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68Y1 -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68Y1
KR0129568Y1 KR2019960003352U KR19960003352U KR0129568Y1 KR 0129568 Y1 KR0129568 Y1 KR 0129568Y1 KR 2019960003352 U KR2019960003352 U KR 2019960003352U KR 19960003352 U KR19960003352 U KR 19960003352U KR 0129568 Y1 KR0129568 Y1 KR 0129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mirror
gear
power transmiss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468U (ko
Inventor
이건환
Original Assignee
김재석
풍정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석, 풍정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석
Priority to KR2019960003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68Y1/ko
Publication of KR970051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러 하우징에 내장되며 양분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몸체, 이 몸체에 내설된 모터와 제1기어, 상기 글래스 홀더와 결합되는 작동자를 갖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50) 일측내의 구형상(球形狀)을 갖는 공간부(51)에 내설되어 제1기어(53)에 이물림되는 기어부(54A)를 갖는 구형상(球形狀)의 회전부재(54)가 작동자(55)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되, 글래스 홀더(3)와 작동자(55)의 결합중심이 원주궤적(S)상에서 중심이동변화(I↔Ⅱ↔Ⅲ)에 따라 작동자(55)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회전부재(54)가 공간부(51)내에서 작동자(55)와 같이 기울어지므로써, 작동자(55)하부의 나사걸림부(55B)가 상부 케이스(50B)의 볼트부(56)를 타고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회전부재(54)의 회전운동을 작동자(55)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동력이 단속되지 않고 전달되어 글래스 홀더(3)의 원호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동력전달과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이 원활함에 따라 차량후방의 시계확보에 만전을 기하게 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소음발생과 모터의 과부하 및 이상부하에 따른 손상까지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횡단면도.
제2도는 종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3도는 종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로서, (a)는 일부를 생략한 횡단면도, (b)는 (a)의 요부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를 일부를 절개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를 일부를 절개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에서, (a)는 일부를 절개 도시한 동력전달수단의 사시도, (b)는 (a)의 분리 예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부를 절개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한 미러의 동력전달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몸체 51 : 공간부
54 : 회전부재 54A : 기어부
54B : 관통공 54C : 리브
55 : 작동자 55A : 가이드
55B : 나사걸림부 56 : 볼트부
57 : 개구공 58 : 커버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을 위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양측 도어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중이나 후진시 차량후방의 시계를 확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후방의 도로상태, 차량주행상태등의 제반상황을 인식하도록 하므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차량운행전에 미리 후방시계확보에 용이한 각도로 수동레버를 돌려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수동식과, 차량내에서 운행전 또는 주행중에도 리모트 컨트롤장치를 조작하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된 전동식으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운전자 혼자서 차량운행중에 예기치 못한 차량간의 접촉 또는 특정 이유로 인해 아웃사이드 미러를 통한 후방의 시계가 안전운행에 부적합할 때 특히 우측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주행중이라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편의성 때문이다.
이러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제1도와 같이 차체의 양측 도어(D)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 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힌지결합되는 미러 하우징(2), 이 미러 하우징(2)에 내장되어 미러 글래스(4)를 고정하는 글래스 홀더(3)를 갖는 기본적인 구성에, 차량내에서 리모트 컨트롤장치의 조작에 따라 차량용 축전지로부터 미러 하우징에 내장된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가 정 역회전되면 미러 글래스가 부착된 글래스 홀더를 그 중심의 고정수단을 축으로 원호회전하게 하므로써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력전달장치(5)가 부가된 것이다.
상기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는 다수의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특히 본 고안과 관련하여 보편화된 종래의 기술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82951호와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32038호에 제시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가 제안되었는 바, 이를 첨부도면에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평1-82951호에 제시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는 제2도와 같이 미러 하우징(2)내에 내장되고 그 중심부의 고정부(11)를 연결매개로 글래스 홀더(3)와 체결되며 양분의 케이스(10A)(10B)로 이루어진 몸체(10), 이 몸체(10)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2)와 이 모터(12)의 축에 형성된 제1기어(13), 상기 제1기어(13)와 이물림되며 상기 일측 케이스(10B)의 고정축(10b)에 고정되어 단차를 갖는 제2기어(14), 상기 제2기어(14)와 이물림되는 기어부(15A)를 갖으며 이와 일체로 상기 타측 케이스(10A)의 고정축(10a)에 고정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돌설된 중심축(15B)과 이의 외주면에 나사부(15C)를 갖는 회전자(15), 이 회전자(15)의 나사부(15C)에 결합되게 내측에 나사부(16A)를 갖으며 상기 글래스 홀더(3)의 취부홈(3A)과 결합되게 상측에 구형상(球形狀)의 고정구(16B)를 갖는 작동자(16), 상기 회전자(15)의 중심축(15B)내부에 개재되는 판스프링형의 탄성부재(17)가 내설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미설명부호(18)는 작동자(16)가 개재되는 개구공이며, (19)는 작동자(16)를 지지하는 지지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력전달 및 그에 따른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은 운전자가 차량내에서 리모트 컨트롤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통전에 따른 모터(12)의 구동과 그 정 역회전에 따라 모터(12)축에 형성된 제1기어(13) 및 제2기어(14)에 의해 회전력이 감속 전달되고 제2기어(14)에 이물림된 회전자(15)는 상기 일측 케이스(10A)의 고정축(10a)을 축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15)의 중심축(15B)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작동자(16)는 그 상부의 글래스 홀더(3)와 결합된 고정구(16B)가 상기 케이스(10A)의 고정축(10a) 중심과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어 회전자(15)와 같이 회전하지 않고 회전자(1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회전자(15)와의 나사결합상태가 조여지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해 개구공(18)을 통해 몸체(10) 내·외부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고정구 (16B)에 의해 결합된 글래스 홀더(3)를 그 중심의 고정부(11)를 축으로 원호회전시켜 미러 글래스(4)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상기 평1-82951호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제시된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고정부(11)를 축으로 원호회전되는 글래스 홀더(3)의 원주궤적(S)상에서 글래스 홀더(3)와 작동자(16)의 결합중심변화 즉, 고정구(16B)의 중심이동변화(Ⅰ↔Ⅱ↔Ⅲ)에 따라 작동자(16)가 기울어지므로 회전자(15)와의 결합상태불량을 초래하여 회전자(15)의 회전운동을 작동자(16)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의 동작기능을 저하시켜 글래스 홀더(3)의 원활한 원호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B)에서 작동자(16)가 개재되는 개구공(18)의 중심이동변화(I↔Ⅱ↔Ⅲ)에 따른 작동자(16)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공간이 보상되지 못함은 물론, 소음발생과 모터의 과부하 및 이상부하에 따른 손상이 초래되기도 하였다.
한편, 상기 소58-32038호에 제시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종래 동력전달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내에 내재되고 그 중심의 고정부(21)를 연결매개로 글래스 홀더(3)와 체결되며 양분되는 케이스(20A)(20B)로 이루어진 몸체(20), 이 몸체(20)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와 이 모터(22)의 축에 형성된 제1기어(23), 이 제1기어(23)와 이물림되며 상기 일측 케이스(20A)에 고정되어 단차를 갖는 제2기어(24), 이 제2기어(24)와 이물림되는 기어부(25A)를 갖으며 그 내공부(25B)에 나사부(25C)를 갖는 회전자(25), 이 회전자(25)의 내공부(25B)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부(25C)와 결합되도록 그 외부면에 나사부(26A)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글래스 홀더(3)와 결합되는 구형상(球形狀)의 고정구(26B)를 갖는 작동자(26), 상기 회전자(25)일측에 작동자(26)를 지지하도록 체결되는 핀형상의 탄성부재(27)가 내설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동력전달과 그에 따른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은 통전에 따른 모터(22)의 구동과 그 정 역회전에 따라 모터(22)의 축에 형성된 제1기어(23)와 연속 이물림된 제2기어(24) 및 회전자(25)는 감속 회전되고 이때, 상기 회전자(25)의 내공부(25B)에 삽입된 작동자(26)는 그 일측의 탄성부재(27)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회전자(25)의 회전시 회전자(25)내부의 나사부(25C)를 타고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회전자(25)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몸체(20) 내·외부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고정구(26B)로 결합된 글래스 홀더(3)를 그 중심의 고정부(21)를 축으로 원호회전시켜 미러 글래스(4)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상기 소58-32038호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제시된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평1-82951호의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제시된 종래의 동력전달장치와 같이 고정부(21)를 축으로 원호회전되는 글래스 홀더(3)의 원주궤적(S)상에서 글래스 홀더(3)와 작동자(26)의 결합중심 즉, 고정구(26B)의 중심이동변화(Ⅰ↔Ⅱ↔Ⅲ)에 따라 작동자(26)가 기울어지므로 회전자(25)의 회전운동을 작동자(26)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달의 동작기능을 저하시켜 글래스 홀더(3)의 원활한 원호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작동자(26)의 기울어짐에 의한 소음발생과 모터의 과부하 및 이상부하에 따른 손상이 초래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미러의 각도조절시 원주궤적상에서 작동자의 중심이동변화에 따른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동력전달과 그에 따른 각도조절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작동자의 한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는 미러의 각도조절에 따른 동력전달작동시, 글래스 홀더와 작동자의 결합중심이 원주궤적상에서의 중심이동변화에 따른 작동자의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작동자와 같이 기울어지면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미러 하우징에 내장되며 양분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몸체, 이 몸체에 내설된 모터와 제1기어, 상기 글래스 홀더와 결합되는 작동자를 갖는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제4도 내지 제6도와 같이 몸체(50) 일측내에 구형상(球形狀)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공간부(51)와, 이 공간부(51)에 내설되어 상기 모터(52)와 이에 연설된 제1기어(53)에 이물림되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부(54A)를 갖으며 그 내부에는 관통공(54B)과 이 관통공(54B)의 일측 주연부에 형성된 리브(54C)를 갖는 구형상(球形狀)의 회전부재(54), 이 회전부재(54)의 관통공(54B)에 개재되어 상기 리브(54C)와 결합되도록 그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55A)와 그 하부에 연장된 나사걸림부(55B)를 갖는 작동자(5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일측 케이스(50B)에는 작동자(55)의 나사걸림부(55B)와 체결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볼트부(56)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케이스(50A)에는 원주궤적(S)상의 중심이동변화에 따라 작동자(55)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보상공간으로서 작동자(55)가 개재되는 개구공(57)을 갖으며, 이 개구공(57)에 덧씌워지도록 부착되는 커버(58)가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54)의 기어부(54A)는 회전부재(54)가 작동자(55)에 대응하여 기울어져도 모터(52)의 축과 일체인 제1기어(53)와 동력이 단속되지 않도록 소정간격의 곡면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54)의 관통공(54B)내측에 형성된 리브(54C)는 관통공(54B)에 삽입 개재된 작동자(55)의 가이드(55A)와 결합되어 충분한 회전력전달과 지지력을 만족하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그 형성갯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58)는 개구공(57)을 통한 몸체(50)내에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고무재의 부트를 이용하여 작동자(55)와 밀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자(55)와 글래스 홀더(3)의 결합은 종래와 같이 구형상의 고정구(55C)로써 결합되며 제1기어(53)와 회전부재(54)의 기어부(54A)치합은 감속을 위한 치차를 갖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7도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4)의 리브(54C)와 작동자(55)의 가이드(55A)를 반대로 형성할 수 있는 데, 만일 회전부재(54)의 회전동작시 리브(54C)의 파손이 발생되면 동력전환이 단속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 형성위치와 수량 및 길이를 역형성되게 하므로써, 회전부재(54)와 작동자(55)의 결합력보강에 따른 동력전달 및 전환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동력전달장치에 의한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작동과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와 같이 통전에 따른 모터(52)의 구동과 그 정·역회전에 따라 모터(52)의 축에 형성된 제1기어(53)와 기어부(54A)로 이물림된 회전부재(54)가 감속회전하게 되고 작동자(55)는 회전부재(54)의 관통공(54B)내에서 회전부재(54)의 리브(54C)와 가이드(55A)로 결합되어 지지된 채 나사걸림부(55B)가 볼트부(56)의 나사골을 타고 회전하며 승강되는 동작에 의해 회전부재(5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개구공(57)을 통해 몸체(50)의 내 외부로 이송됨에 따라 글래스 홀더(3)가 원호회전되어 미러 글래스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자(55) 상부의 고정구(55C)와 글래스 홀더(3)의 결합중심 즉, 원주궤적(S)상에서의 중심이동변화(Ⅰ↔Ⅱ↔Ⅲ)에 따라 기울어질 때 상기 작동자(55)와 결합되어진 회전부재(54)와 기어부(54A)는 각기 구형상과 곡면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작동자(55)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동일각도로 같이 기울어지게 되며 제1기어(53)와 단속되지 않고 모터(52)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력전달과 미러의 각도조절동작의 원활함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차량후방의 시계확보에 만전을 기할 수 있어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동력전달시의 소음발생과 모터의 과부하 및 이상부하에 따른 손상까지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미러 하우징에 내장되며 양분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몸체, 이 몸체에 내설된 모터와 제1기어, 상기 글래스 홀더와 결합되는 작동자를 갖는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50)의 일측내에 구형상(球形狀)을 갖는 공간부(51)와, 이 공간부(51)에 내설되어 상기 모터(52)와 연설된 제1기어(53)에 이물림되도록 그 외주면에 곡면형태의 기어부(54)를 갖으며 그 내부에는 관통공(54B)과 이 관통공(54B)의 일측 주연부에 형성된 리브(54C)를 갖는 구형상(球形狀)의 회전부재(54), 이 회전부재(54)의 관통공(54B)내에 개재되어 상기 리브(54C)와 결합되도록 그 외주면에 돌출된 가이드(55A)와 그 일측에 연장된 나사걸림부(55B)를 갖는 작동자(55), 상기 일측 케이스(50B)에는 작동자(5)의 나사걸림부(55B)와 체결되도록 일체로 돌출된 볼트부(56), 상기 타측 케이스(50A)에는 작동자(55)의 기울기에 따른 보상공간인 개구공(5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KR2019960003352U 1996-02-28 1996-02-28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KR0129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352U KR0129568Y1 (ko) 1996-02-28 1996-02-28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352U KR0129568Y1 (ko) 1996-02-28 1996-02-28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468U KR970051468U (ko) 1997-09-08
KR0129568Y1 true KR0129568Y1 (ko) 1998-12-15

Family

ID=1945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352U KR0129568Y1 (ko) 1996-02-28 1996-02-28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71B1 (ko) * 2007-12-13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룸미러 안테나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671B1 (ko) * 2007-12-13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룸미러 안테나의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468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5691B2 (ja) ヘツドランプ調整装置
CN1938178A (zh) 铰接致动器
KR0129568Y1 (ko)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US4824232A (en) Drive system with resilient yieldable biased actuator shaft for electric rear view mirror
US5321590A (en) Headlight adjusting device
KR0139130Y1 (ko)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동력전달장치
US5059014A (en)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JPH0530977Y2 (ko)
JPS6222001Y2 (ko)
KR0145970B1 (ko) 차량의 룸 미러 설치구조
JPS5914377B2 (ja) ハツチバツク式リヤゲ−トドアのウインドシ−ルドワイパ−装置
KR100477556B1 (ko) 자동차 외부미러의 폴딩 유니트
KR100468492B1 (ko) 차량용 조향 장치의 가변 랙 변위 장치
KR200149681Y1 (ko) 차량용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미러의 감속장치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0134639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밀러의 각도 변환구조
KR0153072B1 (ko) 자동차용 전동틸트 컬럼
JP3851407B2 (ja) ワイパー付き後視鏡
JPH0326039Y2 (ko)
JPS60148740A (ja) 車輌用バツクミラ−
KR200161422Y1 (ko) 전후 회동가능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100341864B1 (ko) 선바이저 장착구조
KR970000916Y1 (ko) 자동차용 메터 크러스터(meter cluster)
JP2572542Y2 (ja) ミラー用ワイパ装置
JPH09193713A (ja) 側前方視認ミラー装置及びその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