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073U -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073U
KR20180001073U KR2020160005830U KR20160005830U KR20180001073U KR 20180001073 U KR20180001073 U KR 20180001073U KR 2020160005830 U KR2020160005830 U KR 2020160005830U KR 20160005830 U KR20160005830 U KR 20160005830U KR 20180001073 U KR20180001073 U KR 20180001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
connection
battery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5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073U/ko
Publication of KR20180001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0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1Housing of the drill, e.g. hand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간 전원연결에 대한 구조를 매립 타입으로 개선하여 전원연결 와이어의 전기적 손상과 단락을 방지하고, 아울러 조립성 향상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배터리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모터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손잡이 하우징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를 매립하기 위한 매립구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의 일단과 타단의 일부가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인출 상태로 구비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power tool with protection structure of power supply wire}
본 고안은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간 전원연결에 대한 구조를 매립 타입으로 개선하여 전원연결 와이어의 전기적 손상과 단락을 방지하고, 아울러 조립성 향상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드릴 기능 또는 스크류 드라이버 기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는 구동기어, 클러치,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어셈블리의 구동을 통해 드릴 기능 또는 스크류 드라이버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위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전동공구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전동공구는 구동어셈블리를 수용하고 있는 구동부 하우징과, 작동스위치 및 메인보드를 수용하고 있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말단에 구비되어 배터리를 장착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전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전동공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배터리 연결단자부에 장착하게 되면, 배터리 전력은 전원연결전선을 통해 구동모터로 인가되어 구동모터가 구동을 준비하는 상태를 취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로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스위치는 메인보드와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보드는 구동모터와 전기적 신호로 연결되어 있어, 작동스위치의 온 모드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메인보드로부터 발생되어 구동모터로 인가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어셈블리가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공구에서 전원연결전선은 손잡이 하우징의 경로 상에 배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하고, 아울러 손잡이 하우징 내에 각종 부품이 사전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선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상기 전원연결전선에 대한 배선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상기 손잡이 하우징 내에 전원연결전선을 배치하더라도 이는 전원연결전선을 손잡이 하우징 내에 단순히 수용시킨 상태, 다시 말해 전원연결전선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원연결전선을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할 때, 전원연결전선의 배선 상태에 대한 위치를 수작업으로 잡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전선이 손잡이 하우징 내에 단순히 수용되는 형태로 배치되게 되면, 상기 전동공구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전원연결전선이 떨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전원연결전선이 떨리게 되면, 전원연결전선의 전기적 연결부분에 대한 피로도가 급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조건에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전원연결전선의 전기적 연결부분에서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전선이 배치되는 경로 상에 전원연결전선의 손상시 전기적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피하기 위하여 전원연결전선의 우회 배치가 이루어져야 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아울러 각종 부품이 사전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연결전선에 대한 우회 배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9052호 대한민국등록신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77787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39250호
본 고안은 배경기술에서 제시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간 전원연결에 대한 구조를 매립 타입으로 개선하여 전원연결 와이어의 전기적 손상과 단락을 방지하고, 아울러 조립성 향상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해결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하고 있는 구동부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과 연결되며 작동스위치를 결합하고 있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말단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모터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손잡이 하우징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를 매립하기 위한 매립구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의 일단과 타단의 일부가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인출 상태로 구비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가 매몰되는 형태로 매립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력공급 와이어의 매립을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매립홈이 형성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의 매립과 더불어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의 접속부가 각각 대응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에 바로 위치하는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전기적 접속 연결은 물론 전기적 배선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전원연결 와이어의 전체적인 떨림과, 그 주변에 장착된 부품과의 접촉 충격이 발생하지 않아 전원연결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부분에 대한 피로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전기적 연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를 사용하게 되면, 전기적 전원이 연결되는 경로 상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이 배치되더라도 매립 구조에 의해 전기적 안전성에 대한 보장과 함께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아울러 배경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와 같이 우회 경로로 찾거나 우회 배치하기 위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도 1e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로서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로서, 도 1a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구동모터와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 간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요부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A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의 A부를 보여주는 전단면도이다. 도 1e는 매립구간부의 외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도 2d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2로서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로서, 도 2a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A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b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가 결합 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c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10)는 구동모터(12)를 수용하는 구동부 하우징(14)과, 작동스위치(16a) 및 메인보드(16b)를 수용하는 손잡이 하우징(18)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18)의 말단에 구비되어 배터리를 장착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20)와,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20)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22)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20)가 위치하고 있는 상기 손잡이 하우징(18)의 하단지점에서 상기 구동모터(12)의 구동모터 연결단자부(22)가 위치하고 있는 손잡이 하우징(18)의 상단지점까지 형성되는 전원연결 경로 상에 손잡이 하우징(18)의 선단 내측을 따라 매립구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매립구간부(26)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가 노출되지 않은 형태로 즉, 매몰되는 형태로 매립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매립구간부(26)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6)가 매몰되는 형태로 매립될 때, 상기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접속부(28a, 28b)는 매립구간부(26)의 각 단부로부터 각각 인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의 접속부(28a, 28b)는 각각 대응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20)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22)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매립구간부(26)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가 매립되는 구조를 취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 하우징(18)을 사출 성형시 상기 매립구간부(26)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플레이트 와이어(24)를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다시 말해, 상기 손잡이 하우징(18)을 사출 성형하는 금형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배치한 상태로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실시예 2]
도 2a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하우징(18)에는 실시예1의 매립구간부(26)가 형성되는 부분에 양측 매립벽(32)을 세워 양측 매립벽(32) 사이에 깊이를 갖는 매립홈(34)이 형성되는 구조의 매립구간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매립구간부(30)의 매립홈(34)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삽입 형태로 끼워넣은 매립 구조가 제시된다.
기타 도 1a 내지 도 1e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상기 매립구간부(26, 30)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매립하는 구조를 적용할 경우, 배경기술에서 제기된 전원연결전선의 배치 및 배선작업을 위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상기 매립구간부(26, 30)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매립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경우, 상기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의 매립에 따른 배선 작업의 완료와 함께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의 양단 접속부(28a, 28b)가 각각 대응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20)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22)에 바로 위치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각각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번거로운 배선 작업이 필요없이 즉각적인 전기적인 접속 연결이 가능하여 전원연결에 따른 배선 작업과 접속 연결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매립구간부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를 매립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경우, 상기 매립구간부(26, 30)가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를 견고히 잡아주고 있어 상기 전동공구의 사용시에 배경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와 같이 진동 떨림과, 그 주변에 장착된 부품과의 접촉 충격 및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의 전기적 연결부분에 대한 피로가 발생하지 않아 전기적 접속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매립구간부에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를 매립시키는 구조를 적용할 경우, 예를 들어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24)가 매립되는 경로상에 전기적으로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부품이 배치되더라도 전기적 안전성에 대한 보장과 함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배경기술에 제기된 문제와 같이 우회 경로로 찾거나 우회 배치하기 위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전동공구
12 : 구동모터
14 : 구동부 하우징
16a : 작동스위치
16b : 메인보드
18 : 손잡이 하우징
20 : 배터리 연결단자부
22 : 구동모터 연결단자부
24 :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
26, 30 : 매립구간부
28a, 28b : 접속부
32 : 매립벽
34 : 매립홈

Claims (3)

  1.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하고 있는 구동부 하우징과, 상기 구동부 하우징과 연결되며 작동스위치를 결합하고 있는 손잡이 하우징과, 상기 손잡이 하우징의 말단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배터리 연결단자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동공구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모터 연결단자부가 위치하는 지점까지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를 매립하기 위한 매립구간부가 손잡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의 일단과 타단의 일부가 상기 배터리 연결단자부와 구동모터 연결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인출 상태로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원연결 와이어가 매몰되는 형태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구간부에는 플레이트형 전력공급 와이어를 삽입하는 형태로 끼워넣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깊이를 갖는 매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KR2020160005830U 2016-10-10 2016-10-10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KR201800010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30U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6-10-10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830U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6-10-10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073U true KR20180001073U (ko) 2018-04-19

Family

ID=6207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830U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6-10-10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0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0737A (zh) * 2018-06-06 2019-12-1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手持式动力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250B1 (ko) 1994-02-21 1998-07-01 박희석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KR200219052Y1 (ko) 2000-09-22 2001-04-02 주식회사아임삭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KR20040077787A (ko) 1999-08-17 2004-09-06 제넨테크, 인크. 종양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250B1 (ko) 1994-02-21 1998-07-01 박희석 전동공구핸들의 진동흡수구조
KR20040077787A (ko) 1999-08-17 2004-09-06 제넨테크, 인크. 종양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0219052Y1 (ko) 2000-09-22 2001-04-02 주식회사아임삭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0737A (zh) * 2018-06-06 2019-12-13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手持式动力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068B2 (ja) 固定子と回転子との心合わせを可能にするハウジングを有するブラシレスモータ
JP6497213B2 (ja) 電力変換装置
CN103283130B (zh) 电动机控制单元及无刷电动机
JP6797123B2 (ja) 電気回路装置
JP518618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4936150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10938269B2 (en) Motor with stress absorbing portions
WO2007004009A3 (en) A ro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JP6362770B2 (ja) 制御装置
JP2005513978A (ja) 二重絶縁体を有するブラシレスモータ
EP2982570A1 (en) Motor control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2244638A (ja) モータ駆動装置
KR20180001073U (ko)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JP6701975B2 (ja) 電動工具
JP201903014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JP6280773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2008029120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における駆動装置
JP2007035933A (ja) 回路部品の実装構造
JP201903014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JP5264286B2 (ja) リード線付きモータ
JP2019030141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モータ
KR200482980Y1 (ko) 파워 커넥터와 버스바의 전원연결 보호 기능이 구비된 브러쉬리스 모터
JP2006345644A (ja) 分電盤
JP2013110817A (ja) 端子台
JP7281641B2 (ja) モータユニット及び電動オイル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