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250B1 -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250B1
KR0139250B1 KR1019940003042A KR19940003042A KR0139250B1 KR 0139250 B1 KR0139250 B1 KR 0139250B1 KR 1019940003042 A KR1019940003042 A KR 1019940003042A KR 19940003042 A KR19940003042 A KR 19940003042A KR 0139250 B1 KR0139250 B1 KR 013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bsorbing
handle
vibration
power tool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42A (ko
Inventor
백태인
Original Assignee
박희석
계양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석, 계양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희석
Priority to KR101994000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250B1/ko
Publication of KR95002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4Handles; Handle mountings
    • B25D17/043Handles resiliently mounted relative to the hamme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2217/0073Arrangements for damping of the reaction force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구의 기어커버(1)와 하우징(2)에 진동흡수재(8)가 부착된 진동흡수부재(5)를 매개로 핸들(4)이 연결설치되어 핸들(4)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작업자의 피로감을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동공구핸들부를 개략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a),(b)는 각각 제1도에서의 진동흡수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사용예로서, 제1도의 대응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어커버2:하우징
3:스크류4:핸들
5:진동흡수부재6:끼움부
7:지지몸체8:진동흡수부재
9:스크류고정구멍10:브라켓트
11:제1흡수재12:제2흡수재
13:완충홈14:핸들몸체
15:안착부16:끼움홈
17:핸들장착부
본 발명은 전동공구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시켜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경감시킴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햄머드릴이나 햄머와 같은 고중량의 전동공구는 작업시 비교적 큰 진동과 충격을 동반하기 때문에 대개 핸들외에 사이드핸들을 장착시켜 작업자가 양손으로 공구를 취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동공구의 핸들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기어가 내설된 기어커버(1)와 모우터어셈블리가 내장된 하우징(2)의 측면에 스크류(3)를 매개로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작업시 기어와 모우터의 동작에 따른 진동과 햄머와 작업대상물간의 충격이 상기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을 통해 핸들(4)로 직접 전달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전동기몸체의 실린더케이스(도시안됨)에 부착된 보조핸들을 동시에 파지한 상태로 작업을 한다고 해도, 장시간 작업시에는 작업자의 악력(握力)이 점차 약해져 작업자의 피로감이 가중되게 되므로 연속적으로 작업하기가 힘이 들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크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핸들의 연결부위에 진동흡수부재가 장착되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경감시키도록 된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어케이스와 하우징의 측면에 스크류를 매개로 연결설치된 전동공구핸들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와 하우징의 측면에 핸들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핸들장착부를 매개로 각각 ㄷ자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양 선단부에 한쪽방향으로 끼움부가 돌출된 지지몸체와,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1흡수재와 사다리꼴형상을 이룬 제2흡수재가 층을 이루도록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에 끼워지면서 얹혀져 고정된 진동흡수재 및 1쌍의 스크류고정구멍을 갖추고서 상기 제1흡수재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면서 지지몸체에 직각으로 위치된 브라켓트를 구비한 진동흡수부재가 스크류체결되면서 이들 진동흡수부재에 핸들몸체의 양쪽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진동흡수부재를 매개로 기어커버와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키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동공구의 핸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3도와 동일 부위에는 동일 참조부호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기어가 내설된 기어커버(1)와 모우터어셈블리가 내장된 하우징(2)이 상호 결합되고, 상기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의 일측에 핸들(4)이 진동흡수부재(5)를 매개로 지지된 상태로 장착되어,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시킴으로써 핸들(4)의 진동을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부재(5)는 제2도(a),(b)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고강력 강판재질로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면서 양쪽 선단부에 각각 한쪽방향으로 끼움부(6)가 돌출형성된 지지몸체(7)가 구비되고, 이 지지몸체(7)의 양쪽내벽면에 진동흡수재(8)가 끼워져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이 진동흡수재(8)의 자유단에는 1쌍의 스크류고정구멍(9)이 형성된 브라켓트(10)가 고정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흡수재(8)는 예컨대 고무와 같이 진동흡수성능이 우수한 개질로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흡수재(11)와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된 제2흡수재(12)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제1흡수재(11)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제2흡수재(12)가 얹혀져 층을 이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흡수재(11)는 지지몸체(7)의 내벽면에 제2흡수재(12)의 하부면 일부는 지지몸체(7)의 한쪽끝부분 위에 동시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1흡수재(11)의 대향되는 측면의 양 선단부에는 각각 단면이 대체로 반원형상을 이룬 1쌍의 완충홈(13)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핸들(4)의 양 선단부에는 각각 진동흡수부재(5)의 제2흡수재(12)가 유격없이 끼워지도록 핸들몸체(14)와 일체로 안착부(1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의 핸들설치부위에는 끼움홈(16)을 갖추고서 브라켓트(10)와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돌출된 핸들장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공구핸들은, 상기 기어커버(1)와 하우징(2)에 각각 형성된 핸들장착부(17)와 핸들몸체(14)에 형성된 안착부(15)를 매개로 진동흡수부재(5)를 끼워 지지시킨 상태로 스크류(3)체결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상기 진동흡수부재(5)는 지지몸체(7)에 형성된 끼움부(6)가 핸들장착부(17)에 형성된 끼움홈(16)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스크류고정구멍(9)을 매개로 스크류(3)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흡수재(12)가 핸들몸체(14)의 안착부(15)에 끼워진 구조로 설치되게 되어, 상기 핸들(4)은 진동흡수부재(5)를 매개로 기어커버(1)와 하우징(2)에 각각 연결되게 되므로 핸들(4)로 전달되는 각종 진동을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흡수재(11)에 형성된 완충홈(13)은 공구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지지몸체(7)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부가되는 외력으로 인한 물리적인 변형에 따라 진동흡수재(8)를 효율적으로 순간변형시킬 수 있는 여유공간으로 작용되므로 진동흡수부재(5)의 진동흡수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에 따르면, 핸들과 기어커버 및 하우징의 연결부위에 진동흡수부재를 장착시켜 이 진동흡수부재를 매개로 각종 진동과 충격이 핸들몸체로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크게 경감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기어케이스와 하우징의 측면에 스크류를 매개로 연결설치된 전동공구핸들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의 측면에 핸들장착부(17)가 형성되고, 이 핸들장착부(17)를 매개로 각각 진동흡수부재(5)가 스크류(3)체결되면서 이들 진동흡수부재(5)에 핸들몸체(14)의 양쪽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연결설치되어, 상기 진동흡수부재(5)를 매개로 기어커버(1)와 하우징(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5)가 대략 ㄷ자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양 선단부에 한쪽방향으로 끼움부(6)가 돌출된 지지몸체(7)와, 대략 직사각형상의 제1흡수재(11)와 사다리꼴형상을 이룬 제2흡수재(12)가 층을 이루도록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7)에 끼워지면서 얹혀져 고정된 진동흡수재(8) 및 1쌍의 스크류고정구멍(9)을 갖추고서 상기 제1흡수재(11)의 자유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면서 지지몸체(7)에 직각으로 위치된 브라켓트(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수재(11)의 대향되는 측면의 양 선단부에 단면이 대체로 반원형상을 이룬 1쌍의 완충홈(13)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물리적인 변형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장착부(17)에 끼움홈(16)이 형성되어 진동흡수부재(5)의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14)의 양 선단부에 제2흡수재(12)가 끼워지도록 된 진동흡수부재(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KR1019940003042A 1994-02-21 1994-02-21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KR013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042A KR0139250B1 (ko) 1994-02-21 1994-02-21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042A KR0139250B1 (ko) 1994-02-21 1994-02-21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42A KR950024842A (ko) 1995-09-15
KR0139250B1 true KR0139250B1 (ko) 1998-07-01

Family

ID=1937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042A KR0139250B1 (ko) 1994-02-21 1994-02-21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8-04-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526B1 (ko) 2022-12-19 2023-12-05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8-04-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42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858A (en) Device for supporting impact tool
KR0139250B1 (ko)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KR950009065B1 (ko) 산업용 차량의 엔진용 방진지지구조체
JP3465836B2 (ja) カプラにおける緩衝支持構造
JP4248979B2 (ja) 防振ハンドル
KR19980045538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JPH0129029Y2 (ko)
JP2000203364A (ja) ステアリングビ―ム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連結構造
KR0139618Y1 (ko) 자동차 엔진고정구의 방진구조
KR970000512Y1 (ko) 엘레베이터용 가이드레일
KR0128511Y1 (ko) 입승식 지게차의 발판쿠션장치
KR0115885Y1 (ko) 리어범퍼용 충격흡수재
JP2835499B2 (ja) 衝撃吸収体および作業用ゴンドラ
KR19990007602U (ko) 쇽업소버장치
KR20020004148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0121298Y1 (ko) 충격운동공구의 완충장치
KR200229855Y1 (ko) 쇽업소버의마운팅구조
KR100578567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부재
KR890005194Y1 (ko) 오우토바이용 범퍼
KR0140499Y1 (ko) 자동차 기관의 마운팅멤버 구조
KR19980027891U (ko) 충격 운동 공구의 완충 장치
JP2002070070A (ja) 建屋フレームの取付構造
KR960002050Y1 (ko) 전동공구의 핸들진동 완충장치
KR200160471Y1 (ko) 해머 드릴용 핸들의 방진 장치
KR0138430Y1 (ko) 자동차의 엔진 롤 멤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