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689U - 룸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룸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689U
KR19980031689U KR2019960044852U KR19960044852U KR19980031689U KR 19980031689 U KR19980031689 U KR 19980031689U KR 2019960044852 U KR2019960044852 U KR 2019960044852U KR 19960044852 U KR19960044852 U KR 19960044852U KR 19980031689 U KR19980031689 U KR 19980031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lamp
lamp assembly
fixed
head lining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689U/ko
Publication of KR19980031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8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룸램프 어셈블리(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어셈블리는, 헤드 라이닝(12)에 고정되는 리테이너(26);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부분(30)이 상기 리테이너(26)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수납되는 로드부재(28); 및 상기 로드부재(28)의 다른단부에 고정되는 룸램프(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룸램프 어셈블리
본 고안은 룸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라이닝에 설치되므로써 국부조명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룸램프 점등시에도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장하게 되는 룸램프 어셈블리(Room Lamp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룸램프는 차실내부에서 프런트 시트와 리어 시트의 사이에서 헤드 라이닝에 설치되고, 야간운전시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차실내부를 조명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가 헤드 라이닝에 부착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에는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50)는 룸램프(56)를 포함하고, 룸램프(56)는 헤드 라이닝(52)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룸램프(56)에는 룸램프 커버(58)가 씌워지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에 있어서는, 룸램프가 헤드 라이닝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야간주행시 국부조명이 불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며, 룸램프 점등시 운전자의 시계가 악화되어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라이닝에 설치되므로써 국부조명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룸램프 점등시에도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장하게 되는 룸램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가 헤드 라이닝에 부착되는 양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룸램프 어셈블리에 대한 회전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룸램프 어셈블리12, 52: 헤드 라이닝
14: 루프패널16, 56: 룸램프
18, 58: 룸램프 커버20: 제 1기어부재
22: 모터24: 제 2기어부재
26: 리테이너28: 로드부재
30: 볼부분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룸램프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어셈블리는, 헤드 라이닝에 고정되는 리테이너;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부분이 상기 리테이너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수납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다른단부에 고정되는 룸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룸램프의 바닥면에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는 한 쌍의 기어부재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각각의 기어부재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써 룸램프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룸램프가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라이닝에 부착되므로써, 차실내부의 국부조명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룸램프 점등시에도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고,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에는 도 3의 룸램프 어셈블리에 대한 회전구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룸램프 어셈블리(10)는 룸램프(16)를 포함하며, 룸램프(16)의 바닥면 즉 헤드 라이닝(12)측 표면에는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는 한 쌍의 제 1기어부재(20)가 서로 직교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룸램프(16)는 헤드 라이닝(12)에 고정되는 룸램프 커버(18)에 의해 지지된다. 헤드 라이닝(12)과 루프 패널(14)의 사이에는 한 쌍의 모터(22)가 서로 직교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각각의 모터(22)의 출력축에는 상기 각각의 제 1기어부재(20)에 맞물리는 제 2기어부재(24)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차실내에 제공되는 별도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하나의 모터(22)를 구동시키므로써 룸램프(16)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차실내부에서의 국부조명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헤드 라이닝(12)에는 리테이너(26)가 고정되며, 룸램프(16)의 상기 바닥면에는 로드부재(28)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로드부재(28)의 다른단부에는 볼부분(30)이 형성되고, 볼부분(30)은 상기 리테이너(26)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룸램프(16)에 힘을 가하여 볼부분(30)을 리테이너(26)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므로써, 룸램프(16)가 수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룸램프가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헤드 라이닝에 부착되므로써, 차실내부의 국부조명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룸램프 점등시에도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룸램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헤드 라이닝에 고정되는 리테이너;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부분이 상기 리테이너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수납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의 다른단부에 고정되는 룸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룸램프의 바닥면에 반원형의 형상을 취하는 한 쌍의 기어부재가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각각의 기어부재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므로써 룸램프가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램프 어셈블리.
KR2019960044852U 1996-11-30 1996-11-30 룸램프 어셈블리 KR199800316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52U KR19980031689U (ko) 1996-11-30 1996-11-30 룸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52U KR19980031689U (ko) 1996-11-30 1996-11-30 룸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89U true KR19980031689U (ko) 1998-08-17

Family

ID=5398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852U KR19980031689U (ko) 1996-11-30 1996-11-30 룸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68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1689U (ko) 룸램프 어셈블리
KR100501653B1 (ko) 맵기능과 룸기능을 동시에 갖는 오버헤드 콘솔램프
JP2597467Y2 (ja) アシストグリップ兼用ルームランプ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0123279Y1 (ko) 자동차 실내등의 설치 구조
JPS6346269Y2 (ko)
JPH0326039Y2 (ko)
JPH0139244Y2 (ko)
KR0118990Y1 (ko) 자동차용 이중 선바이저 장치
KR0137890B1 (ko) 자동차용 독서등
KR0142351B1 (ko) 상용차용 백밀러의 절첩장치
KR0125727Y1 (ko) 화장용 거울 및 독서등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9980052193U (ko) 자동차용 멀티 룸 램프
KR0129568Y1 (ko)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KR0153149B1 (ko) 자동차용 안개등
KR970074324A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장치
KR200149126Y1 (ko)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자동차의 햇볕 가리개
KR0151771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룸 램프
KR19990015529U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200155442Y1 (ko) 자동차용 방향 전환용 실내등 구조
KR200151996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일체형 실내후사경구조
KR0114247Y1 (ko) 자동차용 보조제동등
KR19980051965U (ko) 룸램프 어셈블리
KR19990002915U (ko) 승용차용 보조제동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