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98B1 -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98B1
KR0134898B1 KR1019940704206A KR19940704206A KR0134898B1 KR 0134898 B1 KR0134898 B1 KR 0134898B1 KR 1019940704206 A KR1019940704206 A KR 1019940704206A KR 19940704206 A KR19940704206 A KR 19940704206A KR 0134898 B1 KR0134898 B1 KR 013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locking member
pallet
magnetic fiel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우조오 니시노
미치오 이와마
토모미 이마나카
Original Assignee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129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285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51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278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카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4Power rails in slotted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을 재치하여 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소정의 이송로(1)로 이송되는 팔레트 등의 이동체(2)에 무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유도선(14)이 이송로(1)에 따라서 부설되며, 이 유도선(14)에는, 고주파의 정현파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동체(2)에는, 유도선(14)의 전류의 주파수로 공진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6)과, 이 코일(16)을 전원으로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송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에 무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시스템 주요부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된 이송시스템 주요부의 정면도.
제 3 도는 A 내지 제 3 도는 C는 제 1 도에 표시된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픽업코일의 상세도.
제 4 도에 표시된 이송 시스템의 회로도.
제 5 도는 제 1 도에 표시된 이송시스템의 픽업코일에 발생하는 기전력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6 도는 제 1 도에 표시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의 2차측 주파수-기전력의 특성선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 주요부의 정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 주요부의 평면도.
제 9 도는 제 8도에 표시된 부분의 정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
제 11 도는 제 10 도에 표시된 이송시스템에 있어서의 작업스테이션 위치의 정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표시된 부분의 평면도.
제 13 도는 제 10 도 내지 제 12 도에 표시된 장치의 회로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 스테이션 위치의 평면도.
제 15 도는 제 14 도에 표시된 부분의 정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이송시스템의 주요부의 정면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를 탑재하여 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여 소정의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팔레트 등의 이동체에 무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공지된 이 종류의 장치로서 체인 등의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팔레트의 하면에 집전판이 설치되며, 요동자재한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가 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이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가 전원배선에 접속됨과 아울러 팔레트의 집전판에 접촉된 것이 있다.
이 접촉에 의하여 팔레트로의 전력공급경로가 형성되며, 팔레트위로 얹혀진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로 전력공급이 실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된 무접촉의 전력공급장치에서는, 팔레트의 집전판과 컨베이어의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는 서로의 접촉에 의하여 마모되므로, 정비가 불가결하며, 또 마모시에 먼지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컨베이어의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가 노출상태로 되기 때문에 감전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접촉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므로,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구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고, 정비가 불필요하며, 이송되는 팔레트 등의 이동체에 무접촉으로 효율양호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잇는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를 탑재하여 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소정의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동체에 무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이송시스템은, 전기한 이송로에 따라 부설되어서 고주파의 정현파전류가 흐르게 되는 유도선과, 전기한 이동체에 설치되며, 이 유도선 저류의 주파수에 공진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전기한 이동체에 설치되며, 전기한 코일을 전원으로 하여 전기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 등을 보유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도선에 교류전류가 통전되므로서, 코일에 기전력이 발생하며, 발생된 전력이 전원회로를 거쳐 이동체위 전력공급장치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무접촉으로 전력이 공급되므로서, 공지된 장치에 설치되는 이동체측의 집전판이나 컨베이어측의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와 같은 마모가 발생하는 걱정이 없어지며, 관리의 자유로움이 실현된다. 또, 이동체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유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정현파인 것에 의하여, 고조파가 발생하지 않고, 이 때문에 라디오 노이즈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한다.
(1)은 팔레트(2)의 이송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이고, 이 컨베이어(1)는 수평방향의 이송로(즉, 팔레트(2)의 이송방향(A))에 따라서 소정간격마다 배치된 복수의 서포오트재(3)로 밑면사이가 연결도는 좌우 한쌍의 유지틀(4)을 보유한다. 각 유지틀(4)의 상부에는 이송부 레일(5)이 부설되며, 또 하부에는 복귀부 레일(6)이 부설되어 있다. 양쪽레일(5),(6)에 지지되어서 안내되는 무단(無端)형상인 체인(7)에는 다수개의 프리로울러(8)가 부착되고, 이들 프리로울러(8)가 팔레트(2)를 지지하며 이송한다. 팔레트(2)는 전력수용장치를 포함하며 이 장치를 통하여 전력공급이 행해진다.
컨베이어(1)에 따라서 그 한쪽끝의 위쪽에 횡단면이 C자형상인 브래킷(11) 자계차단부재인 알루미늄부재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1)의 개구부는 상기 컨베이어(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11)은 그 오목부(11A)를 밑으로 한 상태에서 천정 혹은 지지부재(비도시)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11)의 오목부(11A))내에는 팔레트(2)의 이송방향(A)에 따라서 소정간격마다 팔레트(2)의 이송방향(A)과 직각인 방향으로 한쌍의 행거(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행거(12)의 선단에는 켄베이어(1)에 따라서 수지제의 덕트(13) 가 길게 설치되어 있다. 각 덕트(13)에는 유도선(14)이 부설되며, 이 유도선(14)은 절연된 작은 소선을 모아서 형성된 연선(이하,[리츠선]이라고 칭함)이 절연체, 예컨대 수지재로 피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팔레트(2)상부에는 유도선(14)이 부설된 브래킷(11)에 대향하는 이송시스템로서의 픽업유니트(P)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유니트(P)는 제 3 도 A 내지 제 3 도 C에 표시되듯이, 단면이 H형이고, 수평의 이송방향 (A)에 따라서 긴 자성부재인 페라이트 코어(15)를 보유한다. 이 H형인 페라이트 코어(15)의 웨브이 주위로, 예컨대 10~20터언의 리츠선이 휘감겨져서, 픽업코일(16)이 형성되어 있다. 페라이트 코어(15)의 팔레트(2)측의 하부에는 페라이트 판(17)이 부착되며, 이 페라이트 판(17)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코어(15)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판형상인 부착부재(18)가 각각 연직방향의 하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각 부착부재(18)에는, 제 3 도 C에 표시하듯이, 양단에는 반원형상인 가로길이의 부착구멍(18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착부재(18)와 팔레트(2)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부재 (19)가 각각의 부착구명(18A,19A)을 함께 관통한 볼트(20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픽업유니트(P)의 페라이트 코어(15)의 중심(L)이 유도선(14)때문에 한쌍의 덕트(13)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회전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조정된다. 그리고, 그 위에서 볼트(20A)와 너트(20B)가 서로 체결되므로서, 픽업유니트(P)가 팔레트(2)에 고정된다. 팔레트(2)의 윗면에는 픽업코일(16)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전원으로 하는 전력수용유니트(21)가 설치되며, 이 전력수용유니트(21)의 웃면에 전원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팔레트(2)의 위면에는 전력수용유니트(21)에서의 상용주파수의 교류전력을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로 공급하기 위한 단상의 콘센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전원장치(M)와 팔레트(2)의 상세한 회로구성을 제 4 도의 회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원장치(M) AC200V 3상의 교류전원(41)과, 컨버어터(42) 및 정현파 공진 인버터(43)와, 과전보호용의 트랜지스터(44) 및 다이오드(46)등을 구비하고 있다. 컨버어터(42)는 전파정류용의 다이오드(46)를 보유한다. 또, 컨버어터(42)는 필터를 보유하며, 이 필터는 코일(47)과 콘덴서(48) 및 저항과 이 저항(49)를 단락하는 트랜지스터(50)로 구성되어 있다. 정현파 공진 인버터(43)는 도면중에 표시되듯이 서로 번갈아 발진되는 구형파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51),(52)에 접속되는 전류 공급용의 코일(54)과, 유도선,(14)과 함께 병렬공진회로를 형성하는 콘덴서(5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팔레트(2)에서는 픽업코일(16)에 병렬로 전원스위치(22)와 전력수용유니트(21) 접속되어 있다. 전력수용유니트(21)는 콘덴서(31)로 보유하며, 상기 콘덴서(31)는 픽업코일(16)과 함께 유도선(14)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공진회로를 구성한다. 이 공진호로의 콘덴서(31)에 병렬로 정류용의 다이오드(32)가 접속되며, 이 안정화 전원회로에 직류전압을 상용주파수의 소정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어터(34)가 접속되어 있다. 콘센트(24)는 이 인버어터(34)에 접속되어 있다. 안정화 전원회로(33)는 전류제한용의 코일(35)과 출력조정용의 트랜지스터(36)와, 필터를 구성하는 다이오드(37) 및 콘덴서(38)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전원스위치(22)가 OFF조작되면, 이 스위치의 회로 자체는 클로우즈로 되며, 픽업코일(16)이 단락된다.
이하, 전원장치(M)와 유도선(14)및 팔레트(2)의 회로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교류전원(41)에서 출력되는 AC 200V 3상 교류는 컨버어터(42)에 의하여 직류로 변환되고, 정현파 공진 인버터(43)에 의하여 고주파(예컨대 10kHz)의 정현파로 변환되어서, 유도선(14)에 공급된다.
팔레트(2)에는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가 포함되며, 이 장치(23)가 콘센트(24)를 포함하여 전력수용유니트(21)에 접속되고, 그후 전원스위치(22)가 ON조작도면(스위치의 회로가 오픈됨),유도선(14)에 발생하는 자속에 의하여, 유도선(14)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팔레트(2)의 픽업코일(16)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에 의하여 발생된 교류전류는,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팔레트(2)는 컨베이어(1)에 의하여 이송되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는 예컨대 검사되고, 혹은 에이징된다.
이와 같이 이송중에 무접촉으로 팔레트(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 공지된 기술과 같이, 팔레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집전판이나, 컨베이어의 집전자 혹은 전력공급로울러 마모의 걱정이 없어지며, 자주정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팔레트(2)의 이송방향에 관계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페라이트 코어(15)의 중심(L)은 유도선(14)이 부설된 한쌍의 덕트(130의 중앙에서 브래킷(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된 후 고정되므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픽업코일(16)은 유로선(14)에 발생하는 자속밀도가 가장 커지는 장소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가장 큰 기전력이 유기되며, 높은 효율로 전력이 공급된다. 유도선(14)에서 발생하는 자계가 자계차단부재인 브래킷(11)에 의하여 차단되므로써, 자계가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단면이 H형인 페라이트 코어(15) 웨브의 주위로 리츠선이 감겨서 픽업코일(10)이 형성되므로, 코아 상하단으로 플랜지는 투자율이 높기 때문에 자로가 형성되며, 보다 높은 기전력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유도선(14)의 길이는 픽업코일(16)의 길이에 비교하여 길므로, 유도선(14)의 1차측 인덕턴스는 대략 일정하게 되고, 또 전원장치(M)의 콘덴서(55)와 유도선(14)은 공진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대략 일정한 큰 전류치에서, 유도선(14)에 고주파로 정현파의 1차측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 픽업코일(16)의 2차측이 공지회로로 되므로, 제 6 도에 표시하듯이, 공진주파수(f0)에서 2차측으로 큰 전압(v) (도면중에서는 1000~2000V)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유도선(14)과 픽업코일(16) 사이의 캡길이가 변화하거나, 유도선(14)의 주파수가 다소 변동하거나, 또는 2차측의 공진주파수가 유도선(14)의 주파수가 다소 변동하거나, 또는 2차측의 공진주파수가 유도선(14)의 주파수고 부터 다소 변동하여도,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f1~f2)의 범위에서는 소정치(도면에서는 300V)이상의 2차측 전압을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큰 전력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캡길이의 조정을 대강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고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다.
유도선(14)과 픽업코일(16)에 절연체로 피복된 리츠선이 사용되므로, 도전부의 노출이 없어진다. 이때문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스파크가 생기지 않는 점에서 화재등의 위험이 없어지고, 또한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구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유도선(14)에 정현파의 전류가 공급되므로, 고조파가 발생하지 않으며, 라디오 노이즈의 발생을 없앨 수 있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유도선(14)은 팔레트(2)의 위쪽으로 부설되어 있지만,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1)의 서포오트재(3)위로, 지지부재(9)를 개재하여, 그 오목부(11A)를 상향한 상태에서 브래킷(1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때, 픽업유니트(P)는 이 픽업유니트(P)내의 페라이트 코어(15)의 중심이 유도선(14)의 선단에 부착전 한쌍의 덕트(13) 사이의 대략 중앙에서 브래킷(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파레트(2)의 하면에 부착된다. 또, 브래킷(11)을 컨베이어(1)에 따라서 그 측부의 바깥쪽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그때는 픽업유니트(P)는 팔레트(2)의 측면에 마찬가지로 부착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단상의 콘센트(24)가 설치되며, 단상의 교류전류가 공급되어 있지만, 3상의 콘센트를 설치함과 아울러, 안정화 전원회로(33)의 출력을 3상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를 설치하므로써, 3상의 교류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단상의 교류와 3상의 교류 및 직류를 조합시켜서 공급할 수 도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팔레트(2)에 전원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지만, 콘센트(24)내에, 이 콘센트(24)에 전원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23)의 정원플러그가 꽂아지면 오픈되고 뽑아지면 클로오즈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가 픽업코일(16)에 병렬로 접속하는 구성을 하므로서, 이것을 전원스위치(22)에 대신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픽업유니트(P)의 부착위치를 부착부재(18)의 부착구멍(18A)의 구조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픽업유니트(P)의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충분하다.
팔레트(2)의 이송 때문에 체인(7)을 사용한 컨베이어(1)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송로를 형성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
이하, 제 8 도 및 제 9 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떼에, 상기한 제 1 도 내지 제 7 도의 제1 및 제 2 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61)은 이동체로서의 대차이고, 그 윗면에 자동차 등의 차량의 차체(62)를 지지하여 승강하는 리프터(6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대차(61)가 서로 연결되어서 견인되므로서, 이송로에 상당하는 레일(64)위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차제(62)는 이송되며, 승강되어 차량으로서의 조립이 실시된다.
바닥위로, 제 7 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9)를 개재하여, 그 오목부(11A)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브래킷(11)이 레일(64)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대차(61)의 하면에는, 픽업유니트(P)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픽업유니트(P)의 페라이트 코어(15)는 중심이 유도선(14)의 한쌍의 덕트(13)끼리의 사이 대략 중앙에서 브래킷(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 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대차(61)의 하면에는 픽업코일(16)에 발생하는 기전력을 전원으로 하는 전력수용유니트(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력수용유니트(21)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아야 할 장치에 상당하는 리프터(63)에 전력이 공급된다. (65)는 차륜, (66)은 신호라인이며, 신호라인(66)으로부터 접촉자(67)를 개재하여 전력수용유니트(21)로 리프터(63)의 승강지령신호가 전달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차(61)에 무접촉으로 전력이 공급되고, 이들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루우프 형상인 유도선(14)에 의하여 서로 통전방향을 달리하는 한쌍의 도선이 부설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한쌍의 도선을 부설할 수 없는 경우는, 유도선(14)내의 한쪽의 도선만 브래킷(11)에 부설되고, 다른쪽의 도선은 다른 경로를 통하게 되며, 이 한쪽의 도선에만 픽업코일(16)이 근접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때는 파워다운으로 되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1개의 덕트(13)에 1개의 루우프형상인 유도선(14)이 부설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1개의 덕트(13)내로 2개이상의 루우프형상인 유도선(14)이 부설되도록 하여 파워업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 10 도 내지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때에 (71)은 이동체로서 주행체이고, 하면 네구퉁이의 주행차륜(72)에 의하여 바닥면(73)위를 자동주행하는 자주이송대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 주행체(71)의 자동주행은 바닥면(73)에 부설된 가이드패스(74)에 안내되어서 실시된다. 이 주행체(71)의 윗면에는 짐을 얹혀놓은 짐받이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3 도의 회로도에 표시되듯이, 주행체(71)의 내부에는 배터리(76)와 배터리(76)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모터(7)등의 설치되며, 이 모터(77)에 의하여 주행차륜(72)이 구동되며, 주행체(71)가 주행한다.
주행체(71)를 유도하는 가이드패스(74)에 따라서, 작업용 스테이션으로서 복수의 작업가대(78)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가대(78)에 있어서 가이드패스(74)측의 측면에는 브래킷(11)이 설치되며, 이 브래킷(11)에 있어서 각 행거(12)의 선단에는 수지제의 덕트(13)가 길게 설치되고, 각 덕트(13)에는 유도선(14)이 부설되어 있다. 주행체(71)에는 유도선(14)이 부설된 작업가대(78)에 대향하는 측면으로 픽업유니트(P)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장치(M)와 주행체(71)의 이송시스템의 상세한 회로구성은 제 13 도에 표시된다. 이 회로에는 주행체(71)에 있어서 안정화 전원회로(33)의 출력측이, 제 4 도에 표시된 회로와 상위하다. 상세하게는 안정화 전원회로(33)에 배터리(76)가 접속되며, 이 배터리(76)에 코터 콘트로우러(79)를 개재하여 주행차륜(72)을 구동하기 위한 감속기가 달린 전동모터(77)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76)를 구동전원으로 하는 모터 콘트로울러(79)에 의하여, 주행차륜(72) 구동용의 모터(77)가 구동되므로서 주행체(71)는 가이드패스(74)에 안내되어서 바닥면(73)위를 주행한다. 주행체(71)가 작업가대(78)에 접어들며, 유도선(14)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의하여, 유도선(14)의 전류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주행체(71)의 피업코일(16)에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에 의하여 발행된 교류전류가 다이오드(32)에서 정류되며, 안정화 전원회로(33)에 의하여 소정의 전압으로 정압되어, 터리(76)가 충전된다. 또, 모터 콘트리울러(79)를 개재하여 모터(77)에 전류가 공급되고, 주행체는(71)는, 전력이 공급된 모터(77)에 의하여 주행차륜(72)이 구동되므로서 가이드패스(74)에 안내되어서 이동한다. 보통, 작업가대(78)의 위치에서는 주행체(71)가 저속으로 되므로, 장시간 전력이 공급되며 충분한 충전이 실시된다.
이와 같이, 주행체(71)가 작업가대(78)의 위치를 주행중에 이 주행체(71)에 무접촉으로 전력의 공급이 실시되고, 충전이 가능하므로서, 주행체(71)가 일단 이송경로를 떠나서 충전스테이션으로 들어갈 필요가 없고, 작업효율을 대폭으로 향상할 수 있다. 픽업코일(16)은 작업가대(78)의 커어브부에서도 유도선(14)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주행체(71)는 커어브부를 원할하게 통과할 수 있다.
상술한 제 4 실시예는 유도선(14)이 작업가대(78)의 측면에 부설된 구성이지만, 제 14 도 및 제 15 도의 제 5 실시예에 표시하듯이, 작업가대(78)가 설치된 부분의 바닥면(73)위로 가이드패스(74)에 따라서 한쌍의 지지부재(80)가 설치되며, 각 지지부재(80)의 내측으로 행거(12)가 각각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브래킷이 부설되고, 각 행거(12)의 선단으로 유도선(14)이 부설되어도 좋다.
또, 16도의 제 6 실시예에 표시하듯이, 작업가대(78)가 설치된 부분의 바닥면(73)에 있어서 주행체(71)의 폭 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가이드패스(74)에 따라서 홈(81)이 설치되며, 이 홈(81)내의 저면으로, 행거(12)가 수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브래킷(82)이 부설되고, 각 행거(12)의 선단으로 덕트(13)가 길게 설치되며, 각 덕트(13)에 유도선(14)이 부설되어 있어도 좋다. 이때, 픽업유니트(P)는 승강가동식으로 되고, 홈(81)이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홈(81)내로 하강되고, 주행체(71)의 이동에 따라서 홈(81)이 끝나는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홈(81)에서 상승되어서 주행체(71)의 내부로 수납된다.

Claims (10)

  1. 이동체를 안내하는 이송로를 따라 부설되어 있으며, 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와는 어떠한 안내관계(guiding relation)도 갖고 있지 않은 C-형상의 단면을 갖는 자계차단부재.
    상기 자계차단부재의 오목부내에 놓여있는 유도선.
    상기 유도선에 고주파 정현파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상기 이동체내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부재내의 오목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선의 자기력선 속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
    상기 이동체내에 놓여져 있으며, 상기 코일과 더불어 상기 유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주타수에서 공진하는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이동체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체내에 탑재된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공진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은 그 시작 및 끝이 상기 전원에 접속된 루우프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우러, 상기 자계차단부재의 오목부내에서 서로 통전방향을 달리하느 한쌍의 도선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한쌍의 도선형태로 구성된 유도선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스위치 및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이동체내에 배치된 코일과 병렬도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선과 상기 코일은 각각 절연체로 피복된 도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팔레트이고, 상기 자계차단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자계차단부재의 오목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팔레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팔레트이고, 상기 자계차단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위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팔레트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자계차단부재의 오목부에 대항하도록 상기 팔레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차단부재는 상기 오목부가 수평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의 코일은 상기 자계차단부재의 오목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이동체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대차이고, 상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는 상기 대차위에 설치된 리프터로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대차에 의하여 이송되는 차량의 차체를 지지하면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자주대차이고, 상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는 상기 자주대차 위에 놓여진 배터리이며,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회로로서, 상기 주대차는 구동전원으로서 상기 배터리를 채용하고, 자주운행을 위해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작업가대를 구비하는 1 또는 복수개의 작업스테이션이 상기 자주대차가 이송되는 이송로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도선은 상기한 각각의 작업가대의 측면을 따라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은 상기 유도선이 배설된 작업가대의 측면에 대항하도록 상기 자주대치의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대차는 상기한 각각의 작업스테이션의 외부에 비해 상기 작업스테이션의 내부에서 보다 느린속도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시스템.
KR1019940704206A 1992-05-22 1995-04-28 이송시스템 KR0134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29178 1992-05-22
JP4129178A JPH05328508A (ja) 1992-05-22 1992-05-22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4151781A JP2822780B2 (ja) 1992-06-11 1992-06-11 治具パレットの無接触給電設備
JP92-157181 1992-06-11
PCT/JP1993/000676 WO1993024343A1 (en) 1992-05-22 1993-05-19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moving object without conta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4898B1 true KR0134898B1 (ko) 1998-04-23

Family

ID=2646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206A KR0134898B1 (ko) 1992-05-22 1995-04-28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09291A (ko)
KR (1) KR0134898B1 (ko)
AU (1) AU4089193A (ko)
TW (1) TW350409U (ko)
WO (1) WO1993024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0107B1 (en) * 1992-07-20 1997-09-17 Daifuku Co., Ltd.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 system
US5551350A (en) * 1993-10-07 1996-09-03 Daifuku Co., Ltd. Transporting system driven by linear motor having inductive power supply
ATE188656T1 (de) * 1995-04-03 2000-01-15 Cegelec Aeg Anlagen Und Automa Spurgeführte transporteinrichtung mit energie- und informationsübertragung
US5927657A (en) * 1996-07-17 1999-07-27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Antenna mounting structure for movable member conveying system
JPH1080076A (ja) * 1996-09-05 1998-03-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移動体への非接触式給電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コイルユニット
JP3374668B2 (ja) * 1996-09-09 2003-02-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移動体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5941353A (en) * 1997-07-16 1999-08-2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Non-contact type electric power supplying system for vehicle
DE69841810D1 (de) * 1997-12-05 2010-09-16 Auckland Uniservices Ltd Stromversorgung zu primärleitern
US6397990B1 (en) 1998-10-20 2002-06-04 Pri Automation, Inc. Materials transport system having inductive power transfer
US6571933B1 (en) 1998-10-20 2003-06-03 Crisplant A/S Inductive energy transfer system
JP4330703B2 (ja) 1999-06-18 2009-09-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搬送モジュール及びクラスターシステム
AU6341200A (en) 1999-07-02 2001-01-22 Magnemotion, Inc. System for inductive transfer of power, communication and position sensing to a guideway-operated vehicle
US6374748B1 (en) * 1999-10-28 2002-04-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Tracking cart system
US6983701B2 (en) * 2001-10-01 2006-01-10 Magnemotion, Inc. Suspending, guiding and propelling vehicles using magnetic forces
US6917136B2 (en) * 2001-10-01 2005-07-12 Magnemotion, Inc. Synchronous machine design and manufacturing
DE10301978A1 (de) 2003-01-20 2004-08-05 Eurocopter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und Bereitstellen der Energie kapazitiver Aktuatoren
US7733676B2 (en) * 2004-03-30 2010-06-08 Daifuku Co., Lt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utilizing synchronized command signals to control and correct phase differences amongst power supply units
WO2005110898A2 (en) 2004-05-07 2005-11-24 Magnemotion, Inc. Three-dimensional motion using single-pathway based actuators
US20070044676A1 (en) * 2005-07-22 2007-03-01 Magnemotion Inc. Guideway activated magnetic switching of vehicles
US20070021140A1 (en) * 2005-07-22 2007-01-25 Keyes Marion A Iv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and methods
NZ545664A (en) 2006-02-28 2008-07-31 Auckland Uniservices Ltd Single phase power supply for inductively coupled power transfer systems
DE102009004782B4 (de) * 2009-01-13 2020-10-22 Sew-Eurodriv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Energieübertragung
US8616134B2 (en) 2009-01-23 2013-12-31 Magnemotion, Inc. Transport system powered by short block linear synchronous motors
US9032880B2 (en) 2009-01-23 2015-05-19 Magnemotion, Inc. Transport system powered by short block linear synchronous motors and switching mechanism
US8740538B2 (en) 2009-04-10 2014-06-03 Symbotic, LL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8551096B2 (en) * 2009-05-13 2013-10-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irectional delivery of energy and bioactives
JP5455078B2 (ja) * 2009-06-18 2014-03-26 株式会社ダイフク 無接触給電設備
US9008884B2 (en) 2010-12-15 2015-04-14 Symbotic Llc Bot position sensing
US8998554B2 (en) 2010-12-15 2015-04-07 Symbotic Llc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US9082112B2 (en) 2010-12-15 2015-07-14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charging system
US10822168B2 (en)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US9475649B2 (en) 2010-12-15 2016-10-25 Symbolic, LLC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TWI622540B (zh) 2011-09-09 2018-05-01 辛波提克有限責任公司 自動化儲存及取放系統
JP5914879B2 (ja) 2012-10-31 2016-05-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可動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給電装置の制御方法
US9469208B2 (en) 2013-03-15 2016-10-18 Symbotic, LLC Rover charging system
TWI594933B (zh) 2013-03-15 2017-08-11 辛波提克有限責任公司 自動化貯藏及取放系統
US9481517B2 (en) 2013-03-15 2016-11-01 Symbotic, LLC Multiposition lift
WO2015038999A2 (en) 2013-09-13 2015-03-19 Symbotic Llc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P3046801A4 (en) 2013-09-21 2017-11-08 Magnemotion, Inc. Linear motor transport for packaging and other uses
DE102014219504B4 (de) * 2014-09-26 2022-12-08 Vitesco Technologies GmbH Drahtloses Batterieladesystem mit Notabschaltung für eine Fahrbatterie eines Elektro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2281A (en) * 1933-12-01 1937-06-01 Bulldog Electric Prod Co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3002059A (en) * 1958-04-09 1961-09-26 Porter Co Inc H K Distributed contact system
CH526611A (de) * 1970-06-02 1972-08-15 Sandoz Ag Verfahren zur antistatischen Ausrüstung von polymeren Stoffen
US3772482A (en) * 1971-03-04 1973-11-13 Us Safety Trolley Corp Multiple trolley conductor unit
JPS5227445Y2 (ko) * 1972-02-22 1977-06-22
SU854767A1 (ru) * 1979-08-01 1981-08-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47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U988597A1 (ru) * 1981-08-31 1983-01-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воз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нергоснабж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6373802A (ja) * 1986-09-16 1988-04-04 Hitachi Electronics Eng Co Ltd ワ−ク搬送ユニツト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JPH0748609B2 (ja) * 1988-01-11 1995-05-24 原田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ロッドアンテナ制御装置
JPH0722961Y2 (ja) * 1988-06-09 1995-05-24 東京電力株式会社 電動車両用非接触式給電・集電装置
US5293308A (en) * 1991-03-26 1994-03-08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Inductive power distribution system
DE4115568A1 (de) * 1991-05-13 1993-02-04 German Gresser Automobil der zukunft mit neuartigem elektromotorischen antriebs- und bremssystem sowie integrierter energierueckgewinnung
JPH05344602A (ja) * 1992-06-11 1993-12-24 Daifuku Co Ltd 無接触給電設備に使用するリッツ線
EP0580107B1 (en) * 1992-07-20 1997-09-17 Daifuku Co., Ltd.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 system
JPH0654403A (ja) * 1992-07-31 1994-02-25 Daifuku Co Ltd 無接触給電搬送設備
US5551350A (en) * 1993-10-07 1996-09-03 Daifuku Co., Ltd. Transporting system driven by linear motor having inductiv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09291A (en) 1998-01-20
WO1993024343A1 (en) 1993-12-09
AU4089193A (en) 1993-12-30
TW350409U (en) 199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898B1 (ko) 이송시스템
JP2667054B2 (ja) 誘導電力分配システム
JP3432530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5207606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114360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8340650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654403A (ja) 無接触給電搬送設備
JP3263421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およびこ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を備えた移動体
JP3261427B2 (ja) 給電線保持装置
JP2822780B2 (ja) 治具パレットの無接触給電設備
JPH05336606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5336605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5328508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H0678406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2929897B2 (ja) 自動倉庫
JP3306890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およびその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JPH06189403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295963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380886B2 (ja) 移動体へ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3339162B2 (ja) 無接触給電設備
JPH0630503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3261428B2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JP2864882B2 (ja) 磁気浮上式の搬送設備
JP3114423B2 (ja) 誘導線路カートリッジ
JPH05207603A (ja) 移動体の無接触給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