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545Y1 -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 Google Patents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545Y1
KR0135545Y1 KR2019930027149U KR930027149U KR0135545Y1 KR 0135545 Y1 KR0135545 Y1 KR 0135545Y1 KR 2019930027149 U KR2019930027149 U KR 2019930027149U KR 930027149 U KR930027149 U KR 930027149U KR 0135545 Y1 KR0135545 Y1 KR 0135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ixture
hollow tube
fastening
tub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36U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7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545Y1/ko
Publication of KR950019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5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resiliently deformable sleeves, grommet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고정물 부품에 다른 부품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물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개재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중공관부를 형성한 제1체결부재의 중공관부를 통하여 고정나사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소중공관부의 외측면에 십자형으로 돌출시킨 지지돌기로 하여금 역회전 방지홈에 조립되게 제2체결부재를 포함한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체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체결부재 11 : 제1고정물
12 : 삽입홈 13 : 개재 플레이트
14 : 구멍 15 : 중공관부
16 : 제2고정물 17 : 관부
18 : 주름부 19 : 역회전 방지홈
20 : 고정나사 30 : 제2체결부재
31 : 소중공관부 32 : 지지돌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물 부품에 다른 부품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제3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체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체결부재를 지칭한다.
상기한 체결부재(1)는 고정물A(2)에 형성된 삽입홈(3)에 끼워지는 개재 플레이트(4)와, 이 개재 플레이트(4)의 중심에 구멍(5)을 형성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진 관부(6)와, 이 관부의 일단에 확장되어 고정물B(7)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홀더부(8)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고정물B(7)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구멍(9)에 체결부재(1)의 관부(6)를 삽입시킨 후 고정물A(2)의 삽입홈(3)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개재 플레이트(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물A(2)와 고정물B(7)를 서로 밀착시킨 후 고정물A(2)에 형성된 체결구멍(10)을 통해 나사(11)로 체결부재(1)에 형성된 구멍(5)까지 나사결합하여 고정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물A(2)와 체결부재(1)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물B(7)을 체결부재(1)의 관부(6)까지 삽입시킨 다음 일단에 형성된 홀더부(8)에 주름을 형성확장함으로서 고정물B(7)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기한 종래기술은 고정물과 고정물을 체결을 반복 사용할 때 홀더부에 주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모가 되어 반복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체결부재는 홀더부에 주름을 형성하여 고정물에 고정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큰힘을 받지 못하고, 주름이 무디어 짐으로서 고정물의 이탈이 우려되는 등 체결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물 부품에 다른 부품을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고정물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개재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중공관부를 형성한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1체결부재의 중공관부를 통하여 고정나사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소중공관부의 외측면에 십자형으로 돌출시킨 지지돌기를 형성한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중공관부는 제2고정물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관부와, 이 관부를 형성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주름부와, 이 주름부의 일단에 제2체결부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역회전 방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작용]
상기한 본 고안은 고정물과 고정물을 체결하기 위하여 중간에 게재되는 개재 플레이트를 형성한 제1체결부재의 일단에 역회전 방지홈을 형성하고, 이 역회전 방지홈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형성한 제2체결부재가 삽입 조립됨으로서 제1고정물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나사가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여 조여질 때 제1체결부재에 형성된 주름부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좁혀지게 되어 제2고정물이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제1고정물에 형성된 삽입홈에 접촉하면서 게재되는 제1체결부재(10) 등의 체결수단과, 상기 제1체결부재에 삽입되는 제2고정물이 끼워진 후 제1고정물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나사와 결합하도록 끼워지는 제2체결부재(30) 등의 빠짐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제1체결부재(10)는 제1고정물(11)의 삽입홈(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개재 플레이트(13)와, 이 개재 플레이트(13)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14)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중공관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중공관부(15)는 제2고정물(16)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관부(17)와, 이 관부를 형성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주름부(18)와, 이 주름부(18)의 일단에 제2체결부재(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역회전 방지홈(19)을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제2체결부재(30)는 제1체결부재(10)의 중공관부(15)를 통하여 고정나사(2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소중공관부(31)와, 이 소중공관부의 외주연에 십자형으로 돌출됨으로서 역회전 방지홈(19)에 삽입되는 지지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은 제1고정물(11)과 제2고정물(16)을 체결하기 위하여 제1고정물(11)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되도록 하고, 이 삽입홈(12)에 개재 플레이트(13)를 삽입한 후 제1체결부재(10)의 일단에 역회전 방지홈(19)을 형성하고, 이 역회전 방지홈(19)에 삽입되는 지지돌기(32)를 형성한 제2체결부재(30)가 삽입 조립되게 된다.
상기한 제1고정물(11)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고정나사(20)에 의해 제2체결부재(30)와 결합하여 조여질 때 제1체결부재(10)에 형성된 주름부(18)의 외경이 확장되면서 좁혀지게 되어 제2고정물(16)이 외측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고정물(11)과 제2고정물(16)의 결합을 분해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나사(20)를 돌리면 제2체결부재(30)는 풀리게 되는데, 이때 역회전 방지홈(19)에 지지돌기(32)가 끼어 있기 때문에 체결시나 분해시 헛돌지 않게 된다.
상기한 제2체결부재(30)가 헛돌지 않고 풀림에 따라 제1체결부재(10)에 형성된 주름부(18)가 길이 방향으로 조여져 겹쳐 있던 것이 탄력에 의해 복원됨으로서 제2고정물(16)의 분해가 용이해진다.
상기한 제1체결부재(10)에 형성된 주름부(18) 형상의 성질 대문에 체결시에도 주름부(18)가 좁혀져 겹쳐지게 되어 제2고정물(16)을 누르게 되는 형상이 되어 체결이 용이해 진다.
[고안의 효과]
상기한 본 고안은 고정물과 고정물의 체결을 반복하더라도 홀더부에 주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마모가 되지 않고 탄력성이 유지됨으로서 반복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체결부재에 형성된 역회전 방지홈에 지지돌기가 고정나사로 조여짐으로서 형성된 주름부에 의해 고정물이 고정되기 때문에 체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제1고정물(11)의 삽입홈(12)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개재 플레이트(13)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14)를 형성한 제1체결부재(10)와, 상기 제1체결부재(10)의 중공관부(15)를 통하여 고정나사(20)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소중공관부(31)의 외측면에 십자형으로 돌출시킨 지지돌기(32)를 형성한 제2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관부(15)는 제2고정물(16)이 삽입되어 위치하는 관부(17)와, 이 관부(17)를 형성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주름부(18)와, 이 주름부(18)의 일단에 제2체결부재(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역회전방지홈(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KR2019930027149U 1993-12-10 1993-12-10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KR0135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149U KR0135545Y1 (ko) 1993-12-10 1993-12-10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149U KR0135545Y1 (ko) 1993-12-10 1993-12-10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36U KR950019536U (ko) 1995-07-24
KR0135545Y1 true KR0135545Y1 (ko) 1999-05-15

Family

ID=1937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149U KR0135545Y1 (ko) 1993-12-10 1993-12-10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5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87B1 (ko) *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3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23317A (ja) Uナット
JPH01283423A (ja) ファスナー
KR970011532A (ko) 관 이음
US7143485B2 (en) Clip for attachment to a sheet member
KR0135545Y1 (ko) 부품 조립용 체결부재의 구조
KR20120090738A (ko) 호스용 클램프
JPH0320635Y2 (ko)
JPH0854084A (ja) パイプクランプ
JP2001254883A (ja) コルゲート管用継ぎ手
JPH0741933Y2 (ja) かしめナット用保護具
JPS5936726Y2 (ja) 緊締具
KR200143065Y1 (ko) 호스 연결용 클램프
KR930001091Y1 (ko) 겹치는 패널 고정용 파스너
KR19990031880U (ko) 고정핀 겸용 와셔
JPH0617601Y2 (ja) キャスタの取付穴への固定装置
JPH10331830A (ja) ボルト構造
JPH11112215A (ja) アンテナ取付具
KR970006235Y1 (ko) 박판 체결장치
KR0127322Y1 (ko) 호스 조임장치
JPH0658221U (ja) オフセットボルト
JPH08186048A (ja) 電子部品の取付バンド及びその取付構造
JPH07174129A (ja) 固定手段
JPH0686387U (ja) 部品取付具及びこの取付具を用いた部品取付構造
JPH06330924A (ja) ボルト、ナットのゆるみ止め座金
JP2002337922A (ja) 配管継手用キャ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