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59Y1 -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159Y1
KR0138159Y1 KR2019950036460U KR19950036460U KR0138159Y1 KR 0138159 Y1 KR0138159 Y1 KR 0138159Y1 KR 2019950036460 U KR2019950036460 U KR 2019950036460U KR 19950036460 U KR19950036460 U KR 19950036460U KR 0138159 Y1 KR0138159 Y1 KR 0138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braking
brake
bus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343U (ko
Inventor
양정원
Original Assignee
양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정원 filed Critical 양정원
Priority to KR2019950036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159Y1/ko
Publication of KR970022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3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1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패달 조작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동작 검출수단과, 상기 브레이크동작 검출수단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 조작을 검출함에 따라 버스의 현재 속도에 비한 정지시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제동조작을 판단하여 승객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제어수단과, 상기 경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 및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알리는 제동 경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경보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버스 운행중 전방상황에 따라 부득이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버스 실내에 구비된 제동 경보 등을 동작시킴으로서, 승객 및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인지시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동 조작에 따른 승객들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 차량의 제동등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 패달 10 : 브레이크 동작 검출부
20 : 속도 검출부 30 : 가속도 검출부
40 : 경보 제어부 60 : 제동 경보등
61 : 스위칭부 62 : 제1브레이크 동작 경보등
63 : 제2브레이크 동작 경보등
본 고안은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버스 운행중 운전자가 전방의 상황에 따라 브레이크를 조작하게 되는데, 만약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 차량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알려 승객들로 하여금 신속히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승객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운전자 자신에게도 제동을 삼가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버스, 승용차, 트럭 등의 차량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은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을 밟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등 스위치(2)와, 상기 브레이크등 스위치(2)가 온(on)됨에 따라 일정 주기로 브레이크등(4)을 온/오프(on/off) 스위칭시키는 릴레이(3)로 구성된다.
또한,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을 밟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브레이크등 스위치(2)와, 상기 브레이크등스위치(2)가 온 됨에 따라 뒤따라 오는 차량에 이를 경고하는 브레이크등(4)과,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을 밟을 경우 이를 뒷차량에 경고하도록 비상 등을 온시키는 비상등 스위치(5)와, 상기 비상등 스위치(5)가 온 됨에 따라 비상등(7)을 소정 주기로 온/오프 스위칭하는 비상등 릴레이(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의 브레이크등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을 밟을 경우 브레이크등 스위치(2)에서 이를 감지하여 온됨에 따라 릴레이(3)를 구동시킨다.
릴레이(3)가 구동됨에 따라 차량 후미의 브레이크등(4)이 일정 주기로 점멸하게 되어 뒤따라 오는 차량에 자신의 브레이크 조작을 경고하게 된다.
제1(b)도는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수동으로 비상 등을 켜는 경우의 브레이크등 및 비상 등의 동작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1)을 밟을 경우 브레이크등 스위치(2)가 온되어 브레이크등(4)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한편, 운전자는 긴급히 밟는 제동 상황을 뒤따라오는 차량에 좀더 효과적으로 빨리 알리게 위해 직접 비상등 스위치(5)를 온 시키게 된다.
비상등 스위치(5)를 온시킴에 따라 비상등 릴레이(6)가 동작되어 비상 등을 주기적으로 점멸하여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의 실내등은 도어의 상측 일부에 구비되어 승객이 승, 하차시 안전을 위해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자동으로 점, 소등한다.
또한, 버스의 실내에 일정 간격으로 착설된 다수개의 실내등은 탑승한 승객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버스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은 승객의 안전과는 상관없이 뒤따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추돌 사고를 방지하거나 버스 실내의 조명 효과밖에 없었으므로, 운전자가 전방 상황에 따라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승객들은 이에 대처할 여유 없이 좌석에 앉아있는 앞좌석에 머리를 부딪치거나 서있는 승객은 넘어지는 등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운전자가 버스 운행중 전방상황에 따라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버스 실내에 구비된 제동 경보 등을 동작시킴으로써, 승객들로 하여금 이를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하도록 함으로써, 제동 조작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운전자 자신에게도 제동을 삼가게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 실내에 설치되어 승객들에게 브레이크 동작 여부를 인지하게 하고, 아울러 운전자에게 제동을 삼가도록 경고하는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패달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동작 검출수단과, 상기 브게이크 동작 검출수단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 조작을 검출함에 따라 버스의 현재 속도에 비한 정지시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가속도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제동 조작을 판단하여 승객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제어 수단과, 상기 경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 및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에 신속히 대처하도록 알리는 제동 경보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동 경보등은 상기 경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운전자에게 제동 조작을 알리도록 운전석 상단적소에 착설된 운전자 경보등과, 상기 스위칭부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을 알리도록 버스 실내의 통로의 적소에 착설된 1개 이상의 승객 경보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의 구성도이다.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버스 운행중 정지 또는 속도를 줄이고자 조작하는 브레이크 패달(1)과, 상기 브레이크 패달(1) 조작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동작 검출부(10)와, 버스의 현재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20)와, 상기 브레이크동작 검출부(10)에 의해 브레이크 패달(1) 조작을 검출함에 따라 상기 속도 검출부(20)로부터 검출된 버스의 현재 속도에 비한 정지시간을 검출하는 가속도 검출부(30)와, 상기 가속도 검출부(30)의 검출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제동 조작을 판단하여 승객들에게 경보함과 아울러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제어부(40)와, 상기 경보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동작을 알리는 브레이크등(50)과, 상기 경보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자 및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에 신중히 대처하도록 경보램프를 구동시키는 제동 경보등(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동 경보등(60)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보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전원(B+)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61)와, 상기 스위칭부(61)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B+)을 공급받아 운전자 및 버스의 앞쪽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을 알리도록 운전석 상단 적소에 착설된 제1브레이크 동작 경보등(62)과, 상기 스위칭부(61)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B+)을 공급받아 버스의 뒤쪽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제동 조작을 알리도록 버스의 중앙통로를 따라 착설되는 1개 이상의 제2브레이크 동작경보등(6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많은 승객들이 대중 교통으로 이용하는 각종 버스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교통사고, 즉 차량에 의한 대인 또는 대물사고 외에 버스 운행중 급정차시 타고 있는 승객들이 넘어짐으로 해서 팔, 다리, 허리 등의 골절상, 타박상 등의 부상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버스 운행중 운전자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브레이크를 밟아야할 경우 상기와 같은 버스 내에서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버스 운전자는 승객을 태우고 운행중에 전방상황에 따라 정차하고자 브레이크 패달(1)을 밟을 경우 브레이크 동작 검출부(10)에서 이를 검출한다.
브레이크 동작 검출부(10)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았음을 판단할 경우 이를 가속도 검출부(30)에서 속도 검출부(20)로부터 현재 버스의 속도를 공급받아 정지 가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즉, 현재 속도에서 브레이크 패달(1)을 밟음에 따른 정지시간에 의해 가속도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가속도 검출부(30)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는지를 판단하고 즉시 뒤따라 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버스의 운전자 및 승객들에게 즉시 알린다.
즉, 경보 제어부(40)는 가속도 검출부(30)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관계없이 브레이크등(50)을 동작시켜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즉시 알려 추돌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제동 경보등(60)을 동작시켜 승객과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경보한다.
여기서, 제동 경보등(60)의 동작은 상기 경보 제어부(40)에 의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음을 판단하고 스위칭부(61)를 제어하여 구동전원(B+)을 스위치하여 운전석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브레이크 동작 경보등(62)을 구동시켜 운전자 및 버스의 앞쪽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브레이크가 동작되고 있음을 인지시키므로 주의를 환기시킨다.
또한, 스위칭부(61)가 동작하여 구동전원(B+)이 공급됨에 따라 버스 실내 천장의 중앙 통로부의 적소에 구비된 1개 이상의 제2브레이크 동작 경보등(63)을 구동시킴으로서, 승객들은 승객 경보등(63)이 켜짐을 즉시 인지하고 신속히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 운행중 운전자가 전방 상황에 따라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이를 신속히 승객 및 운전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제동 조작으로 인해 승객들이 부상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운전자로 하여금 브레이크 조작을 삼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전기 검출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차속검출기, 전기 차속 검출기로부터 제동 신호를 전달받아 경보기를 작동시키는 경보 제어수단, 및 전기 경보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동조작을 알리는 제동 경보 등을 포함하는 버스 제동경보장치에 있어서, 전기 차속검출기는 현재속도 검출기 및 가속도 검출기로 구성되고, 전기 제동 경보등은 구동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전기 스위칭부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브레이크 조작을 알리도록 운전석 상단 적소에 착설된 제1브레이크 동작 경보등과, 전기 스위칭부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제동 조작을 알리도록 버스 천정의 중앙통로의 적소에 착설된 1개의 제2브레이크 동작 경보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제동경보장치.
KR2019950036460U 1995-11-29 1995-11-29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KR0138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60U KR0138159Y1 (ko) 1995-11-29 1995-11-29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60U KR0138159Y1 (ko) 1995-11-29 1995-11-29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43U KR970022343U (ko) 1997-06-18
KR0138159Y1 true KR0138159Y1 (ko) 1999-04-01

Family

ID=1943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460U KR0138159Y1 (ko) 1995-11-29 1995-11-29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1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43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159Y1 (ko) 버스의 제동 경보장치
JP2003205782A (ja) ブレーキランプ点灯装置
WO2004082996A1 (en) Brake warning system
JP3107924U (ja) 緊急警告灯装置
KR100210300B1 (ko) 졸음 운전시의 경고 및 안전시스템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KR0149140B1 (ko) 후속차량 근접방지 경고방법
KR970010193B1 (ko) 차량의 급감속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381239B1 (ko) 차량의비상등제어장치및방법
KR0134220Y1 (ko) 차량 급제동 알림 장치
KR970010194B1 (ko) 자동차 비상등의 자동점등 장치
KR100475874B1 (ko) 비상경고등점등장치
KR19980047784A (ko) 승합차량의 탑승인원초과 방지장치
KR0153653B1 (ko) 차량의 제동등 제어회로
KR100247889B1 (ko) 자동차의 도어열림 경고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30367U (ko) 일시 정지시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점멸속도 제어장치
KR200218247Y1 (ko) 주차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20000038179A (ko) 비상등 자동 점멸기능을 구비한 카오디오
KR970000883A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20040033482A (ko) 차량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9980030140U (ko) 차량의 다중추돌위험 경보장치
KR19980038580A (ko) 차량의 급감속시 비상등 자동점등방법
KR19990026111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고장 경보 장치
KR19980029826A (ko) 버스정차시 승객하차 알림장치
KR19980048086U (ko) 자동차용 비상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