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10Y1 -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10Y1
KR0136510Y1 KR2019930030532U KR930030532U KR0136510Y1 KR 0136510 Y1 KR0136510 Y1 KR 0136510Y1 KR 2019930030532 U KR2019930030532 U KR 2019930030532U KR 930030532 U KR930030532 U KR 930030532U KR 0136510 Y1 KR0136510 Y1 KR 0136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ide mold
compressed air
fixed sid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288U (ko
Inventor
최성욱
정말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30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10Y1/ko
Publication of KR950017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1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을 성형하고 이를 취출한 후 금형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고정측금형과, 이 고정측금형에 대해 밀착 및 이탈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측금형에 밀착되어 제품이 성형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이동측금형을 구비한 사출금형에 있어서, 이동측금형의 이동에 연동 하여 이동측금형 및 고정측금형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압축공기분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 사출금형은 금형의 밀착면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발생 억제 및 생산성향상에 이바지한다.

Description

사출금형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형합된 상태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형개된 상태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도시한 사출금형에서 블록부위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출금형 1 : 고정측금형
2 : 이동측금형 3 : 공동부
11 : 고정측형판 21 : 이동측형판
22 : 밀판 23 : 스위치
24 : 솔레노이드 밸브 25 : 블록
26 : 타이머
본 고안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품을 성형하고 이를 취출한 후 금형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금형이 밀착되어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부로 용융된 플라스틱이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플라스틱을 고화시켜 상기 공동부의 형상을 갖는 제품을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사출금형에 있어서, 성형된 제품으로부터 이탈되는 플레쉬등과 같은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나, 금형의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이물이 밀착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밀착면에 부착되는 이물로 인하여 형합되는 과정에서 밀착면이 상기 공동부측으로 눌리게 되거나, 밀착면들간의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만일 밀착면이 눌리게 되면, 금형에 언더컷이 생겨 제품을 성형한 후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제품의 표면이 긁히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제품이 빠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품의 가장자리 부에 플레쉬가 형성되는 결함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물의 부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이물이 발견되면 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의존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정해진 사이클타임내에서 이물의 부착여부를 확인하는데는 무리가 있으며, 작업자는 성형된 제품의 끝손질(게이트 처리나 제품검사 또는 포장 등)에 역점을 두게 되므로 이를 실시하기가 곤란하였다. 더욱이 자동사출라인에서는,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한번 문제가 되기 시작하면 다량의 불량제품이 속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형 내에 이물이 침입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의 부착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요인을 제거하고 제품의 원활한 생산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사출 금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측금형과, 이 고정측금형에 대해 밀착 및 이탈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측금형에 밀착되어 제품이 성형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이동측금형을 구비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금형이 상기 고정측금형에 대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측금형 및 고정측금형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압축공기분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압축공기분출수단은 상기 이동축금형의 이동에 연동 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3도에는 제2도에서 도시한 사출금형에서 블록부위를 발췌하여 사시도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출금형(100)은 상호 밀착되어 공동부(3)를 형성하는 한 쌍의 금형 즉, 고정측금형(1)과 이동측금형(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동부(3)에는 용융플라스틱이 주입되어 고화된 후 제품이 성형되게 된다. 사출기의 고정측(10)에 부착되는 고정측금형(1)에는 고정측형판(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출기 고정측(10)의 노즐(30)로부터 공동부(3)로 용융플라스틱이 유입될 수 있도록 스프루(1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사출기의 이동측(20)에 부착되어 고정측금형(1)에 대해 밀착 및 이탈되도록 이동하는 이동측금형(2)에는 고정측형판(11)에 밀착되어 공동부(30)를 형성하는 이동측형판(2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성형된 제품(50)을 추출하기 위한 밀판(22)이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밀판(22)에는 밀핀(221) 및 리턴핀(222)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밀판(22)이 이동하여 성형된 제품(50)을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형판들(11, 21)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이 제거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압축공기분출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압축공기분출수단은 고정측형판(11)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이동측금형(2)의 이동에 연동 하여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23)와, 이동측형판(21)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이동측형판(21) 및 고정측형판(11)의 표면을 향하는 복수개의 공기분출구(251)가 형성된 블록(25)과,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원(60)과, 이 압축공기공급원(60)에 연결되며 스위치(23)의 접점이 분리되고 소정시간 경과한 후 압축공기공급원(60)으로부터 나오는 압축공기 블록(25)으로 공급하도록 된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상기 소정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타이머(26)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100)이 사출기에 세팅되어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출기의 이동측(20)이 이동하고 이에 따라 사출기의 이동측(20)에 부착된 이동측금형(2)이 이동하여 이동측형판(21)이 고정측금형(1)의 고정측형판(11)에 밀착되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부(3)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고정측형판(11)에 설치된 스위치(23)가 이동측형판(21)에 눌리면서 접점이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사출기의 고정측(10)에 마련된 노즐(30)로부터 용융된 플라스틱이 스프루(12)를 통해 공동부(3)에 주입되고 소정시간 경과 후 고화되어 공동부(3)와 동일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게 된다. 성형이 완료되면 사출기의 이동측(20)이 후퇴하게 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측금형(2)이 고정측금형(1)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때, 성형된 제품은(50)은 이동측금형(2)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측금형(1)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사출기의 이동측(20)에 마련된 이젝트봉(40)이 이동측금형(2)에 설치된 밀판(22)을 고정측금형(1)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밀판(22)에 고정된 밀핀(221)은 제품(50)을 밀어내어 이동측금형(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측금형(2)이 고정측금형(1)으로부터 이탈될 때, 고정측형판(11)에 고정된 스위치(23)가 복귀되어 접점이 분리되면서 타이머(26)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타이머(26)로 미리 세팅하여 둔 소정시점(제품의 취출이 완료되는 시점으로 세팅함이 바람직하다.)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4)가 개방되면서 압축공기공급원(60)으로부터 나오는 압축공기가 블록(25)으로 들어가 공기분출구(251)를 통해 이동측형판(21)과 고정측형판(11)의 표면으로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되는 압축공기는 형판들(11, 21)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불어내며 제거하게 된다. 압축공기가 분출되는 도중에 다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고정측금형(1)과 이동측금형(2)이 형합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스위치(23)는 이동측형판(21)에 눌려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24)를 폐쇄시켜 블록(25)으로의 압축공기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측금형(1)과 이동측금형(2)이 형합되어 제품을 형성하고 이동측금형(2)이 고정측금형(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제품을 취출한 후, 압축공기가 고정측금형(1) 및 이동측금형(2)의 표면으로 분사되어 이물을 제거하게 되며, 이동측금형(2)이 고정측금형(1)에 밀착되어 스위치(23)의 접점이 연결될 때까지 압축공기는 계속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23)의 접점이 연결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어 압축공기의 분사는 차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사출금형은 제품의 성형을 위하여 이동측금형이 고정측금형에 밀착되도록 이동할 때 이에 연동 하여 금형에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금형의 밀착면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고정측금형과, 이 고정측금형에 대해 밀착 및 이탈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측금형에 밀착되어 제품이 성형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이동측금형을 구비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금형이 상기 고정측금형에 대해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측금형 및 고정측금형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는 압축공기분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압축공기분출 수단은 상기 이동측금형의 이동에 연동 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분출수단이 상기 고정측금형(1)의 일측에 부착되며 상기 이동측금형(2)의 이동에 연동 하여 접점이 개폐되는 스위치(23)와, 상기 이동측금형(2) 및 고정측금형(1)의 표면을 향하는 복수개의 공기분출구(251)를 가지며 상기 이동측금형(2)의 일측에 설치되는 블록(25)과,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원(60)과, 이 압축공기공급원(60)에 연결되며 스위치(23)의 접점이 분리되고 소정시간 경과한 후 압축공기공급원(60)으로부터 나오는 압축공기를 블록(25)으로 공급하도록 된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상기 소정시간을 세팅하기 위한 타이머(26)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KR2019930030532U 1993-12-29 1993-12-29 사출금형 KR0136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32U KR0136510Y1 (ko) 1993-12-29 1993-12-29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532U KR0136510Y1 (ko) 1993-12-29 1993-12-29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88U KR950017288U (ko) 1995-07-20
KR0136510Y1 true KR0136510Y1 (ko) 1999-05-15

Family

ID=1937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532U KR0136510Y1 (ko) 1993-12-29 1993-12-29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88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013A (en) Reconfigurable mold having travelling separator assist
KR0136510Y1 (ko) 사출금형
US3121919A (en) Injection moulding machine
JPH08197578A (ja) 複合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537985B2 (ja) プラスチックの成形方法
JP3354701B2 (ja) 射出成形金型装置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JP2625542B2 (ja) ウエハー及びその成形金型
KR100232820B1 (ko)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JPH06143352A (ja) サイドゲートブロック切断式射出成形用金型
JPH06720U (ja) 射出成形用金型
JPS63209912A (ja) 射出成形機用取出機
KR0135588B1 (ko) 사출성형기의 공기분사장치
KR940002858Y1 (ko) 사출금형의 이형불량 방지를 위한 비디오 테이프용 릴 다운구조
KR19990041879U (ko) 언더컷을 가진 사출 성형품의 취출 장치
KR20090110281A (ko) 사출성형금형의 금형내 게이트 커팅장치
JPH10113950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H02164509A (ja) 射出成形金型
JP2002361687A (ja) 射出成形型の付着物除去方法
JPS6140127A (ja) 樹脂成型品の射出成型方法とその金型
JPH1024425A (ja) ゴム成形品の離型方法
KR200145970Y1 (ko) 금형의 터널 게이트 구조
JPH077133Y2 (ja) 射出成形用金型
JP2772336B2 (ja) 射出成形装置
JPH047114A (ja) 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