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009B1 -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009B1
KR0135009B1 KR1019940038742A KR19940038742A KR0135009B1 KR 0135009 B1 KR0135009 B1 KR 0135009B1 KR 1019940038742 A KR1019940038742 A KR 1019940038742A KR 19940038742 A KR19940038742 A KR 19940038742A KR 0135009 B1 KR0135009 B1 KR 013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processor
high speed
signal
link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128A (ko
Inventor
설확조
정영삼
김태완
김영철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손기락
엘지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락, 엘지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기락
Priority to KR101994003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009B1/ko
Publication of KR96002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06Intercommunication techniques
    • G06F15/17325Synchronisation; Hardware support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프로세싱의 고속신호처리를위한 병렬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의 제어신호의 타이밍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신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병렬처리프로세서 사이에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보다 펄스속도가 늦은 링크 어뎁터를 접속시켜서 데이타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병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링크 어뎁터의 제 1 제어신호의 주기를 작게 조절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1 펄스발생부와;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제 1 펄스발생부의 출력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2 제어신호의 주기를 크게 조절해서 상기 링크어뎁터의제 2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2 펄스발생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동작 타이밍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 4 도는 제 3도의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고속처리프로세서20,21 ; 링크어뎁터
30,31 ; 병렬처리프로세서40,45 ; 인버터
53,55 ; 펄스발생부50 ; 제어신호조절부
본 발명은 멀티프로세싱의 고속신호처리를 위한 병렬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의 제어신호의 타이밍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신호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프로세싱의 고속신호처리를 위한 병렬처리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병렬처리프로세서인 TRANSPUTER(INMOS 사의 T805-20)와 고속 디지탈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인 TMS320C40(텍사스 인스트루먼트사)를 서로 접속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두 프로세서를 접속하여 병렬처리시스템을 구현할 때, 두 프로세서간의 원활한 통신능력이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게 된다.
그러나,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 TMS320C40는 통신 포트를 통한 8비트 병렬통신방식을 지원하고 있고, 병렬처리프로세서 TRANSPUTER는 직렬 링크(SERIAL LINK)를 통한 8 비트 직렬통신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통신방식이 다른 두프로세서 간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직렬데이타를 8 비트 병렬데이타로 변환시켜 주는 링크 어뎁터인 IMSC011(INMOS사)를 상기 두 프로세서 사이에 접속시켜서 통신을 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의한 사용상태를 종래의 회로도인 제 1도 및 제 2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8 비트 직렬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병렬처리프로세서(30)와 8 비트 병렬통신방식을 지원하는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0)의 사이에 상기 8 비트의 직렬데이타를 8비트의 병렬데이타로 변환시켜 주는 링크 어뎁터(20)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어뎁터(20)와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0)는 통신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 특성이 서로 다르게 정의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제 1 제어신호(Qvalid)의 출력단자와 상기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0)의 제 1 제어신호(/STRB)의 입력단자 사이에 제 1 인버터(4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0)의 제 2 제어신호(/RDY)의 출력단자와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제 2 제어신호(Qack)의 입력단자 사이에 제 2 인버터(45)가 접속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0)는 32비트 장치로서,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클럭 속도에 비해 2.5배가 빠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회로에 의하여,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제 2 도에 도시한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병렬처리프로세서(30)에서 출력되는 8 비트의 직렬신호는 링크 어뎁터(20)로 입력되어서 8 비트의 병렬신호로 변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어뎁터(20)에서 병렬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0)로 출력되는데,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0)는 32비트 처리장치이므로, 8비트의 병렬데이타를 4번 입력하여서 한 개의 32비트 데이터로 조합해서 출력한다.
상기 링크 어뎁터(20)에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0)로 첫번째의 8 비트 데이타 출력은, 먼저 링크 어뎁터(20)의 제 1 제어신호(Qvalid) 출력단자에서 하이(high)신호를 출력한다.[제 2 도의 (가)] 상기 하이신호는 인버터(40)를 통해서 반전되어서 상기 프로세서(10)의 제 1 제어신호(/STRB) 입력단자로 로우(low)신호로 입력된다.[제 2 도의 (나) ]
상기 프로세서(10)는 로우논리상태의 제 1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링크 어뎁터(20)에서 데이타를 읽어 들이는 동시에 [제 2 도의 (라)],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동기되어 제 2 제어신호(/RDY) 출력단자로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 제 2 도의 (다)]
한편,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제 1 제어신호가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로 바뀌면, 상기 프로세서(10)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프로세서(10)는 상기 제 1 제어신호(/STRB) 입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동기하여, 제 2 제어신호(/RDY) 출력단자로 하이신호를 출력시키면서, 1 바이트 전송을 완료한다.
즉, 상기 프로세서(10)는 제 1 제어신호(/STRB) 입력단자로 로우신호가 입력되는 것에 동기하여 데이타를 입력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는 것에 동기하여 데이타의 입력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4 바이트 전송이 완료되어, 상기 프로세서(10)의 제 1 제어신호가 하이신호로 변환되면, 32비트 데이타 전송을 완료하고, 다음 32비트 데이타 전송을 위한 준비단계로 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0)는 4 바이트 전송이 완료된 직후 상기 제 1 제어신호(/STRB)를 일정시간(Tmax)내에 하이신호로 전환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프로세서(10)의 클럭속도가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클럭속도 보다 2.5배 빠르게 이루어짐에 의해서, 4번째 바이트를 한번 더 입력하게 되었다. 즉, 항상 1 바이트 추가되는 에러가 발생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회로는 데이타의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 특성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상기 프로세서(10)와 링크 어뎁터(20)를 직접 접속시킴에 의해서 데이타 전송시 에러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의 제어신호를 조절하여 주는 제어신호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병렬처리프로세서 사이에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보다 펄스속도가 늦은 링크 어뎁터를 접속시켜서 데이타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병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링크 어뎁터의 제 1 제어신호의 주기를 작게 조절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1 펄스발생부와;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제 1 펄스발생부의 출력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2 제어신호의 주기를 크게 조절해서 상기 링크 어뎁터의 제 2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2 펄스발생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8 비트 직렬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병렬처리프로세서(31)와 8 비트 병렬통신방신을 지원하는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1)의 사이에 상기 8비트의 직렬데이타를 8 비트의 병렬데이타로 변환시켜 주는 링크 어뎁터(21)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어뎁터(21)와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1)는 통신을 위한 제어신호의 타이밍 특성이 서로 다르게 정의 되어 있기 때문에 , 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링크 어뎁터(21)와 고속신호처리프로세서(11) 사이에 제어신호조절부(50)가 접속한다.
상기 제어신호조절부(50)는, 상기 링크 어뎁터(21)의 제 1 제어신호(Qvalid)를 입력하고 로우논리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네가티브 펄스발생부와(53),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1)의 제 2 제어신호(/RDY)를 입력하고 하이논리에 따른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포지티브 펄스발생부(55)를 구비한다.
그 접속관계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링크 어뎁터(21)의 제 1 제어신호 출력단자는 네가티브 펄스발생부(53)의 입력단자와 접속하고,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STRB)와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2 제어신호 출력단자(/RDY)는 포지티브 펄스발생부(55)의 입력단자 및 상기 네가티브 펄스발생기(53)의 제어단쟈와 접속하며, 상기 포지티브 펄스발생부(55)의 출력단자는 링크 어뎁터(21)의 제 2 제어신호(Qack)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타이밍도(제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병렬처리프로세서(31)에서 출력되는 8 비트의 직렬신호는 링크 어뎁터(20)로 입력되어서 8 비트의 병렬신호로 변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어뎁터(21)에서 병렬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상기 고속처리르로세서(11)로 출력되는데,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1)는 32비트 처리장치이므로, 8 비트의 병렬데이타를 4번 입력하여서 한 개의 32 비트 데이터로 조합해서 출력한다.
상기 링크 어뎁터(21)에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1)로 8비트 데이타 출력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 어뎁터(21)의 제 1제어신호(Qvalid) 출력단자로 하이논리의 신호가 출력되어 네가티브 펄스발생부(53)로 입력되면[제 4 도의 (가)], 상기 네가티브 펄스발생부(53)는 로우논리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네가티브 펄스발생부(53)에서 출력되는 로우논리신호는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STRB)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제 4 도의 (나)]
상기 프로세서(11)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로우논리신호가 입력되면, 8 비트의 데이타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 2 제어신호(/RDY) 출력단자로 로우논리신호를 출력한다. [제 4 도의 (다)]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2 제어신호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신호는 포지티브 펄스발생기(55)로 입력이 되는 한편, 네가티브 펄스발생기(53)의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포지티브 펄스발생기(55)는 상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해서 링크 어뎁터(21)의 제 2 제어신호(Qack) 입력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네가티브 펄스발생기(53)는 출력되는 신호를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전환시켜서 출력한다.
상기 포지티브 펄스 발생기(55)는 상기 로우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동안 하이논리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링크 어뎁터(21)의 제 2 제어신호(Qack)에 일치시킨다. [제 4 도의 (라)]
그리고 상기 네가티브 펄스발생기(53)의 출력은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어신호(/STRB)는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전환이 된다. 즉, 상기 링크 어뎁터(21)에서 제 1 제어신호(Qvalid)의 하이출력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STRB)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 제 4 도의 (나) ]
이와 같이 동작이 이루어져서 상기 프로세서(11)는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출력을 하이신호로 전환시켜 줌과 동시에 1 바이트의 데이타 입력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서 상기 프로세서(11)로 4바이트 전송이 완료된 직후에도 상기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STRB)가 일정시간(Tmax)내에 하이신호로 전환이이루어짐에 의해서, 32비트 데이타 전송을 완료하고, 다음 32비트 데이타 전송을 위한 준비단계로 들어간다.
즉, 종래에 상기 제 1 프로세서(10)의 제 1 제어신호(/STRB)가 상기 링크 어뎁터(20)의 제 1 제어신호(Qvalid)에 동기되어 펄스신호가 전환됨에 의해서, 발생되는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STRB)가 하이신호로 전환되는 때를 상기 제 2 제어신호(/RDY)가 로우신호로 전환되는 때에 동기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링크 어뎁터(21)의 제 1 제어신호(Qvalid)는 고속처리프로세서(11)의 제 1 제어신호(/STRB)에 적합하도록 펄스폭이 작게 조절되고,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11)의 제 2 제어신호(/RDY)는 링크 어뎁터(21)의 제 2 제어신호(Qack)에 적합하도록 펄스폭이 크게 조절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신호조절장치는 링크 어뎁터인 IMSC011를 사용하여 고속처리프로세서인 TMS320C40과 병렬처리프로세서인 TRANSPUTER가 통신을 하는 경우, 펄스속도가 다른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의 펄스속도를 조절해서, 불필요한 데이타를 한 번 더 입력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병렬처리프로세서 사이에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보다 펄스속도가 늦은 링크 어뎁터를 접속시켜서 데이타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병렬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링크 어뎁터의 제 1 제어신호의 주기를 작게 조절해서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1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1 펄스발생부와;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와 링크 어뎁터 사이에 접속하고, 상기 제 1 펄스발생부의 출력신호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상기고속처리프로세서의 제 2 제어신호의 주기를 크게 조절해서 상기 링크 어뎁터의 제 2 제어신호 입력단자로 출력하는 제 2 펄스발생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발생부는, 상기 고속처리프로세서에서 제 2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출력펄스의 논리가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펄스발생부는, 소정의 설정된 시간동안 펄스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KR1019940038742A 1994-12-29 1994-12-29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KR0135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2A KR0135009B1 (ko) 1994-12-29 1994-12-29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42A KR0135009B1 (ko) 1994-12-29 1994-12-29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128A KR960025128A (ko) 1996-07-20
KR0135009B1 true KR0135009B1 (ko) 1998-05-15

Family

ID=1940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42A KR0135009B1 (ko) 1994-12-29 1994-12-29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0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128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69035A (ja) スクランブラー回路
KR0135009B1 (ko)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JP2705574B2 (ja) パストレースバイト収集回路
KR20010015027A (ko) 전송 시스템과, 수신기와, 전송기와, 데이터 스트로브형식의 트랜시버와 병렬시스템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인터페이스 장치
KR0135007B1 (ko)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JPH08265349A (ja) ディジタル情報処理装置
KR0135006B1 (ko)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KR0135008B1 (ko) 펄스속도가 다른 두 프로세서 간에 제어신호조절장치
KR970009695B1 (ko) 디(d)채널 제어장치
JPH09307548A (ja) データリンク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H07146842A (ja) バス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KR960009672B1 (ko) 채널 유니트의 데이타 손실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ata loss of channel unit)
KR960016277B1 (ko) 음성데이타 전송회로
JP3144086B2 (ja) 擾乱付加信号発生回路
JPH06103025A (ja) 高速論理lsi
JPS596647A (ja) シリアルデ−タ伝送同期方式
JPH0239651A (ja) 伝送速度変換回路
KR0176499B1 (ko) 광결합회로를 축소시킨 데이터 인터페이스 회로
JPH09293047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データ転送装置
JPH03258132A (ja) 通信端末装置
JPS6397017A (ja) シリアルパラレル変換回路
JP3179831B2 (ja) シリアル伝送方式
JPH05304522A (ja) 同期検出制御装置
JPH06276237A (ja) Lsiシステムのインタフェース方式
JPH02238740A (ja) 調歩一同期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