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67Y1 -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67Y1
KR0137767Y1 KR2019960014971U KR19960014971U KR0137767Y1 KR 0137767 Y1 KR0137767 Y1 KR 0137767Y1 KR 2019960014971 U KR2019960014971 U KR 2019960014971U KR 19960014971 U KR19960014971 U KR 19960014971U KR 0137767 Y1 KR0137767 Y1 KR 0137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rake
parking
anchor plate
park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362U (ko
Inventor
정하승
Original Assignee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filed Critical 박문규
Priority to KR2019960014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67Y1/ko
Publication of KR980002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92Conne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 브레이크 슈(1)의 상부에 브레이크 슈 웨브(10)를 형성하고 상기 슈 웨브(10)에 뚫린 홀(11)이 앵커 플레이트(20)의 PIN부(21)에 지지되어 슈 웨브(10)의 회전 모우멘트를 지탱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슈 웨브(10)의 일측부 중앙에는 스트럿(30)이 형성되어 앵커 플레이트(20) 상부에서 셋팅되도록 볼트(40)로 체결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스트럿(30)의 일측에는 백 플레이트(50)와 하부에는 파킹 케이블(60)이 취부됨으로서 기존의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가 차지하고 있던 부분을 삭제함으로서 브레이크의 입력 포인트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종래의 세레이션 볼트와 너트를 삭제하고 일반 볼트(40)로 백 플레이트(50)에 앵커 플레이트(20)와 파킹 케이블(60)을 체결함으로서 재료비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주차시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동입력 포인트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주차브레이크의 슈를 변경하여 취부하도록 한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의 자동차의 제동장치는 수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동장치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첫째, 작동이 잘되고 확실해야 하며 둘째, 신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야 하는 것이며 셋째 , 정기점검 및 조정이 용이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갖는 제동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쓰이고 있으며, 기본적인 구조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링크나 유압을 이용해서 증대시켜 전달하는 기구와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하는 본체로 되어 있다.
또한 제동장치에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service brake)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가 있으며, 주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하기 때문에 푸트 브레이크(foot brake)라 하고 주차 브레이크는 보통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핸드 브레이크라 한다.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조작기구는 로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푸트 브레이크는 유압식이고 주차 브레이크는 기계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푸트 브레이크에는 유압식 외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배력식(倍力式) 브레이크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중에 하나인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는 추진축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는 뒷바퀴 브레이크식이 있으며 조작기구는 특수형 이외에는 모두 기계식을 사용하는바, 센터 브레이크식 주차 브레이크는 보통 트럭이나 버스에 많이 사용하며, 변속기 뒷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뒷바퀴 브레이크식은 승용차에 많이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푸트 브레이크용 슈를 링크나 와이어 등을 이용해서 벌려 제동하는 형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주차브레이크의 슈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슈(1)의 일측에는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2)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단에는 슈(1)를 확장시켜주는 기구인 스트럿(3)이 취부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세레이션 볼트(4)와 상기 세레이션 볼트(4)는 백 플레이트(5)에 취부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럿(3)에는 파킹 케이블(6)이 취부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브레이크슈의 지지구조는 운전자가 핸드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은 스트럿(3)에 연결된 파킹 케이블(6)의 인장으로 스트럿(3)이 세레이션 볼트(4)의 핸드부를 셋팅하면서 배력된 힘으로 양측에 취부되는 브레이크슈(1)를 밀어내게 되며 양측 슈(1)는 마찰재의 드럼에 밀착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브레이크슈는 기능상으로는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2)의 회전 모우멘트 지지부가 차지하는 영역으로 인해 주차 입력포인트를 확장할 수 있는 구간에 제한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구조상으로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드 브레이크의 슈지지부에 홈 가공(7)이 난이하며 상기 홈 가공(7)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를 특수하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과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주차시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동입력 포인트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를 변경하여 취부하도록 함으로서 재료비를 절감하고 상품성을 형성시키는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의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슈 2 :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
3 : 브레이크 슈 웨브 20 : 앵커 플레이트
21 : PIN부 30 : 스트럿
40 : 볼트 50 : 백 플레이트
60 : 파킹 케이블
먼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차브레이크 슈(1)의 상부에 브레이크 슈웨브(10)를 형성하고 상기 슈 웨브(10)에 뚫린 홈(11)이 앵커 플레이트(20)의 PIN부(21)에 지지되어 슈 웨브(10)의 회전 모우멘트를 지탱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슈 웨브(10)의 일측부 중앙에는 스트럿(30)이 형성되어 앵커 플레이트(20) 상부에서 셋팅되도록 볼트(40)로 체결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스트럿(30)의 일측에는 백 플레이트(50)와 하부에는 파킹 케이블(60)이 취부됨을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핸드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은 파킹 케이블(50)의 인장에 의해서 스트럿(30)이 백 플레이트(50)의 상단 지지면 위에서 셋팅하면서 레버가 작동하게 되고 앵커 플레이트(20)의 PIN부(21)에 지지된 양측 브레이크 슈 웨브(10)를 확장시켜 줌으로서 슈(11)가 드럼에 압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앵커 플레이트 슈 지지부가 차지하고 있던 부분을 삭제함으로서 브레이크의 입력 포인트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므로서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세레이션 볼트와 너트를 삭제하고 일반 볼트(40)로 백 플레이트(50)에 앵커 플레이트(20)와 파킹 케이브레(60)을 체결함으로서 재료비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슈의 상단에 홀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제동력을 확보함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슈(1)의 상부에 브레이크 슈 웨브(10)를 형성하고 상기 슈 웨브(10)에 뚫린 홀(11)이 앵커 플레이트(20)의 PIN부(21)에 지지되어 슈 웨브(10)의 회전 모우멘트를 지탱하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슈웨브(10)의 일측부 중앙에는 스트럿(30)이 형성되어 앵커 플레이트(20) 상부에서 셋팅되도록 볼트(40)로 체결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스트럿(30)의 일측에는 백 플레이트(50)와 하부에는 파킹 케이블(60)이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KR2019960014971U 1996-06-05 1996-06-05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KR0137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971U KR0137767Y1 (ko) 1996-06-05 1996-06-05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971U KR0137767Y1 (ko) 1996-06-05 1996-06-05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362U KR980002362U (ko) 1998-03-30
KR0137767Y1 true KR0137767Y1 (ko) 1999-03-20

Family

ID=1945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971U KR0137767Y1 (ko) 1996-06-05 1996-06-05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36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444B1 (en)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KR0137767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의 슈지지구조
US6065571A (en) Drum brake system and device
KR0124017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211706B1 (ko) 브레이크페달 연동식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312596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구조
KR0178943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동방법
KR0116020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장치
KR0155121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0135504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KR19980040891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플레이트
KR0124644Y1 (ko) 기어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KR19980032788U (ko)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의 제동력향상구조
KR0113376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JPH066297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付き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
KR19980049205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19990024687U (ko) 응답성 향상구조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KR19980038831U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마찰 패드
KR19980053700A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5803A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8857U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
KR20000009540U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의 로킹 장치
KR19980030145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슈우 장착구조
KR19980055340A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마찰 패드
KR19990020677A (ko) 주차브레이크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