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052Y1 -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 Google Patents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52Y1
KR200219052Y1 KR2020000026698U KR20000026698U KR200219052Y1 KR 200219052 Y1 KR200219052 Y1 KR 200219052Y1 KR 2020000026698 U KR2020000026698 U KR 2020000026698U KR 20000026698 U KR20000026698 U KR 20000026698U KR 200219052 Y1 KR200219052 Y1 KR 200219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ower tool
motor
led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임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임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임삭
Priority to KR2020000026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52Y1/ko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갖춘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전동공구의 정/역 회전방향을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 LED: 이하 LED로 표기)의 색깔로 구분, 표시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 공구의 모터 제어부의 상단부에 발광소자 표시장치를 장착한 것이 본원의 특징이며, 이때 발광소자 표시장치는 백색(White), 청색(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및 적색(Red) LED중의 둘 이상의 단위 소자를 포함하는 이중 LED(Dual LED)를 사용한다.
모터가 정회전할 경우에는 이중 LED내의 상기한 두개중의 어느 한 LED가 발광하도록 하며, 역회전할 경우에는 정회전할 경우에 발광하도록 한 색이 아닌 나머지 한 LED가 발광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An electric tool with display device indicating Forwarding/Reversing direction}
본 고안은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갖춘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회전하는 전동공구의 정/역 회전방향을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 LED: 이하 LED로 표기)의 색깔로 구분하여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공구에 관한 것이다.
전동공구란 나사의 조임 및 풀림 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공구이다. 이 전동 공구는 산업현장 뿐 아니라, 이제는 각 가정에서도 사용할 정도로 보편화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동공구는 사용빈도 및 사용범위의 증대에 따라 저가격화, 소형화 등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일예로, 이전에는 전원을 전선으로 연결해야만 하는 타입에서 최근에는 전원으로써 충전기를 이동형 전동공구가 보편화되어 있으며, 또한 가격의 저렴화, 경량화 및 디자인의 다양화 등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전동 공구에서는 드릴의 회전방향을 표시해 주는 기능이 없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동 드릴은 단순히 스위치 부분에 회전표시만으로 정/역을 구분하게끔 되어 있어, 작업시 표시에 익숙하지 못한 작업자들이 정/역의 회전 방향을 구분하지 못한 채 사용하는 사례가 왕왕 있었다. 따라서, 나사의 풀림과 조임시의 작업의 불량성과 효율성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전동드릴은 단순히 스위치부분의 회전표시(예를 들면, ↔ 표시 등)만으로 정/역 회전방향을 나타낸다는 미비점을 보완하여, 본체의 일부분에 LED 표시장치를 장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LED가 별도의 색을 발하도록 하여 누구나 손쉽게 회전방향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공구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공구
제3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3단자형 이중 LED의 개략도
제4도는 3단자형 이중LED를 포함하는 회로의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2단자형 이중 LED의 개략도
제6도는 2단자형 이중LED를 포함하는 회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척(Chuck) 12, 22 ; 기어 박스(Gear Box)
13, 23 ; 모터 피니언(Motor pinion)
14, 24 ; 모터(Motor) 15, 25 ; 리드 와이어
16, 26 ; 전원 스위치 17, 27 ; 레버 스위치
18, 28 ; 배터리 홀더 19, 29 ; 배터리
31, 51 ; 제1 LED 32, 52 ; 제2 LED
33, 53 ; 몰딩부 34, 54 ; 전원연결부
41, 61 ; 레버 스위치 42, 62 ; 모터
43, 63 ; 이중 LED 431, 631 ; 제1 LED 432, 632 ; 제2 LED
100 ; 이중 LED 101 ; LED 홀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동공구의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시해주는 표시장치를 전동공구의 몸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의 구성은, 상기 방향표시장치로써 이중 LED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중 LED는 백색(White), 청색(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및 적색(Red) LED중의 어느 두가지 단위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공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전동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하고자 하는 드릴을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드릴척(11)이 전동공구의 앞부분에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에 관계된 부품으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어박스 어세이(12), 모터 피니언(13), 모터(14)가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15)가 모터의 후면에서부터 전원(19)까지 연결되게 된다. 도면에서 흑색은 -, 백색은 +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전원(19)은 통상 전기 충전식을 사용하나,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일반 건전지 팩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선을 통하여 콘센트로 연결하는 방식도 무방하다. 전원부는 전원부 홀더(18)에 의하여 본체와 연결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본 전동공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16)를 가압함으로써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데, 통상 일회 가압시 전원이 구동되고 재차 가압하면 전원이 끊어지도록 한 원터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의 상단에는 레버 스위치(17)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17)에는 ↔의 마크가 찍혀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는 이 레버스위치를 좌측으로 돌리면 모터(14)가 정회전, 우측으로 돌리면 역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전동공구에서는 정/역회전에 관계되는 부품은 상기한 레버 스위치(17)뿐이며, 실제 작업시 전동공구가 정회전하고 있는지 아니면 역회전하고 있는지를 지시해주는 기능은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것이다.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제1도와 구성부품은 거의 유사하나, 모터 제어부의 상단에 LED홀더(101) 및 LED(100)를 장착한 것이 본원의 특징이다. 즉,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다른 부품들은 동일하나 본체의 상단에 LED 표시장치를 장착한다는 점이 종래기술과 상이하다. 이러한 정/역회전 표시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전동공구가 정회전하고 있는지 또는 역회전하고 있는지를 손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전원 스위치(26)을 가압하면 모터(24)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회로상으로 연결된 LED(100)가 동시에 점등되게 된다. 레버 스위치(27)를 좌측으로 돌리면 모터(24)는 정회전하며, 상부에 장착된 LED(100)중 정회전을 나타내도록 지정된 색의 LED가 발광하게 된다. 반대로, 레버 스위치(27)를 우측으로 돌리면 모터(24)는 역회전을 하며 LED 내부에서 역회전을 나태내도록 지정된 LED가 발광하게 된다.
이하 본원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로, 본원에서의 LED는 이중 LED(Dual LED)를 사용한다. 즉, 몰딩된 하나의 LED내에 백색(White), 청색(Blue), 녹색(Green), 황색(Yellow) 및 적색(Red)중의 둘이상의 단위 소자를 포함하는 이중 LED를 사용한다.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3단자형 이중 LED의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는 이중 LED는 투명하게 몰딩된 구조체(33)내에 제1 LED(31)와 제2 LED(32)가 내장되어 있고,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부(34)가 3단자형으로 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한 제1 LED(31) 및 제2 LED(32)는 각각 백, 청, 녹, 황 및 적색의 LED 중 어느 한가지로 구성되나, 양자는 서로 상이한 색의 LED로 이루어진다. 이중 어느 하나를 모터가 정회전할 때 발광하도록 하고, 모터가 역회전할 경우에는 정회전시 발광하도록 선택된 LED가 아닌 나머지 LED가 발광하도록 구성한다.
도면 제4도는 본원의 제1실시예의 3단자형 이중 LED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레버 스위치(41)을 상부로 회전시키는 것이 정회전이라고 가정한다면, 레버의 위치를 위로 올림에 의하여 모터(42)는 정회전함과 동시에 이중 LED(43)의 제1 LED(431)로 전원이 연결되어 제 1LED(431)가 점등된다. 레버 스위치(41)의 위치를 하향할 경우에는 제2 LED(432)가 점등되게 되며 모터(42)로 이어지는 전원부는 반대극성이 연결되어 모터는 역회전하게 된다. 3단자형 이중 LED에서는 3단자중 중앙부의 단자를 공통(common)단자(도면에서 c로 표기함)로 사용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제5도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한 2단자형 이중 LED의 내부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이중 LED내에는 제1 LED(51)와 제2 LED(52)가 투명 몰딩재(53)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부(54)는 2단자로 처리되어 있다. 짧은 리드단자에 -극이 연결되고 긴 리드단자에 +극이 연결될 경우 제1 LED(51)가 점등되고 전원의 극성이 반대가 되면 제2 LED(52)가 점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1 LED를 정방향 회전시에, 제2 LED를 역방향 회전시에 점등하도록 하고 전동공구의 몸체에 연결하면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제6도는 상기 2단자형 이중 LED를 이용한 정/역회전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이중 LED의 공통단자를 별도 접속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LED용의 별도 단자가 필요없다. 단지 레버 스위치(61)와 이에 연결되는 모터(62)와 이중 LED(63)를 병렬로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레버 스위치(61)가 위로 연결되면 모터(62)는 정회전하게 되고 이중 LED(63)내의 제1 LED(631)가 점등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모터(62)는 역회전하고 이중 LED의 제2 LED(632)가 점등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LED 표시기를 장착하여 전동공구의 회전방향을 알려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원에서 주장하는 이중 LED 표시장치를 갖춘 전동공구에 있어서, 제1 LED와 제2LED를 특별히 임의의 색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사회통념상, 정회전을 나타내는 것을 황색, 녹색 또는 청색중의 어느 한가지 색으로 표시하고, 역회전을 표시하는 것은 적색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나, 적색을 정회전 표시로 사용하는 것도 기술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다.
통상 빛의 3원색인 청색, 녹색 및 적색 LED에 대해서는, 청색 LED는 450-470nm, 녹색LED는 500-560nm, 적색 LED는 660nm 전후의 파장을 가지고 발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단색의 LED가 시판되고 있으나, 용도에 따라 본원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이중 LED도 손쉽게 시장에서 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이중 LED를 사용하면 두가지 색이 아니라 세가지 색의 발현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청색과 적색의 이중 LED에 있어서 정회전시에는 청색 LED가 발광하도록 하고 역회전시에는 적색 LED가 발광하도록 하되, 회전하지 않고 전원만 들어와 있는 경우에는 두가지 LED가 전부 발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장착되는 LED는 본체의 회전부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중 LED를 전동공구의 후면, 즉 모터의 후면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전원 스위치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원이 이중 LED의 징착위치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수차의 실험결과나 여러 가지 작업을 가정한다면 모터 제어부의 상단에 설치하는 것이 작업자의 시야에서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종래의 전동 공구는 단순히 스위치 부분의 레버 스위치만으로 모터의 정/역 회전을 조절하게 되어 있어 작업시 표시에 익숙하지 못한 작업자들이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구분하지 못한 채 사용함으로써 나사의 풀림과 조임시의 작업의 불량성과 효율성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과 같이 드릴작업시 정회전하고 있는 경우와 역회전하고 있는 경우 각각에 대해 LED 표시장치로써 회전방향을 표시한다면 작업의 불량성과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모터, 레버 스위치,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에 있어서,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나타내는 표시장치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백색, 청색, 녹색, 황색 및 적색 LED중의 어느 두가지 LED를 포함하는 이중 LED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모터가 정회전 할 경우에 이중 LED내의 백색, 청색, 녹색, 황색 및 적색 LED중의 어느 한 LED가 점등되도록 하고, 모터가 역회전할 경우에 정회전시 점등되도록 설정된 LED 이외의 다른 한 LED가 점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KR2020000026698U 2000-09-22 2000-09-22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KR200219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98U KR200219052Y1 (ko) 2000-09-22 2000-09-22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98U KR200219052Y1 (ko) 2000-09-22 2000-09-22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052Y1 true KR200219052Y1 (ko) 2001-04-02

Family

ID=7308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98U KR200219052Y1 (ko) 2000-09-22 2000-09-22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8-04-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73U (ko) 2016-10-10 2018-04-19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원연결 와이어의 보호 구조를 갖는 전동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478C2 (ru)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ы
US7682035B2 (en) Housing device for hand-held power tool
US10906163B2 (en) Power tool
US9960509B2 (en) Power tool with light unit
JP3907950B2 (ja) 電動工具
US9539691B2 (en) Hand-power tool
US10821595B2 (en) Power tool
US10040181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lighting element
EP1072842A2 (en) Power tools having lighting devices
US20100074700A1 (en) Electric drill with high efficiency illuminator
US20140345898A1 (en) Hand-power tool
CN201320752Y (zh) 电动工具
JP2002210678A5 (ko)
EP4116040A1 (en) Power tool
GB2426225A (en) Hand-held power tool housing with see-through region
JP7300251B2 (ja) ネジ締め工具
US20100072833A1 (en) Electric drill with charge state and directional indicator
JP2012011504A (ja) 電動工具
JPH11111002A (ja) 電動工具
KR200219052Y1 (ko) 정/역 회전 표시장치를 가진 전동공구
JP7196329B2 (ja) 電動工具の制御回路、制御装置、および電動工具
CN217890886U (zh) 电动工具
CN220218390U (zh) 电动工具
CN104101732B (zh) 适用于交流电动工具的正反转指示灯电路
WO2021220992A1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