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79B1 - 구두용 인레이(inlay) - Google Patents

구두용 인레이(inlay)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79B1
KR0135279B1 KR1019890018075A KR890018075A KR0135279B1 KR 0135279 B1 KR0135279 B1 KR 0135279B1 KR 1019890018075 A KR1019890018075 A KR 1019890018075A KR 890018075 A KR890018075 A KR 890018075A KR 0135279 B1 KR0135279 B1 KR 013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sole
contour
shoe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997A (ko
Inventor
메이어 헬무트
Original Assignee
메이어 헬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8815448U external-priority patent/DE8815448U1/de
Priority claimed from DE8904336U external-priority patent/DE8904336U1/de
Priority claimed from DE8905979U external-priority patent/DE8905979U1/de
Application filed by 메이어 헬무트 filed Critical 메이어 헬무트
Publication of KR90000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11Ski or like boots for cross-countr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구두용 인레이(inlay)
제1도 신발 밑창의 전 영역에 뻗어 있으며 전체에 걸쳐 횡단 윤곽부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구체예인 인레이의 입면도(예를들면, 신발 크기가 42 인 1 : 1 축척), 및 횡단 윤곽부의 부분 확대 투시도.
제2도 본 발명에 따른 제 2 구체예인 인레이의 입면도로, 제 1 도에 도시한 구체예와 유사도이나, 횡단 윤곽부가 개개의 윤곽부의 폭이 약간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 인레이가 발포에 의하여 밑창 속으로 매입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넣어질 때 플라스틱이 인레이를 피복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갖고 있다.
제3도 본 발명에 따른 제 3 구체예인 인레이의 입면도 및 상기 인레이의 횡단면도로, 제 1 도에 의한 구체예와 유사도이나, 특히, 스파이크 파스터(spike fastener) 취부용 관통 구멍을 갖고 있으며, 허리 부분에서 횡단 윤곽부가 부분적으로 종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기 구체예와 상이하다.
제4도 다양한 구체예에서 윤곽부로서 제공될 수 있는 직각파형 윤곽부의 발췌도.
제5도 제 2 윤곽부가 구비된 사다리 파형 윤곽부의 발췌도.
제6도 제 3 도 및 제 7 도에 의한 구체예에서 제공된 지그-재그형 윤곽부의 발췌도.
제7도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의 제 4 구체예로서, 단지 앞발 영역에 횡단 윤곽부가 있고, 허리 부분에는 횡단 윤곽부 및 또는 종단 윤곽부가 구비된 비틀림 교각을 갖고 있으며(본 경우에 있어서는 밑창의 종 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뻗어 있는 비틀림 교각의 종 방향으로 뻗는 윤곽부가 허리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뒷꿈치 부분에는 종단 윤곽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스파이크 부착용 관통 구멍을 갖고 있다.
제8도 본 발명에 따른 인레이의 제 5 구체예로서, 지면에 대한 발의 압력 전달을 개선하기 위한 오목부가 있으며, 허리 부분에 연속적인 종단 윤곽부가 있다.
제9도 제 8 도의 N-N 선에 따른 부분 횡단면도.
제10도 점선으로 표시된 인레이를 갖고 있는 밑창의 입면도로서 인레이는 단지 앞발 부분에 걸쳐 뻗어 있다.
제11도 제 10 도의 S-T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인레이가 밑창으로 발포되는 수단이 되는 플라스틱재는 표현 기술상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12도 평면 밑창 및 쐐기형 뒷축 인레이를 갖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스포츠화 밑창의 종단면도.
제13도 본 발명에 의한 뒷축을 갖고 있는 스포츠화의 다른 구체예의 제 12 도에 따른 종단면도.
제14도 적층의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 여러개의 층을 포함하는 복합 인레이로 제조된 판상 인레이의 부분 확대 횡단면도.
제15도 윤곽부 공둥 및 중간층 공간을 충진제로 충진하여 상하부 평면 표면을 형성한 인레이로 형성된 제 1 구체예인 중창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제16도 인레이와 충진제 조성물로 형성된 제 2 구체예인 중창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로서, 충진제 조성물은 윤곽부의 양면을 피복하고 있다.
제17도 충진제 조성물에 의하여 양면이 평면으로 제조된 인레이와, 일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느슨하게 놓여 있는 엷은 상감 밑창(인레이)으로 구성되어 있는 또 다른 구체예인 중창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레이2 : 횡단 윤곽부
3 : 윤곽부 모서리4 : 관통구멍
5 : 앞발 영역6 : 허리 영역
7 : 뒷굼치 영역8 : 종단 윤곽부
9 : 전이 횡단 윤곽부15 : 제 2 윤곽부
16 : 오목부18 : 밑창
19 : 외각 밑창20 : 내부 밑창
31 : 중창32 : 중간 공간
33 : 충진 조성물36 : 상감 밑창
본 발명은 최소한 구두 밑창의 앞발 영역내에 바람직하게는 구두의 전역에 뻗어 있는 구두, 특히 스포츠화용 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레이가 구비되어 있는 밑창과 상기 밑창을 갖고 있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에 있어서, 특히 경운동용 구두, 등산화, 골프화 등과 같은 스포츠화에 있어서, 발이 옆으로 기울어져 인대가 끊어지거나 삐는 위험부담이 가능한 한 적도록 구두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이 옆으로 삐걱하는 위험부담은 발위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경사 운동이 높을 수록 크며, 한편으로는 횡방향의 경사 운동에 대한 구두의 저항성이 낮을 수록 크다. 이들 두 요인, 즉 경사 운동과 이 경사 운동에 대한 구두의 저항성은 외래의 조건외에도, 무엇보다도 구두의 설계에 의하여 결정된다.
(1) 첫째, 옆으로 향하는 힘의 성분, 즉, 발위에 작용하는 경사진 힘이 높을수록 경사 운동이 크다. 이 경사진 힘은 외래 하중 조건, 특 구두에 의하여 영향이 미치는 것이 아닌 하중조건에 크게 좌우되는데 이들 외래 하중 조건은 특히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 매우 뚜렷하여 그 결과 비교적 자주 인대 과열의 좌상을 일으키게 된다.
(2) 둘째, 경사 모우멘트는 물리적 용어로 레이버 아암이 길수록 즉, 발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클수록 높다. 이것은 모든 기타 조건이 동일하다면 경사 운동은 구두 밑창의 두께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주어진 경사 모우멘트가 실제로 경사 현상을 일으키고 그 결과, 발이 옆으로 삐걱하게 되는지의 여부는 경사 모우멘트의 절대치 뿐만 아니라 구두가 옆으로의 경사 현상에 대항하는 저항 모우멘트에 좌우된다. 이 저항 모우멘트는 구두 밑창의 횡방향 안정성이 클수록 즉, 밑창의 횡단방향으로의 굴곡에 대항하는 밑창이 레이버 아암이 길수록 높은데, 밑창의 횡단방향으로의 굴곡은 밑창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거나 또는 대략 평행한 굴곡선 주위의 굴곡을 의미한다.
상기 요인에 비추어 보아, 발이 옆으로 삐걱하는 위험 부담을 가능한 적게 하기 위하여는 매우 엷은 강성 구두 밑창이 이상적이다. 구두 밑창이 매우 엷은 경우, 경사 모우멘트는 최소가 되며, 구두 밑창이 매우 강성이 있는 경우, 실제로 횡방향 경사 현상을 일으키는 경사 모우멘트를 방지하려고 하는 높은 저항 모우멘트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두 밑창은 구두가 갖추어야 할 특성에 관하여는 다른 요구조건이 아직 적용되어야 하는 이상, 결코 이상적이 아니다.
매우 엷은 강성 밑창을 가진 구두를 착용한 사람은 평탄한 지면에서는 안전하게 잘 설수 있는 반면에, 즉 상기와 같은 구두는 평탄한 지면에서 착용자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는 반면에 이와 같은 구두의 강성 밑창은 그 자신이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는 적합하지 않고, 지면을 달리는 동안 구두의 롤-오프(roll-off)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두를 착용한 사람이 달릴 때에는 애로가 있으며 불안정하고,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의 안정성이 불량하게 된다. 지면에서 구두 밑창의 양호한 롤-오프 작동 결과로 구두 착용자가 안전하게 잘 달리게 하기 위하여는 구두 밑창은 부드럽고 유연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두 밑창을 부드럽고 유연하며 단단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이 요구 조건은 하기 이유 때문에 구두 밑창이 상술한 설명에 따라 발이 삐걱이는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엷어 지도록 설계 되어서는 안되며 반대로 두껍게 만들어야 한다는 또 하나의 요구 조건을 남긴다.
부드럽고 유연한 구두 밑창이 엷은 경우, 작은 돌이나 지면의 평탄치 못함 등에 기인하여 밑으로부터 구두 밑창에 작용하는 접점 압력이, 구두 밑창을 통하여 일일이 착용자 발밑으로 전달되는데, 물론 이것은 매우 불편하고 심지어는 괴로움까지 주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밑으로 이와 같은 접점 압력의 전달을 가능한 한 제거하고 가능하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양호한 롤-오프 작동을 보증하기 위하여 부드럽고 유연하여야 하는 구두 밑창을 가능한 한 두껍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두 밑창의 설계에 있어서 두개의 상반되는 요구 조건이 있다.
(a) 발이 옆으로 삐걱하는 위험 부담 및 이에 따른 인대 파열 및 좌상의 위험 부담을 가능한 한 저하시키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밑창은 가능한 한 엷고 단단하여야 한다.
(b) 다른 한편으로는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의 달리기 및 안전하게 서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지면으로 인한 접점 압력의 전달을 가능한 한 최대로 방지하기 위하여 밑창은 가능한 한 부드럽고 유연하며 두꺼워야 한다.
종전 기술에 의하면 강성 인레이가 구비된 구두밑창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공지의 강성 인레이에 관한 제안은 상기 두개의 상반된 요구 조건에 맞는 구두 밑창을 제공하려는 것도 아니고 이들 인레이가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도 아니다.
영국 특허 GB-A-1 257 524로부터,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고 스파이크가 구비된 강성 인레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구두의 밑창에 매입되며, 특히 골프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강성 인레이의 목적은, 비교적 가볍고, 부드러우며 유연한 기포질 밑창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때, 스파이크의 고착 및 스파이크의 압력으로부터 발을 보호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발의 안락성의 감소 및 구두 상부의 조기 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밑창재로, 자유로운 구두의 굴곡, 특히 중간 부분의 자유로운 비틀림 굴곡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문제의 해결은, 본 문헌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정도로서는 일반적으로 평형 인레이가 구두 밑창의 전 길이에 걸쳐 뻗으며 앞발 영역의 모든 스파이크가 인레이어에 부착되어 스파이크가 인레이에 부착되는 지점이 약간 톱니 모양으로 되게 하는데 있다. 그 결과, 상기 강성 인레이는 구두 밑창의 앞발 영역 내에, 요구되는 횡단 강성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앞발 영역이 동시에 밑창의 길이 방향으로 경직되어 결과적으로 달릴 때의 구두 밑층의 롤-오프 작동은 바람직하지 않게도 더욱 어려워 진다.
미합중국 특허 US-A-4 439 937로부터 강성 금속 인레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구두 밑창 앞발 영역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뒷굼치 영역의 후단부를 향하여 후미로 뻗어 있으며 이는 허리 부분 또는 구두등 영역에서 지지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구두 밑창의 앞발 영역의 앞부분은 별도의 강성 인레이가 없어서 수직으로 유연성이 유지되는데 이것은 양호한 롤-오프 작동을 위하여는 필요하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횡방향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유럽 특허 출원 EP-A-44 549에는 부드러운 탄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재로 제조되어 있고, 예를 들면 철판으로 만든 접지면을 통한 보호성의 경질 탄성 인레이가 구비된 성형 밑창이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밑창은 주로 건축업에 있어서의 안전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구두의 밑창을 통한 못의 침투에 대하여 안전을 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는 그 구체예에서 사실상 구두 밑창의 전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강성 인레이는 철제의 구두 콧 등을 지지하는 발가락 영역과 발의 관점을 지지하는 허리 영역이 각각 중창의 바로 밑에 있는 반면에 앞발 영역의 나머지 부분 및 인레이의 뒷굼치 영역은 전체가 부드러운 탄성 밑창재 층으로 피복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구두 밑창에 매입되는데 이것은 중창의 바로 밑 모든 지점에 뻗어 있는 강성 인레이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볼(ball) 및 뒷굼치 영역에서 발을 보다 안락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강성 인레이의 이들 오목부는 인레이 재료가 밑창의 종축에 직각으로 굴곡선을 따라 굴곡됨으로서 생기는데 여기서 소정 돌출부로부터 소정 오목부로의 전이가 있다. 그러나 이들 굴곡선은 인레이의 강성 조건을 현저하게는 변형시키지 않으므로, 그 결과 인레이는 사실상 길이 방향에서와 같은 횡방향에서의 밑창 강성도를 일으켜서, 횡방향 강성이 증가하는 정도만큼 구두 밑창의 롤-오프 작동을 방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발이 옆으로 삐걱하는 위험 부담 및 이에 따른 인대 파열 및 좌상의 위험 부담이 가능한 한 적으며 동시에 최적의 안정성과 함께 달릴 때 요구되는 구두의 양호한 롤-오프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두 제조용 인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특성을 지니고 있는 구두 밑창 및 구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목적은 수직 방향의 굴곡에 대하여 최소한 앞발 영역 내에 밑창의 횡방향으로 특히 밑창의 소정 롤-오프 동작 영역에는 고강성을 밑창의 종방향으로는 저강성을 부여하여 밑창의 최소 한 앞발 영역 내에 및 바람직하게는 전 영역에 뻗어 있는 인레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두 밑창은 바람직하게는 밑창과 견고히 연결된, 즉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레이 주위에 발포, 주입, 주조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하여 플라스틱재를 성형하거나 또는 인레이가 플라스틱재 속으로 경화되어, 상기 플라스틱재가 최소한 밑창의 일부 또는 전 밑창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밑창을 갖고 있는 구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인레이가 실제적으로 밑창의 전 길이에 걸쳐 뻗으며 뒷굼치로부터 엄지 발가락까지의 밑창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인레이의 변형 능력이 양호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인레이는 골프, 테니스 및 유사한 동작의 경운동 등에서 필요한 발의 비틀림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성의 원상 복귀성이 있도록 제조되는데 그 결과 구두 밑창은 실질적으로 그 원래의 위치를 반복하여 다시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밑창의 평면에 대한 직각 압력에 대하여 압력 강성을 갖도록 제조되는데, 그 결과 지면으로 인한 접점 압력이 인레이의 전 영역에 분포되어 작은 돌, 지면의 불균형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이 일일이 발바닥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모든 장점을 갖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의 특히 바람직하며 매우 실용적인 구체예는 특히 한 개로 제조된 인레이가 경질, 탄성 판재로 구성되며, 최소한 앞발 영역 내에 및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 밑창 영역 내에 밑창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및 특히 수직으로 횡단 윤곽부가 제공되어 상기 횡단 윤곽부가 바람직하게는 인레이의 전폭에 걸쳐 뻗으며, 경질, 탄성 판재가 바람직하게는 금속 및 또는 플라스틱 판재, 바람직하게는 강판 및 좀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두 및 실제로 시행되는 구두 제조에 매우 적합한, 본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인레이는 그 자신 특히 하기와 같은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1) 횡단 윤곽부가 인레이에게 윤곽부의 방향으로 즉 밑창의 횡방향으로 특히 소정의 롤-오프 동작영역 내에 굴곡에 대한 고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횡방향 안정성이 높다.
(2) 횡단 윤곽부가 인레이에게, 윤곽부의 방향에 대한 직각 굴곡 및 윤곽부가 뻗어 있는 평면에 대한 직각 굴곡에 대하여 저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특히 롤-오프 동작 중에 밑창의 길이 방향으로의 수직 유연성이 매우 양호하다.
(3) 횡단 윤곽부가 개개의 윤곽부에 수직인 축주위로 및 윤곽부에 공통되는 평면에서 서로에 대하여 개개의 횡단 윤곽부의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뒷굼치로부터 엄지 발가락까지 밑창의 길이 방향 주위로 비틀림 능력이 높다.
(4) 경질 판재가 밑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을 인레이의 전 영역에 걸쳐 분배하기 때문에 인레이의 제조 원료인 강판과 같은 경질 판재의 압력에 대한 강성으로 인하여 압력 분배가 양호하다.
(5) 그 자신의 탄성으로 인하여 탄성 판재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구두 밑창이 반복적으로 그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원성 복귀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횡방향 안정성이 높아서 압력 분배가 양호하고 매우 평탄한 구조의 구두 밑창을 가능하게 하는데, 즉 밑창의 낮은 두께로 인하여 경사 모우멘트가 가능한 한 낮으며, 높은 횡방향 안정성으로 인하여 경사 작용에 대한 저항 모우멘트가 가능한 한 높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경사 작용이 없는 엷은 밑창의 제조가 가능하며, 지면으로부터 발산되는 접점압력이 일일이 발바닥으로 전달되지 않고 달릴 때의 발의 롤-오프 동작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인레이 하부상에 있는 부드러운 탄성 밑창재의 박층이 충분히 지면의 불균형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발의 안락성을 달성할 수 있다.
조사 결과, 스프링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인레이는 어떠한 형태의 손실도 없이 최소한 5백만번의 교번 굴곡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인레이가 약 650골프 토우너멘트에 사용하기에 안정하고 적합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밑창 모양의 윤곽을 갖고 있는 하나로 제조된 윤곽판 형태의 인레이는 이와 같이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에 또한 구두 밑창과 인레이를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장점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가 금속 및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재료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재로 제조되어 있는 경우에도 달성된다. 이와 같은 인레이는 밑창의 횡단 방향으로 분리된 스트립형 대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들 대역은 플라스틱층에 의하여 유연하게 원상 복귀되도록 연결된다.
뒷굼치로부터 엄지 발가락까지의 인레이의 비틀림 성능은 필요한 경우 허리 부분 및 또는 뒷굼치 영영 내에 횡단 윤곽면 대신에 종단 윤곽부를 갖고 있는 인레이에 의하여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데, 상기 종단 윤곽부는 밑창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허리 부분에 있는 이와 같은 종단 윤곽부는 발의 관절을 지지하는데 또한 장점이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밑창의 전 영역에 걸쳐 뻗도록 인레이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특정한 경우에는 인레이가 실제적으로 앞발 영역의 모든 길이에 걸쳐 뻗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는데, 이것만으로도 상술한 대부분의 장점을 가질수 있기 때문이다.
경질의 원성 복귀성 판재는 두께가 0.1mm-1.5mm 및 바람직하게는 0.3mm-0.8mm 일 수 있다.
횡단 및 또는 종단 윤곽부는 특히 홈통형, 홈이 파인 형, 리브형, 찬넬형, 파동형, 주름살형 또는 바드형이며 바람직하게는 횡단면이 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윤곽부 방향이라는 것은 윤곽부가 압연되고, 연신되고 돌출되는 등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즉 홈통형 횡단면을 갖고 있는 윤곽면의 경우 각각의 홈통의 종방향을 의미한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윤곽부의 횡단면 폭은 바람직하게는 3mm -20mm, 좀더 바람직하게는 6mm-16m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8mm-13mm .
윤곽부로 인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이미 양호한 정착 성능을 갖고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정착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지는 않으나 밑창에 대한 인레이의 정착 성능을 더욱 증가시킨다는 견지에서 윤곽부 방향으로 파형, 톱니형, 홈통형, 홈이 파인형 또는 주름살형이 되도록 또는 윤곽부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다른 제 2 윤곽부를 갖도록 윤곽부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면으로 전달되는 발의 압력을 위하여 인레이는 특히 한개의 시크로 되어 있는 경우, 발의 소정의 한 영역 내에 또는 몇개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엄지 발가락 영역, 발의 볼 영역 및 또는 뒷굼치 영역내에 지면 방향으로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오목부가 평평한 바닥을 가짐으로써 상기 기능이 특히 양호하게 수행되게 한다.
발포 과정 등에서 플라스틱이 인레이의 양면에 양호하게 도포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인레이는 플라스틱재를 위한 관통 구멍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구멍은 인레이의 표면 상에 분포되며, 플라스틱재를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주입 덕트 및 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노브 또는 스파이크가 고정적으로 취부되거나 또는 인레이 상에 구비된 고착 수단에 의하여 대체 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노브 또는 스파이크를 통상의 구두에 취부할 때 발생하는 부착 및 고정 상의 문제점을 사실상 제거한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고착 수단은 인레이 내에 구비된 나선부 구멍 즉 인레이 상에 취부된 나선부 삽입 구멍일 수 있다. 특히 방향적으로 안정하게 노브 또는 스파이크를 인레이에 부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라서, 노브 또는 스파이크의 발 부분 또는 고착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나선부 삽입부가 인레이의 오목부 내에 고정되고 오목부의 측벽에 대하여 그들 자신을 지지하여, 인접한 오목부 측벽과 바람직하게는 삽입식으로 맞추어짐으로써 및 또는 상기 측벽에 견고히 부착됨으로써 상기 오목부가 바람직하게는 횡단 윤곽부 및 또는 종단 윤곽부에 의하여 생성되는 윤곽 오목부가 되는 것이다. 스파이크는 또한 리벨트나 용접과 같은 기타의 방법으로도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또한 서로 결합되어 적층의 복합 구조를 이루고 있는 몇개의 층을 포함하는 복합 판재로도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층들 중 최소한 하나는 횡단 윤곽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층이 횡단 윤곽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복합 구조는 다른 재료들의 장점들을 연결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복합 판재가 평평한 바람직하게는 윤곽부가 형성되지 않은 유연한 원상 복귀성 판재로 구성되어 있는 제 1 층과, 윤곽부 층으로 설계되어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개개의 윤곽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 2 층을 가질 수 있는데 이들은 접착, 경화 등에 의하여 원상 복귀성 판재와 연결되어 그 결과 제 1 및 제 2 층은 적층되어 복합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구조는 그 기능이 윤곽부의 탄성적인 유연한 결합 작용을 하는 것인 제 1 층에 대하여 테프론 또는 엷은 스프링강과 같이 원상 복귀적으로 유연성이 있으며 엷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반면에, 그 특정 기능이 인레이에 대하여 고도의 횡방향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인 제 2 층에 대하여는 특수강 또는 경직 플라스틱재와 같은 특히 강성의 내압력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복합 판재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에 특성을 부여하는 것도 또한 가능한데, 이것은 단일 층의 판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혀 달성될 수 없거나 많은 어려움이 따라야만 한다. 예를 들면 복합 판재 상에 횡단 윤곽부로 조밀하게 인접한 직각 윤곽부 또는 U자형 윤곽부를 갖도록 인레이를 제조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인레이는 오직 상방으로만 밑창의 굴곡을 허용하고 하방으로는 불허하여 축구화에게 공을 양호하게 찰 수 있는 성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원칙적으로는 상감밑창(inlaid sole) 즉 상감된 중간 밑창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밑창의 전체 구조, 따라서 전체 구두와 안정한 형태로 인레이를 적층하기 위하여 인레이를 중창으로서 개발하거나 또는 밑창과 견고히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밑창에 접착시키거나 또는 밑창 내에 경화시키거나 또는 인레이 주위에 밑창재를 성형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는 본 발명에 따라 중창으로서 개발될 수 있는데, 여기서 윤곽부 공동 및 또는 특정 구체예에서 임의로 제공된 횡단 윤곽부 및 종단 윤곽부의 중간 공간 및 기타 오목부 등이 충진재에 의하여 충진되어 인레이 및 충진재가 바람직하게 결합되어 상부 및 또는 하부 표면이 평면인 복합재가 되도록 충진재는 바람직하게는 인레이와 견고히 연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밑창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밑창의 한 성분을 형성하고 있거나 또는 밑창이 상술한 종류의 중창이거나 밑창이 이와 같은 중창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갖고 있는 구두 밑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와 같은 밑창에 있어서, 플라스틱이 인레이 주위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포, 주입, 주조 또는 성형될 수 있거나 또는 플라스틱재 속으로 경화되어, 이 플라스틱재는 밑창 또는 충진 조성물의 최소한 일부나 또는 전 충진 조성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 중창 또는 밑창은 사실상 어떤 종류의 구두에도 적합한데, 본 발명의 범위 및 청구 범위 내의 구두라는 개념은 단화, 장화 등과 같은 좁은 의미의 구두와는 별도로, 부츠 특히 장화 부츠, 고무 부츠 등에도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 중창 또는 밑창을 사용함으로써, 구두를 매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점과는 별도로,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 중창 또는 밑창의 횡방향 안정성은 모든 구두가 지지되고 발바닥 동맥궁이 보호되게 하는 동시에 특히 달릴 때의 열상으로부터 볼 영역을 보호하는데, 그 중에서도 인레이의 탄성 원상 복귀성은 발의 피로 현상이 일어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 중창 또는 밑창은 평상화나 주행화와 같은 보통 구두용으로 편리하며, 특히 일부 가벼운 운동용 구두, 조깅화, 실내 스포츠용 구두, 잔디에서의 스포츠화, 골프화, 테니스화, 고도 스포츠화, 등산화 등의 스포츠화용으로 특히 유리하며, 구두에 부여하는 현저한 특성으로 인하여, 그 효과는 구두를 보다 유용하게 하며 건강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그 성능을 증대시키는데 상기 효과는 증가된 안정성, 비틀림 능력, 탄성 원상 복귀성 등으로 부터 나온다. 예를 들면 골프화의 경우, 그 중에서도 하나의 예를 들면, 스프로크의 질은 개선된 안정성, 높은 롤-오프 동작성 및 양호한 비틀림 성능에 의하여 개선된다. 고도 스포츠에 있어서는 시험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높이를 높힐 수 있다. 등산화의 경우에 둥근 돌이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과 같은 지면 조건으로 인하여 각별히 문제점이 되는 바닥으로부터의 압력 전달이 상당히 감소되며, 한편 평평한 밑창 구조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지면과의 근접이 상당히 개선됨과 동시에 발에 상해를 일으킬 위험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 상해 위험의 현저한 감소 및 지면과의 근접 상태의 개선이라는 점은 어떠한 형태의 스포츠에서도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매우 중요한 장점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특성 및 장점을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 및 제 1-17도 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아래에 상세히 서술하는데, 상기 도면에는 상기 구체예 및 그 상세한 점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은 동일한 참고 번호를 지니도록 부품에 번호가 주어지며 이들 부품의 설명에는 앞의 도면과 관련하여 동일 부호를 참고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제 1 구체예인 인레이(1)의 입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제 1 도를 참고한다. 이 인레이는 한 개의 경질, 원상 복귀성 판재, 즉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으로 제도되며, 밑창의 전 영역에 걸쳐 뻗어 있는데, 말하자면 그 윤곽은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인레이 밑바닥의 윤곽이다.
인레이(1)는 그 전 영역에, 밑창의 횡방향(Q)으로 즉 밑창의 종방향(L)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는 횡단윤곽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도의 좌하부에는 상기 횡단 윤곽부(2)의 부분 투시도가 있다. 이 투시도에 의하면 상기 횡단 윤곽부는 원형 윤곽부 모서리를 이루고 있는 사다리꼴 파형 측면을 갖고 있다. 윤곽부 방향 및 윤곽부 주기(P)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들 윤곽부 모서리(3)를 제 1 도에 도시하는데, 사다리형 횡단 윤곽부(2)의 측면이 수직으로부터 근소하게 이탈하여 각각의 윤곽부 모서리가 하나의 윤곽부 측면으로 한정되는 2개의 윤곽부 모서리(3)는 사실상 하나의 선을 이루도록 제 1 의 입면도에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도에 있는 2개의 윤곽부 모서리(3) 사이의 거리는 윤곽부 주기의 절반(1/2P)에 해당하게 된다.
제 1 도 및 기타 도면에 도시된 윤곽부 모서리의 일부만이 참고번호를 갖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부 주기라는 용어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횡단면의 윤곽부 요소의 폭, 즉 이 경우에는 사다리 능선(A)가 사다리 오목부(B)를 더한 폭을 상징한다.
제 2 도는 횡단 윤곽부(2)의 윤곽부 주기(P)가 보다 크며 인레이가 특히 침투용으로 설계된 관통 구멍(4)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제 1 도에 의한 인레이와 차이가 있는 또 다른 구체예의 인레이(1)를 도시하고 있다. 인레이(1)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는 이들 관통 구멍(4)은 인레이를 구두 밑창 속으로 적층할 목적으로 발포, 사출, 주입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하여 인레이 주위에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플라스틱재의 관통 구멍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인레이(1)가 적층되는 밑창의 종축(C-D), 롤-오프축(E-F) 및 횡축(G-K)이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도에 의한 인레이(1)의 횡단 윤곽부(2)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도의 하부에 도시된 윤곽부 형태를 가지나, 예를 들면 제 4,5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윤곽부 형태 중 하나와 같은, 다른 윤곽부 형태도 가능하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구체예인 인레이(1)의 입면도 및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한 구체예와는 다양하게 차이가 있는 본 인레이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a) 앞발 영역(5) 및 뒷굼치 영역(7)에 윤곽부로서 횡단 윤곽부(2)가 구비되어 있는 반면에, 허리 영역(6)에는 인레이(1)의 종방향으로 뻗는 종단 윤곽부(8)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종단 윤곽부는 허리 영역(6)의 2개의 종단 단부에서 전이 횡단 윤곽부(9)를 경유하여 점진적으로 앞발 영역(5) 및 뒷굼치 영역(7)의 횡단 윤곽부(2) 방향으로 지나가게 된다.
(b) 횡단 윤곽부(3)와 종단 윤곽부(8) 및 또 하나의 전이 횡단 윤곽부(9)는 제 3 도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윤곽부로 설계되어 있다.
(c) 마지막으로, 제 3 도에 의한 구체예의 인레이(1)는 노브 또는 스파이크(12)를 나사 조임하여 나선부 돌출부 즉 삽입부(11)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10)을 갖고 있다(제 3 도의 우상부 참조). 넓은 베이스(14)를 갖고 있는 나선부 돌출부 즉 삽입부(11)를 특히 안정하게 제 3 도의 인레이(1)에 부착하기 위하여, 평평한 영역(13), 즉 횡단 윤곽부(2)가 없는 영역이 관통 구멍(10) 주위에 마련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노브 또는 스파이크의 부착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에 고정적으로 또는 분리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수 많은 방법중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다.
기술한 바와 같이, 제 4,5도 및 제 6 도는 횡단 윤곽부(2) 및 또는 종단 윤곽부(8) 및 전이 가능한 윤곽부(9)로서 제 1 도의 좌하부에 도시된 윤곽부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윤곽부 부분 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된 윤곽부들은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에 적합한 모든 종류의 윤곽부들 중에서 단지 소수의 윤곽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 4 도는 특히 직각 파형 윤곽부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제 5 도는 제 2 윤곽부(15)를 갖고 있는 사다리 파형 윤곽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 2 윤곽부는 사다리 파형 윤곽부보다 작으며, 사다리 파형 윤곽부의 윤곽부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윤곽부 방향을 갖고 있다. 제 6 도는 기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 윤곽부를 갖고 있다. 제 4 도 및 제 6 도에 의한 윤곽부가 필요한 경우, 결과적으로 반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아치형 횡단면의 윤곽부를 갖는 홈통형 윤곽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윤곽부 모서리(3)는 좀더 크거나 작게 휘어질 수 있다.
윤곽부 주기(P)는 바람직하게는 3mm-20mm, 좀더 바람직하게는 6mm-16m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8mm-13mm의 범위에 있는 반면에 윤곽부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1mm-5mm, 좀더 바람직하게는 2mm-3mm이고, 인레이(1)가 제조되는 경질 탄성 판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으로 구성된다. 이 판재의 두께는 재료의 형태에 좌우되며,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0.5mm-1.5mm이다.
제 7 도는 앞발 영역에는 횡단 윤곽부(2)를 구비하고 있는 반면에 허리 영역 및 뒷굼치 영역에는 연속적인 종단 윤곽부(8)가 구비되어 있고, 스파이크를 직접 부착하거나 또는 스파이크 고정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 구멍(10)이 마련되어 있는 인레이(1)를 도시하고 있다.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1)의 또 다른 구체예의 입면도인데, 앞발 영역 및 뒷굼치 영역에는 횡단 윤곽부(2)가, 허리 영역에는 종단 윤곽부(8)가 구비되어 있는데, 횡단 윤곽부(2)는 지면과 접하는 몇개의 오목부(16)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다. 오목부는 원형일 수 있다. 앞발 영역에 있는 3개의 오목부(16)를 엄지 발가락 영역 및 발의 볼 영역에 있는 반면에, 후부 오목부(16)는 뒷굼치 영역에 있다.
이들 오목부(16)는 발의 압력을 지면에 양호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 8 도의 M-N선을 따라 하나의 오목부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제 9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16)의 베이스(17)는 평평하여 지면에 가장 가까운 최저 윤곽부에 위치한다.
제 10 도는 점선으로 표시된 인레이(1)를 구비하고 있는 밑창(18)을 도시하고 있는데 인레이는 단지 앞발 영역에 뻗어 있으며, 전체에 걸쳐 횡단 윤곽부를 갖추고 있다. 제 10 도에서 밑창의 S-T선을 따른 종단면도인 제 11 도는, 단지 밑창(18)의 외각 밑창만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인레이(1)가 발포 매입되며 외각 밑창 부분과 견고히 연결되는 플라스틱재는 표현상의 이유로 삭제되어 있다.
제 12 및 제 13 도는 인레이(1)가 밑창의 전체 구조, 그 한편으로는 외각 밑창(19)과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 밑창(20) 및 정형 가죽 바닥(21) 사이에 바람직하게 적층되어 뒷굼치 구성 부품(22)이 제 12 도에 도시한 평형 밑창(18)과 함께 쐐기식 인서트가 될 수 있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2 도에 의한 밑창(18) 및 제 13 도에 의한 밑창의 인레이(1)는 모두 앞발 영역 및 뒷굼치 영역에 연속적인 횡단 윤곽부를 구비하고있는 반면에 허리 영역에는 종단 윤곽부(8)가 구비되어 있다. 제 13 도에 의한 뒷굼치 형태의 구두에서 이 종단 윤곽부는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아치형으로 설계되며, 뒷굼치의 시작 지점에 있는 인레이(1)의 급경사 하향 쐐기부(24)를 경유하여 뒷굼치 영역의 횡단 윤곽부(2)로 지나가게 된다.
제 12 도에 의한 밑창에 있어서, 스파이크(12)는 대응 인레이(1)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앞발 영역 및 뒷굼치 영역의 횡단 윤곽부(2) 속으로 밀고 들어가며, 횡단 윤곽부(2)의 수직 측면에 대하여 옆으로 지지되는 그 베이스부(25)는 예를 들면, 인레이(1)에 용접되거나 또는 기타 방법으로 상기 인레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밑창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의 어떤 재료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제 12 도에 의한 쐐기식 구두를 구비하고 있는 뒷굼치 쐐기와 같은 기타 종래의 인레이가 인레이(1)와 함께 밑창 속으로 발포 매입될 수 있다.
제 1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의 부분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인레이는 몇개의 층들(26,26 및 28)로 구성되어 있는 복합 판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층들은 접착에 의하여 결합되어 일체의 복합재를 형성한다.
제 14 도의 최저층(28)은 매우 작은 간격(U)인 예를 들면, 서로 간에 0.1mm 떨어지거나 서로 근접하여 배열된 사각형 상자형 윤곽부(29)로 구성된다. 이들 상자형 윤곽부(29)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있는 층(27)에 의하여 원상 복귀성의 유연한 평형 판재로 구성되어 있는 층(26)과 견고히 연결된다.
제 14 도에 의한 인레이(1)의 특징은, 인레이가 상방인 오직 화살표(X)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고 반대 방향으로 굴곡할 수 없다는 점에 있는데, 이것은 후자의 경우, 인접한 상자형 윤곽부(29)의 측부(30)가 그들 자신을 서로에 대하여 지지하기 때문이다. 구두의 밑창이 이와 같은 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구두, 예를 들면 축구화로서 특히 적합한데 그것은 볼을 찰때, 예를 들면 골에 슛팅할 때 이 인레이가 불필요한 밑창의 하방으로의 굴곡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층(26)을 형성하는 판재는 예를 들면 스프링강 또는 테프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재료의 형태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0.1mm-2mm의 두께(V)를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예를 들면,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품 일수 있는 상자형 윤곽부(29)는 바람직하게는 3mm-5mm의 측면 길이(W)를 가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와 같은 복합 판내에 구비되어 있는 상자형 윤곽부(29) 또는 기타 어떤 윤곽부도 그들이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윤곽부가 서로 닿아 발생하는 소리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부드러운 플라스틱 피복을 할 수 있다.
제 15,16도 및 제 17도는 횡단 윤곽부(2) 및 윤곽부 공동 및 또는 중간 공간(32)을 충진하고 있는 충진 조성물(33, 선영으로 표시)을 구비하고 있는 인레이(1)를 포함하는 중창(31)인 3개의 구체예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 충진 조성물(33)은 중창의 상부 표면(34) 및 하부 표면(35)이 수평이 되도록 윤곽부 공동 및 또는 중간 공간(32)을 충진한다.
인레이(1) 및 충진 조성물(33)은 견고히 접착되도록, 예를 들면 인레이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접착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하도처리를 하는 경우, 접착 및 경화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서로 연결되어 구성 부품을 형성한다. 충진 조성물은 플라스틱 및 또는 펠트(felt) 및 또는 기타 충진재이거나 또는 이들을 함유할 수 있다.
제 15 도에서 중창(31)의 두께는 인레이(1)의 높이(H)와 동일하나, 제 16 도에 의한 중창(31)에서는 충진 조성물(33)의 두께(R)는 인레이(1)의 높이(H)보다 커서, 중창의 양면상에 충진 조성물의 박층(Y 및 Z)이 인레이(1)를 피복하게 된다. 층(Y)은 특히 발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지 일면에만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대면하고 있는 명상에만 구비할 수도 있다.
제 17 도에 의한 구체예에서, 엷은 상감 밑창(36)을 인레이(1)와 충진 조성물(33)로 형성된 복합제품의 상부(34)에 접착하거나 느슨하게 적용함으로써 발의 안락성이 더욱 개선된다.
횡단면으로 둥근 사다리형 횡단 윤곽부(2)를 갖고 있는 제 15 도의 인레이(1)는 예를 들면 제 1 도에 도시한 인레이일 수 있다. 제 15 도에서는 인레이는 하도처리되어 있고 재료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2mm이고 윤곽부 주기(P)는 5mm, 높이(H)는 2.0mm인 스프링강으로 구성되며, 부드러운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충진 조성물로 양면이 평형을 이루고 있다.
홈통형 횡단 윤곽부를 갖고 있는 제 16 도의 인레이(1)는, 예를 들면 제 2 도에 도시한 인레이일 수 있다. 지그-재그형 횡단 윤곽부를 갖고 있는 제 17 도의 인레이는 예를 들면, 제 3 도에 도시한 인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 3 도의 스파이크 구멍(10) 및 평형한 영역(13)을 갖고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중창(31)을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제 8 도 및 제 9 도에 의한 인레이의 경우, 오목부(16)도 역시 충격 흡수성을 갖고 있는 충진 조성물(33)로 충질될 수 있다.
충진 조성물은 인레이의 경도에 비하여 현저히 저하된 경도를 갖는데, 예를 들면 부드러우며 탄성적이고 또한 충격 흡수성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의 성능은 충진 조성물에도 불구하고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레이를 성형에 의하여 둘러 쌓을 수 있는 플라스틱재에도 충진 조성물과 동일한 성질을 또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6)

  1. 최소한 밑창의 앞발 영역 및 바람직하게는 전 영역에 걸쳐 뻗어 있는 구두용, 특히 스포츠화용 인레이에 있어서, 인레이가 밑창의 횡방향으로 최소한 앞발 영역과 특히 밑창의 소정 롤-오프 영역에서 굴곡에 대하여 고강성을 갖는 반면에 밑창의 종방향에서 굴곡에 대한 강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실질적으로 밑창의 전 길이에 걸쳐 뻗으며, 뒷굼치로부터 엄지 발가락까지 밑창의 종방향으로 비틀림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탄성적으로 원상, 복귀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밑창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점 압력에 대하여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한 개의 형태로 이루어진 인레이가 경질의 원상 복귀성 판재로 구성되며 최소한 앞발 영역 및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 밑창 영역에 걸쳐 횡방향으로 횡단 윤곽부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밑창의 종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횡단 윤곽부가 바람직하게는 인레이의 전폭에 걸쳐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허리 영역 및 또는 뒷굼치 영역에 밑창의 종방향으로 뻗는 종단 윤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7. 제 5 항에 있어서, 경질의 원상 복귀의 판재가 금속 및 또는 플라스틱판재, 바람직하게는 강판 및 좀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8. 제 5 항에 있어서, 경질의 원상 복귀성 판재의 두께가 0.1mm-1.5mm 및 바람직하게는 0.3mm-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9. 제 5 항에 있어서 횡단 윤곽부가 홈통 형태, 홈이 파인 형태, 리브 형태, 찬넬 형태, 파동 형태 주름살 형태 또는 비드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그 횡단면이 파형, 사다리형 또는 지그-재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횡단면상의 윤곽부 폭이 3mm-20mm, 바람직하게는 6mm-16mm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8mm-1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1. 제 5 항에 있어서, 횡단 윤곽부가 윤곽부 방향으로 파동형, 톱니형, 홈이 파인 형태 또는 주름살 형태이거나 또는 윤곽부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제2의 다른 윤곽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2.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앞발 영역의 전 폭 및 또는 전 길이에 걸쳐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3.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밑창의 전 영역에 걸쳐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4.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발의 압력을 지면에 보다 양호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발의 소정이 한 영역에 또는 몇 개의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엄지발가락, 발의 볼 및 또는 뒷굼치 영역에 지면과 대면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5. 제 1 항에 있어서, 노브 또는 스파이크가 비분리식으로 인레이에 부착되거나, 인레이의 위에 또는 인레이의 내부에 구비된 고착 수단에 의하여 대체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노브 또는 스파이크의 베이스부나 고착 수단이 인레이의 오목부에 고정되어 오목부의 측벽에 대하여 그들 자신을 지지하며 디룽이 오목부의 인접한 측벽과 삽입식으로 맞추어지며 및 또는 그들이 상기 측벽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7. 제 16 항에 있어서, 노브 또는 스파이크의 베이스부나 나사부 삽입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횡단 윤곽부 및 또는 종단 윤곽부에 있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8.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인레이의 표면에 분포되는 플라스틱재를 위한 관통구멍들,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재가 통과하여 주입되는 한 개 또는 몇개의 주입 닥트 및 복수의 보다 작은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19. 제 1 항에 있어서, 인레이가 적층 복합 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된 몇 개의 층을 갖고 있는 복합 판재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적어도 앞발 영역에 횡단 윤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20. 제 19 항에 있어서, 복합 판재가 유연한 원상 복귀성 재료의 평탄층과 윤곽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21. 제 1 항에 있어서, 충진재를 구비하고 있는 인레이의 상부 및 또는 하부 표면이 평면이 되도록 윤곽부 공동 및 중간 공간을 각각 충진재로 충진하여 인레이가 중창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22. 제 6 항에 있어서, 종단 윤곽부가 홈통 형태, 홈이 파인 형태, 리브 형태, 찬넬 형태, 파동 형태, 주름살 형태 또는 비드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그 횡단면이 파형, 사다리형 또는 지그-재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23. 제 6 항에 있어서, 종단 윤곽부가 윤곽부 방향으로 파동형, 톱니형, 홈이 파인 형태 또는 주름살 형태이거나 또는 윤곽부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제2의 다른 윤곽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24. 밑창이, 밑창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거나 밑창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제 22 항 또는 제 23 항 중의 한 항의 인레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밑창이 제 21 항의 중창이거나 또는 상기 중창과 견고히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밑창.
  25. 제 24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재가 인레이 주위에 발포, 주입, 주조 또는 성형되거나, 인레이가 밑창 또는 충진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 충진 조성물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재 속으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밑창.
  26. 구두가 제 21 항의 중창 또는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의 밑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KR1019890018075A 1988-12-13 1989-12-07 구두용 인레이(inlay) KR013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8815448.3 1988-12-13
DE8815448U DE8815448U1 (de) 1988-12-13 1988-12-13 Golfschuh
DE8904336U DE8904336U1 (de) 1989-04-07 1989-04-07 Golfschuh
DE8905979U DE8905979U1 (de) 1989-05-12 1989-05-12 Sportschuh, insbesondere Golfschuh
EP89119833A EP0373330A1 (de) 1988-12-13 1989-10-25 Einlage für einen Schu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97A KR900008997A (ko) 1990-07-02
KR0135279B1 true KR0135279B1 (ko) 1998-04-23

Family

ID=2720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075A KR0135279B1 (ko) 1988-12-13 1989-12-07 구두용 인레이(inla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73330A1 (ko)
KR (1) KR0135279B1 (ko)
GR (1) GR3006720T3 (ko)
YU (1) YU473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10849U1 (de) * 1991-03-20 1992-01-09 Mayer, Helmut, 73342 Bad Ditzenbach Flexibles sohlenartiges Stabilisierungselement für Schuhe
DE4202170A1 (de) * 1992-01-27 1993-07-29 Wilhelm Kaechele Gmbh Kautschu Schuhsohle
WO1997023142A1 (en) * 1995-12-22 1997-07-0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hoes comprising three-dimensional formed fiber product
IT1290354B1 (it) * 1997-02-07 1998-10-22 Vibram Spa Suola biomeccanica
DE19754730A1 (de) * 1997-12-10 1999-06-17 Juergen Stumpf Fußbett
FR2777429B1 (fr) * 1998-04-21 2000-05-26 Salomon Sa Chaussure a semelage avec structure deformable
US6023861A (en) * 1998-08-17 2000-02-15 Calzaturificio S.C.A.A.P.A. Spa Arch support for a sports shoe
EP1013186A1 (en) * 1998-12-23 2000-06-28 Emmebi Argenti S.r.l. Titanium support with ribs for shoes
US7181868B2 (en) * 2002-06-26 2007-02-27 Nike, Incorporate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with a flex control member
US6892479B2 (en) 2002-06-26 2005-05-17 Nike, Inc. Article of cleated footwear having medial and lateral sides with differing properties
KR100487222B1 (ko) * 2002-07-25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속도 표시 방법
DE102004011680B4 (de) * 2004-03-10 2007-08-23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tollenschuh
NL1027437C2 (nl) * 2004-11-08 2006-05-09 Jero V O F Houdingscorrigerende inlegzool en schoeisel voorzien van een dergelijke inlegzool.
DE102008059030B4 (de) * 2008-11-26 2014-09-25 Helmut Mayer Gbr Mbh Einlegesohle
DE202008018366U1 (de) 2008-11-26 2013-07-17 Helmut Mayer Gbr Mbh Einlegesohle
DE102011109274A1 (de) * 2011-08-03 2013-02-07 Mayer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Herr Helmut Mayer, 88045 Friedrichshafen) Sohlenchassis für Schuhe
WO2013167155A1 (de) * 2012-05-09 2013-11-14 Norbert Schmid Gmbh & Co. Kg Einlegesohle für schuhe
ITUA20164633A1 (it) * 2016-06-24 2017-12-24 Diadora Sport S R L Lamina anti-perforazione per calza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7524A (ko) * 1969-02-12 1971-12-22
DE2645007A1 (de) * 1976-03-27 1978-04-13 Continental Gummi Werke Ag Skistiefel
US4186500A (en) * 1978-04-27 1980-02-05 Tyrol Shoe Co. Ltd. Molded cross-country ski boot
FR2457081A1 (fr) * 1979-05-21 1980-12-19 Salomon & Fils F Chaussure de sport et plus particulierement de ski de fond
US4439937A (en) * 1982-07-26 1984-04-03 Daswick Alexander C Integrally cast shoe sole containing stiffener member
FR2556569B1 (fr) * 1983-12-14 1987-07-24 Salomon Sa Semelle de chaussure de sport, notamment pour le ski de fond
US4674202A (en) * 1983-12-16 1987-06-23 Warrington Inc. Cross-country ski bo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997A (ko) 1990-07-02
EP0373330A1 (de) 1990-06-20
YU232589A (sh) 1993-11-16
YU47336B (sh) 1995-01-31
GR3006720T3 (ko) 199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279B1 (ko) 구두용 인레이(inlay)
AU624881B2 (en) Inlay for a shoe
JP3308482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およびその成形方法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US5337492A (en) Shoe bottom, in particular for sports shoes
EP0786211B1 (en) Back support for a snowboard boot
JP5175340B2 (ja) 靴用の支援プレート具
US4259792A (en) Article of outer footwear
US7082702B2 (en) Article of footwear
US4199878A (en) Ballet and toe-dance shoe
US7793437B2 (en) Shoe sole
US20070234592A1 (en) Orthotic for cleat
US6938362B2 (en) Reinforcement for a boot, in particular a sports boot, more specifically a cross-country ski boot, and a boot having such a reinforcement
US20030221337A1 (en) Climbing slipp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insert
JPH0380001B2 (ko)
US20130074371A1 (en) Footwear with improved sole assembly
AU7627201A (en) Sole in the form of a midsole, inner sole or insertable sole for a shoe and a shoe with said sole
JPH0657168B2 (ja) スポ−ツシユ−ズのソ−ル構造
GB2256784A (en) Sole and sports shoe
JP5993016B2 (ja) 歩行修正または歩行保存のための靴底
US5901468A (en) Flexible foot support insert for athletic shoe, and the like
US5218773A (en) Torsionally stabilized athletic shoe
EP3357366B1 (en) Sole board
US20020166184A1 (en) Shoe system with a resilient shoe insert
JPH051544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