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65Y1 -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65Y1
KR0140665Y1 KR2019960026290U KR19960026290U KR0140665Y1 KR 0140665 Y1 KR0140665 Y1 KR 0140665Y1 KR 2019960026290 U KR2019960026290 U KR 2019960026290U KR 19960026290 U KR19960026290 U KR 19960026290U KR 0140665 Y1 KR0140665 Y1 KR 0140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rive
drive motor
sea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2710U (ko
Inventor
조유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6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12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2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24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using electric or hydraul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통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를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1)의 내측으로 설치·고정되도록 한 정·역의 구동모터(10)와; 상기 시트(1)의 측부로 힌지(21) 결합하되 일측이 열리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걸이부(23)와 상기 걸이부(23)의 열릴 공간으로 삽입되어 힌지 결합하는 지지부(24)로 이루어지며,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팔걸이(2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축에 설치된 기어(11)와 상기 구동축의 기어(11)에 대응하여 치(齒) 결합하는 기어(22)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자동차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0)를 구동되게 조작하는 구동 스위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팔걸이(20)의 회전 중심인 힌지(21)의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팔걸이(20)의 힌지(21)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단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본 고안은 자동치 시트의 팔걸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의 내측으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일측에형성된 팔걸이를 시트의 측부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 스위치 조작으로 팔걸이를 상승 및 하강시켜 팔을 걸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팔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경우에 중형 이상의 승용자에는 뒷자석에 팔걸이를 설치하는 경우는 있어도 소형 자동차의 경우는 팔걸이를 설치하지 않는다. 더구나 앞좌석의 경우에는 별도의 팔거이를 시트에 설치하지는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승차감의 증대와 편익을 제공하고자 고안된 것이 토어의 트림(Trim) 부분에 형성된 팔걸이다. 이 도어측에 형성된 팔걸이는 비록 딱딱하기는 하나 승차자로 하여금 편익을 도모하는데 일조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자동차에 갖가지 편의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서 이 편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더우측 팔걸이에 설치되어 팔걸이로서의 기능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경향이다. 더우기 운전석 쪽의 도어측 팔걸이에는 운전자가 차량내의 모든 편의 장치를 조작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스위치와 편의물들이 설치되어 있어 팔걸이로서의 기능은 없는 것이나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도어측 윈도우를 하강시켜 왼팔을 차량의 외측으로 내민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이로 인한 차량의 증가로 도심지 도로는 출·퇴근 시간을 정점으로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자동차의 물결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차량들은 제속도를 내지 못하고 서행을 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들은 대부분이 운전대로부터 한 손으로 운전을 하고, 다른 한 손은 쉬게 하는데 역시 팔을 걸을 수있는 마땅한 것이없기 때문에 도어측 윈도우를 열고 팔을 걸치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처럼 도어측 윈도우를 하강시켜 놓고 차량의 외측으로 팔을 내민 상태는 위험할 뿐만 아니라 압박되어 팔이 저려 오는 경우도 발생하여 운전에 장애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운전 중에 도어측 윈도우를 하강시킨 상태로 팔을 걸치는 것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팔에 무리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위치 조작에 의한 팔걸이를 구성하여 운전자가 주행중에 차량이 밀려 서행할 경우 한 손을 쉬게 하고자할 때, 또는 운전자의 필요에 의해 팔을 걸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점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내측으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일측에 형성된 팔걸이를 시트의 측부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 스위치 조작으로 팔걸이를 상승 및 하강시켜 팔을 걸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팔걸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트의 팔걸이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자동차의 스트의 회전식 팔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내측으로 설치·고정되도록 한 정·역의 구동모터와; 상기 시트의 측부로 힌지 결합하되 일측이 열리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열린 공간으로 삽입되어 힌지 결합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팔걸이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기어와 상기 구동축의 기어에 대응하여 치(齒) 결합하는 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자동차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되게 조작하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팔걸이의 회전 중심인 상기 힌지의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단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고안의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를 나타낸 사이도이다.
제2도는 제1도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제3a도는 제1도의 팔걸이 부분만을 나타내 것으로 팔걸이가 하강된 상태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팔걸이가 상승한 상태의 상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브래킷 10 : 구동모터
11,22 : 기어 20 : 팔걸이
21 : 힌지 23 : 걸이부
24 : 지지부 30 : 구동 스위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제3a도는 제1도의 팔걸이 부분만을 나타내 것으로 팔걸이가 하강된 상태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팔걸이가 상승한 상태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르는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1)의 내측으로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10)가 설치·고정된다. 그리고 시트(1)의 내측으로 자동차의 진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브래킷(5)이 설치되어 시트(1)의 측부에서 브래킷(5)을 관통하여 힌지(21)결합되는 팔걸이(20)가 구성된다. 이때 이 팔걸이(20)는 구동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연동된다.
한편 구동모터(10)에 의한 팔걸이(20)의 연동은 구동모터(10)의 구동축에 기어(11)를 설치하고, 이 구동축의 기어(11)에 대응하여 치(齒)결합하는 기어(22)를 상기 팔걸이(20)의 회전 중심인 힌지(21)의 일단에 설치하여 상구 구동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팔걸이(20)의 힌지(21)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단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팔걸이(20)의 힌지(21)는 팔걸이(20)의 후단에 체결되어 브래킷(5)을 관통하여 그 끝단으로 기어(22)가 형성되어 구동모터(10)의 구동축에 구비된 기어(11)와 치 결합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 실내의 일측에는 구동모터(10)를 구동되게 조작하는 구동 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이 구동 스위치(30)는 구동모터(10)를 정·역회전을 조작하여 팔걸이(20)를 상·하로 이동되게 하는데, 그 전기적인 구성은 당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전동식 윈도우 승강장치와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스위치(30)를 상시 오프스위치로 구현한 상태에서, 구동 스위치(30)를 들어 올리는 동안에는 팔걸이(20)가 상승되게 하고, 아래로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팔걸이(20)가 하강되도록 구성할 수있다.
그리고 팔걸이(20)는 제3a도 및 제3b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열리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걸이부(23)와 걸이부(23)의 열린 공간으로 삽입되어 힌지 결합하는 지지부(24)로 이루어지는데, 걸이부(23)와 힌지 결합되는 부분의 지지부(24) 끝단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서 운전자가 구동 스위치(30)를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이렇게 들어 올리는 동안에 구동모터(10)가 예를 들어 정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이 치(齒) 결합된 기어(22),(21)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므로써 팔걸이(20)를 상승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운전자가 구동 스위치(30)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이렇게 누르는 동안에 구동모터(10)가 예를 들어 역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된 회전력이 치(齒)결합된 기어(22),(21)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므로써 팔걸이(20)를 하강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시트 일측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강되는 팔걸이를 설치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로 하여금 필요에 의한 사용을 하게 함으로서, 팔을 올려 놓게되어 승차감의 향승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1)의 내측으로 설치·고정되도록 한 정·역의 구동모터(10)와; 상기 시트(1)의 측부로 힌지(21) 결합하되 일측이 열리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걸이부(23)와 상기 걸이부(23)의 열린 공간으로 삽입되어 힌지 결합하는 지지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팔걸이(20)와;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축에 설치된 기어(11)와 상기 구동축의 기어(11)에 대응하여 치(齒) 결합되는 기어(22)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 및 자동차 실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10)를 구동되게 조작하는 구동 스위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팔걸이(20)의 회전 중심인 힌지(21)의 일단에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팔걸이(20)의 힌지(21)를 중심축으로 하여 자유단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KR2019960026290U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KR0140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290U KR0140665Y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290U KR0140665Y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710U KR19980012710U (ko) 1998-06-05
KR0140665Y1 true KR0140665Y1 (ko) 1999-04-01

Family

ID=19465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290U KR0140665Y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6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2710U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783760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avillon escamotable dans une porte transversale arriere
FR2783759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avillon escamotable dans une porte transversale arriere
KR0140665Y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식 팔걸이 장치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JPH051481Y2 (ko)
KR970004322Y1 (ko) 자동차용 원격제어 햇빛 차단장치
JP2005313747A (ja) 車輌用窓装置
KR200142063Y1 (ko) 자동차의 이중 리프트암 작동형 윈도우 리프터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KR970005631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리프팅 장치
KR200187131Y1 (ko) 승합차용 출입구 보조발판
KR200202997Y1 (ko) 승합차량의 사이드스텝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JP2000272383A (ja) キャブオーバー型車両のシート昇降装置
KR0128668B1 (ko) 차량용 수상기 설치방법 및 그 장치
KR200149126Y1 (ko)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의 햇볕 가리개
JP2510060Y2 (ja) 貨物自動車用の透窓付ドアに於けるウインドレギュレ―タ―機構
KR19980025912U (ko) 자동차의 주차 및 탈주차 장치
KR19980052002U (ko) 제동력을 갖는 스포일러
JP200508871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586671U (ja) 自動車用シート
KR970069600A (ko) 자동차용 후방 백미러
KR19980060263A (ko) 버스용 승객 보호대
KR19980031689U (ko) 룸램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