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849B1 -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849B1
KR0135849B1 KR1019930024712A KR930024712A KR0135849B1 KR 0135849 B1 KR0135849 B1 KR 0135849B1 KR 1019930024712 A KR1019930024712 A KR 1019930024712A KR 930024712 A KR930024712 A KR 930024712A KR 0135849 B1 KR0135849 B1 KR 013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kew
sensor
time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2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849B1/ko

Links

Landscapes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램프와 드럼 구조를 가지는 프린터의 용지급지부의 급지스큐 현상을 검출하는 장치와 스큐 판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린팅을 시작하기 전에 프린팅 이미지의 위치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틀어지는 급지스큐 현상을 검출하고, 용지 비틀림 정도에 따라 스큐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급지스큐 발생시에는 프린팅 중단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서 정상적인 급지상태에서만 프린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제1도는 종래의 프린터의 구성도
제2도는 용지 급지상태 설명도
제3도는 프린팅 상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 및 크램프의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급지상태 검출 설명도
제6도는 급지스큐 발생의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급지스큐 판단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제1센서 42 : 제2센서
43 : 제1 검출창 44 : 제2 검출창
본 발명은 크램프와 드럼 구조를 가지는 프린터의 용지급지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지스큐 현상을 검출하는 장치와 스큐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지스큐(SKEW)란 용지가 용지 카트리지(Cartridge)에서 비틀어진 상태로 드럼으로 급지되어 용지 비클림 정도가 큰 것을 말하는 것으로, 급지스큐가 발생한 상태로 프린팅을 할 경우 용지에 프린팅된 이미지의 위치가 정상상태의 위치에서 많이 비틀어져 나타나게 된다.
종래 프린터의 급지 방식에 있어서 용지 급지부는 단지 용지를 드럼과 크램프 사이의 임의의 지점까지만 이송시킨 뒤, 크램프에 물린 용지의 비틀림상태를 검사함이 없이 프린팅을 시작하기 때문에, 급지스큐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또한, 급지스큐가 발생하면 일정한 프린팅 여백으로 프린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급지스큐 정도가 큰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을 반복케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미디어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럼과 크램프 구조를 가지는 프린터에 있어서, 급지시 발생하는 급지스큐현상을 검출하는 급지스큐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지스큐 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용지비틀림 정도에 따라 스큐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급지스큐검출장치는, 급지시 용지가 지나가는 용지급지부의 적어도 두 지점에 용지의 통과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와, 용지 비틀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용지가 상기 감지기를 통과할 때의 시간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큐 판단방법은, 용지급지부에 급지사용지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장착된 제1감지기와 제2감지기로 이루어진 급지스큐 검출장치의 스큐 판단방법에 있어서, 용지가 제1감지기를 통과할 때 측정한 제1급지시간(t1)과 용지가 제2감지기를 통과할 때 측정한 제2급지시간(t2) 사이의 시간차(t2-t1)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의 시간차가 정상급지시간차의 최소값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값보다 클 때에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승화형 칼라 프린터의 급지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부(13), 화상데이터를 TPH(Thermal Print Head) 제어부(15)로 전송하거나 프레임 메모리(13)의 화상 데이터를 라인 단위로 내부의 라인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데이터 제어부(14), 그리고 데이터 제어부(14)로 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TPH(17)로 전송하여 프린팅을 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TPH 제어부(15)로 구성된다. 또한, 드럼, 크램프, 급지부 및 각종 구동계를 제어하는 메카(Mecha) 구동계(11)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2)가 포함되어 있다.
급지구동부의 급지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2도의 종래 방식의 급지상태 설명도를 참조한다. 메카구동계(11)에 의하여 용지가 급지되어 크램프의 하단부까지 이송되면, 크램프가 용지를 드럼 표면에 밀착시킨 다음, 드럼이 회전하여 TPH 전단부까지 용지를 이송시킴으로서 프린팅 조거이 완료된다. 이때, 프린터는 크램프에 물린 용지의 급지상태를 검사하지 아니하고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다. 프린팅 작업은 드럼(16)이 회전함과 동시에 TPH(17)가 발열하여 리본의 잉크가 용지에 융착됨으로서 용지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TPH(17)가 모든 화상 데이터에 대해 프린팅을 끝내면, 메카 구동계(11)는 용지를 프린터 밖으로 배지함으로서 모든 과정이 종료된다.
제3도는 급지스큐 발생 유무에 따른 프린팅 상태 설명도로서, 제3(a)는 정상적인 급지상태에서 프린팅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이에 대하여 제3도(b)는 크램프에 물리는 용지의 물림 상태가 비틀어진 경우로서, 이 상태에서 크램프가 용지를 드럼 표면에 밀착시켜 회전시키면 급지스큐가 발생함을 보여준다. 즉, 점선으로 도시된 정상상태의 용지 위치가 실선으로 도시된 스큐 발생 시의 용지 위치의 차이에 의하여, 용지 물림량에 차이가 생기고, 따라서 프린팅 여백이 달라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및 크램프 구조에 대한 설명도로서, 급지스큐를 검출하기 위하여 드럼과 크램프에 센서와 검출창으로 이루어진 감지기를 설치하여, 감지기가 설치된 두 지점을 용지가 통과할 때의 시간을 측정하여 급지스큐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a)는 드럼의 정면도로서, 드럼의 표면 내부에 2개의 센서를, 드럼과 크램프가 마주하는 부분내의 가로거리 w, 세로거리 d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대각선 모서리가 되는 위치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용지가 급지될 때의 용지 진행방향에 따라 제1센서와 제2센서를, 즉 제1센서(41)는 대각선 모서리의 오른쪽 아래에, 제2센서(42)는 왼쪽 위에 각각 위치시킨다. 여기서, 거리 w와 d는 드럼위에 위치한 크램프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 보다 각각 작은 값을 가지며, 크램프가 드럼에 밀착할 때 2개의 센서 모두 크램프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는 드럼 내부에 장착시킴으로서, 프린팅 시 용지나 TPH에 아무런 손상을 가함이 없이 스큐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4도(b)는 크램프의 정면도로서, 그럼과 크램프가 밀착하였을 때 드럼에 장착된 2개의 센서 위치와 서로 일치하도록 크램프에 2개의 검출창(43,44)을 구비한다. 즉, 드럼 내부에 장착된 센서가 크램프의 검출창의 개폐상태에 따라 센서 출력을 온/오프하여 용지의 비틀림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급지스큐를 검출하기 위해 드럼과 크램프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므로 드럼과 크램프 구조를 가지는 프린터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의 예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발광부에서 보낸 광량과 수광부가 받아들인 반사광량을 비교하여 센서출력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센서까지 용지가 급지되지 않은 때에는, 즉 검출창이 개방되어 반사광량이 없을 때에는 센서 출력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여 용지없음을 인식한다. 그리고, 용지가 센서와 검출창 사이를 지나갈 때, 즉 검출창이 용지에 의하여 닫혀진 반사광량이 감지되면 센서출력을 온(ON) 상태로 바꾸어 용지통과를 인식한다. 따라서, 발광부의 광량과 수광부의 반사광량에 따라 온(ON)/오프(OFF) 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센서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용지 비틀림현상을 어떻게 검출하는지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제5도(a)에서 ㉮는 용지가 드럼과 크램프 사이로 급지되어 제1센서(①)에 도달하였을 때의 위치이고, ㉯는 용지가 ㉮의 위치에서 계속 급지되어 제2센서(②)에 도달하였을 때의 위치이다. 그리고, d는 두 센서 간의 거리이다. 제5도(b)는 센서의 동작타이밍도로서, 센서 출력은 용지가 급지되지 않아 검출창이 열려 있으면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급지되어 검출창이 닫히면 온상태로 바뀌도록 되어 있다. 시간 t1은 용지가 급지를 시작하여 제1센서에 도착하였을 때까지의 시간이며, 시간 t2는 용지가 급지를 시작하여 제2센서에 도착하였을 때까지의 시간이다. 따라서, 제5도(a)의 ㉮지점에 도착하는 시간과 ㉯지점에 도착하는 시간 사이의 시간차는 (t2-t1)이 된다. 여기서, 측정된 (t2-t1)을 급지시의 용지 비틀림 정도로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급지스큐 유무에 대하여 판단한다.
급지스큐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보지않고 정상 급지로 판단하는 경우의 용지 비틀림 정도를 나타내는 시간차를 정상급지시간차라 정의하고, 최소값(Tmin)과 최대값(Tmax)을 가지는 범위의 값으로 규정한다. 이하에서는 실제로 측정된 시간차를 (t2-t1)으로 표기하고, 규정된 정상 급지시간차를 dT로 표기한다.
만약(r2-t1)의 dT의 범위 내의 값을 갖는다면 급지스큐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한다. 즉, 이 경우는 급지상태가 아주 양호한 상태이거나 스큐가 발생하였더라도 틀어진 양이 매우 미세하여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그러나, (t2-t1)이 dT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드럼 구동계에 귀환시켜 TPH가 발영을 하기 전에 프린팅 작업을 중단시킨다.
제6도는 (t2-t1)이 dT의 범위를 벗어나 급지스큐가 발생된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t2-t1)이 dT의 최대값(Tmax)보다 큰 경우(61)는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우측 상단부가 좌측 상단부보다 먼저 급지되어 일어나며, 반대로(t2-t1)이 dT의 최소값(Tmin)보다 작은 경우(63)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단부가 우측 상단부보다 먼저 급지되어 일어난다. 즉, (t2-t1)이 dT의 최대값(Tmax)보다 크거나 dT의 최소값(Tmin)보다 작으면 스큐로 검출된다. 예컨대, dT의 범위를 3∼5초로 정하였을 경우, (t2-t1)이 3초보다 작거나 5초보다 클 때에는 모두 스큐의 발생으로 처리한다. 이 때, t1과 t2의 측정은 급지시작부터 센서가 온(ON)될 때까지 동작한 드럼 구동용 스텝모터구동펄스 수를 계산하면 쉽게 알아낼 수있다.
또한, (t2-t1)이 dT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외에도 용지의 급지상태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때에는 급지스큐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한다. 즉, 용지의 좌측상단부가 우측상단부보다 먼저 급지되는 정도가 심하여 제2센서가 제1센서보다 먼저 온(ON) 되는 경우와, 급지완료 후에도 용지가 두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지 아니하여 제1 및 제2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 되어 시간차(t2-t1)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두 스큐로 처리된다.
제7도는 급지스큐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프린터의 드럼을 구동시켜 급지를 시작(70)한 후, 제1센서 및 검출창사이를 용지가 통과하여 제1센서의 출력이 온(ON)되면(71) 그 때의 통과시간(t1)을 측정(72)하고, 계속해서, 제2센서 및 검출창 사이를 용지가 통과하여 제2센서의 출력이 온(ON)되면(73) 그 때의 통과시간(t2)을 측정(74)한다. 만일, 급지 완료 후에도 제1센서 또는 제2센서의 출력이 온되지 아니하면(71,73) 급지스큐로 판단한다. 용지가 급지되어 제1 및 제2센서가 모두 온된 경우, 두 센서를 통과한 시간차, 즉 용지 비틀림 정도로 정의한(t2-t1)을 구한다(75), 만일 (t2-t1)이음의 값을 가지면(76), 제2센서가 제1센서보다 먼저 온된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급지스큐로 판단한다. 또한, (t2-t1)이 Tmin(정상급지시간차의 최소값)보다 작거나, Tmax(정상급지시간차의 최대값)보다 클 경우(77)에도 급지스큐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급지스큐로 판단하는 경우(79)에는, 스큐신호가 메카구동계를 통하여 드럼 구동계로 귀환되어 급지부 및 드럼 구동계의 동작을 중단시켜 프린팅 작업을 중단하도록 프린터에 명령한다. 또한, 경고음을 올리거나, 경고램프를 켜서 사용자에게 스큐발생을 알릴 수도 있다. 급지스큐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78)에는 정상적인 급지로 판단하여 프린팅 작업을 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급지스큐 검출장치에 의하면, 프린팅을 시작하기 전에 프린팅 이미지의 위치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틀어지는 급지스큐 현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급지스큐 판단방법에 의하여 용지 비틀림 정도에 따라 스큐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급지스큐 발생시에는 프린팅 중단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서 정상적인 급지상태에서만 프린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프린터가 스큐 발생시에도 검출 동작없이 프린팅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프린팅 작업을 반복하게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이한 미디어의 손실을 가져 오던 문제점을 해소시켰다. 특히 승화형 프린터의 경우 미디어의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특히 큰 잇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Claims (8)

  1. 용지급지부에 드럼과 크램프 구조를 가지는 프린터에 있어서, 급지시 용지가 지나가는 용지급지부의 적어도 두 지점에 설치되어 용지의 통과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와, 용지 비틀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용지나 상기 감지기를 통과할 때의 시간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가 드럼과 크램프가 마주하는 부분내의 대각선 모서리에 해당하는 위치의 드럼 표면 내부에, 급지시의 용지 진행방향으로 제1센서와 제2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제1 및 제2센서와 서로 각각 마주보도록 크램프에 제1검출창과 제2검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가 상기 제1 및 제2검출창의 급지 유무에 의한 개폐상태에 따라 센서 출력의 온과 오프상태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측정 수단이 급지시부터 감지기가 용지통과를 인식한 때까지의 드럼 모터의 구동펄스수를 계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검출장치.
  5. 용지급지부에 급지시 용지의 진행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장착된 제1감지기와 제2감지기로 이루어진 급지스큐 검출장치의 스큐판단방법에 있어서, 용지가 제1감지기를 통과할 때 측정한 제1급지시간(t1)과 용지가 제2감지기를 통과할 때 측정한 제2급지시간(t2) 사이의 시간차(t2-t1)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의 시간차가 정상급지시간차의 최소값보다 작거나 또는 최대값보다 클 때에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판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급지시간차가 최소값과 최대값을 가진 범위의 값으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판단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가, 제1급지시간(t1)이 제2급지시간(t2)보다 후에 측정되어 시간차(t2-t1)가 음의 값을 가질때에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판단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가, 급지 완료 후에도 제1 및 제2급지시간 중에 적어도 하나가 시간측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시간차(t2-t1)을 구할 수 없을 때에 급지스큐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스큐 판단방법.
KR1019930024712A 1993-11-19 1993-11-19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KR013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712A KR0135849B1 (ko) 1993-11-19 1993-11-19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712A KR0135849B1 (ko) 1993-11-19 1993-11-19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5849B1 true KR0135849B1 (ko) 1998-04-29

Family

ID=1936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712A KR0135849B1 (ko) 1993-11-19 1993-11-19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84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112185A (ja) 印字装置
KR0135849B1 (ko) 프린터의 급지스큐 검출장치와 스큐 판단방법
JP2985027B2 (ja) プリンタ
JPH08331327A (ja) 原稿読取り装置
JPH06255840A (ja) スキュー補正方法
EP0699608B1 (en) Sheet conveyor
JPH06183605A (ja) 用紙異常搬送検知装置
JPH0422668A (ja) 用紙幅検出装置付きプリンタシステム
KR100415608B1 (ko)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JP3444055B2 (ja) 用紙送出機構
JPH1081432A (ja) 画像処理装置
JP2894146B2 (ja) プリンタ
JP2719101B2 (ja) 給紙装置
KR100215818B1 (ko) 팩시밀리의자동급지장치
JPH05138999A (ja) 印字装置の用紙斜め検出方法
JP2546481Y2 (ja) 枚葉印刷機
JP2847912B2 (ja) シリアルプリンタ用印刷用紙搬送制御装置
JP2641952B2 (ja) ラベルプリンタ
JPH11301883A (ja) 給紙装置
KR950001534B1 (ko) 자동 원고 급지장치에서의 원고걸림(jam) 감지방법
KR200231659Y1 (ko) 급지 용지 비틀림 감지 장치
KR0147577B1 (ko) 프린터
JPH0514651A (ja) プリンタ
JPH07112849A (ja) スキュー検知装置
JPH07112874A (ja) 両面トレイのジョガーフェンス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