결하는 레터럴 로드(8)를 배치하며, 상기 액슬의 양측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레터럴 로드(8)를 액슬(2)과 차체(6)에 연결하여주는 연결부(10)(12)에 적용되는 탄성부재(14)(16)를 제2도에서와 같이 중간부에 격벽(18)(20)을 갖고 분리되어 제1,2유체실(22)(24),(26)(28)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하측 탄성부재(14)는 격벽(18)이 수직의 상태로 배치되어 우측에 제1 유체실(22), 그리고 좌측에 제2 유체실(26)을 갖도록 하였으며, 상측 탄성부재(16)는 격벽(20)이 수평의 상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제1 유체실(24), 그리고 하측에 제2 유체실(28)을 갖도록 하였으며, 상기 하측 탄성부재(14)의 제1 유체실(22)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2 유체실(28)과 관로(30)로 연통시키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4)의 제2 유체실(26)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1 유체실(26)과 관로(30)로 연통시켰다.
이에따라 휠(4)에 횡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제2도와 같은 평형의 상태가 유지되며, 이의 상태에서 선회등으로 제1도의 일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횡력이 가해지면 액슬(2)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제3도에서와 같이 하측 탄성부재(14)의 보스(34) 부분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제2 유체실(26)을 가압함으로써, 이의 제2 유체실(26)의 유체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1 유체실(26)로 공급되어 차체를 하측으로 당기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차에의 잭업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횡력이 제1도의 이점쇄선 화살표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해지면 액슬(2)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제4도에서와 같이 하측 탄성부재(14)의 보스(34) 부분이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유체실(22)을 가압함으로써, 이의 제1 유체실(22)의 유체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2 유체실(28)로 공급되어 차체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발휘하게 되는 바, 차체(6)의 잭 다운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차량이 좌측으로 선회할 때에는 차체가 우측으로 기울어 지지않도록 차체의 좌측을 하측으로 당겨주고, 차량이 우측으로 선회할 때에는 차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차체의 좌측을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선회시 차체(6)의 로울링을 방지하여 선회 안정성과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토오션 바아가 적용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휠에 횡력이 가해질 때 잭 업(Jack Up)과 잭 다운(Jack Down)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회 안정성 향상으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토오션 비임 현가장치에 있어서, 레터럴 로드(8)를 액슬(2)과 차체(6)에 연결하여주는 연결부(10(12)에 적용되는 탄성부재(14)(16)를 중간부에 격벽(18)(20)을 두고 제1,2 유체실(22),(24),(26),(28)을 형성하되, 상기 하측 탄성부재(14)는 격벽(18)이 수직의 상태로 배치되어 우측에 제1 유체실(22), 그리고 좌측에 제2 유체실(26)을 갖도록 하고, 상측 탄성부재(16)는 격벽(20)이 수평의 상태로 배치되어 상측에 제1 유체실(24), 그리고 하측에 제2 유체실(28)을 갖도록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4)의 제1 유체실(22)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2 유체실(28)과 관로(30)로 연통시키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4)의 제2 유체실(26)은 상측 탄성부재(16)의 제1 유체실(26)과 관로(30)로 연통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9940038747U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40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47U KR0140742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747U KR0140742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865U KR960020865U (ko) 1996-07-18
KR0140742Y1 true KR0140742Y1 (ko) 1999-04-01

Family

ID=1940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747U KR0140742Y1 (ko) 1994-12-30 1994-12-30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865U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6160B2 (en)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US20050073124A1 (en) Independent front wheel suspension,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front wheel suspension, and method of producing a sprung suspension
US2888271A (en) Link supported axle suspension
KR0136259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40742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CN109050187B (zh) 商用车、独立悬架结构及悬架支撑臂
US4323264A (en) Trailer load supporting assembly
CN201148111Y (zh) 一种适用于重型卡车的全空气悬架装置
KR10031380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0180374B1 (ko) 저상 버스용 전륜 독립 현가장치
KR200197873Y1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 장치
KR100261417B1 (ko) 앞 현가장치의 액슬지지구조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KR100220151B1 (ko) 자동차의 멀티링크 현가장치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0145652B1 (ko) 트럭의 후륜 2차축 현가장치
KR100667429B1 (ko) 자동차용 스트럿바
KR100229273B1 (ko) 소형화물차의 시트 유동 방지 장치
KR200274549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82684B1 (ko) 자동차용 리어 서스펜션부의 고정구조
JPH02227382A (ja) 自動車の車体支持装置
JPH0526761U (ja) キヤブサスペンシヨンの構造
KR980007139U (ko) 자동차의 현가 장치
KR19980043884A (ko) 리어 서스펜션의 링크장착구조
KR1998005410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