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762B1 - 충전설비내의 기체의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설비내의 기체의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762B1 KR0138762B1 KR1019890015801A KR890015801A KR0138762B1 KR 0138762 B1 KR0138762 B1 KR 0138762B1 KR 1019890015801 A KR1019890015801 A KR 1019890015801A KR 890015801 A KR890015801 A KR 890015801A KR 0138762 B1 KR0138762 B1 KR 0138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valve
- filling
- closed
- vacuum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제1조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주요 부분의 파단선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2조건 내지 제4조건을 도시한 외에는 제1도와 동일한 파단선도,
제5도는 액체를 컨베이어 벨트상에 배치된 연속된 패킹부재안으로 충전하기 위한 충전 설비의 전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충전용기3 : 충전기노즐4 : 충전기파이프
9 : 분배펌프11', 12' : 제어밸브13 : 완충용기
17 : 액체
본 발명은 충전파이프의 입구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제어밸브가 간헐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며 분배펌프에 의해서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완충용기를 통해서 공급되는 액체의 할당된 양으로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설비내의 공기를 배출(배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액체의 할당된 양으로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이러한 설비를 배기(排氣)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이송파이프 및 완충용기에 연결되고, 제어밸브 아래에 배치되고 충전노즐에 의해서 출구가 폐쇄가능한 충전기파이프의 입구측을 폐쇄하거나 상기 입구측을 완충용기에 연결하는 최소한 하나의 제어밸브를 구비하는 제어밸브하우징을 완충용기의 하부에 구비한다.
주몸체의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튜브형태의 액체용 포장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우유와 같은 액체를 분배된 양으로 그러한 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설비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충전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다른 형태의 용기 또는 다른 형태의 내용물로 전환된다면 충전동작의 시작단계에서 여러가지 조치, 특히 공기 배출이 전제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중심분배점으로부터 우유는 이송파이프를 통해서 완충용기로 이송되고, 밸브에 의해서 제어되어, 밸브아래에 배치된 충전기파이프안으로 통과되고 충전기 파이프의 출구에 튜브모양의 우유용기가 배치되어 충전될 것이다. 공기가 이러한 충전기파이프내에서 수집되는 것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공기를 제거하도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체 충전과정의 초기에 밀폐된 공기가 설비의 여러 부분에 존재하고 펌프작용과 포장부재의 충전이 시작될 때 이러한 공기는 필연적으로 용기안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의 충전설비의 경우에 있어서, 우유의 경우에 예를 들면 10개의 용기는, 설비의 여러 부품으로부터의 우유로, 전방 이동중에 충전되고 상기 용기내에 공기포켓이 존재하여 상기 용기가 완전하게 충전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들은 불합격품으로 처리된다. 예를 들어 요구르트와 같은 진한 농도의 생상품이 용기안에 충전되고 충전동작의 전방이동중에, 통상 25개의 충전된 용기까지는 25번째의 용기가 통과한 후에야 공기가 용기내에 포함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불합격품이 된다.
생산조건에 있어서,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이프는 공기가 완전히 제거되고 의도된 내용물로만 충전되어서 포장부재를 실제로 분배된 양으로 충전하게 된다. 통상, 종래 기술의 분배펌프는 하나의 피스톤을 갖추고 있고 분배펌프의 펌프 왕복운동은 용기안으로 충전될 액체의 분배량을 결정하게 된다.
액체를 다수의 서로 다른 용량의 포장부재에 충전해야 하거나 이러한 용기에 서로 다른 물질로 충전해야 하는 낙농장 또는 어떤 충전회사에 대해 매번 생산개시전 또는 설비가 변환된 후 매번 설비를 배기하기 위하여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맨처음에 언급한 특징을 갖춘 설비를 배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문제에 근거를 두고 있어서, 충전공정의 맨처음에 생산재료의 전방이동시 부정확한 충전은 피하게 된다: 설비내에 어떤 공기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도록 실제의 충전과정에 대한 정확한 가동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문제는 상술된 특징으로 갖춘 설비를 배기하기 위한 장치의 개선에 적용되고 상기의 특징은 정확하게 시간이 설정된 공기배출공정을 결정하고, 그 후에 충전작업이, 작동자가 설비내에 공기가 없다고 확신있게 기대하는 시점에서 단지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이 방법에 관해서, 상기 문제는 제어밸브가 개방된 채로 충전젯트를 폐쇄시킴으로써 진공이 출구단부에 충전젯트를 갖춘 충전파이프와 완충용기내에서 형성되는 것과 공기가 기포상태로 상향으로 올라간 후, 제어밸브가 조절가능한 경과후 폐쇄되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당해 기술에 숙련된 자는 완충용기내에 액체표면위에 있는 공간을 진공으로 할 때 완충용기 또는 완충용기 아래에 있는 설비의 부품들내에 포함된 어떤 공기도 기포상태로 되어서 나갈 수 있거나 진공이 아닐 때보다 더 큰 부력을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포함된 공기는 마침내 진동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향으로 밀어내지만 배관 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내에 골률 때문에 포함된 공기모두를 제거하기엔 통상 비교적 장시간이 걸린다. 충전이 시작될 때, 포함된 공기 모두를 추출하기 위해 가능한 짧은 시간이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이것은 아주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다. 충전기파이프가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서 윗면에서 페쇄된다면 공기배출목적을 위해 제어밸브가 개방되어서, 충전파이프내에 존재하는 어떤 액체도 유지될 수 이는 반면에 동시에 충전파이프내에 포함된 공기는 상승하여 상향으로 이탈하게 된다. 시간이 경과후에 상기 제어밸브는 폐쇄하게 되고 공기배출을 포함하는 어떤 다른 작업이 될 수 있고 생산이 시작된다. 상기 시간경과는 경험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고 작업은 숙련된 자에 의해서 수행된다.
동일한 설비와 동일한 내용물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경과가 조절될 수 있어서 새로운 배기과정에 대한 개량작업의 결과에 따라, 시간경과를 조정하기 위해 숙련된자의 새로운 주의력을 요구하는 모든 충전작업을 하지 않고 실험치에 의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충전기 젯트를 구비한 충전기파이프가 출구끝이 패쇄되므로 본 발명에 따라 배기과정은 어떤 포장부재를 충전하지 않고 수행되어 불합격품 재료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충전설비에 진공의 사용은 다른 연결장치 그 자체로 이미 주지의 것이다. 예를 들면 드립프리(drip free) 밸브로 밸브아래의 완충용기 이송되는 액체의 간헐적인 이송이 가능한 장치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부재는 완충용기내에서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진공의 목적은 액체가 밸브에서 형성하는 정압력을, 밸브를 구비한 파이프의 부분에서 감소시키는데 있다. 진공 때문에, 밸브의 복귀스프링은 조절될 수 있어서 밸브가 적절한 시점에서 항상 폐쇄되거나 개방되고, 이것은 용기안에 충전되는 재료가 기포를 형성하는 우유일 때 특히 중요하다. 하지만 충전설비에 배기설비를 하기 위해 상기 공지의 방법에 따라 제공되는 진공은 사용할 수가 없다. 더욱이 스프링이 설치된 밸브의 반응이 크게 지연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파이프와 그에 연결된 분배펌프를 배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연결된 2개의 제어밸브가 상호간에 분리되어 작동되도록 하여 완충용기내에 진공의 형성시 양 제어밸브를 개방시킨다면 특히 편리하다. 공기의 대부분이 상향으로 배출된 후, 먼저 상부 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조절가능한 시간경과후에 하부 제어밸브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부 제어밸브는 시간주기 경과후에 다시 한번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설비의 복수의 부품을 배기하도록 의도된다면 복수의 제어밸브가 상호간에 분리되어 배치되고 설명된 방식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충전설비의 경우에 있어서는, 충전기 파이프에 추가하여, 설비의 동일한 영역에 연결된 분배펌프가 있다. 즉 배기되어야 하는 시스템내에 2개의 분기가 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분기에 2개의 제어밸브가 상호간에 분리되어 배치되어 있고 분리되어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실제로, 먼저 하나의 분기를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의 분기가 기체가 없는 상태에서 폐쇄될 때, 설비의 다른 하나의 분기를 배기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번째로 완충용기 내에서 진공이 형성될 때, 하부 제어밸브가 폐쇄되고 상부 제어밸브를 개방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 다음에는 양 밸브가 동시에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밸브가 폐쇄되고 하부밸브가 폐쇄되며 상부밸브가 개방되고 마지막으로 다시 폐쇄되는 반면에 충전기노즐은 전체의 공정동안에 폐쇄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포함된 공기는 특정하게 조절된 시간 간격을 구비한 확실한 프로그램이 완성되도록 하여 정확한 시간후에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고 그 결과 시작될 설비의 준비를 자동적으로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숙련되지 않는 작동자조차도 단지 버튼을 누름으로서 충전과정을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소모량없이 자동배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충전장치는 종래의 배기에 대한 경험에 의해 설비내에 어떤 공기포켓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예상될 때를 평가할 수 있는 숙련된 작동자를 고용하지 않아도 된다. 충전공정 또는 상류충전과정의 자동화는 단순하고 고장이 나지 않고 사용자의 설비의 통상적인 부분에 작업잘르 줄일 수가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배기방법은 모든점에서 훌륭하지만 하나를 더 상술함으로서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기 노즐에 의해서 출구단부에서 폐쇄되는 충전기파이프를 전제로 하고 비중량을 갖는 액체기둥이 출구측 충전기노즐 위에 있음을 가정한다. 포함된 공기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액체기둥으로부터 제거된다면, 배출된 공기가 액체로 대체되어서 출구단부에 충전기노즐상에 더 큰 무게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량의 증가 또는 액체기둥의 상승을 예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하부 제어밸브를 개방할 때 완충용기내에 진공이 증가되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방법에 있어서, 포함된 공기는 하부 제어밸브의 초기개방의 결과로서 출구단부의 충전기노즐을 경유해서 충전기파이프에서 제거되어서, 곧, 여기에서 중량의 증가가 시작되고 증가된 진공에 의해서 다시 중립이 된다. 증가된 진공에 의해서 적용되는 증가된 흡입력때문에 충전기파이프의 출구단부의 충전기 노즐상에 압력의 균일화는 충전기노즐이 충전기파이프내의 부(negative) 압력의 결과로서 폐쇄되는 곳에 사용된다면 특히 편리하다. 포함된 공기가 배출될 때 중량이 증가하는 결과 사실상 그렇지 않다면 폐쇄력이 더 이상 충분하지 않아서 충전기노즐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위험은 완충용기내에 그리고, 충전기파이프의 액체기둥위에 진공을 증가시키는 중간단계에 의해서 다시 한번 제거되며 상기 방지방법은 장점이 될 수 있고 간단한 수단에 의해서 얻을 수가 있다.
충전설비를 배기하기 위한 장치와 결합되어, 상술된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완충용기가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동안에 제어밸브가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제어되는 것으로 해결되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적인 제어는 우선 제어밸브상에 작용하고 두번째로 진공펌프의 구동중에 작용하여서 양 유닛트, 즉, 제어밸브와 진공펌프가 특정 프로그램에 따른 설비의 배기에서 제어밸브와 진공펌프가 그 효과를 발전시킨다. 종래에는 밸브는 통상 인접유동매체의 상태조건에 의해서 작동되고 액체충전설비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는 스프링을 갖춘 관련된 밸브가 작동되기 전에 스프링력을 압도해야 하는 설비 내측에 물질의 압력이 있었다. 배기장치내에 새로운 밸브의 강제제어의 결과로서 100%의 폐쇄가 스위치폐쇄(개방에 동일하게 적용함)의 완결후에 보증되도록 그 기능이 더욱 확실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기능도 외부에서 제어되는 밸브가 더욱 빠르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짧아지게 된다.
프로그램의 전체구성내에서 제어될 수 있는 진공펌프에 연결된 완충용기의 결과로서, 포함된 공기의 배출을 가속시키는 것은 상술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특징의 결과로서, 가능한한 짧은 시간내에 충전설비를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여 충전설비의 작동자가 최적의 짧은 시간안에 설비를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작동상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제어에 의해서 분리되어 강제로 작동되는 상부 제어밸브 및 하부 제어밸브의 위에 이격시켜 상부 및 하부 제어밸브 사이에 위치한 제어밸브의 하우징에 연결된, 분배펌프로부터의 연결라인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술된 작동방식을 얻는 것과 바람직하게 충전기파이프와 동시에 및/또는 별개로 완충용기 아래에 배치된 설비의 두개의 분기중의 하나에 배치된 분배펌프를 배기시키는 것이 가능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충전기노즐을 탄성중합체의 재료로 만드는 것은 더욱더 편리하다. 예를 들면, 십자형 슬롯뒤에 및 충전기 파이프 내측에 존재하는 부(negative)압력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폐쇄된 상태에서 2개의 공통 십자형 슬롯을 갖추고 있는 고무를 충전기노즐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연결에 있어서 충전기 파이프내에 부압력이 있을 때 폐쇄되는 이러한 고무노즐이 이미 사용되었다. 이러한 고무노즐은 통상 고무노즐위에 있는 파이프내의 미소한 부압력에서도 폐쇄되는 경향이 있고 외부대기에 관해서 노즐을 폐쇄하기에 충분하거나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충분하다. 이러한 노즐에 있어서, 액체의 누출없이 폐쇄된 노즐위에 완전하게 폐쇄된 충전기파이프내에 액체의 기둥을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여기에서 설명된 배기장치의 형태내에 이러한 고무노즐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장점을 전개함에 있어서, 제어밸브 및/또는 진공펌프가 컴퓨터 제어배열에 연결되면, 신속하고 확실한 배기의 상술한 장점이 성취될 수 있다.
정확하고 제어된 시간에서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컴퓨터로 단순하거나 복잡한 프로그램을 이송하는 것은 통상 종래의 기술단계이며 여기에서 설명된 기체배출방법은 전체제어하에서 확실하고 정확하게 시간이 설정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응용은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결부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통상적인 특징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컨베이어벨트(1)상에 고무충전기노즐(3)에 의해서 폐쇄된 충전기파이프(4)의 하단부의 둘레에 맞물리는 무개액체용기(2)가 있는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되어진다. 제5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충전기노즐(3)은 실질적으로 포장부재(2)안에 잠겨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우유의 분배된 량으로 종이용기를 충전하기 위한 적당한 설비에 있어서, 충전기 파이프(4)와 용기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용기가 비어 있을 때, 충전기노즐(3)이 용기(2)의 거의 바닥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충전공정을 수행하는 반면에, 충전기파이프(4)는 용기(2)에서 천천히 후퇴한다. 충전과정은 여기에서 관심있는 장치의 진행단계와 특징의 설명에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설명으로 충분할 것이다.
충전기파이프노즐(3)을 구비한 충전기 파이프(4)의 출구의 반대편에 위치한 충전기 파이프의 입구단부(5)에 설치된 것은 충전기파이프의 윗면에 연결된 제어밸브 하우징(6)이고 상기 제어밸브 하우징(6)은 분배펌프(9)의 연결파이프(8)가 분기되는 측면개구(7)를 구비한 원통형 구조이며, 이 분기는 사실상 하부 제어밸브(11)의 시이트(seat)(11) 위에 있고 상부(12') 제어 밸브 아래에 있는 공간(10)에서 시작된다. 양 제어밸브(11, 12)는 제5도에서 폐쇄되어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양 제어밸브는 제어밸브의 하우징(6)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막대(rod)와 함께 뚜렷하고, 개략적인 형상으로 나타나며 외부소오스로부터 제어밸브(11, 12)의 강제적인 제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제어밸브의 하우징(6) 위에는 한면에(여기서는 좌측하부) 이송파이프(14)를 구비하고 타측에는(우측상부) 진공파이프(15) 및 진공펌프(16)를 구비한 완충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17)위의 물결분리선(20)위에 나타난 공간(18)은 완충용기(13)의 가스 밀폐된 뚜껑(19)을 갖추고 있고 진공으로 되어 있다.
작동하는 동안에, 상호간에 떨어져서 배치된 2개의 제어밸브(11, 12)를 구비한 배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액체(17)의 레벨(20)아래에서 분배펌프(9)를 포함하는 전체장치가 용기로 전달되어지는 액체로 충전되는 생상단계의 처음에 있다고 가정하자. 포함된 공기는 다음과 같이 배출된다. 완충용기(13)는 진공펌프(16)에 의해서 비워지게 되어서 첫째로 확실한 진공이 공간(18)내에서 형성된다. 상기 폐쇄된 상부 제어밸브(12)위에 포함된 공기는 이러한 진공에 의해서 또한 진공파이프(15)를 통해서 배출하게 된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채택된 전제사항은, 부분적인 진공이 충전기파이프(4)의 공간내에서 형성되는 제5도의 상태이고 이것은 충전기노즐(3)을 폐쇄한다는 것을 가정한다.
용기(2)는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완충용기(13)는 윗면이 절단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완전한 배기작동을 하는 동안, 제1도 내지 제5도에서는 충전기노즐(3)은 폐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공간(18)을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설비는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상부 제어밸브(12)는 개방하게 된다. 분배펌프(9)의 영역에 존재하는 공기 포켓은 화살표(21) 방향으로 상향으로 이탈하여서 완충용기(13)로 들어간다.
분배펌프(9)의 피스톤위에 존재하는 액체의 기둥도 도시된 진공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제1부분공간, 즉, 연결파이프(8)를 구비한 배기장치의 좌측분기는 배기된다.
다음단계는 제2도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즉, 하부 제어밸브(11)도 개방된다. 이러한 것이 발생될 때에는 상부 제어밸브(12)는 개방된 채로 있다. 충전기파이프(4)내에서 포함된 공기는 화살표(23)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향으로 이탈하여서 완충욕기(13)로 빠져나가고 진공펌프(16)는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감소되는 진공을 원하는 수준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작동개시된다. 하부 제어밸브(11)의 개방때문에, 충전기파이프(4)내의 액체의 기둥은 더 크게 되고 더욱이 빠져나간 공기를 대체하는 추가적인 액체때문에 더 무거워진다. 충전기노즐(3)이 폐쇄되어 있도록 하고 중량의 이러한 증가에 대한 보상으로서 공간(18)내에 진공의 레벨을 높은 레벨로 상승시키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의 특별한 부분은 진공펌프(16)가 작동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고무 충전기노즐(3)은, 비록 실제로 누출없는 밀봉밀착을 갖추고 있지만 아래로부터 충전기파이프(4)로 가스(공기)의 소량의 유입이 완전하게 피할 수는 없지만 폐쇄된 상태로 있다. 기포로 형성된 아래로부터의 이러한 공기는 화살표(22)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된다.
설비는 제3도에 도시된 조건으로 즉, 상부 제어밸브(12')가 폐쇄된 상태로 가동된다면 2가지 상태가 발생될 것이다. 첫째로 높은 액체기둥은 상부 제어밸브(12') 위에 있는 액체기둥의 부분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라인(20) 밑으로 충전노즐(3)까지 감소되고 더욱이 충전기 파이프(4)내에 있는 진공의 감소는 무시할 수 있어서, 아래로부터, 즉, 대기로부터 충전기 노즐(3)의 초미립공기기포의 유입은 중지된다.
상부 제어밸브(12')가 개방중에 발생되는 유입된 공기가포가, 제3도의 윗부분에 23으로 표시된 방식으로 수집되도록 제어밸브의 하우징(6)내의 공간(10)으로 상향으로 상승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필요하다. 하부 제어밸브(11')는 마찬가지로 폐쇄되어 있고 충전기파이프(4)내의 액체에서 충전기노즐(3)로부터 하부 제어밸브(11')까지 완전히 공기가 배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에 모아진 공기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 가동되는 설비로부터 제거된다.
이것은 폐쇄된 하부 제어밸브(11')로써 상부 제어밸브(12')가 개방되어서 포함된 공기가 완충용기(23)안으로 화살표(2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통과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결파이프(8)와 분배펌프(9)를 구비한 좌측분기가 충전기파이프(4)와 같이 완전하게 배기되어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특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부 제어밸브(12')는 폐쇄되어서 제5도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배기공정은 완성되고 분배펌프(9)에 의해서 충전과정은 시작되어 내용물을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용기안으로 충전될 수 있다.
Claims (9)
- 충전파이프(4)의 입구에 배치된 최소한 하나의 제어밸브(11', 12')가 간헐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며, 분배펌프(9)에 의해서, 공기를 포함하지 않고 완충용기(13)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액체의 할당된 양으로 용기(2)를 충전하기 위한 설비내의 기체를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출구 단부에 충전기 노즐(3)이 설치된 충전기 파이프(4), 및 완충용기(13)에, 상기 제어밸브(11', 12')가 개방된 채로, 상기 충전기 노즐(3)을 폐쇄하므로써, 진공이 형성되고, 공기가 상방향으로 배출되며, 조절가능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제어밸브(11', 12')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충전기파이프(4)와 거기에 연결된 분배펌프(9)내의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2개의 연속되어 연결된 제어밸브들(11', 12')이 상호간에 별개로 제어되어서 완충용기(13)내에 진공을 형성할 때, 양 제어밸브는 개방되고, 공기의 대부분이 상향으로 배출된 후, 우선 상기 상부 제어밸브(12')가 폐쇄되고, 조절가능한 시간경과후에는 상기 하부 제어밸브(11')가 폐쇄되며, 그 후에 상기 상부 제어밸브(12')가 개방되고,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는 상기 상부 제어밸브(12')가 다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첫째로 진공이 완충용기(13)내에 형성되고 하부 제어밸브(11')는 폐쇄되고 상부 제어밸브(12')는 개방되며, 그 다음에 양 제어밸브(11', 12')가 동시에 개방되며, 그 후에 상부 제어밸브(12')가 폐쇄되고 하부 제어밸브(11')가 폐쇄되고, 상부 제어밸브(12')가 개방되며 마지막으로 상부 제어밸브(12')가 다시 폐쇄되는 반면에 충전기노즐(3)은 전체시간동안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부 제어밸브(11', 12')를 초기에 개방함에 따라, 완충용기(13)내에 진공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이송라인(14)에 연결된 완충용기(13) 및 완충용기(13)의 하부에 상기 완충용기(13)와 연결시키거나, 제어밸브 아래에 배치되고 충전기 노즐에 의해 그 출구가 폐쇄되도록 구성된 충전기 파이프(4)의 입구단부를 폐쇄시키는, 최소한 하나의 제어밸브(11', 12')를 구비한 제어밸브 하우징(6)을 구비한, 기체를 포함시키지 않고 액체의 할당량으로 용기(2)를 충전하기 위한 설비내의 기체를 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제어밸브(11', 12')가 외부로부터 강제로 제어되고 완충용기는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제어밸브(11')위로 얼마간 떨어져 있는 곳에는 외부로 분리되어 강제로 제어되는 상부 제어밸브(12')가 있으며, 분배펌프(9)로부터 연결라인(8)이 하부 제어밸브(11')와 상부 제어밸브(12') 사이에 제어밸브의 하우징(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충전기노즐(3)이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어밸브(11', 12') 또는 진공펌프(16)는 컴퓨터 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어밸브(11', 12') 및 진공펌프(16)는 컴퓨터제어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3837097A DE3837097A1 (de) | 1988-11-01 | 1988-11-01 | Verfahren zum entlueften einer befuellungsanlag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eines solchen verfahrens |
DEP3837097.2 | 1988-11-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7717A KR900007717A (ko) | 1990-06-01 |
KR0138762B1 true KR0138762B1 (ko) | 1998-06-01 |
Family
ID=636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5801A KR0138762B1 (ko) | 1988-11-01 | 1989-11-01 | 충전설비내의 기체의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5009339A (ko) |
EP (1) | EP0366997B1 (ko) |
JP (1) | JP2782100B2 (ko) |
KR (1) | KR0138762B1 (ko) |
AT (1) | ATE99245T1 (ko) |
AU (1) | AU625836B2 (ko) |
BR (1) | BR8905548A (ko) |
CA (1) | CA2001917C (ko) |
DE (2) | DE3837097A1 (ko) |
DK (1) | DK166142C (ko) |
ES (1) | ES2047642T3 (ko) |
FI (1) | FI90648C (ko) |
NO (1) | NO177588C (ko) |
RU (1) | RU2003170C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87779A (en) * | 1992-09-17 | 1997-11-18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 Packaging machine system for filling primary and secondary products into a container |
US6065510A (en) * | 1994-09-29 | 2000-05-23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 Fill system for primary and secondary products |
US5865226A (en) * | 1996-08-23 | 1999-02-02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 Servo motor driven fill system |
US6142169A (en) * | 1997-03-28 | 2000-11-07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 Sterile tank venting system for a filling machine |
US6640996B2 (en) * | 2001-12-21 | 2003-11-04 | Eastman Kodak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switching between supply vessels |
DE102008061904A1 (de) * | 2008-12-15 | 2010-06-17 | Alldos Eichler G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gasung des Förderraums einer Dosierpumpe |
US20110072984A1 (en) * | 2009-09-30 | 2011-03-31 | Chen Cheng-Feng | Automatic bean curd maker |
CN111483964A (zh) * | 2020-04-20 | 2020-08-04 | 深圳市步先包装机械有限公司 | 一种单工位高压灌装水生产线 |
CN115402551B (zh) * | 2022-06-20 | 2023-07-25 | 常州威斯敦粘合材料有限责任公司 | 用于pur热熔胶灌装的抽气组件和灌装机构、灌装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99338A (en) * | 1979-09-27 | 1981-11-10 | Wyman-Gordon Company | Valve system |
AU8647182A (en) * | 1981-08-12 | 1983-02-17 | Oenotec Pty. Ltd. | Bottle filling device |
US4437498A (en) * | 1981-11-09 | 1984-03-20 | Liquipak International, Inc. | Carton filling apparatus |
GB2160182A (en) * | 1984-06-11 | 1985-12-18 | Elopak Ltd | Liquid supply apparatus |
JPS6258961A (ja) * | 1985-09-10 | 1987-03-14 | Sanyo Kokusaku Pulp Co Ltd | モノグリセライドの苦味,刺激味および臭気をマスキングする方法 |
DE3544448A1 (de) * | 1985-12-16 | 1987-06-19 | Handtmann Albert Maschf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fuellen lufthaltiger, verformbarer massen |
FR2599711B1 (fr) * | 1986-06-05 | 1988-09-23 | Erca Holding | Dispositif de dosage et de distribution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liquides |
DE3622807A1 (de) * | 1986-07-07 | 1988-01-21 | Holstein & Kappert Maschf | Verfahren zum abfuellen von fluessigkeiten in behaelter |
ES2023208B3 (es) * | 1986-11-10 | 1992-01-01 | Erca Holding | Procedimiento e instalacion de llenado de recipientes con una mezcla de al menos dos productos pastosos y/o liquidos. |
US4905744A (en) * | 1987-07-23 | 1990-03-06 | Elopak A/S | Liquid-flow control apparatus |
DE3834740A1 (de) * | 1988-10-12 | 1990-04-19 | Leybold Ag | Vorrichtung zum nachfuellen von pulver, insbesondere fuer eine in einer vakuumkammer arbeitenden beschichtungseinrichtung |
-
1988
- 1988-11-01 DE DE3837097A patent/DE3837097A1/de active Granted
-
1989
- 1989-10-13 AT AT89119060T patent/ATE99245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13 DE DE89119060T patent/DE58906569D1/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0-13 ES ES89119060T patent/ES2047642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13 EP EP89119060A patent/EP0366997B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17 US US07/422,683 patent/US500933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25 AU AU43784/89A patent/AU625836B2/en not_active Ceased
- 1989-10-27 JP JP1278742A patent/JP27821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0-30 FI FI895142A patent/FI90648C/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31 BR BR898905548A patent/BR8905548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31 DK DK542189A patent/DK166142C/da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31 RU SU894742330A patent/RU2003170C1/ru active
- 1989-10-31 NO NO894333A patent/NO177588C/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31 CA CA002001917A patent/CA200191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1-01 KR KR1019890015801A patent/KR01387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I90648B (fi) | 1993-11-30 |
FI90648C (fi) | 1994-03-10 |
DE58906569D1 (de) | 1994-02-10 |
AU4378489A (en) | 1990-05-10 |
CA2001917A1 (en) | 1990-05-01 |
DK542189A (da) | 1990-05-02 |
NO177588C (no) | 1995-10-18 |
JP2782100B2 (ja) | 1998-07-30 |
NO177588B (no) | 1995-07-10 |
RU2003170C1 (ru) | 1993-11-15 |
NO894333D0 (no) | 1989-10-31 |
DK166142B (da) | 1993-03-15 |
BR8905548A (pt) | 1990-05-29 |
CA2001917C (en) | 1998-06-16 |
FI895142A0 (fi) | 1989-10-30 |
DE3837097A1 (de) | 1990-05-03 |
ES2047642T3 (es) | 1994-03-01 |
JPH02233301A (ja) | 1990-09-14 |
NO894333L (no) | 1990-05-02 |
KR900007717A (ko) | 1990-06-01 |
DK542189D0 (da) | 1989-10-31 |
DE3837097C2 (ko) | 1992-03-19 |
AU625836B2 (en) | 1992-07-16 |
US5009339A (en) | 1991-04-23 |
DK166142C (da) | 1993-08-09 |
EP0366997B1 (de) | 1993-12-29 |
ATE99245T1 (de) | 1994-01-15 |
EP0366997A1 (de) | 1990-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25913A (en) | Powder dispensing apparatus | |
US2565045A (en) | Filling machine having a flexible bag enclosure with spaced ribs to provide a bag support and passageways externally of the bag | |
KR0138762B1 (ko) | 충전설비내의 기체의 배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3423130A (en) | Evacuation apparatus | |
CN101469724A (zh) | 用于输送物质的设备和方法 | |
US3807463A (en) | Apparatus for filling beer cans or the like | |
US3522824A (en) | Automatic container filling apparatus | |
US4174741A (en) | Methods for loading and unloading liquids from a railroad tank car | |
US2954203A (en) | Filling machine | |
US2543788A (en) | Filling head having air locked chamber for filling liquids into containers | |
US3799222A (en) | Container filling apparatus | |
US3335921A (en) | Liquid dispensing apparatus | |
US4493349A (en) | Liquid filling machine | |
US354889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receptacles | |
JPS61501624A (ja) | 物品包装の方法と装置 | |
US3757832A (en) | Pressure-fill container filling machine | |
US3105527A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ainer valve and filling the container with a carbonated liquid | |
US3450172A (en) | Device for filling containers of semi-rigid or soft material such as plastic bottles | |
US3254683A (en) | Liquid delivery device | |
US4838462A (en) | Double bellows purge valve | |
GB1569872A (en) | Apparatus for filling receptacles | |
US1675208A (en) |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 |
US849735A (en) | Bottle-filling machine. | |
GB2118073A (en) | Venting apparatus | |
US1980417A (en) | Art of can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