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347B1 -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347B1
KR0136347B1 KR1019940026330A KR19940026330A KR0136347B1 KR 0136347 B1 KR0136347 B1 KR 0136347B1 KR 1019940026330 A KR1019940026330 A KR 1019940026330A KR 19940026330 A KR19940026330 A KR 19940026330A KR 0136347 B1 KR0136347 B1 KR 013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ember
operation handle
drive
stopp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71A (ko
Inventor
요시따까 이노우에
요시아끼 오까모또
야스오 와다
에이끼찌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 슈우사꾸
Publication of KR95001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한 스톱퍼(17)와 구동축(5)에 나착하는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조작핸들(18)을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설치한다. 이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19)을 설치하고,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이 경사면(31a)을 구동부재(8)의 계합단부(37)에 탄접시키고, 무부하상태에서 권상·견인조작시, 조작레버(16)의 복동에 따른 이송포올(14)의 맞물림저항으로 구동부재(8)가 추종하여 역회전하는 일은 없게 하였다.

Description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제 1도는 본 발명 레버식 권상견인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 2도는 조작핸들의 축방향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제 3도는 조작핸들과 구동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4도는 구동부재의 계합단부와 조작핸들의 계합돌기와의 통상사용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 5도는 유전제어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제 4도에 대응한 정면도.
제 6도는 제 1도에 대응한 유전제어상태의 종단면도.
제 7도는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 8도는 조작핸들과 스톱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로드시이브5 : 구동축
7 : 종동부재8 : 구동부재
8a : 치부13 : 메카니컬브레이크
14 : 이송포올16 : 조작레버
17 : 스톱퍼17a : 요철줄
18 : 조작핸들23a : 요철줄
19 : 스프링29 : 볼록부
30 : 오목부31 : 계합돌기
31a : 경사면32 : 돌출부
35 : 유전제어면37 : 계합단부
50 : 유전제어용스프링
본 발명은 레버식 권상견인기, 상세하게는 이송포올을 가진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이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으로 메카니컬브레이크를 거쳐 로드시이브를 구동하고, 하물의 권상이나 견인을 행하도록 한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레버를 구비한 레버식 견상견인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평3-1074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에, 외주에 치부를 가진 구동부재가 나착되고, 또 상기 조작레버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치부에 전환가능하게 계합하는 이송포올을 설치하고, 이 이송포올의 이송축 포올부를 상기 치부에 계합시켜 상기 조작레버를 왕복 조작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를 나진시켜, 메카니컬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이 메카니컬블이크를 거쳐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로드시이브에 전달하고, 이 로드시이브를 구동하여 하불을 권상하거나, 견인하거나 하고, 또 상기 이송포올의 리턴측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의 치부에 계합시켜 상기 조작레버를 왕복조작함으로서 상기 구동부재를 나진시키고 이 나진에 의하여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하여 로드시이브를 상기 구동부재의 나진량만큼 역회전시켜 하물을 내리거나, 견인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에 설치하는 이송포올의 이송측 포올부와 리턴측 포올부의 한쪽을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에 설치하는 치부에 계합시켜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하여 정역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이 정회전으로 상기 구동부재를 나진시켜 메카니컬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로드시이브에 전달하고, 상기 로드시이브를 구동회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드시이브에 부하가 작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구동부재는 나진상태로 되어 메카니컬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를 왕복조작하여도 그 왕동(往動)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복동(復動)으로 구동부재를 추종시키는 일 없이 왕동시단(往動始端) 위치까지 복귀시킬 수가 있으나, 상기 로드시이브에 부하가 작용하고 있지 않은 무부하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를 왕복조작하여 상기 로드시이브를 권상·견인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경우, 상기 로드시이브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레버의 왕동시, 메카니컬브레이크가 작동하여도 그 복동시, 상기 구동부재의 치부에 계합하는 이송포올의 맞물림 저항이 상기 구동부재의 역회전 저항을 이겨내고, 상기 레버의 복동에 추종하여 역회전하고, 메카니컬브레이크가 해제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를 왕복동시켜도 상기 구동부재가 나진·나퇴를 반복할 뿐으로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불편이 생긴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기한 무부하시에서의 조작레버에 의한 권상·견인시, 상기 로드시이브 또는 상기 로드시이브에 걸어설치되는 로드체인에 부하를 주면서 조작레버를 왕복조작시키거나, 조작레버의 복동시 상기 구동부재에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외력을 가하거나 하여 상기 조작레버의 복동조작에 구동부재가 추종하여 역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조작레버의 왕복조작과는 별도로 상기 로드시이브 또는 로드체인에 부하를 가하거나, 구동부재에 외력을 가하거나 하는 조작에 필요하게 되고, 특히 1인작업에 있어서는 한손으로 레버조작하면서 한손으로 외력을 가하는 조작과 권상견인기 본체를 지지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무부하시에서의 권상견인기조작이 번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부하상태에서의 조작레버에 의한 권상·견인조작시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를 효과적으로 작동시켜 간단한 조작으로 로드시이브의 권상·견인방향의 구동회로이 행해지도록 한 레버식 권상견인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드시이브(3)와, 종동부재(7)를 가지는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5)과, 외주부에 치부(8a)를 가지는 상기 구동축(5)에 나착하는 구동부재(8)와,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메카니컬브레이크(13)와 상기 치부(8a)에 전환가능하게 계합하는 이송포올(14)을 가지고, 왕복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레버(16)를 구비한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하는 스톱퍼(17)와, 이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개장되고, 축방향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핸들(18)과, 이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19)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 대향면에 상기 구동부재(8)에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돌기(3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측 대향면에 상기 돌기(31)가 계합하는 계합단부(37)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31)에 있어서의 구동부재(8)의 구동전회전방향 전방측에 상기 돌기(8)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구동부재(8)이 구동정회전 후방외측에 경사하는 경사면(31a)을 설치하고,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상기 경사측면(31a)이 상기 계합단부(37)에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시킨 것이다.
또 상기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 대향면에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한 상대회전조작시,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의 축방향 단면이 계합하고,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하는 유전제어면(35)을 가진 돌출부(32)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32)의 구동회전방향 훅단부에 계합단부(37)를 설치하는 것이 좋고, 또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를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개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톱퍼(17)를 구동축(5)에 다수의 요철줄(17a, 23a)에 의한 결합구조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대향면 사이에 오목부(30)와, 이 오목부(30)에 감합하는 볼록부(29)를 설치하고, 이들 요철부(29, 30)중 적어도 한쪽을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설치하고, 이 피치각을 상기 스톱퍼(17)와 구동축(5)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요철줄(17a, 23)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발명에서는,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의 경사면(31a)에 구동부재(8)에 설치하는 계합단부(37)를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시켰기 때문에 로드시이브(3)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시에서도 상기 구동부재(8)에 그 회전저항이 가해짐과 동시에 브레이크체부(締付)방향의 힘을 가해직고, 이 때문에 조작레버(16)의 왕복조작에 의한 상기 로드시이브(3)의 권상견인시 상기 조작레버(16)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하는 이송포올(14)의 맞물림 저항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가 조작레버(16)의 복동조작에 추종하여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무부하시에서도 상기 레버(16)의 조작에 의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항상 작동시키고, 이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거쳐 로드시이브(3)의 권상·견인방법의 구동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부하상태에서 로드시이브(3)를 권상견인방향으로 구동조작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로드시이브에 부하를 가하거나 구동부재에 외력을 가하거나 하는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무부하상태에서의 권상견인조작을 가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의 단면이 계합되고,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하는 유전제어면(35)을 가진 돌출부(3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18)의 조작에 의한 상기 돌기(31)의 유전제어면(35)으로의 탄접에 의하여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이 유전상태의 유지에 의하여 유전제어시에 있어서의 로드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이 결과 숙련을 요하는 일 없이 로드체인의 길이의 조정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이고, 또 상기 돌출부(32)의 구동회전방향 후단부에 계합단부(37)를 설치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이 계합단부(37)를 상기 돌기(31)의 경사면(31a)에 탄접되도록 했기 때문에 이 탄접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32)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무부하시에도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한 권상견인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레버(16)과의 사이에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개장하였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16)을 구동부재(8)로부터 이반하는 외방위치에 인출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의 작용으로 회전시켜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이완할 수 있고, 따라서 익숙하지 못한 조작자가 유전제어할 경우에도 유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 오조작을 없애고, 오조작에 의한 유전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하는 요철부(29, 30)의 적어도 한쪽을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설치하고, 그 피치각을 상기 스톱퍼(17)를 상기 구동축(5)에 결합하는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상기 계합돌기(31)의 경사면(31a)이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하는 계합단부(37)에 탄접할 때, 이 계합단부(37)에 대한 경사면(31a)의 탄접위치를 상기 스톱퍼(17)에 대한 상기 조작핸들(18)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즉 상기 요철부(29, 30)의 감합위치를 변화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적정위치, 환언하면, 상기 경사면(31a)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31)의 정상 가까이에 정밀도 좋게 위치시킬 수가 있고, 또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에 있어서의 라이닝판의 마모가 생겨, 상기 탄접위치가 어긋나도 이 탄접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과부하 방지장치를 갖지 않는 레버식 권상견인기로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상으로 배치한 제 1 및 제 2측판(1, 2)사이에, 로드시이브(3)를 가지는 통축(4)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여 상기 통축(4)내에, 후기하는 조작레버측으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5)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구동축(5)의 상기 제 2측판(2)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단부와 상기 로드시이브(3)와의 사이에 복수의 감속 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기어기구(6)를 개장시켜 상기 감속기어기구(6)로 상기 구동축(5)의 회전동력을 상기 로드시이브(3)측에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제 1측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구동축(5)의 외부측에는 플랜지를 가진 허브로 이루어진 종동부재(7)를 나착하고, 그 종동부재(7)의 외방측으로 상기 구동축(5)상에 외부에 치부(8a)를 가지는 구동부재(8)를 나착함과 동시에 이 구동부재(8)과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한쌍의 제동판(9, 10)과 제동용래칫(11)을 각각 개장시키고, 또 상기 제 1측판(1)에 상기 제동용래칫(11)과 맞물리는 제동용포올(12)을 설치하여 이들 제동용래칫(11) 및 각 제동판(9, 10)으로 메카니컬브레이크(13)을 구성하고 있다.
다시,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브레이크커버(13a)의 외측부에서 상기 구동부재(8)의 직경방향 외방측에는 상기 구동부재(8)의 외주부에 설치한 상기 치부(8a)에 맞물림 가능한 이송측 포올부 및 리턴측 포올부를 구비한 이송포올(14)을 가지고, 상기 이송포올(14)의 이송측 포올부 및 리턴측 포올부를 상기 치부(8a)에 선택적으로 계탈조작하는 조작부(15)를 구비한 조작레버(1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는 스톱퍼(17)를 설치하고, 이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한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근접하는 제 1위치와 이반하는 제 2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개장하여, 상기 조작핸들(18)과 스톱퍼(17)와의 사이에, 상기 핸들(18)을 구동부재(8)의 방향에 가세하는 주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19)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18)과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한 이반방향으로의 이동, 즉 상기 제 2위치에서의 이동으로 규제해제 가능하게 한 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즉, 제 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5)에 제 1 및 제 2나사부(20, 21)와 다수의 요철줄을 가지는 세레이션부(23)를 설치하고, 제 1나사부(20)에 상기 종동부재(7)를 또, 제 2나사부(21)에 상기 구동부재(8)를 나착하여, 상기 종동부재(7)와 상기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24)을 개장하여 상기 코일스프링(24)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5)에 대한 상기 종동부재(7)의 축방향 이동을 구속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구동부재(8)의 상기 구동축(5)에 대한 정전에 의하여 제 1도 좌방향으로 나진하도록 하고 있고, 또 상기 구동부재(8)의 외방측에 있어서의 상기 세레이션부(23)에 슬리이브(25)를 감합하고, 이 슬리이브(25)의 바깥측에 있어서의 상기 세레이션부(23)의 단부에 스톱퍼(17)를 다수의 요철줄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하여, 너트(27)의 체부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17)를 상기 슬리이브(25)를 거쳐 상기 구동축(5)에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에 설치한 감합구멍(28a)을 상기 슬리이브(25)에 감합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축(5)의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 회전가능하게 한 상태로 상기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개장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핸들(18)의 내주면에는 한쌍의 볼록부(2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톱퍼(17)의 외주부에는 상기 볼록부(29)가 계합하는 한쌍의 오목부(30)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의 볼록부(29)를 상기 스톱퍼(17)의 오목부(30)에 계합시키고, 이 계합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19)은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의 외측면과 상기 스톱퍼(17)의 상기 보스(28)에 대향하는 내측면과의 사이에 개입시키고, 이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압압되는 것이다.
다시,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반경방향 단부에는, 상기 구동부재(8)측으로 돌출하는 계합돌기(31)를 제 4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칭상으로 2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8)에 있어서의 상기 (18)의 보스부(28)에 대향하는 측에는 제 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돌출부(32)를 대칭상으로 설치하여, 이들 돌출부(32)에, 상기 구동부재(8)가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때, 상기 계합돌기(31)가 계합하여 상기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규제수단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규제면(33, 34)을 설치하고, 이들 규제면(33, 34)중, 상기 돌출부(32)의 구동정회전방향 후단부에 위치하는 제 2규제면(34)의 단부에 상기 계합돌기(31)가 계합하는 계합단부(37)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 2 및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기(31)에 있어서의 구동부재(8)의 구동정회전 전방측에 상기 돌기(31)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구동부재(8)의 구동정회전 후방외측에 경사하는 경사면(31a)을 설치하고,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즉 상기 구동부재(8)가 나진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1a)이 상기 계합단부(37)에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으로 탄접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를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개장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32)에는, 제 2규제면(34)과 연속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이반하는 제 2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의 비틀림방향의 가세력으로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고,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이완시킬 때,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의 가세로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선단면을 접촉시키고, 이 접촉에 의하여 구동부재(8)에 회전저항을 가하고, 유전유지하는 유전제어면(35)을 설치하고, 다시, 상기 돌출부(32)에 상기 유전제어면(35)으로부터 일어서, 상기 계합돌기(31)의 선단면이 상기 유전제어면(3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8)가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상기 계합돌기(31)의 회전방향 전방측과 계합하는 제 3규제면(36)을 설치하고 있다.
또, 제 1도에 있어서 44는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이송측 포올리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하는 이송위치(정전구동위치)와, 리턴측 포올이 상기 치부(8a)에 계합하는 리턴위치(유전구동위치) 및 상기 이송츠포올과 피턴측 포올의 모두가 상기 치부(8a)에 계합되지 않는 중립위치의 3위치에 유지하는 포올유지 기구로, 압압체(45)와 스프링(46)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고, 상기 조작레버(16)의 외면에는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조작부(15)의 조작위치를 지시하는 예를 들면 「이송」「리턴」 및 「중립」 또는 「유전」등의 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또, 이상의 구성으로 상기 구동축(5)상에 제 1 및 제 2나사부(20, 21)를 설치하여, 상기 종동부재(7)와 구동부재(8)를 나착하였으나, 구동축의 가공성이나 강도면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제 1나사부(20)는 세레이션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 제 1나사부(20)를 설치하여 상기 종동부재(7)를 나착하는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24)에 의하여 상기 종동부재(7)의 나진을 구속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제 2나사부(21)에 E링을 설치하여 상기 E링과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스프링(24)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나사부(20)의 나사홈에 미국 나이록사제의 큰 탄성반발력을 가지며, 마찰접합력을 가진 나이론수지를 코팅하여, 상기 종동부재(7)의 나진을 그 리턴저지효과로 구속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종동부재(7)을 나사고정이나 코터핀(cotter pin)의 타입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5)에 고정하여도 좋은 것으로, 상기 스프링(24)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한 레버식 권상견인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짐 올림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16)에 설치한 조작부(15)의 조작으로 상기 이송포올(14)의 이송축 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레버(16)를 왕복조작하고 이 왕복조작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정전방향으로 구동회전시켜 행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로드시이브(3)에 부하가 작용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8)가 제 1도 좌측방향, 즉 상기 종동부재(7)측으로 나진하고, 또 이 나진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게 된다. 또 한편, 상기 로드시이브(3)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경우, 종래예에서는, 상기 레버(16)의 복동시, 상기 치부(8a)에 계합하는 이송측 포올부의 맞물림 저항이 상기 구동부재(8)의 역회전 저항보다 크면,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레버(16)의 복동에 추종하여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레버(16)를 왕복조작을 반복하여도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버(16)의 왕동에 의한 구동부재(8)의 회전으로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할 때, 상기 계합단부(37)가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있어서의 경사면(31a)에 탄접하여 이 탄접으로 상기 구동부재(8)에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이 작용하고, 상기 구동부재(8)가 축방향 안쪽(로드시이브측)에 압압되게 되어, 상기 구동부재(8)의 역회전에 저항이 가해짐과 동시에, 상기 경사면(31a)에 계합단부(37)가 탄접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에는 브레이크 체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력이 작용하여,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이송포올(14)에 의한 맞물림저항 보다 큰 역회전저항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로드시이브(3)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상태라도, 상기 레버(16)의 왕동조작에 의하여 구동부재(8)의 나진 후, 복동조작하여도 상기 구동부재(8)는 역회전하여 나퇴하는 일은 없고, 이 결과, 상기 구동부재(8)의 나진이 유지되어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조작레버(16)의 왕동조작에 의한 구동부재(8)의 회전동력이 상기 구동축(5)으로부터 상기 감속기어기구(6) 및 통축(5)을 거쳐 상기 로드시이브(3)측에 전달되고, 상기 로드시이브(3)의 회전에 따라 로드시이브(3)에 걸어 감은 체인에 접속한 하물 등의 짐 올림 작업이 행해진다.
또, 짐 내림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15)에 있어서의 이송포올(14)의 리턴측 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8)의 상기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레버(16)를 요동조작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8)가 역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가 종동부재(7)에 대하여 나퇴하고, 이 나퇴에 의하여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제동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구동축(5)이 구동부재(8)의 역전량만큼 역회전할 수가 있어, 안전하게 짐 내림작업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로드시이브(3)를 역전상태로 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에 감겨진 체인의 부하측으로의 자유로운 신장이나 단축으로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포올(14)을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퍼(17)측, 즉 구동부재(8)에 대하여 이반하는 제 2위치로 인출한다. 이 인출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한 상기 돌기(31)가 상기 제 1 및 제 2규제면(33, 34)에 대하여 규제되지 않는 규제헤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규제해제와, 상기 이송폴편(14)의 중림위치로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의 비틀림방향의 가세력으로 브레이크 이완방향(제 4도 점선 화상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5도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50)의 탄성력을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력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을 제 2위치에 인출하는 것만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상기 종동부재(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나퇴시켜서,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에 의한 제동작용을 해제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를 유전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 상기 돌기(31)는 제 4도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 5도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재(8)의 유전제어면(35)에 대향하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18)의 인출조작을 개방하면,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의 가세력으로 상기 조작핸들(18)이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압압되어, 상기 돌기(31)의 돌출선단면이 제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한 상기 돌출부(32)의 유전제어면(35)에 탄접하게 되고, 이 탄접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의 유전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체인을 당겨 부하측 체인의 신속한 신장이나 단축을 행하는 유전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는 종래예에 비교하여 넓게할 수 있어 숙련을 요하는 일없이 부하측 체인의 신장 및 단축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이 유전제어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체인의 인장력을 강하게 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에 역전방향의 강한 힘을 작용시킬 때는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선단면과 상기 유전제어면(35)과 탄접이 슬립하여 해제되고, 상기 계합돌기(31)가 제 1규제면(33)과 제 2규제면(34)과의 사이에 리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제동작동이 행해지거나, 중지되거나 할 수 있는 상태로 리턴되는 것이다. 즉, 유전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시이브(3)에 역전방향의 강한 힘이 작용하면,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구동축(5)에 나착되고, 또 그 회전관성력은 상기 구동축(5)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상기 유전제어면(35)이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가세력을 이겨내어 계합돌기(31)에 대하여 미끄러져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조작핸들(18)의 회전에 대하여 조금 늦게 회전을 개시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 선단면과 상기 유전제어면(35)과 탄접이 해제되고, 상기 계합돌기(31)가 제 1규제면(33)과 제 2규제면(34)과의 사이에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 이상의 유전제어에 의하여 로드체인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 로드체인을 긴장시킨 후, 짐 올림하거나 견인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전환하고, 이송측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조작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작동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켜진다. 즉 상기 이송측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16)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축(5)은 상기 로드체인의 긴장으로 회전저항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8)가 정전방향, 즉 이송방향으로 회전하여 나퇴하고,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거쳐 상기 로드시이브(3)가 구동회전시켜, 짐올리거나 견인하거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18) 및 스톱퍼(17)의 조립은 상기 구동부재(8)를 구동축(5)에 나착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가 작동하는 상태로 조여넣고, 앞서 조립하는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14)이 이송측 포올부를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킨 후, 상기 슬리브(25)를 상기 구동축(5)의 세레이션부(23)에 감합하고, 상기 슬리브(25)에 조작핸들(18)에 있어서의 보스부(28)의 감합구멍(28a)을 삽감하고, 이 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면(31a)이 상기 구동부재(8)의 계합단부(37)에, 상기 경사면(31a)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31)의 정상부 가까이에 탄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톱퍼(17)를, 상기 스톱퍼(17)의 오목부(30)가 상기 조작핸들(18)의 볼록부(29)에 합치하도록 조정하면서 상기 세레이션부(23)에 감합하고, 그런 후 상기 너트(27)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17)를 구동축(5)에 고정함으로써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부(23)의 요철줄 및 요철줄에 감압하는 스톱퍼(17)이 요철줄의 피치각을 작게하면 상기 스톱퍼(17)의 오목부(30)를 상기한 탄접위치에 유지되는 조작핸들(18)의 볼록부(29)에 합치시켜 감합할때, 상기 스톱퍼(17)의 요철줄이 세레이션부(23)의 요철줄에 대하여 어긋나 있어도 그 어긋남량은 상기 각 요철줄의 1피치각이 최대이므로 상기 돌기(31)에 있어서의 경사면(31a)의 계합단부(37)와의 탄접위치의 어긋남은 많지 않으므로, 상기 요철줄의 피치각을 예을 들면 15~20도로 했을 경우, 즉 제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17)의 요철줄(17a) 및 세레이션부(23)의 요철줄(23a)의 수를 18로하여 그 피치각을 20도로 한 경우에는 최대 20도에 따른 탄접위치의 어긋남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어긋남에 의해 상기 스프링(19)에 의한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체부방향으로의 분력이 작아져, 상기 구동부재(8)에 이송포올(14)에 의한 맞물림저항 보다 큰 역회전저항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 것이나,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요철부(29, 30)중 적어도 한쪽을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설치하고, 그 피치각을 상기 스톱퍼(17)와 구동축(5)의 세레이션부(23)에 설치하는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함으로써 상기 탄접위치의 어긋남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즉, 제 8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톱퍼(17)와 세레이션부(23)에 설치하는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θ1을 20도로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18)에 180도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 한쌍의 볼록부(29)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17)에 상기 볼록부(29)가 감합하는 오목부(30)를 45도의 피치각 θ2으로 원주방향으로 8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톱퍼(17)를 구동축(5)의 세레이션부(23)에 대해 상기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2θ1, 즉 40도 위치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요철부(29, 30)의 감합위치를 1피치각 θ2, 즉, 45도 어긋나게 했기 때문에 상기 스톱퍼(17)에 대한 조작핸들(18)의 원주방향위치를 5도 어긋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요철줄(17a, 23a)의 위치변경을 4피치각 4θ1, 즉, 80도에 대해 요철부(29, 30)의 위치변경을 2피치각 2θ2즉, 90도로 함으로써 10도, 또 6피치각 6θ2, 즉, 120도에 대하여 3피치각 3θ2, 즉 135도로 하는 것으로 15도 어긋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스톱퍼(17)에 대한 조작핸들(18)의 원주방향 위치를 0도로부터 5도, 10도 및 15도의 3단계로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스톱퍼(17)와 세레이션부(23)와의 요철줄(17a, 23a)은, 상기한 20도의 피치각으로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예를 들면 15도로 설정하는 일도 가능하여 상기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을 15도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톱퍼(17)에 설치하는 오목부(30)의 피치각은 15도의 피치각은 물론, 그 정수배 각이 되지 않는 피치각, 예를 들면 35도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스톱퍼(17)에 대한 조작핸들(18)의 원주방향위치는 0도 내지 3도, 6도, 9도 및 12도의 4단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제 8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톱퍼(17)의 오목부(30)를 상기 요철줄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복수설치하였으나, 상기 조작핸들(18)의 볼록부(29)를 상기 요철줄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복수설치하여도 좋다.
다시, 상기 조작핸들(18)에 볼록부(29)를 상기 스톱퍼(17)에 오목부(30)를 설치하였으나 반대이더라도 좋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핸들(18) 및 스톱퍼(17)의 조립은 상기한 조림법과 변함이 없으나,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있어서의 상기 경사면(31a)의 정상부 가까이가, 상기 구동부재(8)의 계합단부(37)에 탄접하도록 위치시키고, 그리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스톱퍼(17)를 상기 구동축(5)의 세레이션부(23)에 상기 조작핸들(18)의 볼록부(29)에 가장 근접하고 있는 상기 스톱퍼(17)의 오목부(30)를, 상기 볼록부(29)에 가압시켜 조립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볼록부(29)에 대한 오목부(30)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상기 스톱퍼(17)를 그 요철줄(17a)의 2피치각 마다 회전하여 조절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는 상태로 감합시켜 조립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한 위치, 즉 계합단부(37)에 대한 경사면(31a)의 탄접위치는, 정상부 가까이의 최적위치 또는 그 가까이에 설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접위치의 위치결정을 정밀도 좋게, 또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에 있어서의 상기 제동판(9, 10)등이 사용에 의하여 마모되었을 경우에서도, 상기한 조립수순과 같이, 상기 조작핸들(18)의 위치를 적정한 탄접위치로 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7)의 조작핸들(18)에 대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재조정도 간단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했던 실시예는 상기 스프링(19)에 의하여 조작핸들(18)을 축방향으로 가세함과 동시에 유전제어용 스프링(50)에 의하여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생략하고, 상기 스프링(19)에 의하여 조작핸들(18)을 축방향으로 가세시키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또,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사용하는 경우, 코일스프링이어도 좋으나, 제 1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평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제 1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은, 동일평면에서 나선상으로 비틀어진 비틀림부(50a)와 이 비틀림부(50a)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스프링다리(50b, 50c)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 제 1스프링다리(50b)를 비틀림부(50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직각상으로 굴곡시켜 상기 구동부재(8)의 제 1규제면(33)에 계합시키고, 제 2스프링다리(50b)를 상기 비틀림면(50a)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굴곡시켜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있어서의 전방측면, 즉, 구동부재(8)의 구동정회전방향 전방측면에 계합시키는 것이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상기 구동부재(8)를 단일부재에 의하여 형성하여, 상기 구동축(5)에 나착하였으나,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구동축(5)에 나착하는 브레이크 압압체와, 이 브레이크 압압체의 통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외부에 치부를 설치하는 회전체에 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라이닝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회전체의 외측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압압체에 라이닝판 및 접시스프링을 지지하고, 또 하중설정조절체를 나착하여 과부하방지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과부하방지기구를 짜 넣는 경우 상기 하중설정조절체를 상기 돌출부(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하며, 이 조절체에 상기 제 1 및 제 2규제면(33, 34)을 설치함과 동시에 유전제어면(35)을 설치하여, 상기 제 2규제면(4)의 단부에 상기 계합단부(37)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재는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 및 하중설정조절체를 포함하는 과부하방지기구의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계합단부(37)를 설치하는 것은, 상기 하중설정조절체에 한정되는 일 없이,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 또는 그 브레이크 압압체에 고정된 부재에 설치하여도 좋고, 또 상기 구동부재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제어용 스프링을 설치하는 경우, 이 스프링의 스프링다리는 상기 하중설정조절체에 계지하여도 좋으나, 브레이크 압압체 또는 그 브레이크 압압체에 고정된 부재에 계지하여도 좋다. 또, 유전제어용 스프링을 설치할 때, 제 1도 및 제 7도에 나타낸 편평한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재(8)에 유전제어면(35)을 설치하고, 계합돌기(31)를 이 유전제어면(35)를 이 유전제어면(35)에 탄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좋으나, 이와 같은 것은 필수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의 경사면(31a)에 구동부재(8)에 설치하는 계합단부(37)를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시켰기 때문에, 로드시이브(3)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무부하시에도, 상기 구동부재(8)에 그 회전저항이 가해짐과 동시에, 브레이크 체부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이 때문에 조작레버(16)의 왕복조작에 의한 상기 로드시이브(3)의 권상견인시, 상기 조작핸들(16)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하는 이송포올(14)의 맞물림저항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가 조작레버(16)의 복동작 조작에 추종하여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 결과, 무부하시에도 상기 레버(16)의 조작에 의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항상 작동시키게 되고, 이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거쳐 로드시이브(3)의 권상·견인방향의 구동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무부하상태에서 로드시이브(3)를 권상견인방향으로 구동조작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로드시이브에 부하를 가하거나 구동부재에 외력을 가하거나 하는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무부하상태에서의 권상견인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1)의 단면이 계합하여,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하는 유전제어면(35)을 가진 돌출부(3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의 조작에 의한 상기 돌기(31)의 유전제어면(35)에의 탄접에 의하여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유전상태의 유지에 의하여 유전제어시에 있어서의 로드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넓힐 수 있고, 이 결과 숙련을 요하는 일 없이 로드체인의 길이의 조정이 행해지는 것이고, 또 상기 돌출부(32)의 구동회전방향 후단부에 계합단부(37)를 설치하여,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이 계합단부(37)를 상기 돌기(31)의 경사면(31a)에 탄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탄접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32)를 이용하였던 간단한 구성으로 무부하시에도 상기 조작레버의 왕복조작에 의한 권상견인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을 개장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로부터 이반하는 바깥쪽 위치로 인출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유전제어용 스프링(50)의 작용으로 회전시켜 메카니컬브레이크(13)를 이완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익숙하지 못한 조작자가 유전조작하는 경우에도 유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그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 오조작을 없게하고, 오조작에 의한 유전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하는 요철부(29, 30)의 적어도 한쪽을,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설치하고, 그 피치각을 상기 스톱퍼(17)를 상기 구동축에 결합하는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상기 계합돌기(31)의 경사면(31a)이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하는 계합단부(37)에 탄접할 때, 이 계합단부(37)에 대한 경사면(31a)의 탄접위치를 상기 스톱퍼(17)에 대한 상기 조작핸들(18)의 원주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즉, 상기 요철부(29, 30)의 감합위치를 변화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적정위치, 환언하면, 상기 경사면(31a)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31)의 정상 가까이에 정밀도 좋게 위치시킬 수가 있으며, 또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에 있어서의 라이닝판의 마모가 생겨, 상기 탄접위치가 어긋나도 이 탄접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로드시이브(3)와, 종동부재(7)를 가지는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5)과 외주부에 치부(8a)를 가지고 상기 구동축(5)에 나착하는 구동부재(8)와,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메카니컬브레이크(13)와 상기 치부(8a)에 전환가능하게 계합하는 이송포올(14)을 가지고 왕복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레버(16)를 구비한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하는 스톱퍼(17)와, 이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의 사이에 개장되고, 축방향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핸들(18)과, 이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19)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 대향면에 상기 구동부재(8)에 향하여 돌출하는 계합돌기(3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측 대향면에 상기 돌기(31)가 계합하는 계합단부(37)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31)에 있어서의 구동부재(8)의 구동전회전방향 전방측에 상기 돌기(8)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구동부재(8)이 구동정회전 후방외측에 경사하는 경사면(31a)을 설치하고, 상기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작동시 상기 경사측면(31a)이 상기 계합단부(37)에 상기 스프링(19)의 가세력으로 탄접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권상견인기.
  2. 제 1항에 있어서,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 대향면에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한 상대회전조작시,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하는 계합돌기(31)의 축방향·단면이 계합하고, 스프링(18)의 가세력으로 탄접하는 유전제어면(35)을 가진 돌출부(2)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32)의 구동회전방향 후단부에 계합단부(37)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권상견인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를 메카니컬브레이크(13)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제어용스프링(50)을 개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권상견인기.
  4. 제 1항에 있어서, 스톱퍼(17)를 구동축(5)에 다수의 요철줄(17a, 23a)에 의한 결합구조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대향면 사이에 오목부(30)와, 이 오목부(30)에 계합하는 볼록부(29)를 설치하여, 이들 요철부(29)(30)중 적어도 한쪽을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하여, 그 피치각을 상기 스톱퍼(17)와 구동축(5)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요철줄(17a, 23a)의 피치각 및 그 정수배 각과 다른 피치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권상견인기.
KR1019940026330A 1993-11-11 1994-10-14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KR0136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82492 1993-11-11
JP28249293 1993-11-11
JP93-313856 1993-12-14
JP31385693 1993-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71A KR950013971A (ko) 1995-06-15
KR0136347B1 true KR0136347B1 (ko) 1998-04-28

Family

ID=2655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330A KR0136347B1 (ko) 1993-11-11 1994-10-14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75457A (ko)
EP (1) EP0653375B1 (ko)
KR (1) KR0136347B1 (ko)
CN (1) CN1038739C (ko)
AU (1) AU687430B2 (ko)
DE (1) DE69424018T2 (ko)
TW (1) TW267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061B2 (ja) * 1996-08-13 1998-07-30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JP3280315B2 (ja) * 1998-07-07 2002-05-13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JP3086874B2 (ja) * 1998-12-02 2000-09-11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チェーンレバーホイスト
US6578824B2 (en) * 2001-04-23 2003-06-17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Overload-preventing device for winch
US20050242333A1 (en) * 2004-05-03 2005-11-03 Scott Peterson Automatic brake mechanism
ES2406856B1 (es) * 2011-12-06 2014-09-02 Batz, S.Coop. Unidad de recogida de ruedas de repuesto en vehículos
JP5804986B2 (ja) * 2012-03-08 2015-11-04 株式会社キトー 手動巻上牽引装置
DE102017108694A1 (de) * 2017-04-24 2018-10-25 Heinrich De Fries Gmbh Kettenz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695A (ja) * 1982-07-02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DE3928290A1 (de) * 1989-08-26 1991-02-2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inobenzylalkoholen
US5305989A (en) * 1991-09-20 1994-04-26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Hoist and traction machine with free rotation control
US5351937A (en) * 1991-09-20 1994-10-04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Hoist and traction machine with free rotation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75457A (en) 1996-11-19
AU7423294A (en) 1995-05-18
EP0653375A1 (en) 1995-05-17
DE69424018D1 (de) 2000-05-25
CN1038739C (zh) 1998-06-17
CN1109444A (zh) 1995-10-04
DE69424018T2 (de) 2001-01-11
KR950013971A (ko) 1995-06-15
AU687430B2 (en) 1998-02-26
EP0653375B1 (en) 2000-04-19
TW267151B (ko) 1996-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8648A (en) Hand brake for railroad car
JPS633834B2 (ko)
KR0136347B1 (ko)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CA2078494C (en) Hoist and traction machine
US4664357A (en) Overload avoiding arrangement for a hoist
US8307955B2 (en) Mechanical release of release holding mechanism for hand brake
KR0135959B1 (ko) 권상견인기의 유전제어장치
KR960002339B1 (ko) 권상 견인기
KR0135931B1 (ko)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US5421553A (en) Lever-type winch idler device
JP4913307B2 (ja) 釣り用リールのための遊星ギアアセンブリ
JP2552000B2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のストローク調整のためのストローク調整装置
JP2614195B2 (ja) レバー式巻上牽引機
JP2610221B2 (ja) レバー式巻上牽引機
JP2610219B2 (ja) 巻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JPH0432066Y2 (ko)
SU1025662A1 (ru) Безопасна руко тка
RU2092425C1 (ru) Ручная лебедка
JPH04361989A (ja) 牽引巻上機の空転装置
JPH04371496A (ja) 牽引巻上機の空転装置
JPH0729755B2 (ja) 捲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