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455Y1 -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 Google Patents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55Y1
KR0139455Y1 KR2019960035231U KR19960035231U KR0139455Y1 KR 0139455 Y1 KR0139455 Y1 KR 0139455Y1 KR 2019960035231 U KR2019960035231 U KR 2019960035231U KR 19960035231 U KR19960035231 U KR 19960035231U KR 0139455 Y1 KR0139455 Y1 KR 0139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ir duct
attached
robot
cleaning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904U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장성수
이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수, 이기수 filed Critical 장성수
Priority to KR2019960035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4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B08B9/0497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provided with additional mechanical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턱트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내 공기조화 시스템의 에어덕트안에 쌓인 먼지 청소시 사용되는 청소용 소형로봇에 있어서, 브러쉬와, 카메라 및 조명장치등이 설치된 상측프레임을 소형바퀴가 장착된 기대와 그에 연결된 하측프레임으로부터 그 높이를 원격조정에 의하여 임의로 조절가능케 함으로써, 기준보다 높이가 낮은 에어덕트나 그 높이가 일정치 않은 에어덕트 내에서도 원활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턱트 청소용 로봇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동 배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퀴 2 : 기대
3 : 하측프레임 4' : 브러쉬축
5 : 상측프레임 6 : 높이조절수단
7 : 라인박스 8,15 : 가이드레일
9 : 링크 10 : 에어실린더
11,16 : 로울러 12 : 브러쉬모터
13 : 조명장치 14 : 카메라
C : 콘트롤 박스 D : 에어덕트
R : 로봇 M : 모니터
본 고안은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내 공기조화 시스템의 에어덕트안에 쌓인 먼지 청소시 사용되는 청소용 소형로봇에 있어서, 브러쉬와, 카메라 및 조명장치등이 설치된 상측프레임을 소형바퀴가 장착된 기대와 그에 연결된 하측프레임으로부터 그 높이를 원격 조정에 의하여 임의로 조절가능케 함으로써, 기준보다 높이가 낮은 에어덕튼나 그 높이가 일정치 않은 에어덕트 내에서도 원활히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설치된 에어덕트는 수시로 또는 정기적으로 청소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는 주로 소형바퀴가 장착된 로봇의 하측프레임의 상부에 모터로 구동되는 브러쉬가 전방에 부착되고 그 후측에 카메라와 조명장치등이 장착된 청소용 소형로봇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청소용 로봇은 로봇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통상의 건물에 비해서 건물의 천장 높이가 낮고 따라서 덕트의 형태 역시 같은 단면적내에서 폭은 넓고 높이가 낮은 형태를 취하고 있는 건물의 덕트 구조에는 원활하게 적용되지 않게 되는 불합리한 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청소용 로봇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은 건물 실정에 맞춰 특히 폭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덕트내에서도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청소용 로봇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러쉬와 카메라 및 조명장치등이 설치된 상측프레임과, 소형바퀴가 장착된 기대와 그에 연결된 하측프레임의 사이에 에어 실린더로 작동되는 수개의 링크로 구성된 높이 조절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작업수행중 덕트내의 구조상황에 따라 임의로 로봇의 높이를 원격 조절하여 원활한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한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사시도, 제2도 및 3도는 동 측면도 및 배면도로서, 본 고안의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은 정면에서 보아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있고, 바퀴(1)등이 장착된 기대(2)와, 기대(2)에 연결된 하측프레임(3) 및 브러쉬(4)등이 장착된 상측프레임(5)과, 이들 상,하측프레임(5)(3)사이에 장착되어 그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상기 기대(2)에 있어서 바퀴(1)는 이동시의 구동력을 크게 하고, 조향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4개의 모터(12)로 각각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후단에는 라인박스(7)가 설치되어 컨넥터를 통하여 전원코드와 에어관을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대(2))상에는 전방 양측에 가이드레일(8)이 장착된 하측프레임(3)이 연결, 부착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수개의 링크(9)로 조합되어 에어실린더(10)로 작동되는 높이조절수단(6)이 장착되어 있으며, 링크(9)의 전방 하단부에는 로울러(11)가 부착되어 상기 하측프레임(3)의 가이드레일(8)위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후방 하단부는 하측프레임(3)과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6)의 상측에는 브러쉬(4)가 부착되는 공지의 브러쉬축(4')과 감속기(12'), 모터(12) 및 조명장치(13)와 카메라(14)가 장착된 상측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프레임(5)의 저면 후방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5)이 부착되어 상기 높이조절수단(6)의 링크(9)의 후방 상단부에 부착된 로울러(16)가 미끄럼 접촉하고 있고, 링크(9)의 전방 상단부는 상기 상측프레임(5)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상태도로서, 청소작업시, 먼저 에어덕트(D)내에 로봇(R)을 넣고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C)를 조정하여 조명장치(13)를 켜고 카메라(14)를 작동시켜 에어덕트(D)내의 덕트 구조 상황이 모니터(M)에 나타나면, 덕트(D)의 높이에 따라 에어실린더(10)를 원격 작동시켜 링크(9)를 자바라식으로 절첩시키면, 상측프레임(5)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측프레임(5)의 전방에 부착된 브러쉬(4)에 의해 덕트(D)의 내측면에 쌓인 먼지를 떨어 내게 된다.
작업도중에 다시 덕트(D)의 높이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면 다시 에어실린더(10)를 작동시켜 상측프레임(5)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덕트(D)의 높이에 구애됨이 없이 보다 광범위하게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예의 로봇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6)과 하측프레임(3)을 분리시켜 상측프레임(5)을 기대(2)와 바로 연결하여 그 높이를 현저히 낮게 줄임으로써, 높이조절이 필요없이 그 높이가 18cm 이하로 낮게 설치된 에어덕트(D)내에서 청소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에어턱트 청소용 로봇에 의하면, 천장이 낮게 설계되어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건물이나 덕트의 높이가 일정치 않은 건물의 에어 덕트내에서 로봇의 높이를 덕트내의 구조상황에 맞게 암의로 원격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광범위한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 밖에 많은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높이조절수단(6)은 상,하측프레임(5)(3)의 사각모서리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중앙에 에어실린더를 설치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는 상, 하측프레임 사이에 스크류 기어를 장착하여 이를 감속모터로 구동시켜 그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등을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 높이조절의 방법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Claims (3)

  1. 바퀴가 설치된 공지된 기대(2)와; 그에 연결, 부착되어 일측에 가이드레일(8)이 부착된 하측프레임(3)과; 전방에 공지된 브러쉬(4)가 장착된 모터(12)와, 조명장치(13) 및 카메라(14)가 부착되어 일측에 가이드레일(15)이 부착된 상측프레임(5)과; 상기 상,하측프레임(5)(3)사이에 설치되어 그 높이가 모니터(M)의 화상에 따라 콘트롤 박스(C)의 조정에 의해 원격 조절되는 높이조절수단(6)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6)은 에어실린더(10)로 작동되는 링크(9)의 일측단부가 상기 상측프레임(15)과 하측프레임(3)의 일측에 부착된 가이드레일(15)(8)과 접촉되어 미끄럼 접촉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상,하측프레임(5)(3)과 고정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느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6)은 상측 가이드레일(8) 및 하측프레임(3)과 함께 이를 분리시켜 상측프레임(5)을 기대(2)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KR2019960035231U 1996-10-24 1996-10-24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KR0139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31U KR0139455Y1 (ko) 1996-10-24 1996-10-24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31U KR0139455Y1 (ko) 1996-10-24 1996-10-24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04U KR19980021904U (ko) 1998-07-15
KR0139455Y1 true KR0139455Y1 (ko) 1999-05-01

Family

ID=1947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231U KR0139455Y1 (ko) 1996-10-24 1996-10-24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4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23B1 (ko) * 2007-10-26 2008-07-08 주식회사 케이엠티엘 시설물 균열 상태 측정 장치
CN104408988B (zh) * 2014-11-03 2017-07-25 河南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汽车制动系统总成的立体可视教学平台
KR102113262B1 (ko) * 2019-09-26 2020-05-21 (주)이삭특장차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루프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04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5557A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US4433752A (en) Rescue system on high-rise buildings
EP0804675A1 (en) An op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device
WO2015024165A1 (zh) 一种横刮式雨刮器
KR0139455Y1 (ko) 에어덕트 청소용 로봇
CN211283309U (zh) 智慧电梯远程安全监测视频采集器
JPH05198B2 (ko)
CN208677247U (zh) 一种可防滑及无盲区清洗的幕墙机器人
JP2003176928A (ja) 空気調和機
JPH03123652A (ja) 塗装設備
EP0520475B1 (en) Geared motor for self-traveling carrier
JP2000281270A (ja) 乗客コンベア
JPH0818577B2 (ja) 壁面走行用ロボットの移動吸着盤
JP2744111B2 (ja) ケーブル敷設用マニプレータ
JPH03196991A (ja) ロボット
JP2006275349A (ja) クリーンブース、およびクリーンブースのクリーン度調整方法
JPS6237546Y2 (ko)
CN214800437U (zh) 一种从动台车架机器人的控制系统
CN215727994U (zh) 一种用于病毒检测的智能遥控车
KR960038229A (ko) 이동 가능한 전기스탠드 램프장치
JP2000118937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H02233488A (ja) リニアモータ駆動式エレベータの防塵装置
KR19990033313A (ko) 도장용 로봇의 주행장치
JP2000289963A (ja) 乗客コンベア
JPH06221072A (ja) 電動ブラインド停止位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