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31B1 -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31B1
KR0135931B1 KR1019940024685A KR19940024685A KR0135931B1 KR 0135931 B1 KR0135931 B1 KR 0135931B1 KR 1019940024685 A KR1019940024685 A KR 1019940024685A KR 19940024685 A KR19940024685 A KR 19940024685A KR 0135931 B1 KR0135931 B1 KR 013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handle
spring
dielectric
drive
dr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303A (ko
Inventor
요시따까 이노우에
요시아끼 오까모또
야스오 와다
Original Assignee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954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02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191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0221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 슈우사꾸,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 슈우사꾸
Publication of KR95001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generating braking forces which are proportional to the loads suspended; Load-actuated brakes
    • B66D5/2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for generating braking forces which are proportional to the loads suspended; Load-actuated brakes with axial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구동축(5)에 설치되는 조작핸들(18)과 스톱퍼(17)와의 사이에 이 핸들(18)을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가세하고, 또,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스프링(19)을 설치하고, 조작핸들(18)을 인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종동부재(7)로부터 이반시켜, 제어용 랫치(11) 및 제동판(9, 10)에 의한 제동작용을 해제하고,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에 의하여 계합돌기(31)를 유전제어면(35)에 탄접시켜 유전조작을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유전제어장치를 사용한 레버식 권상 견인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조작핸들의 정면도,
제3도는 스톱퍼의 정면도,
제4도는 구동부재와 조작핸들에 설치되는 계합돌기 및 유전용 스프링과의 통상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유전제어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제4도에 대응한 정면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유전제어상태를 나타낸 레버식 권상견인기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유전제어장치를 사용한 레버식 권상견인기의 종단면도,
제9도는 조작핸들의 정면도,
제10도는 스톱퍼의 정면도,
제11도는 구동부재와 조작핸들에 설치하는 계합돌기 및 유전용 제2스프링과의 통상사용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제12도는 유전제어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제1도에 대응한 정면도,
제13도는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14도는 유전제어상태를 나타낸 레버식 권상견인기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2스프링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측판,3 : 로드시이브,
4 : 통축,5 : 구동축,
6 : 감속기어기구,7 : 종동부재,
8 : 기어부,8 : 구동부재,
9, 10 : 제동판,11 : 래칫,
12 : 제동용포올,13 : 메카니칼 브레이크,
13a : 브레이크커버,14 : 포올편,
15 : 조작부,16 : 조작레버,
17 : 스톱퍼,18 : 조작핸들,
19a, 19b : 스프링다리,20, 21 : 나사부,
23 : 세레이션부,24 : 코일스프링,
25, 26 : 슬리이브, 25a : 턱,
27 : 너트,28 : 보스부,
28a : 감합구멍,29 : 볼록줄,
30 : 오목홈,31 : 계합돌기,
32 : 돌출부,33, 34 : 규제면,
41, 42 : 계지구멍,43 : 긴구멍
본 발명은,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遊轉) 제어장치, 상세하게는 메카니칼브레이크를 비동작으로 하여 로드시이브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하는 유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로드시이브를 자유 회전가능하게 하여 로드체인을 신속하게 인출하거나 되돌릴 수가 있게 한 유전제어장치는 여러가지 제공되고 있으나, 본 출원인은 앞서 다음의 유전제어장치를 제안했다(일본국 특원 평 3-241372호). 이 장치는 구동축의 축단부에 스톱퍼를 설치하여 이 스톱퍼와 조작레버 등의 구동수단에 연동하는 구동축에 나착(螺着)된 구동부재와의 사이에 조작핸들을 상기 구동부재에 근접하는 정상위치와 이반(離反)하는 유전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구동축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개장(介裝)함과 동시에, 이 조작핸들과 상기 스톱퍼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핸들을 구동부재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 압압부재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조작핸들을 권상·견인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으로 상기 구동축에 나착하는 구동부재를 메카니칼브레이크의 라이닝판에 나퇴(螺退)시키고, 이 나퇴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함으로써 유전제어를 행하고,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을 구동부재에 상기 탄성 압압부재의 압압력으로 탄접(彈接)시켜 상기한 유전제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전제어장치에서는 유전제어시 상기 조작핸들을 탄성압압부재의 가세로 상기 구동부재에 탄접시켜, 이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대한 상대회전을 억제하여 유전제어를 유지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유전제어하며 로드체인의 인출 또는 비틀리는 경우, 상기 로드체인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숙련을 요할 필요없이 유전조작을 행할 수가 있으나, 유전조작하는 경우, 특히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을 저지시킨 상태에서 다시 말하면,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는 조작레버에 설치되는 이송포올편의 역전조작측 포울(비틀림측 포올)을 구동부재의 기어부에 맞물리게 하여, 이 비틀림측 포울의 구동부재에의 맞물림에 의하여 그 구동부재의 회전을 저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을 먼저 인출하고, 이어서 다시 회전시켜 브레이크를 이완하고, 그런 다음에 상기 이송포올편을 중립위치로 되돌리는 조작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익숙하지 못한 조작자가 유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이송포올편의 전환을 되돌림측 포올이 아니고 이송포올로 하거나, 조작핸들의 회전조작 방향을 반대로 하는 등, 조작자가 오동작을 할 염려가 있으며, 또 오조작했을 경우에는 당연히 유전조작이 행해지지 아니하여 혼란을 초래하는 등의 지장(불편)이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핸들을 끌어당기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유전제어가 행해져 조작성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오조작에 의하여 유전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이 없는 유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은 로드시이브(3)와, 종동부재(7)를 가지고,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5)과, 이 구동축(5)에 나착하는 구동부재(8)와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메카니칼브레이크(13)와, 상기 구동부재(8)를 정역(正逆)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비작동으로 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의 유전을 가능하게 하는 운전제어장치에 있어서,
(a)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되는 스톱퍼(17)와,
(b) 이 스톱퍼(17)와 상기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이반하는 제2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개장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한 조작핸들(18)과,
(c)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조작했을 때,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브레이크를 이완시키는 유전용 스프링(19)과,
(d) 상기 조작핸들(18)과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규제해제 가능해지는 규제수단과,
(e)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에 탄접시켜, 상기 조작핸들(18)에 의한 유전조작을 유지하는 유전 유지수단을 설치한 것이고,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그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1스프링(49)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1스프링(49)과는 별도로,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2스프링(50)을 설치한 것이고, 또, 청구항 3기재의 발명은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측 대향면에 유전 제어면(35)을 설치하여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측 대향면에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위치시킬 때, 제1스프링(49)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유전제어면(35)에 탄접하는 계합돌기(31)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2스프링(50)을 상기 계합돌기(31)에 계합시킨 것이다.
또, 청구항 4기재의 발명은 제2스프링(50)을 동일 평면에서 나선상으로 비틀림부(50c)와 이 비틀림부(50c)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구동부재(8)에 계합되는 제1스프링다리(50d) 및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계합하는 제2스프링다리(50e)로 형성한 것이고 ;
청구항 5기재의 발명은, 상기 구동부재(8)에 조작핸들(18)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제2스프링(50)을 계지하여 이 제2스프링(50)에 의한 상기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가세를 중단하고, 또한 상기 조작핸들(18)의 제2위치에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2스프링(50)의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부(52)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6기재의 발명은 구동수단을 구동부재(8)에 이탈 가능하게 계합되는 이송포올편(14)을 가진 조작레버(16)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력을, 상기 핸들(18)의 제2위치에의 이동조작시, 상기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에 대하여 이반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프링력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유전용 스프링(19)을 설치하여 이 스프링(19)에 대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시킨 것이므로,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제2위치로 인출하여 유전제어할 때, 상기 스프링(19)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비틀림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구동축(5)에 대하여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카니칼브레이크를 이완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 상기 스프링(19)의 제1위치방향으로의 축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에 탄접시켜 조작핸들(18)에 의한 유전 조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에 의한 유전상태의 유지에 의하여 유전제어시에 있어서의 로드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넓힐 수 있어, 이 결과, 숙련을 요하는 일 없이 로드체인의 길이조정을 행할 수 있고, 또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했을 때, 상기 스프링(19)의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메카니칼브레이크를 이완시킬 수 있으므로, 익숙하지 않은 조작자가 유전 조작하는 경우에도 조작핸들을 인출하는 조작만으로 유전조작이 되고, 따라서, 그 조작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오조작하는 일도 없앨 수 있는 것으로, 그 조작성도 향상될 수 있고, 오동작에 의한 유전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스프링(49)과는 별도로 상기 제2스프링(50)을 설치했으므로, 이들 제1 및 제2스프링(49, 50)을 각별로 조립할 수가 있어, 하나의 스프링을 겸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립성도 양호해지며, 스프링특성도, 각 스프링(49, 50)의 기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상기한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50)을 상기 계합돌기(31)에 계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계합돌기(31)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제2스프링(50)의 가세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프링(50)을 편평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제2스프링(50)을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의 약간의 스페이서에도 조립할 수가 있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과부하 방지기구를 조립한 것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계지부(52)를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18)이 제1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제1스프링(50)을 상기 구동부재(8)의 계지부(52)에 계지하여, 상기 구동부재(8)가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을 없애고, 상기 조작핸들(18)의 제2위치에의 조작시, 상기 계지부(52)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청구항 1의 작용을 나타내면서 상기 조작핸들(18)을 제1위치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권상·견인작업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상기 제2스프링(50)의 작용으로 뜻하지 않게 이완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조작레버의 이송포올을 중립위치로 오조작하여도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뜻하지 않게 이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서는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힘을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했을 때,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과 이반한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프링힘으로 하였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 즉 유전위치로 한 상태에서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하는 것만으로 유전조작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조작핸들(18)을 회전조작하거나, 상기 이송포올편(14)의 리턴측 포올을 구동부재에 계합시킨 후, 중립으로 리턴하거나 하는 번잡한 조작을 없앨 수 있어, 그 조작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유전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조작핸들(18)을 인출하는 것만으로 유전조작이 되기 때문에, 조작핸들(18)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오조작도 없앨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프링힘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구동축(5)에 대하여 회전시켜 브레이크를 이완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스프링힘을 스프링힘으로 구동축(5)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교하여 작아도 되고, 따라서, 유전 상태로부터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정상상태로 리턴시키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시,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이동시켜 유전제어를 행할 때, 이 조작핸들(18)의 이동조작에 의하여 그 핸들(18)에 설치한 통상(筒狀) 커버부(18a)가 추종 이동되고, 이에 수반하여 상기 조작레버(16)의 돌출통(16b)을 설치한 유전표시부(37)가 외부 표출되고,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18)이 제2위치측으로 위치되어 있어 상기 핸들(18)의 통상커버부(18a)로 커버되어 있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때에는 상기 조작핸들(18)이 제1위치측에 있고 상기 로드시이브(3)가 정상 운전상태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고, 이 때문에, 작업자의 오조작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레버시 권상·견인기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측판(1, 2) 사이에, 로드시이브(3)를 가지는 통축(4)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그 통축(4)내에 후기하는 조작레버측으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구동축(5)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구동축(5)의 상기 제2 측판(2)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단부와 상기 로드시이브(3)와의 사이에 복수의 감속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기어기구(6)를 개장시켜, 그 감속기어기구(6)로 상기 구동축(5)의 회전력을 상기 로드시이브(3)측에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제1측판(1)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구동축(5)의 외부측에는 플랜지를 가진 허브로 이루어진 종동부재(7)를 나착하고, 그 종동부재(7)의 바깥쪽측에서 상기 구동축(5)위에 외주에 치부(齒部)(8a)를 가지는 구동부재(8)를 나착함과 동시에,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1쌍의 제동판(9, 10)과 제동용 레칫(11)을 각각 개장시키고, 또, 상기 제1측판(1)에 상기 제동용래칫(11)과 맞물리는 제동용 포올(12)을 설치하여 이들 제동용래칫(11) 및 각 제동판(9, 10)으로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브레이크커버(13a)의 외측부에서 상기 구동부재(8)의 직경방향 바깥쪽 측에는 그 구동부재(8)의 외주부에 설치한 상기 치부(8a)에 맞물림 가능한 이송포올 및 리턴측 포올을 구비한 이송포올편(14)을 가지고, 이 이송포올편(14)의 이송측포올 및 리턴측 포올 상기 치부(8a)에 선택적으로 계탈 조작하는 조작부(15)를 구비한 조작레버(16)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스톱퍼(17)를 설치하고, 이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한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이반하는 제2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개장하여, 그 조작핸들(18)과 스톱퍼(17)와의 사이에 상기 핸들(18)을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가세하고, 또한 1쌍의 스프링다리(19a, 19b)를 가지고, 한쪽의 스프링다리(19a)를 상기 스톱퍼(17)에 계지하고, 다른쪽의 스프링다리(19b)를 구동부재(8)에 계지하여 이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주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유전용스프링(19)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18)과의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그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한 이반방향으로의 이동 즉 상기 제2위치에의 이동으로 규제해제 가능하게 한 규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즉,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5)에 제1 및 제2나사부(20, 21)의 세레이션부(23)를 설치하고, 제1나사부(20)에 상기 종동부재(7)를 또, 제2나사부(21)에 상기 구동부재(8)를 나착하여 상기 종동부재(7)와 상기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4)을 개장하여 그 코일스프링(24)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5)에 대한 정전(正轉)에 의하여 제1도 왼쪽방향으로 나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부재(8)의 바깥쪽측에 있어서의 상기 세레이션부(23)에 1쌍의 슬리이브(25, 26)를 감합함과 동시에, 제1슬리이브(25)에 턱(25a)을 설치하고, 그 슬리이브(26)의 바깥쪽측에 있어서의 상기 세레이션부(23)의 단부에 스톱퍼(17)를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설치하고, 너트(27)에 의하여 그 스톱퍼(17)를 상기 각 슬리이브(25, 26)를 거쳐 상기 구동축(5)에 고정하고 있다.
또, 상기 제2슬리이브(26)에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 설치한 감합구멍(28a)을 계합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축(5)의 축방향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개장함과 동시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핸들(18)의 내주면에는 블록줄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스톱퍼(17)의 외주부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록줄(29)이 계합하는 계합 오목홈(30)을 설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의 볼록줄(28)을, 상기 스톱퍼(17)의 계합오목홈(30)에 계합시키고, 이 계합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유전용 스프링(19)은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의 외측면과 상기 스톱퍼(17)의 상기 보스부(28)에 대향하는 내측면과의 사이에 개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톱퍼(17)와 구동부재(8)에는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9)의 스프링다리(19a, 19b)를 계지하는 계지구멍(41, 42)을 설치하고, 또, 상기 조작핸들(18)에는 상기 구동부재(8)의 계지구멍(42)에 계지되는 상기 스프링다리(19b)의 도중을 관통시키기 위한 원호상의 긴구멍(43)을 설치하고, 이 긴구멍(43)을 거쳐 상기 스프링다리(19b)를 상기 구동부재(8)의 계지구멍(42)에 계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9)의 각 스프링다리(19a, 19b)를 계지구멍(41, 42)에 계지하여 상기 스프링(19)과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세트할 때, 상기 구동축(5)의 세레이션부(23)에 조립하는 상기 스톱퍼(17)를, 그 스톱퍼(17)의 계지구멍(41)에 계지하는 스프링다리(19a)가 상기 구동부재(8)의 계지구멍(42)에 계지하는 스프링다리(19b)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변위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 즉, 제4도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19)의 스프링 반력이 작용하도록 비틀어 상기 세레이션부(23)에 결합하므로,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스프링(19)에 의하여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게 되어, 스프링력을 선택함으로써 후기하는 유전조작시,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이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입하는 상기 스프링(19)의 코일부는 상기 스톱퍼(17)의 너트(27)에 의한 구동축(5)에의 고정시, 상기 스톱퍼(17)의 내부와,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의 외측면과에 접촉하는 것으로서, 이 접촉으로 상기 코일부가 축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조작핸들(18)은 상기 제1슬리이브(25)의 턱(25a)에 압압되도록, 즉 상기 스톱퍼(17)로부터 이반시키는 방향, 즉, 상기 구동부재(8) 측으로 가세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톱퍼(17)에 설치하는 상기 계지구멍(41)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17)의 원주방향에 따라 복수개 설치하고, 이들 계지구멍(41)의 1개를 선택하여 상기 스프링(19)의 스프링다리(19a)를 계지하는 것으로, 이 계지구멍(41)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스프링 반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의 배면측에 있어서의 반경방향에는 상기 구동부재(8)측에 돌출하는 계합돌기(31)를 제4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칭상으로 2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8)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에 대향하는 쪽에는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돌출부(32)를 대칭상으로 설치하여, 이들 돌출부(32)에 상기 구동부재(8)가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상기 계합돌기(31)가 계합하여 그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여 상기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규제면(33, 34)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제2규제면(34)과 연속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이반하는 제2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구동부재(8)를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방향의 가세력으로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의 가세로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 선단면을 접촉시켜, 상기 돌기(31)와 함께 유전 유지하고, 상기 유전 유지수단을 구성하는 유전제어면(35)을 설치하고, 다시 상기 돌출부(32)에 상기 유전제어면(35)으로부터 일어서고, 상기 계합돌기(31)의 선단면이 상기 유전제어면(3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8)가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상기 계합돌기(31)의 회전방향 전방측과 계합하는 제3규제면(36)을 가진 규제부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 제1도에 있어서, 44는 상기 이송포올(14)의 이송측포올이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하는 이송위치(정전구동위치)와, 리턴측포올이 상기 치부(8a)에 계합하는 리턴위치(역전구동위치) 및 상기 이송측포올과 리턴측포올의 모두가 상기 치부(8a)에 계합되지 않는 중립위치와의 3위치에 유지하는 포올유지 기구로, 압압체(45)와 스프링(4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레버(16)의 외면에는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조작부(15)의 조작위치를 지시하는 예를 들면 「이송」「리턴」및 「중립」또는 「유전」등의 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16)의 보스부(16a)에 설치하는 상기 돌출통(16b)을 상기 유전제어면(35)이 형성되는 돌출부(32)와 상기 조작핸들(18)로부터 돌출되는 각 계합돌기(31)와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그 핸들(18)측에 향하여 일체상으로 돌출형성하고, 이러한 돌출통(16b)의 외주면에 유전제어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나 기호 등을 직접 인쇄하거나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된 시일재를 첨착하는 등 상기 유전표시부(37)를 형성하고, 한편 상기 핸들(18)에 설치하는 상기 통상커버부(18a)는 상기 돌출통(16b)의 외주위에 위치되어 이 돌출통(16b)과 오버랩하도록 상기 핸들(18)의 외주 부위에 상기 조작레버(16)측에 향하여 일체상으로 돌출 형상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들(18)을 제2위치측으로 이동시켜 유전제어를 행할 때, 이 핸들(18)의 이동조작에 따른 상기 커버부(18a)의 추종이동에 의하여 상기 돌출통(16b)에 설치한 유전표시부(37)를 외부에 표출시키고, 이 외부표출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이 제2위치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로드시이브(3)가 유전제어상태에 있음을 외부로부터 판단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구동축(5)상에 제1 및 제2나사부(20, 21)를 설치하여 상기 종동부재(7)와 구동부재(8)를 나착했으나, 구동축의 가공성이나 강도의 면을 고려한 것으로, 상기 제1나사부(20)는 세레이션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 제1나사부(20)를 설치하여 상기 종동부재(7)를 나착하는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24)에 의하여 상기 종동부재(7)의 나진을 구속하도록 했으나, 상기 제2나사부(21)에 E링을 설치하여, 그 E링과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스프링(24)을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제1나사부(20)의 나사홈에 미국 나이록사제의 큰 탄성 반발력을 가지고 마찰 접합력을 가진 나이론 수지를 코팅하여 상기 종동부재(7)의 나진을 그 리턴저지효과로 구속해도 좋다. 다시, 상기 종동부재(7)를 나사 고정이나 코터핀의 박아넣음에 의하여 다시 구동축(5)에 고정해도 좋은 것으로, 상기 스프링(24)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한 레버시 권상견인기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짐올림(荷揚)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레버(16)에 설치한 조작부(15)의 조작으로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이송측포올을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레버(16)의 요동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재(8)가 정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리고 이 정회전시에는 상기 구동부재(8)가 제1도 좌측 방향, 즉 상기 구동부재(7)측으로 나진하여,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작동하여 상기 구동부재(8)의 회전동력이 상기 구동축(5)으로부터 상기 감속기어기구(6) 및 통축(4)을 거쳐 상기 로드시이브(3)측에 전달되고, 그 로드시이브(3)의 회전에 따라, 그 로드시이브(3)에 감겨진 체인에 접속한 하물 등의 짐올림 작업이 행해진다.
또, 짐내림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15)에 있어서의 이송포올(14)의 리턴측 포올을 상기 구동부재(8)의 상기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레버(16)를 요동조작함으로서 상기 구동부재(8)가 역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계합돌기(31)는 제4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 즉 제1규제면(33)과 제2규제면(34)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재(8)는 구동축(5)에 대하여 제1규제면(33)과 제2규제면과의 사이에서 상대회전하여 상기 종동부재(7)에 대하여 후퇴되고, 상기 구동부재(8)의 후퇴에 의하여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의 제동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구동축(5)이 구동부재(8)의 역전량만큼 역회전할 수 있어, 안전하게 짐내림작업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로드시이브(3)를 유전상태로 하여, 그 로드시이브(3)에 감겨진 체인의 부하측으로의 자유로운 신장이나 단축을 ㅎ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이송포올편(14)은 중립위치에 위치시켜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퍼(17)측, 즉 구동부재(8)에 대하여 이반하는 제2위치로 인출한다. 이 인출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한 상기 돌기(31)가 상기 제1 및 제2규제면(33, 34)에 대하여 규제되지 않는 규제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이 이동해제와,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중립위치에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방향의 가세력으로 브레이크 이완방향(제4도 점선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제5도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의 탄력을 상기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로 한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력으로 함으로써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인출하는 것만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상기 종동부재(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나퇴시키고,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에 의한 제동작용을 해체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를 유전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때 상기 돌기(31)는 제4도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5도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재(8)의 유전제어면(35)에 대향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18)의 인출조작을 해방하면,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의 가세력으로 상기 조작핸들(18)이 구동부재(8)의 방향으로 압압되어, 상기 돌기(31)의 돌출선단면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한 상기 돌출부(32)의 유전제어면(35)에 탄접하게 되고, 이 탄접에 의한 마찰저항에 의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의 유전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체인을 당겨 부하측 체인의 신속한 신장이나 단축을 행하는 유전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는 종래예에 비교하여 넓게할 수 있어 숙련을 요하는 일없이 부하측 체인의 신장 및 단축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과 같은 유전제어시에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시동시켰을 때에는 이 조작핸들(18)의 이동조작에 따라 상기 통상커버부(18a)가 추종 이동되고, 이에 의하여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바(13)의 돌출통(16b)에 설치한 유전표시부(37)가 외부 표출되는 것이고,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18)이 제2위치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로드시이브(3)가 유전제어상태에 있음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고, 또 상기 유전표시부(37)가 상기 핸들(18)의 통상커버부(18a)로 덮혀져 있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을 때에는 상기 조작핸들(18)이 제1위치측에 있어 상기 로드시이브가 짐올림, 짐내림이 행해지는 정상 운전상태에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이 때문에 작업자의 오동작을 없앨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한 상기 돌출부(32)에는 상기 규제부를 설치하여 상기 돌출부(32)의 유전제어면(35)에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선단면이 탄접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8)가 상기 스프링(19)의 비트림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할 때, 상기 계합돌기(31)의 회전방향 전부(前部)를, 상기 규제부의 제3규제면(36)에 의하여 그 이상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구동부재(8)의 상기 스프링(19)에 대한 회전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가 있고, 상기 구동부재(8)와 종동부재(7)와의 간격을, 상기 로드시이브(3)가 유전하는데 필요한 간격보다 필요이상으로 넓어지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다시, 상기와 같이 유전제어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강하게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에 역전방향의 강한 힘을 작용시킬 때는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선단면과 상기 유전제어면(35)과 탄접이 슬립하여 해제되고, 상기 계합돌기(31)의 제1규제면(33)과 제2규제면(34)과의 사이에 리턴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의 제동작동이 행해지거나, 중지될 수 있는 상태로 리턴하는 것이다. 즉, 유전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드시이브(3)에 역전방향의 강한 힘이 작용하면,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구동축(5)에 나착되고, 또 그 회전 관성력은 상기 구동축(5)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상기 유전제어면(35)이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가세력에 이겨내여 계합돌기(31)에 대하여 미끄러져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조작핸들(18)의 회전에 대하여 조금 늦게 회전을 개시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계합돌기(31)의 돌출 선단면과 상기 유전제어면(35)과 탄접이 해제되어 상기 계합돌기(31)가 제1규제면(33)과 제2규제면(34)과의 사이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 이상의 유전제어에 의하여 로드체인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 로드체인을 긴장시킨 후, 짐인양하거나 견인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전환하고, 이송측포올을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켜, 상기 조작레버(16)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작동상태로 용이하게 복귀시켜진다. 즉 상기 이송측포올을 상기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계합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16)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축(5)은 상기 로드체인의 긴장으로 회전 저항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8)가 정전방향, 즉 이송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진하여,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작동하는 것으로서, 이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거쳐 상기 로드시이브(3)를 회전시켜 짐올림하거나 견인하거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짐올림 또는 견인시, 상기 조작핸들(18)을 인출하여 유전조작을 하려고 해도,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이송측포올이 구동부재(8)의 치부(8a)에 맞물려 있는 이상, 유전제어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다시, 짐올림 또는 견인시 상기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에 전환하여 상기 핸들(18)을 인출하여 유전조작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재(8)가 상기 스프링(19)의 비틀림 방향의 가세력으로 회전하여 브레이크가 이완되는 일이 있어도 로드시이브(3)에 작용하는 역전방향의 부하가 클 때에는 상기 로드체인을 강하게 당겼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핸들(18)의 내측단부에 계지용 플랜지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조작부(15)에 이송위치 및 리턴위치에의 조작시, 상기 플랜지부가 계합되어 상기 조작핸들(18)의 인출조작을 불가능하게 하고, 중립위치의 조작시만 인출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오조작 방지편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로 전환하여 조작핸들(18)을 인출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회동시켜 메카니칼브레이크(13)에 의한 제동작용을 해제하여 상기 로드시이브(3)를 유전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유전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익숙치 못한 조작자라도 오동작없이 유전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로 유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전제어시에 있어서의 로드체인을 당겨 부하측 길이를 조절할 때, 그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넓힐 수 있고, 따라서 유전제어시의 체인길이 조정도 숙련을 요하는 일없이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상기 계합돌기(31)를 조작핸들(18)에 설치하고, 유전제어면(35)을 구동부재(8)에 설치했으나, 반대이더라도 좋고, 또 상기 제1슬리이브(25)에 턱(25a)을 설치하고, 이 턱(25a)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으로 받아내도록 하고, 통상의 사용시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축방향 가세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했으나, 상기 턱(25a)을 없애도 좋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4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1스프링(49)과,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2스프링(50)을 별개로 설치하고, 상기 제1스프링(49)을 상기 조작핸들(18)과 스톱퍼(17)와의 사이에 개장하고, 상기 제2스프링(50)을 상기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장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조작했을 때,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스프링(50)은 제1실시예의 유전용 스프링(19)과 동일한 1쌍의 스프링다리(50a, 50b)를 가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이브(25)를 없애고 그 슬리이브(25)를 삽감하고 있던 상기 구동부재(8)의 오목함몰부에 상기 제2스프링(50)의 코일부를 상기 조작핸들(18)의 제1위치에서는 축방향 반력(反力)이 얻어지도록 내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되는 상기 돌출부(32)에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프링(50)의 각 스프링다리(50a, 50b)를 계지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제1계지부(51) 및 제2계지부(52)를 설치하고, 상기 제1계지부(51)의 오목부의 깊이를 깊게 하여 상기 제1스프링다리(50a)를 상기 구동부재(8)의 외측단면에 따라 인출하여 계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계지부(52)의 오목부 깊이는 상기 제1계지부(51)보다 얕게 하고, 이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벽면중 상기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에 위치하는 오목부벽면(52a)을 그 브레이크 이완방향의 회전으로 상기 제2스프링(50b)의 계지가 해제되도록 경사상으로 하여, 이 제2계지부(52)에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를 상기 코일부에 비틀림 반력이 생기도록 계지하는 것으로, 이 제2계지부(52)에 의하여 제2스프링다리(50b)가 계지됨으로서 상기 제2스프링(50)에 의한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가세는 중단되게 된다.
또,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는 상기 제2계지부(52)에 의한 계지부 위를 넘어 직경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조작핸들(18)에 설치되는 상기 계합돌기(31)에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인출했을 때, 상기 제2스프링(50)의 축방향 반력에 의하여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는 축방향 바깥쪽으로 복귀 이동함과 동시에, 비틀림 반력으로 상기 제2계지부(52)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계합돌기(31)에 계지되게 된다.
즉, 상기 제2계지부(52)에 의한 계지가 해제되어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계지되면, 이 조작핸들(18)을 기초로 상기 구동부재(8)가 제2스프링(50)의 비틀림 반력으로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되게 된다.
또,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의 제2계지부(52)에의 계지시,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의 연장부와 계합돌기(31)와의 사이에는 제11도와 같이 간극이 생기는 것이고, 권하 또는 견인해제시에는 이 스프링다리(50b)를 휘어지게 하는 일없이 메카니칼브레이크(13)의 작동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하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으로 유전제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지면서 상기 조작핸들(18)이 제2위치로 인출되지 않는 한, 상기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14)을 중립위치로 전환하여도 상기 구동부재(8)에는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가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부주의로 이완되는 일이 없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즉, 제2실시예에 의한 유전작용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14)을 중립위치로 전환하여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하는 것만으로 상기 제2스프링(50)의 비틀림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이완할 수가 있고, 또 제2위치에 있어서 상기 계합돌기(31)가 상기 유전제어면(35)에 제1스프링(49)의 축방향 가세력으로 탄접되어 유전유지가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1스프링(49)과는 별도로 상기 제2스프링(50)을 설치하여 조작핸들(18) 제1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구동부재(8)에 설치되는 상기 제2계지부(52)로 계지하여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가세를 중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이송포올(14)을 중립중위치로 전환하여도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인출하지 않는한 상기 구동부재(8)가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제8도 및 제13, 14도에 있어서, 53은 상기 제2스프링(50)을 받아내는 스프링받이 시이트이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50)의 제2스프링다리(50b)를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계합가능하게 했으나, 상기 조작핸들(18)의 보스부(28)에 긴 구멍상의 계지구멍을 설치해도 좋다. 상기 계합돌기(31)를 이용하여 상기 제2스프링다리(50b)를 계합하도록 구성하면, 긴 구멍상의 계합돌기를 일부러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만큼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적용한 것이나, 구동수단으로 핸들을 사용한 핸드휠을 사용한 권상견인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부재(8)는 외주에 치부(8a)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나, 이 구동부재(8)를 상기 구동축(5)에 나착하는 브레이크 압압체와, 이 브레이크 압압체의 통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치부를 설치하는 회전체로 구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와 회전체와의 사이에 과부하 방지기구를 조립하고,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 또는 이 브레이크 압압체의 통부에 나착하는 전달토오크 조절부재에 상기 스프링(19, 50)의 스프링다리를 계지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2실시예와 같이 제1스프링(49)과 제2스프링(50)을 별개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2스프링(50)은 제15도와 같이 동일 평면에서 나선상으로 비틀어진 비틀림부(50c)와, 이 비틀림부(50c)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2 및 제2스프링다리(50d, 50e)에 의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1스프링다리(50d)를 상기 비틀림부(50c)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직각상으로 굴곡시켜, 상기 구동부재(8)의 제1규제면(33) 또는 도시하지 아니했으나, 과부하 방지기구를 조립했을 경우에는 전달토오크 조절부재에 설치하는 상기 제1규제면(33)에 계합시키는 것이고, 또 상기 제2스프링다리(50e)는 상기 비틀림부(50c)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굴곡시켜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계합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프링다리(50c)는 상기 조작핸들(18)의 위치여하에 불구하고, 즉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는 물론,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계합돌기(31)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8)는 상기 제2스프링(50)의 비틀림방향 가세력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또, 상기 스프링다리를 상기 구동부재(8)에 직접 계지하는 이외에, 구동부재(8)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별도 부재를 거쳐 간접적으로 계지해도 좋다.
또, 상기 스프링(19, 49)의 축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유전제어시, 상기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를 직접 구동부재(8)의 유전제어면(35)에 탄접시켰으나, 상기 과부하 방지기구를 설치했을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의 통부에 나착하는 전달토오크 설정조절부재를 탄접시키게 된다. 또, 기타 상기 조절부재에 탄접시키는 이외에 상기 브레이크 압압체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한 별도부재에 탄접시켜도 좋다.
또,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전달토오크 설정 조절부재나 상기 별도부재에 탄접하는 경우, 이들 부재에 상기 규제수단을 설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유전용 스프링(19)을 설치하여 이 스프링(19)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제2위치에 인출하여 유전제어할 때, 상기 스프링(19)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비틀림 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구동축(5)에 대하여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카니칼브레이크를 이완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 상기 스프링(19)의 제1위치 방향으로의 축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에 탄접시켜 조작핸들(18)에 의한 유전조작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에 의한 유전상태의 유지에 의하여 유전제어시에 있어서의 로드체인의 인장력의 입력범위를 넓힐 수 있어, 이 결과, 숙련을 요하는 일없이 로드체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 조작핸들(18)은 제2위치에 인출했을 때,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메카니칼브레이크를 이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익숙치 못한 조작자가 유전조작하는 경우에도 그 조작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오조작하는 일도 없앨 수 있고, 그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조작에 의한 유전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스프링(49)과는 별도로 상기 제2스프링(50)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이들 제1 및 제2스프링(49, 50)을 각별히 조립할 수가 있어, 1개의 스프링을 겸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스프링 특성도 각 스프링(49, 50)의 기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청구항 1기재의 발명의 상기한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프링(50)을 상기 계합돌기(31)에 계합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계합돌기(31)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제2스프링(50)의 가세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프링(50)을 편평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이 제2스프링(50)을 구동부재(8)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약간의 스페이서이더라도 조립할 수가 있고,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과부하 방지기구를 조립한 것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기재의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재(8)에 상기 계지부(52)를 설치했으므로 상기 조작핸들(18)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제1스프링(50)을 상기 구동부재(8)의 계지부(52)에 계지하여 상기 구동부재(8)가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되는 것을 없애어 상기 조작핸들(18)의 제2위치에 조작시, 상기 계지부(52)에 의한 계지를 해제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한 청구항 1기재의 작용을 나타내면서 상기 조작핸들(18)을 제1위치에 사용하는 권상·견인작업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상기 제2스프링(50)의 작용으로 부주의로 이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조작레버의 이송포올을 중립위치에 잘못하여 조작해도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가 부주의로 이완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6기재의 발명에서는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힘은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인출했을 때,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을 이반한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위치에 회전시킬 수 있는 스프링힘으로 했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을 중립위치, 즉 유전위치로 한 상태에서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인출하는 것만으로 유전조작이 행해지는 것으로 조작핸들(18)을 회전조작하거나, 상기 이송포올편(14)을 리턴측 포올을 구동부재에 계합시킨 후, 중립으로 리턴시키거나 하는 귀찮은 조작을 없애고, 그 조작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유전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조작핸들(18)을 인출하는 것만으로 유전조작이 되므로, 조작핸들(18)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포올편(14)의 오조작도 없앨 수 있는 것으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프링힘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8)를 구동축(5)에 대하여 회전시켜 브레이크를 이완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스프링힘은 스프링힘으로 구동축(5)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작아도 되고, 따라서, 유전상태로부터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정상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기재의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이,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이동시켜 유전제어를 행할 때에는 이 조작핸들(18)의 이동조작에 의하여 그 핸들(18)에 설치한 통상커버부(18a)가 추종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16)의 돌출통(16a)에 설치한 유전표시부(37)가 외부 표출되므로, 상기 조작핸들(18)이 제2위치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로드시이브(3)가 유전제어상태에 있음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판단할 수가 있고, 또, 상기 유전표시부(37)가 상기 핸들(18)의 통상커버부(18a)로 커버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을 때에는 상기 조작핸들(18)에 제1위치측에 있어 상기 로드시이브(3)가 정상운전 상태에 있음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작업자의 오작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로드시이브(3)와, 종동부재(7)를 가지고,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5)과, 이 구동축(5)에 나착하는 구동부재(8)와,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메카니칼브레이크(13)와, 상기 구동부재(8)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비작동으로 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의 유전을 가능하게 하는 유전제어장치로서,
    (a)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되는 스톱퍼(17)와,
    (b) 이 스톱퍼(17)와 상기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이반하는 제2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개장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한 조작핸들(18)과,
    (c)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방향으로 가세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로 조작했을 때, 상기 구동부재(8)를 회전시켜 브레이크를 이완시키는 유전용 스프링(19)과,
    (d) 상기 조작핸들(18)과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규제 해제가능하게 되는 규제수단과,
    (e)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스프링(19)의 축방향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구동부재(8)에 탄접시켜 상기 조작핸들(18)에 의한 유전조작을 유지하는 유전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권상기에 있어서 유전 제어장치.
  2. 로드시이브(3)와, 종동부재(7)를 가지고, 상기 로드시이브(3)를 구동하는 구동축(5)과, 이 구동축(5)에 나착되는 구동부재(8)와, 이 구동부재(8)와 상기 종동부재(7)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메카니칼브레이크(13)와, 상기 구동부재(8)를 정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권상견인기에 있어서, 상기 메카니칼브레이크(13)를 비작동으로 하고, 상기 로드시이브(3)의 유전을 가능하게 하는 유전제어장치로서,
    (a) 상기 구동축(5)의 축단부에 설치되는 스톱퍼(17)와,
    (b) 이 스톱퍼(17)와 상기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8)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이반하는 제2위치에 걸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개장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한 조작핸들(18)과,
    (c) 상기 스톱퍼(17)와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대하여 근접하는 제1위치의 ㅂ아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1스프링(49)과,
    (d) 상기 조작핸들(18)과 구동부재(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구동부재(8)의 구동축(5)에 대한 상대회전 범위를 규제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 규제 해제가능하게 되는 규제수단과,
    (e)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1스프링(49)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핸들(18)을 상기 구동부재(8)에 탄접시켜, 상기 조작핸들(18)에 의한 유전조작을 유지하는 유전 유지수단과,
    (f) 상기 구동부재(8)과 조작핸들(18)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2스프링(5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8)의 조작핸들측 대향면에 유전제어면(35)을 설치하고, 상기 조작핸들(18)의 구동부재측 대향면에 상기 조작핸들(18)을 제2위치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1스프링(49)의 가세력에 의하여 상기 유전제어면(35)에 탄접하는 계합돌기(31)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유전용 제2스프링(50)을 상기 계합돌기(31)에 계합시키고 있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50)을 동일 평면에서 나선상으로 비틀어진, 이 비틀림부(50c)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구동부재(8)에 계합되는 제1스프링다리(50d) 및 조작핸들(18)의 계합돌기(31)에 계합하는 제2스프링다리(50e)로 형성하고 있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8)에 조작핸들(18)의 제1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2스프링(50)을 계지하여 이 제2스프링(50)에 의한 상기 구동부재(8)의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의 가세를 중단하고, 또 상기 조작핸들(18)의 제2위치에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2스프링(50)의 계지를 해제하는 계지부(52)를 구비하고 있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구동부재(8)에 이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이송포올편(14)을 가진 조작레버(16)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구동부재(8)를 브레이크 이완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힘을, 상기 핸들(18)의 제2위치에의 이동조작시, 상기 조작레버(16)의 이송포올편(14)에 대하여 이반한 상기 구동부재를 브레이크 이완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스프링힘으로 하고 있는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을 상기 구동부재(8)에 이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이송포올편(14)을 가진 조작레버(16)에 의하여 구성하고, 이 조작레버(16)는 그 보스부(16a)에 상기 조작핸들(18)에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통(16b)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핸들(18)에 상기 돌출통(16b)을 커버하는 통상커버부(18a)를 설치하여, 상기 돌출통(16b)에 상기 조작핸들(18)의 제2위치에의 조작시 상기 커버부(18a)의 이동으로 표출하는 유전표시부(37)를 설치하고 있는 레버식 권상견인기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KR1019940024685A 1993-10-05 1994-09-29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KR0135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54693A JP2610219B2 (ja) 1993-10-05 1993-10-05 巻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JP93-249546 1993-10-05
JP93-301911 1993-12-01
JP30191193A JP2610221B2 (ja) 1993-12-01 1993-12-01 レバー式巻上牽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303A KR950011303A (ko) 1995-05-15
KR0135931B1 true KR0135931B1 (ko) 1998-04-28

Family

ID=2653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685A KR0135931B1 (ko) 1993-10-05 1994-09-29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70872A (ko)
EP (1) EP0646540B1 (ko)
KR (1) KR0135931B1 (ko)
CN (1) CN1039896C (ko)
AU (1) AU659368B1 (ko)
DE (1) DE69414962T2 (ko)
ES (1) ES2124851T3 (ko)
HK (1) HK1014180A1 (ko)
TW (1) TW2661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4622B1 (en) * 2000-07-28 2003-10-21 Donald A. Hoffend, Jr. Modular lift assembly
US20040098944A1 (en) 2000-07-28 2004-05-27 Hoffend, Donald A. Batten for lift assembly
ES2340764T3 (es) * 2002-02-06 2010-06-09 Kito Corporation Maquina de elevacion y arrastre por cabestrante.
US20060186388A1 (en) * 2005-02-24 2006-08-24 Thune Asbjorn E Emergency brake for hoist systems
JP5827188B2 (ja) * 2012-07-30 2015-12-02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7697A (ja) * 1982-03-11 1983-09-19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JPS597695A (ja) * 1982-07-02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597696A (ja) * 1982-07-05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6371098A (ja) * 1986-09-10 1988-03-31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式捲上機
DK158653C (da) * 1988-12-02 1991-02-11 Gert Hans Frederiksen Tovvaerksblok med indbygget skraldemekanisme
US5305989A (en) * 1991-09-20 1994-04-26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Hoist and traction machine with free rotation control
JP2597273B2 (ja) * 1992-08-27 1997-04-02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捲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24851T3 (es) 1999-02-16
CN1110247A (zh) 1995-10-18
EP0646540B1 (en) 1998-12-02
AU659368B1 (en) 1995-05-11
TW266198B (ko) 1995-12-21
EP0646540A1 (en) 1995-04-05
HK1014180A1 (en) 1999-09-24
US5570872A (en) 1996-11-05
KR950011303A (ko) 1995-05-15
CN1039896C (zh) 1998-09-23
DE69414962D1 (de) 1999-01-14
DE69414962T2 (de) 199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8648A (en) Hand brake for railroad car
DK174879B1 (da) Aktuator
JPS633834B2 (ko)
CA2078494C (en) Hoist and traction machine
KR0135931B1 (ko) 권상 견인장치에 있어서의 유전 제어장치
US5647576A (en) Chain lever hoist
GB2196929A (en) Hoist
US20050023776A1 (en) Locking drill chuck
EP0585091B1 (en) Free rotation control apparatus for a hoist and traction machine
KR0136347B1 (ko) 레버식 권상견인장치
KR960002339B1 (ko) 권상 견인기
KR100318803B1 (ko) 레버식호이스트
JP2610221B2 (ja) レバー式巻上牽引機
JPH0729756B2 (ja)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US4420144A (en) Manual hoisting and pulling apparatus
JP2610219B2 (ja) 巻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JP3325754B2 (ja) 釣用リール
US6971278B2 (en) Manual multi-ratio tension-applying device
US20070000356A1 (en) Ratcheting device
JP2614195B2 (ja) レバー式巻上牽引機
JP2024011499A (ja) レバーホイスト
JP2688167B2 (ja) 巻上兼牽引装置
JP4121883B2 (ja) 牽引装置
CN115397763A (zh) 制动装置、手扳葫芦以及棘轮机构
SE1051074A1 (sv) Sätt och anordning vid linvinsch till segelbå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