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82B1 - 내열재료 - Google Patents

내열재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82B1
KR0134182B1 KR1019900015704A KR900015704A KR0134182B1 KR 0134182 B1 KR0134182 B1 KR 0134182B1 KR 1019900015704 A KR1019900015704 A KR 1019900015704A KR 900015704 A KR900015704 A KR 900015704A KR 0134182 B1 KR0134182 B1 KR 0134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heat
grain size
melting point
sk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945A (ko
Inventor
히데오 후지따
준 후나꼬시
다까히로오 가바
아끼라 시노사끼
히로유끼 아라라기
Original Assignee
미노 시게가즈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8806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418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노 시게가즈, 가부시끼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노 시게가즈
Publication of KR91000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6Alloys based on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1300℃를 초과하는 온도에 있어서, 우수한 고온강도와 내산화성을 갖춘 내열재료이고, Cr 60%이상 및 Fe 5%이상 함유하는 Cr-Fe 합금이고, 그리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 융점은 1600℃이상인 내열합금, 또는 그 내열합금과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금속매트릭스에 체적율 40%이하의 세라믹 분산상이 더 혼재된 조직을 갖고 있는 내열재료.

Description

내열재료
제 1도는 워킹빔(walking beam)형 가열로의 스키드빔(skid beam)의 사시도,
제 2도는 본발명에 관한 내열재료를 사용한 스키드버튼(button)의 고정구조에 관한 단면도,
제 3도는 고온 압축변형시험에 있어서 하중반복회수와 압축변형량의 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 4도는 고온산화시험에 있어서 가열온도와 산화감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 5도는 내지 제 7도는 각각 공시편(供試片) No.2, No.5 및 No.4의 금속조직을 나타내는 현미경조직사진(배율 : × 50),
제 8도는 고온 압축변형시험의 설명도,
제 9도는 고온 압축변형시험에 있어서 하중 반복사이클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가열로, 특히 워킹빔형 가열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내열재료에 관한 것이다.
열간압연공정에서는 강편(steel piece), 슬랩등의 강재의 가열에 워킹빔형 가열로가 사용되고 있다. 이 가열로는 강편, 슬랩 등의 피가열재를 지지하고 반송하기 위한 스키드빔을 복수열 갖추고 있다.
그 스키드빔은 이동빔과 고정빔으로 구성되고, 이동빔의 승강과 수평왕복 동작을 주기적으로 되풀이함으로써 피가열재를 이동빔과 고정빔에 교대로 옮겨 바꾸면서 반송하는 것이다.
스키드빔(1)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스키드파이프(10) 주변의 상부에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키드버튼(12)을 세워 설치하고 있다.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면 및 스키드버튼(12)의 받침부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내화재 라이닝(5)이 세워져서, 가열로의 내부에 배치된다.
스키드버튼(12)은 원뿔대, 각뿔대 등의 형상을 한 블록이고, 그 상부면이 피가열재(3)를 지지한다.
종래부터, 그 스키드버튼 재로로서 고 Ni 고 Cr 합금강이나 고 Co 합금강(예를들면 50 Co-20 Ni-Fe강) 등의 내열 합금강이 사용되고 있다.
스키드파이프중에는 냉각수가 강제적으로 유송(流送)되고 있어서 노(爐)내의 고온 산화성 분위기에 의한 스키드버튼으로의 열영향이 완화되고, 스키드버튼의 온도상승의 방지되고 있다.
이로서 스키드버튼은, 피가열재의 하중에 견딜수 있는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그 표면의 산화손상이 방지된다.
그러나 스키드파이프 안을 흐르는 냉각수의 냉각작용이 충분하지 못할때에는 스키드버튼의 변형, 산화손상 등이 생긴다.
한편 냉각작용이 지나치게 크면 스키드버튼의 꼭지면에 지지되는피가열재는 스키드버튼과의 접촉면에서 국부적으로 냉각되고, 소위 스키드마크가 발생하여 피가열재에 가열얼룩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가열로의 조업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13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의 조업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와같이 고온에서 조업하는데에는, 스키드버튼의 강도저하나 산화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키드버튼으로의 강제적인 냉각작용을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냉각작용을 높이면, 노내와 스키드버튼과의 온도차가 커지고 전술한 바와같이 피가열재의 가열얼룩이 커질뿐아니라, 열손실량이 증대하는 등의 좋지못한 경우가 있다.
이때문에 종래의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스키드버튼으로는, 조업온도의 고온화에 대처할 수 없게 되고, 피가열재의 하중에 의한 변형이나 산화손상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때문에 세라믹의 소결체를 스키드버튼으로 사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세라믹은 취성재료이므로 깨어짐이나 결손이 생기기 쉽고 사용의 안정성에 결함이 있다.
본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발명은 13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우수한 고온강도 및 내산화성을 발휘할 수 있는 내열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은 130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의 조업에 있어서, 스키드파이프의 냉각작용을 그렇게 높이지 않더라도 우수한 고온강도 및 내산화성을 발휘할 수 있는 스키드버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내열재료는, Cr 60%(중량%, 이하같음) 이상, 잔부 Fe(단, Fe는 5%이상 함유한다)인 내열합금이고, 합금조직의 평균결정입경은 50㎛이상, 융점은 1600℃이상인 내열합금이다.
본발명의 내열재료는, 합금과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이고 : Cr 60%이상, 잔부 Fe(단, Fe는 5%이상 함유한다)이고 ; 조직의 평균결정입경은 50㎛이상, 융점은 1600℃이상인 합금의 금속 매트릭스(matrix)에 체적율로 40%이하의 세라믹 분산상이 혼재된 조직을 갖고 있다.
우선, 본발명의 내열재료가 내열합금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발명의 내열합금은 Cr을 60%이상 함유한다. Cr의 함유량을 60%이상으로 한것은, 1600℃이상의 융점을 확보함과 동시에 130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안정된 내산화성을 얻기 때문이다.
더욱이 1600℃이상의 융점을 확보하는 것은 우수한 고온강도를 얻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본발명의 내열합금은 Fe 5%이상 함유한다. Fe를 5%이상 함유시키는 것은, Fe는 소결합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소결성을 좋게 하고 소결조건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고, 한편 주조합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해·주조 조업상의 열적조건의 완화에 쓸모있기 때문이고, 함유량이 5%미만이면 그 효과를 얻을수 없기 때문이다.
본발명의 내열합금의 조성은 Cr 60%이상, 잔부 Fe(단, 5% 이상을 함유한다)로 이루어지는 Cr-Fe 계의 것이 좋지만, 필요에 따라 W 10%이하, Mo 10%이하, Nb 10%이하, Ta 10%이하, Hf 10%이하, Co 10%이하, Ni 10%이하, Ti 10%이하, Aℓ 10%이하, V 10%이하, Mn 10%이하 및 희토류원소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내지 2종이상의 원소를 합계량으로 35%이하, 바람직하기는 30%이하의 범위내에서 함유하여도 좋다.
이들의 원소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것은, 이들 제원소가 고용(固溶)강화작용 또는 입자분산 또는 섬유분산에 의한 강화작용을 갖고 있고, 고온강도를 보다 더 높일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금속간 화합물(Cr2Nb, Cr2Zr, Cr2Ta, Cr2Ti 등)의 생성에 의하여 입자분산 또는 섬유분산에 의한 강화작용이 촉진되고, 합금의 강도를 보다 더 높일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Aℓ 또는 희토류원수(Y, Sc 등)는 합금의 강화작용에 더하여, 내산화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제원소가 너무 많이 함유되면 합금의 융점이 저하하여 1600℃이상의 융점을 확보할 수 없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가공성 등이 손상될 염려가 있기때문에 상한을 35%, 바람직하기는 30%로 규정한다.
더욱이 상기의 내열합금을 통상의 합금제조 기술상 불가피하게 결합되는 정도의 범위내에서 P, S 기타의 불순물의 혼재가 허용된다.
또 C 및 Si에 대하여도 C는 0.8%이하, Si는 5%이하의 혼재는 허용된다.
다음에 합금과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복합재료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열재료는 상기의 내열합금에 필요에 따라 세라믹을 분산상으로하여 체적율로 약 40%까지 혼재시킬 수가 있다.
합금의 분산상으로서 혼재되는 세라믹으로 예를들면, Cr2O3, Al2O3, SiO2, Y2O3, LaO, Sc2O3등의 산화물계: Si3N4, TiN, BN, AℓN 등의 질화물계: B4C, CrC2, WC, SiC 등의 탄화물계: Mo2Si, Cr2Si 등의 규화물계: CrB2, TiB2등의 붕화물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세라믹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재시킴으로써 입자분산 강화작용 내지 섬유분산 강화작용에 의하여 합금의 고온강도는 보다 더 높아진다. 더욱이 체적율로 약 40%를 초과하여 함유하더라도 그 효과는 포화하게 되고, 도리어 재료는 무르게된다.
이때문에 혼재되는 세라믹양의 상한은 체적율로 약 40%로 규정한다.
본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융점을 1600℃이상으로 할뿐아니라 그 합금조직의 평균결정입경을 50㎛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결정입의 평균입경을 50㎛이상으로 하는 것은, 1300℃를 초과하는 분위기에 있어서 강도 특히, 압축변형저항성을 충분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더욱이, 본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는 소결법 또는 용해주조법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어느 방법에 의한 경우에도 결정조직의 평균입경을 50㎛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소결법에 의한경우, 얻어진 소결합금의 균질치밀성의 점에서 열간 정수압(靜水壓)가압소결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소결조건은 예를들면, 약 1000-1500℃의 온도에서, 약 1000-2000kgf/㎠의 압력을 가하면서 약 2-5 시간 유지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소결합금의 결정입경은 원료분말의 입경에 의존하고 있고, 본발명자는 원료분말의 평균입경을 약 200mm이상으로 하면 소결합금의 평균입경을 50μm이상으로 할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세라믹을 분산상으로서 혼재시키는 경우, 세라믹을 합금의 원료분말과 같이 장전하면 좋다. 세라믹은 임의의 사이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상 세라믹의 경우 예를들면, 약 0.1 내지 10μm의 입경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섬유상 세라믹의 경우 예를들면, 섬유의 길이 약 1내지 1000μm, 가로세로비가 약 10∼50인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주조법에 의한 경우 예를들면, 고주파 용해로에서 그 합금의 용제를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세라믹을 분산상으로서 혼재시키는 경우, 그 합금용탕의 주형으로의 주입에 앞서서, 또한 주형내에 있어서 합금용탕에 세라믹 분말을 첨가하고, 균일한 고액(固液)혼합상태로서 응고시키며 된다.
주조합금의 결정입도는 주형내의 응고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사(砂)형 주형이나 내화물주형 등을 사용하여 응고속도를 늦춤으로써 충분히 조대화된 결정립 조직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소결 또는 주조후 결정입도 조정을 위한 열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표 1에 표시된 성분조성 및 평균결정입경을 갖는 공시편에 대하여 고온압축변형시험 및 고온산화시험을 행하였다.
평균결정입경을 구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공시편의 현미경조직중에서 임의의 5개소를 선정하고, 이들이 현미경조직 사진(50배)을 촬영한다. 각 시야에 있어서, 세로가로에 각각 2개의 직선을 긋고, 이들 직선과 교차하는 결정입의 수를 계수한다.
직선의 합계 길이를 교차한 결정입경의 수로 나눈 값을 결정입경의 평균치로 하고, 5 시야의 평균을 구하여 평균결정입경으로 하였다.
[고온압축변형시험]
각종 공시편로부터, 원통형 시험편(직경 30mm×길이50mm)을 잘라내어 1350℃의 노내에 삽입한다.
시험편(20)은 제 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대(22)위에 직립고정하고, 상방의 램(ram)(24)의 승강이동에 의하여 시험편에 압축하중 0.5kgf/㎟을 반복 부하한다. 하중반복 패턴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하중 0.5kgf/㎟의 부하를 4초간, 무부하 4초간, 및 하중부하와 무부하와의 사이의 이행시간 각각 12초를 합계한 12초를 1주기로 한것으로 10000 사이클 반복실시하였다.
시험편의 시험전의 길이(L)와 시험후의 길이(L)로부터, 압축에 의한 소성 변형량 D(%)를 아래식에 의하여 구하였다.
압축변형량 D(%) = (L-L) / L× 1000
[고온산화시험]
각종 공시재로부터 원통형 시험편(직경 80mm×길이 40mm)을 잘라내어 1350℃의 가열로(대기분위기) 속에서 100시간 유지하였다.
다음에, 가열로부터 시험편을 꺼내고, 시험편표면의 스케일을 알칼리용액 및 산용액으로 제거하고, 그 전후의 시험편 중량의 변화로부터 산화감량(g/㎡hr)을 구하였다.
고온압축변형시험과, 고온산화시험의 시험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1에서, 공시편 No.1∼No.3, No.5∼No.9는 본발명의 내열재료의 실시예이다. No.4는 평균결정입경이 본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고, No.11은 Cr이 본발명의 범위에서 일탈하고 있는 비교예이다.
또, No.10은 종래부터 스키드버튼으로 사용되고 있는 Co-Ni-Cr 합금이다.
No.4는 고온에서 압축변형이 크다. 이것은 평균결정입경이 작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또, No.11도 고온에서 압축변형이 크다.
이것은 Cr 함유량은 적고 합금융점이 낮기 때문이라고 고려된다.
또, No.10은 합금융점이 낮고, 압축변형이 크고, 내산화성도 뒤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본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는 매우 우수한 고온강도 및 내산화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의 압축변형저항성 및 내산화성에 관하여, 본발명의 내열합금과 종래의 내열 합금과의 차이를 보다 더 명백하게 하기위하여, 공시편 No.2와 No.1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한 비교실험을 행하였다.
제 3도는 고온압축시험에 있어서 압축하중의 반복회수와 압축변형량과의 관계를 나타낸것이다.
제 도는 고온산화시험에 있어서 시험온도와 산화감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시간은 어떤 온도에서도 100시간으로 하였다.
제 3도 및 제 4도의 결과로부터 명백한바와 같이, 압축하중부하의 반복회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또 시험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본발명의 내열합금은 종래의 합금재료와의 차이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로 결정입과 미세조직의 관계를 제 5도 내지 제 7도에 나타내었다.
제 5도는 공시편 No.2 (평균결정입경 50μm), 제 6도는 공시편 No.5 (평균결정입경 200μm), 및 제 7도는 공시편 No.4 (평균결정입경 15μm)의 각각의 미세조직 (배율은 어느것이든지 50배)를 나타낸다.
본발명에 관한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를 사용하여 스키드버튼을 제작하고, 그 스키드버튼을, 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스키드파이프에 붙였을때의 실시예를 제 2도에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는 피가열재의 표면에서 박리하여 떨어지는 스케일편의 지지부재로의 끼여들기를 방지함과 동시에 스키드버튼과 지지부재와의 재질의 상이에 의한 열팽창량의 상이를 고려함으로써 스키드버튼의 빠짐, 깨어짐 등을 방지하도록 한것이다.
제 2도에서, 스키드버튼(12)은 원뿔대 형상의 블럭이고 그 저면에는 둘레플랜지(14)를 붙여 밖에 나와 있다.
더욱 스키드버튼(12)은 원기둥상도 좋고 또한 4각뿔대 등도 좋다.
지지부재(4)는 스키드버튼(12)의 플랜지(14)가 약간의 여유를 갖고 꼭끼이도록 환상오목부(42)를 형성한 대좌(台座)부(44)와 내경치수가 스키드버튼의 측부외경 보다도 약간 큰 링부재(46)로 구성된다. 대좌부(44)의 하부는 용접(W) 등에 의하여 스키드파이프(10)에 고정되고, 그 환상오목부(42)에 스키드버튼(12)을 끼워넣은후, 링부재(46)에 대좌부(4)를 용접(W) 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로서 스키드버튼(12)이 지지부재(4)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스키드파이프(10)의 외주(外周)와 지지부재의 기저부로부터 상부에 걸쳐서 내화물층(5)으로 피복되어서 노내의 고온 산화분위기로부터 보호한다. 더욱이 내화물층(5)에 의하여, 스키드버튼(12)과 링부재(46)와의 간격(C)이 충전되도록 스키드버튼상의 피가열재(3)로부터 박리·낙하하는 스케일편이 간격(C)으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결과 스케일 침입에 의한 링부재(46)의 변형은 방지된다.
더욱, 스키드버튼(12)의 높이는 약 100∼200mm가 바람직하고, 또 지지부재(4)의 링부재(4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높이는 약 50∼100m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는 극히 우수한 고온강도 및 내산화성을 갖추고 있고, 이들 우수한 특성은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고 C함유강과 같은 재료에서도 도저히 얻을 수 없다.
이와같이, 본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를 사용한 스키드버튼은 최근과 같이 고온화한 조업 조건하에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수 있고 유지비의 경감 및 이에 수반하는 조업효율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그 우수한 고온재료의 특성에 의하여 스키드파이프내에 흐르는 냉각수의 냉각조건을 완화할수 있으므로, 피가열재의 스키드마아크의 발생을 경감하고, 균열가열을 달성하여 품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 본발명의 내열합금 또는 내열재료는 워킹빔식 가열로의 스키드버튼에 알맞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온에 있어서 압축변형저항성 및 내산화성의 중요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 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합금.
  2.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W 10%이하, Mo 10%이하, Nb 10%이하, Ta 10%이하, Hf 10%이하, Co 10%이하, Ni 10%이하, Ti 10%이하, Al 10%이하, V 10%이하, Mn 10%이하 및 희토류원소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량으로 35%이하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μ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합금.
  3.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C 0.8%이하 및 Si 5%이하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합금.
  4.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 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매트릭스에 전체 내열재료에 대해서 40%이하의 체적율로 세라믹 분산상이 혼재된 복합조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재료.
  5.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W 10%이하, Mo 10%이하, Nb 10%이하, Ta 10%이하, Hf 10%이하, Co 10%이하, Ni 10%이하, Ti 10%이하, Al 10%이하, V 10%이하, Mn 10%이하 및 희토류원소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량으로 35%이하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매트릭스에 전체 내열재료에 대해서 40%이하의 체적율로 세라믹 분산상이 혼재된 복합조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재료.
  6.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C 0.8%이하 및 Si 5%이하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매트릭스에 전체 내열재료에 대해서 40%이하의 체저율로 세라믹 분산상의 혼재된 복합조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가열로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재료.
  7.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C 0.8%이하와 Si 5%이하 중에서 1종 또는 종을 함유하고, W 10%이하, Mo 10%이하, Nb 10%이하, Ta 10%이하, Hf 10%이하, Co 10%이하, Ni 10%이하, Ti 10%이하, Al 10%이하, V 10%이하, Mn 10%이하 및 희토류원소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량으로 35%이하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합금.
  8. 중량%로, Cr을 60%이상 함유하고, C 0.8%이하와 Si 5%이하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고, W 10%이하, Mo 10%이하, Nb 10%이하, Ta 10%이하, Hf 10%이하, Co 10%이하, Ni 10%이하, Ti 10%이하, Al 10%이하, V 10%이하, Mn 10%이하 및 희토류원소 10%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량으로 35%이하 함유하고, 잔부는 실질적으로 Fe이며 상기 Fe를 5%이상 함유하고, 평균결정입경이 50μm이상이며 융점이 1600℃이상인 내열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 매트릭스에 전체 내열재료에 대해서 40%이하의 체적율로 세라믹 분산상이 혼재된 복합조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에 있어서의 스키드버튼용 내열재료.
KR1019900015704A 1989-11-17 1990-09-29 내열재료 KR0134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0091 1989-11-17
JP1300091A JP2607157B2 (ja) 1989-11-17 1989-11-17 加熱炉内の被加熱鋼材支持部材用耐熱合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45A KR910009945A (ko) 1991-06-28
KR0134182B1 true KR0134182B1 (ko) 1998-06-15

Family

ID=1788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704A KR0134182B1 (ko) 1989-11-17 1990-09-29 내열재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29796B1 (ko)
JP (1) JP2607157B2 (ko)
KR (1) KR0134182B1 (ko)
AU (1) AU632166B2 (ko)
DE (1) DE69024179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2B1 (ko) * 2010-11-18 2011-04-22 부공산업 주식회사 내식성이 우수한 스키드레일용 초내열합금
KR20210069829A (ko) * 2019-12-04 2021-06-14 (주)영신특수강 로부품용 고크롬 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1641Y2 (ja) * 1991-09-20 1998-05-18 株式会社クボタ 加熱炉用スキツドボタン
JP2571640Y2 (ja) * 1991-09-20 1998-05-18 株式会社クボタ 加熱炉用スキツドボタン
JP2702631B2 (ja) * 1991-12-12 1998-01-21 株式会社クボタ 炉床開口カバー支持用部材
JPH05271840A (ja) * 1992-03-27 1993-10-19 Kobe Steel Ltd 超高温耐熱部材用Cr基合金
JPH062065A (ja) * 1992-06-15 1994-01-11 Kubota Corp 加熱炉内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JPH062066A (ja) * 1992-06-15 1994-01-11 Kubota Corp 加熱炉内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JP3480698B2 (ja) * 1999-05-27 2003-12-22 兼次 安彦 高温における強度−延性バランスに優れるCr基合金
KR100396368B1 (ko) * 2001-04-17 2003-09-03 부공산업 주식회사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JP4061407B2 (ja) * 2003-10-10 2008-03-19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耐熱部品用クロム合金
CN108546860A (zh) * 2018-04-27 2018-09-18 苏州弗士曼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高温抗氧化性不锈钢金属
CN113621842A (zh) * 2021-08-05 2021-11-09 烟台百思特炉管厂 一种轧钢加热炉加热段垫块材料的生产工艺
CN115323234B (zh) * 2022-08-09 2023-08-01 东睦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磁低膨胀铬基合金材料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57550A (en) * 1919-08-25 1920-11-02 Frank A Fahrenward Chemical ware or technical apparatus and alloys for making same
US2780545A (en) * 1954-02-03 1957-02-05 Battelle Development Corp High-temperature alloy
US3017265A (en) * 1959-09-25 1962-01-16 Gen Electric Oxidation resistant iron-chromium alloy
DE1608116A1 (de) * 1967-12-14 1970-12-10 Schmid Geb Reiniger Dipl Ing S Legierungen auf Chrombasis fuer Elektroden,insbesondere Zuendkerzenelektroden
DE2221220C3 (de) * 1971-05-12 1974-01-17 Gebrueder Sulzer Ag, Winterthur (Schweiz) Verwendung einer Chrom-Basis-Legierung als Kokillenwerkstoff
US4011941A (en) * 1975-04-28 1977-03-15 Warner-Lambert Company Contact lens capsule
JPS524248A (en) * 1975-06-27 1977-01-13 Dainippon Toryo Co Ltd Liquid crystal glasses
JPS5248090A (en) * 1975-10-14 1977-04-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JPS5930781B2 (ja) * 1976-08-31 1984-07-28 財団法人特殊無機材料研究所 シリコンカ−バイド繊維強化クロム基高強度耐熱耐食合金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107632A (ja) * 1981-12-22 1983-06-27 Tohoku Tokushuko Kk 電子ビ−ム描画装置用材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2B1 (ko) * 2010-11-18 2011-04-22 부공산업 주식회사 내식성이 우수한 스키드레일용 초내열합금
KR20210069829A (ko) * 2019-12-04 2021-06-14 (주)영신특수강 로부품용 고크롬 내열합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9796B1 (en) 1995-12-13
EP0429796A1 (en) 1991-06-05
DE69024179D1 (de) 1996-01-25
AU6329690A (en) 1991-05-23
DE69024179T2 (de) 1996-08-01
KR910009945A (ko) 1991-06-28
AU632166B2 (en) 1992-12-17
JP2607157B2 (ja) 1997-05-07
JPH03162545A (ja) 199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182B1 (ko) 내열재료
Stoloff An overview of powder processing of silicides and their composites
PL156725B1 (pl) Sposób wytwarzania korpusów samopodtrzymujacych PL PL
Travitzky et al. Rapid synthesis of Al2O3 reinforced Fe–Cr–Ni composites
RU2255131C2 (ru) Сплавы на основе кобаль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еральной ваты с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зделия из этих сплав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изделий
PL15814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lf-supporting bodies and a self-supporting body
Plucknett et al. Melt-infiltration processing of TiC/Ni3Al composites
EP0381360B1 (en) Zirconia mullite/boron nitride composites
JPS60200948A (ja) 加熱炉の支持部材用複合材料
US20040173291A1 (en) Metal matrix composite
US5288228A (en) Heat-resistant materials
Feest et al. Comparative viability of processing routes for intermetallic based materials
Kim Thermal shock resistance of the Al2O3-metal composites made by reactive infiltration of Al into oxide fiber board
Kumar et al. Reactive casting of ceramic composites (r-3C)
EP0511841B1 (en) Mullite/yttria stabilized zirconia/boron nitride composites
JPH031369B2 (ko)
JPH04301049A (ja) 加熱炉内被加熱鋼材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Yonezawa et al. Pressureless sintering of silicon-nitride composites
JPH04301048A (ja) 加熱炉内被加熱鋼材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JP2599729B2 (ja) 合金物品の造塊法
JPS6310114B2 (ko)
EP0481643B1 (en) Ceramic composition
JPH04301047A (ja) 加熱炉内被加熱鋼材支持面部材用耐熱合金
JPH0297614A (ja) 加熱炉内の鋼材搬送部材
AU596213B2 (en) Method for producing self-supporting ceramic bodies with graded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707

Effective date: 200204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01116

Effective date: 2002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20611

Effective date: 200408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121

Effective date: 20050826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41006

Effective date: 200508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604

Effective date: 2004100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029

Effective date: 20060224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16

Effective date: 200609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06

Effective date: 200701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