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368B1 -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 Google Patents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368B1
KR100396368B1 KR10-2001-0020555A KR20010020555A KR100396368B1 KR 100396368 B1 KR100396368 B1 KR 100396368B1 KR 20010020555 A KR20010020555 A KR 20010020555A KR 100396368 B1 KR100396368 B1 KR 100396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hot
strength
less
resistant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791A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부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014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963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부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r을 주요원소로 하는 초내열합금재료에 관한 것으로써,
Cr 55∼80%, C 0.05∼0.5%, O 0.03이하, S 0.02%이하, Si 1.5%이하 및 Mo, W, Nb, Mn를 1종 또는 2종이상의 합계가 0.1∼5%의 범위내로 하고 잔부는 Fe인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소재이다.
상기 소재의 사용 용도로써는 열연설비 및 가열로의 스키드빔, 스키드파이프, 스키드버튼, 스키드라이너등이 있다.

Description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A heat resistant alloy superiority hot strength and hot resistonce oxidative}
본 발명은 Cr함량을 55중량% 이상 80중량%까지 함유하는 고 크롬철합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Cr함유량이 높고 고온강도(내열성) 및 고온 내산화성(내식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의 제조에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요구되는 소재로서는 열간 압연공정에서는 강편(steel piece)이나 슬랩등의 가열을 위해 워킹빔형의 가열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가열로는 상기 강편이나 슬랩등의 피가열재를 지지하고 반송하기 위한 스키드빔과, 그 부분품으로 스키드파이프, 스키드버튼등이 있고,
고크롬강등의 합금강 제조에서는 합금강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개선을 위해 연속 열처리시설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시설을 이용한 열처리 작업시 열처리 대상물을 받쳐주는 트레이가 있으며, 가열로내에서 압연대상물인 슬라브, 블륨, 빌렛트등을 받쳐주는 스키드라이너등 있다.
상기 스키드빔, 스키드파이프, 스키드버튼, 트레이 및 스키드라이너등은1000∼1300℃ 정도의 고온 분위기 하에서 중량의 열처리 또는 압연 대상물을 떠받쳐 주어야 하므로 고온강도와 고온 내산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초내열합금이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합금소재로 개발된 내열재료로는 Co를 50중량% 함유하고 Ni를 20중량%(잔부는 Fe)로 하는 고 코발트 합금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Co와 Ni이 고가 금속인 관계로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사용량이 줄어들고 있고,
고가의 Co나 Ni을 사용치 않고 Cr함량을 83중량% 내지 89중량%로 하는(잔부는 Fe, Si등) 내열재료가 소결 및 주조법으로 하여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 내열재료는 연성이 전혀 없어 조그만 충격에서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 때문에 압연 또는 열처리설비 소재로서는 그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Cr함량을 50∼59중량%로 낮추고 W와 Mo, Mn, Co등을 합계량으로 35∼45중량%(잔부는 Fe)첨가한 내열합금이 개발되었으나 Cr과 W, Mo, Mn, Co등과의 균일한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강도와 연성에서의 문제점과 이종금속간의 균일한 혼합조직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 때문에 실사용은 거의 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초내열합금에 비해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저가인 Cr을 주체로 한 초내열합금 소재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Cr : 55∼80%
C : 0.05∼0.5%
O : 0.03%이하
S : 0.02%이하
Si : 1.5%이하
Mo, W, Nb, Mn를 1종 또는 2종이상의 합계가 0.1∼5%의 범위로 함유하고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Cr기 합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합금원소의 작용 및 그 첨가량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Cr은 충분한 고온강도(내열성)와 내산화성(내식성)을 얻기 위하여 필요하며 Cr함유량이 높을수록 이러한 성질은 우수하다.
그렇지만, Fe-Cr 2원계 합금에 있어서 Cr : 40∼55%의 조성범위에서는 시그마(60)상(相)이 석출하기 쉽고 취화하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Cr함유량은 55% 이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나 Cr 80%를 넘는 것은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한 Fe-Cr 합금의 Cr의 함유량이 최대 80%인 점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산소와 친화력이 강한 Cr의 함유량을 무모하게 증가시키면 용해시에 산소의 활동도를 낮추어 산소의 흡수를 현저히 증가시켜 탈산을 곤란하게 하는 것 때문에라도 Cr은 80%정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는 내산화성(내식성)의 면에서는 적을수록 바람직하나, 0.05%미만에서는 내열재료로서 요구되는 강도가 얻어질 수 없고 더욱이 C는 결정입계상에 NET-WORK상으로 탄화물을 형성하고 산소의 입계편석에 의하는 것이라 생각되는 입계의 결합력 저하를 경감시키며 열간 가공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나,
탄소 0.5%를 넘으면 내산화성(내식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상온에서의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산소(O)는 본 발명 합금에 있어서 열간 가공성에 가장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원소이어서 0.03%이하로 관리하지 않으면 입계의 결합력을 저하하여 입계에서 분리석출하기 쉽고 충분한 열간 가공성 및 고온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S(유황)은 함유량이 많으면 저융점의 유화물을 형성하여 열간 가공성 및 고온강도에 영향을 준다.
또 내산화성(내식성)도 악화되므로 이러한 악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0.02%이하로 관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Si은 1.5%를 초과하면 합금의 가공성을 악화시키므로 1.5%이하로 한다.
Mo, W, Nb는 내산화성(내식성)을 증대시키고 또 안정된 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온강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나 이러한 여러원소의 1종이상의 합계 첨가량이 0.1%미만에서는 그 효과가 적고 또 5%이상 첨가하여도 제조원가의 증가에 상응할 만한 효과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성분외에 본 발명 합금의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성분 예를 들면 0.3∼0.7정도의 Mn과 기타 소량의 P등의 불순물은 함유되어도 지장없다.
이하 실시예로써 본 발명 5종의 합금과 비교 합금에 대하여 고온강도(내열성)의 주요한 특성인 Creep-파단강도와 내산화성(내식성)의 측정을 행하였다.
<실시예>
공시합금의 성분조성과 중량%를 표 1에 나타낸다.
각 합금 시험편에 대하여 700℃ 및 800℃의 시험온도에 있어서 100HR의 Creep-파단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본발명 합금1의 Creep 파단강도(kg/㎟) 17
본발명 합금2의 Creep 파단강도(kg/㎟) 19
본발명 합금3의 Creep 파단강도(kg/㎟) 21
본발명 합금4의 Creep 파단강도(kg/㎟) 25
본발명 합금5의 Creep 파단강도(kg/㎟) 27
비교합금6의 Creep 파단강도(kg/㎟) 14
비교합금7의 Creep 파단강도(kg/㎟) 15
비교합금8의 Creep 파단강도(kg/㎟) 16
비교합금9의 Creep 파단강도(kg/㎟) 15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합금(합금번호 1∼5)는 비교합금 6∼8의 합금처럼 Mo, W, Nb를 함유하지 않는 60.8, 61.7% Cr기 합금과 함께 합금번호 8,9의 합금보다도 높은 Creep-파단강도를 나타낸다.
다음에서 고온내산화성(내식성)을 살펴본 후 주요특성인 공식과 업계부식에 대하여 0.3m이 염화제2철 수용액 및 10%초산, 3%불화수소산 수용액 중에 각 시험편을 침적하여 내식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상기 표 2에 나타나듯이 0.3mol-FeCl3 용액에 의한 침적시험에 있어서 부식감량은 각 비교합금에 비교해서 본 발명 합금은 현저히 적다.
이러한 점에서도 본 발명 합금은 내공식이 아주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10% HNO3, 3%HF 용액에 있어 침적시험에 있어서도 본 발명 합금은 어느경우에도 각 비교합금보다도 내식감량이 적다, 이것은 본 발명이 입계부식에 강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열연 및 가열로 설비등에 사용되는 스키드빔, 스키드파이프 등의 내열소재를 제조함에 있어 Cr을 주성분으로 한 합금개발로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재료를 얻는 효과와 저가의 합금제조로 합금제조원가 감소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중량%로 Cr 55∼80%, C 0.05∼0.5%, O 0.03%이하, S 0.02%이하, Si1.5%이하 및 Mo, W, Nb, Mn를 1종 또는 2종 합계가 0.1∼5%의 범위내로 하고 잔부는 Fe인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KR10-2001-0020555A 2001-04-17 2001-04-17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KR10039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5A KR100396368B1 (ko) 2001-04-17 2001-04-17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555A KR100396368B1 (ko) 2001-04-17 2001-04-17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91A KR20020080791A (ko) 2002-10-26
KR100396368B1 true KR100396368B1 (ko) 2003-09-03

Family

ID=2770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555A KR100396368B1 (ko) 2001-04-17 2001-04-17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10A (ko) 2018-12-13 2020-06-23 부공산업 주식회사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코발트 베이스 대체 크롬 베이스 합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2B1 (ko) * 2010-11-18 2011-04-22 부공산업 주식회사 내식성이 우수한 스키드레일용 초내열합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945A (ko) * 1989-11-17 1991-06-28 미노 시게가즈 내열재료
JPH06264172A (ja) * 1993-03-11 1994-09-20 Kubota Corp 高クロムフェライト系耐熱合金鋼
KR20000025329A (ko) * 1998-10-10 2000-05-06 이재명 공업용 로내의 내열성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945A (ko) * 1989-11-17 1991-06-28 미노 시게가즈 내열재료
JPH03162545A (ja) * 1989-11-17 1991-07-12 Kubota Corp 加熱炉内の被加熱鋼材支持部材用耐熱合金
JPH06264172A (ja) * 1993-03-11 1994-09-20 Kubota Corp 高クロムフェライト系耐熱合金鋼
KR20000025329A (ko) * 1998-10-10 2000-05-06 이재명 공업용 로내의 내열성 합금소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110A (ko) 2018-12-13 2020-06-23 부공산업 주식회사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코발트 베이스 대체 크롬 베이스 합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791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165B1 (ko) 고망간 혼립 스테인레스강
JPS6156267A (ja) 高耐食性及び良好な溶接性を有するフエライト−オ−ステナイト鋼合金
JP3169978B2 (ja) 析出硬化型高強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
JPH0321622B2 (ko)
JPS6344814B2 (ko)
JP7108143B2 (ja) 高強度ステンレス鋼
KR100396368B1 (ko) 고온강도와 고온내산화성이 우수한 초내열합금
JP3169977B2 (ja) ▲高▼強度非磁性ステンレス鋼
CN111448326B (zh) 具有优异的热加工性的通用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JP3541458B2 (ja) 高温塩害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KR20030034785A (ko) 고온산화성 분위기하에서 고온강도가 우수한 초내열합금
KR20140032061A (ko) 후열처리를 이용한 2상 스테인리스강 제조 방법
JPH07228947A (ja) 高強度低熱膨張合金
JPS61177352A (ja) 石油化学工業反応管用耐熱鋳鋼
KR101030222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스키드레일용 초내열합금
JP6144402B1 (ja) 炉床金物用の耐熱鋼
JPS6221860B2 (ko)
JPS60128242A (ja) 非磁性ドリルカラ−用高マンガン鋼
KR100445246B1 (ko) 공식저항성이 우수한 고니켈 2상 스테인리스강
JP3245097B2 (ja) 高温用蒸気タービンロータ材
JPS609848A (ja) 高温燃焼炉の構造部材用Co基耐熱合金
JPH10508658A (ja) 非磁性ステンレス鋼の用途
JPH02185951A (ja) 加工性の良好なサブゼロ処理用高強度ステンレス鋼
JPS628497B2 (ko)
RU2277604C1 (ru) Сталь низколегированная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019

Effective date: 20110602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