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49B1 -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 Google Patents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3549B1 KR0133549B1 KR1019920701938A KR920701938A KR0133549B1 KR 0133549 B1 KR0133549 B1 KR 0133549B1 KR 1019920701938 A KR1019920701938 A KR 1019920701938A KR 920701938 A KR920701938 A KR 920701938A KR 0133549 B1 KR0133549 B1 KR 0133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cursor
- personal computer
- laptop personal
- us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랩탑 퍼스널 컴퓨터(10)는 컴퓨터의 전자부품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메인하우징(1)과 디스플레이 하우징(2)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을 구비한다. 메인하우징(1)과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힌지(7)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2) 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은 트랙볼(32)같은 커서위치 선정장치(12)에 의해 위치가 제어되는 이동성커서(50)를 표시한다.
랩탑 컴퓨터(10)내로 데이타를 입력하는 키보드(11)는 메인하우징(1)의 상단에 위치한다. 팜레스트(9)는 메인하우징(1)의 앞면에 키보드(11)의 바닥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할만큼 충분히 크다.
트랙볼(32)은 팜레스트(9)의 공동오목부(34)내에 위치하고 키보드(11)의 스페이스바 밑으로 배치된다. 스위치(55,56)가 활성화될때 디스플레이 스크린(3)상의 이동성커서의 위치에 따라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를 개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55,56)가 제공한다. 두개의 버튼(31,33)은 스위치(55,56)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팜레스트 상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명의명칭]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 방법으로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되며 여기서 같은 부재번호는 같은 부재를 언급한다.
제1도는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방상태의 랩탑 컴퓨터의 사시도 ;
제2도는 닫힌 상태의 랩탑 컴퓨터의 다른 사시도.
제3도는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
제4A도는 제3도의 선(4A-4A)에 따라 취해진 키보드/커서제어장치 배열에 관한 단면도.
제4B도는 제3도의 선(4B-4B)에 따라 취해진 키보드/커서제어장치 배열에 관한 단면도.
제5도는 커서 제어장치의 상부 버튼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6A도는 제 5 도의 도시된 상부버튼의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선(6-6)에 따라 취해진 상부버튼 단면도 ; 이 도면은 상부버튼의 경사도를 보여준다.
제7도는 커서제어장치의 하부버튼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8A도는 제7도에 도여진 하부버튼의 평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선(8-8)에 따라 취해진 하부버튼의 단면도.
제9도는 닫힌 상태의 랩탑 컴퓨터의 측면도.
제10도는 트랙볼을 둘렀난 선택적인 버튼 수단의 정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탈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현재의 랩탑 컴퓨터는 키보드와 디스플레이 모두가 한 패키지 내에 설계된다. 키보드는 랩탑 컴퓨터의 전단부에 이웃하여 정착되고, 디스플레이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통상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랩탑 컴퓨터의 하드웨어 대부분은 같은 하우징내에 포함된다. 몇명의 랩탑 컴퓨터는 또한 키보드와는 분리되나 랩탑 컴퓨터의 하우징의 한 부분인 내장형 커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 커서 제어장치는 전형적으로 키보드의 좌 또는 우측에 장착되며(등점(isopoint)커서 제어장치는 종종 키보드의 스페이스바 밑에 장착되지만), 키보드는 다시 랩탑 컵퓨터의 전단부에 이웃한다.
커서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커서나 포인터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소프트 웨어 옵션을 반복적으로 선택하기를 요청받거나 컴퓨터 시스템 내로 그래픽의 형태로 데이타를 입력시키길 원할 때(즉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상에 이미지를 그릴 때), 커서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신속하다.
종래의 형태의 커서 제어장치로는 통상 미국특허 제 4,464,652 호에 나타난 마우스를 들 수 있다. 그런 마우스는 키보드에 근접하여 놓여지고 케이블에 의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작고 손으로 잡는 상자모양의 장치이다. 마우스는 전형적으로 책상면과 같은 매끄럽고 평탄한 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볼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돔형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마우스의 동작을 위해서는 마우스가 X방향, Y방향 또는 두 방향이 조합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는(컴퓨터 키보드에 인접한) 평탄하고 매끄러운 면이 필요하다. 따라서 볼은 마우스가 X-Y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한다. 그 때 볼의 회전은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의 X-Y이동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면에 대한 마우스의 이동은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에 의해 반복된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를 때,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소망위치가 선택되었다는 신호를 컴퓨터에 보내기 위해 마우스에 스위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미지를(커서를 가지고)지시하기 위한 마우스의 이동과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커서가 이미지를 지시하고 있는 동안(정상의 청각과 촉각 피드백을 가지고) 스위치를 누르는 것의 조합을 포인트-앤 클릭(point-and-cick)이라고 한다.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 포인트-앤-클릭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마우스는 폭넓게 응용되지만, 컴퓨터의 키보드로부터 분리된 마우스에 관한 단점이 나타났다. 이것은 특별히 랩탑 컴퓨터의 경우에서 그렇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단점은, 마우스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키보드 상에서의 손동작을 멈추고 마우스를 잡기 위해 키보드로부터 손을 이동시켜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럴 때 때때로 사용자의 눈도 마우스를 잡는 것을 돕기 위해 디스플레이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에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밀려서 커서가 디스플레이상의 소망점에 이를 때까지 면위를 이동한다. 사용자는 마우스로부터 손을 떼서 다시 타이핑하기 위해 키보드 상에 손을 위치시킬 적당한 지점을 찾아야 한다. 많은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면 워드 프로세싱)에서 마우스의 동작은 키보드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를 딴 데로 돌리므로 편리성과 효율의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야기한다.
다른 종래의 단점은 마우스를 사용할 때 마우스를 움직이는 면이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이다. 때때로, 포터블 컴퓨터는 사용자의 무릎위에 놓여지게 되고 마우스를 위한 상기의 면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컴퓨터가 무릎위에 높여졌거나, 마우스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인접면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마우스는 컴퓨터와 함께 적절히 사용될 수 없다. 더욱이, 무릎위에서 포터플 컴퓨터가 사용될 때, 예를 들어 사용자의 무릎말고는 포터블 컴퓨터를 놓을 만한 장소가 없는 택시안에서 사용될 때,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목을 기댈 만한 것이 없다. 또한 종래의 포터블 컴퓨터 키보드는 전단부에 가까이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목을 위한 지지대를 제공치 않는다.
종래의 포터블 컴퓨터가 사용자의 무릎유에서 일정 시간동안 사용될 때, 사용자는 소바닥이나 손목을 어떤 물건 상에 지탱하고 기댈 수 없으므로 근육의 긴장을 감소시키기 위해 몸으로부터 팔을 뻗을 수 없다. 그런 환경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팔과 어깨에 심한 근육피로를 경험하게 된다.
종래의 키보드 분리형 마우스에 관련된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전에는 충족되지 않은, 키보드 분리형 마우스에서 요구되었던 형태의 평탄 작업면을 요구하지 않고 키보드 상에 손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반면, 마우스의 장점을 가진 커서 제어장치 및 팜레스트와 통합 키보드가 조합된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해 왔다.
키보드 상의 커서위치 선정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선행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그런 선행기술중 하나는, 미국특허 제 4,736,191 호에 나타나 있고, 그것은 커서 위치선정장치로 작용하는 터치 패드를 가진 키보를 기술한 것이며, 여기서 터치 패드는 키보드(컴퓨터와는 분리된)의 스페이스바 바로 밑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을 키보드로부터 옮길 필요 없이 사용자의 엄치가 터치패드를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랩탑 컴퓨터내에 통합 키보드, 커서 제어장치(스위치 포함) 그리고 팜레스를 인간 공학적으로 구성하는데는 실패하였다. 또한, 많은 선행기술은 여전히 커서 위치 선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과 손을 이동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아래의 참고자료에서 찾을 수 있다.
1. 1986년 8월 19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285,201 호의 트랙볼을 내장한 키보드;
2. 1987년 8월 25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291,574 호의 트랙볼을 내장한 키보드;
3. 1987년 10월 13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292,289 호의 전자 컴퓨터;
4. 1987년 6월 2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4,712,101 호의 키보드 커서 제어기;
5. 1987년 12월 8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4,712,101 호의 전자장치용 제어 메카니즘;
6. 1988년 4월 5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4,736,191 호의 접촉 활성화제어 방법 및 장치;
7. 1989년 4월 25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4,823,634 호의 다기능 촉각의 조작제어;
8. 1990년 1월 30일자로 특허된 미국의장특허 제 4,896,554 호의 다기능 촉각의 조작제어;
9. 1982년 1월 17일자로 특허된 독일 특허 출원 제 DE-3045133 호의 VDU용 커서 입력 제어;
10. 1984년 3월 30일자로 공개된 일본 특허출원 제 59-94133 호의 문자 및 숫자 발생장치;
11. 1985년 3월 IBM 기술 공개공보, Vol.27,No10B,p.6299-6305의 CRT 디스플레이커서 제어용 단일장치에 합체된 마우스/키보드 개념;
본 발명과는 다르게,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랩탑 컴퓨터의 팜레스트 상에 손바닥을 기대고 키보드 상에 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포인트 앤 클릭방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실패했다(즉, 미국특허 제 4,736,191 호는 커서위치선정 터치 패트외 함께 스위치를 제공하지 못한다). 더욱이,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의 두손을 키보드 상에 위치하고, 한쪽의 엄지가 트랙볼을 움직일 때 다른 쪽 엄지로(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눌러서 선택하기 위해) 키보드에서 가장 가까운 스위치를 누르는 옵션이 제공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종래기술의 시스템은(보지 않고서도 스위치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윤곽 버튼ㄴ이 덮힌)한 스위치는 키보드에 가장 가까이 있어서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에서 가장 적합하고, 다른 하나는 트랙볼 밑에 위치하여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도형을 그릴 때와 같이 한손을 이용하는 세밀하고 집중적인 커서 위치선정 작업(즉 엄지로 스위치를 동작시킬 때 집게 손가락으로 트랙볼을 움직인다)에 가장 유용한 두개의 분리된 스위치를 포함하지는 않다.
종래 시스템과 방법들의 한계를 고려한 본 발명의 한 목적을 사용자가 포인트 앤 클릭방법을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을 키보드에서 이동시켜 커서 위치선정장치로 옮길 필요가 없는 통합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 제어장치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시스템과 방법들의 한계를 고려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손을 키보드 상에 걸쳐 위치하면서 한쪽의 엄지로 트랙볼을 움직이는 동안 다른 쪽 엄지로 키보드에서 가장 가까운 스위치를 누르는 옵션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손을 기댈 수 있는 통합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 제어장치를 구비한 랩탈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무릎 위에서 키보드 사용할 때 사용자의 손/손바닥을 기댈 수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좀 더 편안한 상태에서 팔을 뻗을 수 있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팔과 어깨의 근육 피로를 감소시키는 팜레스트용 공간을 충분히 구비한 인간공학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랩탑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발명의 요약과 목적
커서위치선정장치와 하나 이상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한 커서제어장치 및 통합 키보드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퍼스널 컴퓨터가 여기에 기술된다.
랩탑 퍼스널 컴퓨터는 하단행의 키를 포함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 컴퓨터 내로의 데이타 입력용의 표준형 문자숫자식 키보드와 이동성 커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형편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팜레스트 부분은 키보드의 하단행에 인접해 있고 키보드 상에서 타이핑할 때 사용자의 손바닥 및/ 또는 손목을 지지할 만큼 충분히 크다. 전형적으로 트랙볼인 커서위치선정장치는 팜레스트 영역내의 협동 오목부에 위치한다. 커서위치 선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이동성 커서를 디스플레이스크린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랩탑 컴퓨터는 스위치 수단이 활성화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동성 커서의 위치에 따라 특정기능을 개시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한다. 커서위치선정장치와 하나 이상의 스위치 수단의 조합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지시하고(커서에 의해) 커서가 이미지를 지시할 때 스위치 수단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포인트 앤 클릭 기능을 제공한다. 전기적 요소인 스위치 수단은 사용자를 컴퓨터의 전기회로와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그러므로 절연된) 버튼 수단에 의해 활성화(예를 들면 스위치의 전기적 상태변화) 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랩탑 퍼스널 컴퓨터는 어느 한쪽의 스위치 수단이 활성화될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동성 커서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개시하는 두개의 스위치 수단을 포함한다. 이 두개의 수의치 수단은 다른 기능을 개시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고 또는 단일 기능을 수행하는 단일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 제 1 과 제 2 스위치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제 1 과 제 2버튼을 제공한다. 제 1 버튼은 키보드의 하단행 밑에 그리고 커서위치 선정장치 위에 위치한다. 제 2 스위치 수단을 활성화시키는 제 2 버튼은 커서위치선정장치 밑에 위치한다. 커서위치선정장치와 제 1 및 제 2 버튼은 커서위치선정장치 밑에 위치한다. 커서위치선정장치와 제 1 및 제 2 버튼은 팜레스트의 중간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중간선은 팜레스트이 폭에 대하여 중간에 위치한 선으로 규정된다. 이 선은 키보드의 하단열과 랩탑 컴퓨터의 전단부에 대하여 수직하다.
랩탑은 메인 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닫혔을 때 컴퓨터의 덮개로 사용되고 이동성 커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메인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입/출력 회로, 전원 공급장치같은 종래의 전자 장치와 랩탑 컴퓨터 내에 포함된 종래의 표준형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손을 키보드 상에 위치한 채로 한쪽의 엄지로 트랙볼을 이동시키는 동안 다른쪽 엄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눌려서 선택하기 위해 키보드에서 가장 가까운 제 1 버튼을 누르는 옵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윤곽 버튼은 사용자가 보지 않고도 버튼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도록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그것에 의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두손을 키보드 상에 유지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계속보면서 디스플레이에 스크린상의 이미지를 지시하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두개의 분리된 버튼이 제공되어 하나의 버튼(대개 키보드에 근접한 상단 버튼)은 어떤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고 다른 버튼(하단 버튼)은 집중적인 커서 제어동작들이 요구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버튼이 단일 스위치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트랙볼을 둘러싼 원형 버튼의 경우에서 처럼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함께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런 저런 특징과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의 조합(8)을 포함하는 포터블 퍼스널 컴퓨터(1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컴퓨터(10)는 다양한 컴퓨터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컴퓨터(10)는 포터블 컴퓨터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모든 구성요소가 하나의 케이스 내에 배치된 단일, 집적 유니트이며 사용자의 무릎에 맞을 만큼 작은 랩탑 컴퓨터이다.
컴퓨터(10)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물질로부터 만들어진 메인 하우징(1)을 포함한다. 메인 하우징(1)내에는,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입출력 회로, 전원 공급장치 같은 컴퓨터의 운영에 필수적인 종래의 모든 전자회로가 있다. 상기 랩탑 컴퓨터용 전자회로는 잘 알려져 있다. 랩탑 컴퓨터의 한예는 본 발명의 양수인인 캘리포니아 쿠페르티노에 위치한 애플 컴퓨터 주식회사 제품인, 맥킨토시 포터블이 있다.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의 조합체(8)는 메인 하우징(1) 상단에 위치한다. 조합체(8)는 종래의 키보드(11) 및 팜레스트(9)와 커서제어장치(12)(커서위치선정장치, 측 트랙볼(32)과 두개의 초승달 모양의 윤곽버튼(31과33)에 의해 활성화되는 두개의 스위치를 포함)를 포함한다. 키보드(11)와 커서제어장치(1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컴퓨터(10)와 통신(예컨대, 데이타 입력)을 한다. 팜레스트(9)는 키보드(11)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손을 기댈 수 있도록 지지대를 제공한다. 조합체(8)는 제 3내지 9도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될 것 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키보드,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의 조합체(8) 위쪽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메인하우징(1)과 종래의 힌지수단(7)에 의해 연결된다. 힌지(7)에 의하여 닫힌 상태(제 2 도에 보여진)에서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이 메인 하우징(1)의 덮개로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2)이 윗쪽으로 열리면 키보드(11), 팜레스트(9), 트랙볼(32)과 버튼(31과 33)이 모습을 드러낸다.
제 1 도는 설명된 것처럼, 힌지(7)는 메인하우징(1)의 폭을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7)가 메인하우징(1)의 폭을 갈로질러 완전히 연장되게 만들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힌지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특별한 형태의 힌지장치가 본 발명의 있어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디스플레이 스크린(3)과 관련된 비디오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3)은 액정 디스플레이 유니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은 비디오 모니터 또는 다른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의 내벽중앙에 짜맞추어진다. 커서위치선정장치(32)에 의해 위치선정 및 이동되는 이동성 커서(50)는 제 1 도에 도시된다.
두개의 동일한 지지부재(5A와 5B)가 디스플레이 스트린(3)위에 위치한다.
두개의 지지부재(5A와 5B)의 기능은 디스플레이 하우징(2)이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3)에 키보드(11)와 커서제어장치(12)에 접촉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닫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조합체(8)를 덮어서, 컴퓨터(10)의 운반시 키보드(11) 및 팜레스트(9)와 커서제어장치(12)를 보호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이 닫혔을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2) 역시 덮혀서 보호받는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을 윗쪽으로 들어 올리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스크린(3)을 볼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것 같이, 컴퓨터(10)가 사용되지 않아서 닫혀있을 때는 래치조립체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우징(2)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래치조립체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 위의 훅요소(4)와 버튼(33)에 인접한 메인 하우징(1)의 표면상의 슬롯(15)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2)이 닫혔을 때, 훅요소(4)는 대응하는 슬롯(15)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2)을 제자리에 유지시킨다. 닫힌 상태로 하우징(2)를 잠그기 위해 훅요소(4)가 슬롯(15)과 결합하도록 디스플레이 하우징(2)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훅요소(4)를 슬롯(15)과 분리시키기 위해 훅요소(4)를 슬롯(15)과 결합하여 훅(4)을 미끄러뜨려 빼내는 힘이 가해진다. 훅은 스프링에 의해 슬롯과의 결합을 유지한다. 메인 하우징(1)에 디스플레이 하우징(2)을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많은 래치조립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의 우측면에는, 종래의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부분인 슬롯(13)이 보여진다. 슬롯(13)을 통해 플로피디스크는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내로 삽입된다.
종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의 컨트러스트와 명암을 각각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두개의 슬라이등 컨트롤(101과 102)이 메인하우징(1)의 뒷면 가까이에 위치한다.
메인 하우징(1)의 우측벽 뒤에 회전가능하게 부차고딘 다리(14)도 또한 제 1 도에 보여진다. 다리(14)는 메인 하우징(1)의 하불르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윗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접어넣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른 동일한 다리가 메인 하우징(1)의 좌측벽에 제공된다.
각각의 다리는 제 1 도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하우징(1)의 하부에 대하여 아래 위치에 놓일 수 있고, 이러한 다리에 관한 종래기술의 수많은 예가 존재한다.
메인 하우징(1)이 높여지는 평면(제4A도에 보여진 책상면 같은)에 대하여 놓여 있을 때의 다리(14)의 기능은 사용자가 키보드 또는 커서 제어장치(제 4A 및 4B 그리고 9도를 참조)를 사용할 때 책상면(52)에 대하여 약간의 경사를 메인 하우징(1) 상단에 주는 것이다. 종종 기울어진 키보드가 사용자에게는 바람직하다.
제 3 도는 각기 여러 요소가 적당한 치수를 가진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제어장치조합체(8)를 보여준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조합체(8)는 전체길이가 대략 194mm이고 폭은 대략 286mm이다. 키보드(11)와 팜레스트(9)는 힌지(7)와 디스플레이 하우징(2)을 지지하는 상부면의 부분과 함께 메인 하우징(1)의 전체 폭(286mm)은 팜레스트(9)의 폭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 제어장치의 상대적 크기는 거나 작게(25%까지의 범위내에서)만들 수 있다.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 제어장치의 상대적 크기를 25%만큼(또는 그 이상) 작게 만들면, 사용자가 더 작은 트랙볼의 조작 또는 더 작은 키보드 상에서의 타이핑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낀다는 점에서 랩탑 컴퓨터의 사용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더 작은 랩탑 컴퓨터는 운반이나 수송에 더 편리할 것이다.
키보드 및 팜레스트와 커서 제어장치의 상대적 크기를 25%만큼(또는 그 이상) 크게 만드는 것은 임의의 사용환경(예를 들면, 비행기의 좌석같은)에 컴퓨터가 맞지 않고, 사용자의 무릎위에서 랩탑 컴퓨터를 사용하기가 더욱 불편해진다.
키보드(11)는 컴퓨터의 전단부에서 떨어져서 메인하우징(1) 상부면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힌지에 근접한다. 키보드(11)는 키보드 하단행에 크고 긴 스페이스바 키를 포함한 종래의 쿼티 키보드 일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키보드(11)의 넓이는 세로 90mm에 가로는 대략 272mm 정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태의 키보드가 채택될 수도 있다.
특정한 형태의 키보드(예를 들면, 쿼티 키보드 같은)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 대해 절대적이지는 않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키캡은 표준형의 키캡보다 약간 작다. 더욱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문자 숫자키용 키캡사이의 피치공간은 표준형의 피치공간보다 작다. 인접한 키캡 사이의 수직 피치공간은 18mm이며(예컨대, 쿼티키보드에서 S와 W키캡의 중심 사이의 수직 거리는 18mm 정도이다) 인접한 키캡의 수평 피치공간은 18.6mm 이다(예를 들명, 쿼티키보드에서 Q와 W의 중심 사이의 수평거리는 18.6mm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키보드의 크기를 수정하는 것은 키캡이 크기와 키캡사이의 공간(거리)을 수정하는 것임이 명백하다. 제 4B도로부터 키보드가 팜레스트 부분 위로 높혀진 것을 볼 수 있다. 키캡의 상부로부터 팜레스트(9)의 면까지의 수직거리가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9mm 정도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이 거리는 변할 수 있다. 예컨대, 키보드가 메인 하우징(1)의 상부내로 들어간다면, 키캡의 꼭대기는 팜레스트와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키보드(11) 밑에 있는 팜레스트(9)는 메인하우징의 상부면에 있고, 키보드(11)로부터 컴퓨터의 사용자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팜레스트(9)의 목적은 키보드 또는 커서 제어장치를 사용할 때, 특히 랩탑환경에서(즉, 컴퓨터가 책상 대신 사용자의 무릎에 놓여졌을 때) 사용될 때, 사용자의 손 및/또는 손목을 랩탑 컴퓨터의 일체 부분인 면에 기댈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좀더 이완도니 상태로 몸에서 팔을 뻗을 수 있고, 팔과 어깨의 근육피로가 감소된다. 팜레스트(9)에 의해 제공된 공간은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목을 사용할 만큼 커야 한다. 작은 사용자(즉 어린이)가 사용하는 랩탑컴퓨터에는 보다 작은 팜레스트가 적당하다고 생각되지만, 대략 65mm에서 90mm 정도의 길이(즉 랩탑 컴퓨터의 전단부에서 리지(53)까지의 거리)의 팜레스트가 이 목적에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팜레스트(9)의 크기를 증사시키면 당연히 사용자의 손 및/또는 손바닥을 지지하는 공간이 더 많이 제공될 것이다. 그런, 팜레스트(9)는 컴퓨터(10)의 물리적인 크기를 불필요하게 크게 만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너무 커서는 안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팜레스트(9)는 평탄한 직사각형의 표면이고, 대략 84mm의 길이와 286mm의 폭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팜레스트(9)가 메인하우징(1)의 바닥면에 대해 완만한 경사를 가진 면이 될 수 있다.
힌지(7)에 인접하여 키보드(11)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키보드(11)가 떨어져서 배치되게 하고, 팜레스트(9)가 사용자의 몸으로부터 자유행동 범위를 제공하여 손 또는 손목을 뻗기에 유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커서제어장치(12)도 인간 공학적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키보드(11)상의 홈행(home row)위치에서 손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커서제어장치(12)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리지(53)는 키보드(11)와 팜레스트(9) 사이에 있어서, 팜레스트(9)로부터 키보드(11)의 하단행을 분리시킨다. 리지(53)는 팜레스트(9) 위로 4mm 정도 높혀져 있어서 사용자가 보지 않고서도 감촉으로 키보드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
리지는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의 엄지를 기댈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메인하우징(1)의 전단부(즉, 사용자와 마주한 쪽)와 키보드 상의 키캡의 하단행 사이의 거리는 대략 95mm 정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리지(53)는 폭이 대략 272mm이고 길이는 10mm정도이다.
키캡의 상단이 팜레스트(9)와 높이가 같다면 리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커서제어장치(12)는 키보드(11)의 아래, 전형적으로 키보드(11)의 하단행의 스페이스바 아래 팜레스트(9) 지역내의 중앙에 가까이 장착된다. 커서제어장치(12)를 사용하여 사용자나는, 커서위치선정장치로 커서를 움직이고 밑에 언급되는 버튼(31과 33)에 의해 활성화되는 스위치로서 선택신호를 보내어 스포트웨어 옵션을 선택하는 것처럼 소정의 동작을 선택하고 종래의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3)상의 이동성 커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커서위치선정장치는 터치패트 또는 트랙볼을 포함하는, 커서의 위치선정용 수단중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커서제어장치(12)는 종래의 트랙볼(32) 및 상단버튼(31)과 하단 버튼(33)을 포함한다. 종래의 트랙볼의 예는 캘리포니아 쿠페르티노에 위치한 애플 컴퓨터 주식회사의 제품인 맥킨토시포터블에서 찾을 수 있다.
상단버튼(31)은 트랙볼(32)와 키보드(11)사이에 위치하고 하단버튼(33)은 트랙볼(32) 아래에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한다. 제 3 도는 도시되듯이, 상단버튼(31)과 트랙볼(32)은 키보드(11)의 스페이스 바에 가깝게 인접하여 팜레스트 상에 위치한다. 트랙볼(32)은 팜레스트(91)상의 둥근 협동 오목부(34)내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회전 가능한 둥근볼이다.
오목부(34)와 트랙볼(32)은 모두 상단버튼(31)에 의해 반쯤 둘러 쌓인다(제 3,4A 및 4도 참조). 트랙볼(32)은 또한 트랙볼(32)의 회전을 디스플레이스크린(3) 상에 지정된 X-Y위치를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기 위해 연결된 종래의 컨버터를 포함한다. 그 컨버터와 함께 트랙볼은, 1984년 8월 7일자로 특허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제 4,464,65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잘 알려진 여러가지 종래기술에 의해 팜레스트(9)상에 구현될 수 있다. 트랙볼은 현재 사용 가능한 종래의 커서위치선정장치들 중 하나이고 랩탑 컴퓨터에 사용된 특정 트랙볼의 내부 설계가 본 발명에 절대적이지는 않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랙볼(32)의 지름은 약 30mm 이지만, 적어도 약 15mm에서 30mm 이상의 범위까지 변화가능하다. 보다 큰 트랙볼(예컨대, 지름이 45mm인 경우)은 더 큰 팜레스트를 필요로 하고 대개 팜레스트의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제 4A와 4B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랙볼(32)은 팜레스트(9)의 표면위로 한 부분만 나타나는 볼이다. 트랙볼(32)은 협동오목부(34)내에(트랙볼을 지지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떠 있고 오목부(34)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사용자는 그의 엄지나 다른 손가락으로 오목부(34)내의 트랙볼(32)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스크린(3) 상의 소망위치로 커서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 3,4A와 4B도에서 도시된 것 같이, 트랙볼(32)은 키보드(11)의 하단행에 트랙볼(32)을 근접시키기 위해 상단버튼(31)내로 반쯤 들어가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단버튼(31)은 키보드(11)에 버튼(31)을 근접시키기 위해 리지(53)의 차단부분내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3 도에 도시된 키보드(11)의 하단에지에서 트랙볼(32)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대략 31mm정도이고 협동오목부(34)의 외부가장가지의 지름은 대략 40mm 정도이다.
상단버튼(31)은 기능 활성화 버튼이다. 상단버튼(31)은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예를 들면, 전기적 상태를 변화시키는)종래의 스위치 수단(56)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가 사용자와 분리되고 절연되어야 할 전기적 요소라는 것은 인지될 수 있다 ; 버튼은 스위치를 분리시키고 인간공학적 장점을 제공한다. 버튼이 사용자를 스위치 수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기계수단이고,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멤브레인을 누르는 종래의 멤브레인 스위치 위의 멤브레인 만큼 간단하는 것은 인지될 수 있다.
힘을 주어 상단버튼(31)을 누르면, 스위치의 전기적 상태(예를들면, 닫히 상태 또는 열린 상태)가 변화하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신호이나 적당한 X-Y 위치선택신호를 컴퓨터(10)로 보낸다. 스위치는 다양한 종래의 방법(예컨대, 스프링 하중단극 스위치 또는 저 프로필 촉각 멤브레인 스위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미국특허 제 4,464,652호는 스위치 수단의 예와 커서의 위치를 선정하고 단일 스위치를 활성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선택(예를 들면, 컴퓨터에 명령을 주는 것 같은)의 예를 보여준다. 이 스위치와 그에 연결된 버튼이 키보드 상의 키에 부가되고, 스위치가 예컨대 미국특허 제 4,464,652호에 설명된 방법으로 컴퓨터에 의해 인식되는 부가적인 입력을 컴퓨터에 제공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유지수단(예를들면, 스프링)에 의해 하나의 전기적 상태(예를들면, 열린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버튼을 눌렀을 때만 다른 전기적 상태(즉, 닫힌 상태)에 위치한다.
상단버튼(31)은 중간에 반원형의 절단면을 가진 초생달 모양의 막대이다. 절단면의 지름은 40mm 정도이다. 상단버튼(31)의 반원형 절단면은 트랙볼(32)을 포함하는 오목부(34)에 연결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 버튼(31)의 반원형 절단면은 상단버튼(31)내로 트랙볼(32)을 절반정도 끌어들여서, 그것에 의하여 키보드(11)의 바닥끝에서 트랙볼(32)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최소화 한다. 제 3 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키보드(11)에 가장 근접한 버튼(31)에 에지(버튼(31)의 후방에지)는 볼록형 에지이고, 트랙볼(32)에 가장 근접한 버튼(31)의 에지(버튼(31)의 전방에지)는 반원형 절단면으로부터 형성된 오목형 에지이다.
제 5,6A 및 6B 도에서 상단버튼(31)의 윤곽구성이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단버튼(31)의 상부면은 전후에지 양쪽으로 원호의 형태를 그리며 밑으로 만곡되어 있다. 반원형 절단면 주위의 상부면은 절단면 쪽으로 원호의 형태를 그리며 밑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단버튼(31)의 윤곽면은 제5도에서 가장 잘 설명되어 있다. 이 윤곽면의 목적은 사람 엄지손가락의 곡선에 맞추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스크린(3)에서 눈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엄지 손가락으로 상단버튼(31)을 쉽게 식별하고 위치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상단버튼(31)은 폭이 76mm 정도이고 후방에지(키보드에 가장 근접한)의 상단에서 버튼(33)에 가장 근접한 버튼의 에지까지의 거리는 26mm 정도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단버튼(31)은 한조각으로 된 푸시-다운 버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단버튼(31)은 키보드 쪽으로 눌려지는 푸시-인 버튼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단버튼(31)이 두조각 이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것이 상단버튼과 연결된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아래에서 언급되듯이, 상단버튼(31)이 하단버튼(33)과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하단버튼(33)과 일체적으로 함께 형성(구조적으로 버튼(31과 33)이 한조각으로 됨)될 수 있다.
팜레스트(9) 상의 상단버튼(31)과 트랙볼(32)의 이 배열은 키보드(11)의 스페이스바 바로 밑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유용성에 기여한다. 이렇게 배열함으로써 사용자는 키보드상의 홈행 위치에 손을 유지하면서 엄지를 상단버튼(31)과 트랙볼(32)에 접근시킬 수 있다. 이것은 사람의 손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 사이가 삼각형을 이룬다는 사실에 따른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다른 손가락을 키보드(11)상에 유지하는 동안 상단 버튼(31)과 트랙볼(32)로 엄지를 뻗는게 가능하며 또한 편리하다.
동작중에, 사용자의 손은 타이핑동작을 수행하도록 키를 두들기 위해 키보드(11)상의 홈행 위치에 일반적으로 계속 유지된다는 것은 또한 사실이다.
이 위치에서, 엄지 두개를 제외한 두손의 모든 손가락은 키에 닿아 있고 엄지두개는 필요할 때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자유로운 상태이다.
키보드가 쿼티 형태의 것일때 키보드 상에서 사용자의 손의 홈행 위치는 ASDFJKL;키이다.
전형적인 타이핑 동작에서, 엄지 두개를 제외한 모든 손가락은 부드럽게 키와 접촉하고, 손바닥은 팜레스트(9) 상에 위치한다. 홈행 위치에 있는 키를 눌러야 한다면 각 손가락은 단지 그 키를 누르면 된다. 홈행 위치에 있지 않은 키를 눌러야 한다면, 각 손가락을 그 키로 뻗어 누른다.
키를 누른 후, 손가락은 홈행 위치로 되돌아와서 다른 동작을 준비한다.
커서 이동이 요구될 때 커서제어장치(12)가 사용된다. 이 때, 사용자의 손은 키보드(11)의 홈행 위치에 남아 있다. 엄지 두개는 각각 트랙볼(32)과 상단버튼(31)으로 뻗는다. 하나의 엄지는 커서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트랙볼(32) 위에 있고 다른 하나의 엄지는 커서이동을 확정하거나 명령을 선택하는 신호의 발생(스위치 수단(56)의 활성화에 의함)을 제어하기 위해 상단버튼(31) 위에 위치한다. 두개의 엄지중에 어떤 것으로 트랙볼(32)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 있다. 오른손 잡이가 트랙볼(32)과 상단버튼(31)을 동작시킨다면, 아마도 오른쪽 엄지가 트랙볼(32)로 가고 왼쪽 엄지는 상단버튼(31)위에 위치할 것이다. 그러나 왼손잡이는 대개 트랙볼을 동작시키는데 왼쪽 엄지를 쓰고 오른쪽 엄지를 상단버튼(31)을 제어하는데 쓴다.
사용자가 오른쪽 엄지를 트랙볼(32)위에 놓고, 따라서 왼쪽 엄지를 상단버튼(31)위에 놓았다고 가정한다. 커서동작 동안에, 오른쪽 엄지는 디스플레이스크린(3) 상의 소망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트랙볼(32)을 회전시킨다.
커서가 소망위치에 이르렀을 때, 왼쪽 엄지는 상단버튼(31)을 눌러서 (스위치 수단(56)을 활성화시키기 위함) 커서의 소망위치를 확정하고 그것에 의해 문서(예를들면, 워드 프로세싱중인 문서)의 특정 장소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스크린(3) 상의 커서 아래에 표시된 이미지에 의해 나타난 명령을 선택(미국특허 제 4,464,652호에 설명된 방법에 의함)하게 한다. 인간의 엄지는 다른 손가락들과 함께 자연적으로 삼각형을 이루고 상단버튼(31)과 틀랙볼(32)은 키보드(11)의 스페이스바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은 엄지 두개로 트랙볼(32)과 상단버튼(31)을 동작시켜 포인트 앤 클릭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키보드(11)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상단버튼(31)과 트랙볼(32)로 손을 위치시키고, 상단버튼(31)과 트랙볼(32)의 동작 후 키보드(11)상의 기본열 위치로 손을 되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3)으로부터 눈을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손은 트랙볼(32)과 상단버튼(31)의 동작안에 홈행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단버튼(33)도 또한 커서 제어장치(12)의 한 부분으로 제공된다. 그것은 커서제어장치(12)에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커서제어장치(12)를 동작시키는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한다. 하단버튼(33)은 상단버튼(31)과 동일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단버튼(33)은 스위치수단(55와 56)이 병렬로 연결되어 둘 모두가 동일한 신호를 발생한다는 점에서 상단버튼(3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스위치들을 병렬로 연결시키지 않으면, 하단버튼(33)은 상단버튼(31)과는 다른 기능활성화 버튼이 되어, 활성화 스위치(55와 56)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다르게 된다.
하단버튼(33)은 컴퓨터로 커서이동의 확정 또는 명령의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활성화 (즉, 전기적 상태를 변화) 시키는 종래의 스위치 수단(55)과 연결되어 있다. 힘을 주어 하단버튼(33)을 눌렀을 때, 스위치(55)의 전기적 상태(즉,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변화하고, 그것에 의하여 선택되어진 명령신호나 알맞게 선택된 X-Y위치신호가 컴퓨터로 보내어진다.
스위치(55)는 다양한 종래의 방법(예컨대, 스프링 부하 단극 스위치 또는 저 프로필 촉각 멤브레인 스위치)으로 구현될 수 있고, 미국특허 제 4,464,652호는 스위치 수단의 예를 보여준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조각으로 된 하단버튼(33)은 팜레스트(9) 상의 트랙볼(32) 아래로 약 45mm 떨어져 배치된다. 버튼(33)은 실제로 초승달 모양이고, 사람의 손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의 형태로서 삼각형의 두 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에 따라 버튼에 용이하게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버튼의 좌우 에지는 버튼의 중심보다 트랙볼에 가깝게 기울어져 있어서 인지(트랙볼을 조작하는)와 엄지(버튼의 좌 또는 우단을 누르는)로서 삼각형을 형성하게 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랙볼(32)에 근접한 버튼(33)의 에지는 오목형 에지이고, 랩탑 컴퓨터의 전방부에 근접한 버튼(33)의 가장자리는 볼록형 에지이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랙볼의 중심에서 하단버튼(33)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45mm 정도이다.
제7,8A 및 8B 도는 하단버튼(33)의 윤곽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 7도에서, 하단버튼(33)의 상부면은 하단버튼의 오목형 에지 및 블록형 에지를 향해 원호를 그리며 아래로 만곡되어 있다. 하단버튼(33)의 육곽면은 인간의 엄지손가락의 자연적인 곡선에 알맞고, 보지 않고서도 버튼의 위치를 알 수 있게 촉각 피드백을 제공한다.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단버튼(33)은 대략 폭이 59mm이고 길이는 22mm 정도이다. 제 8B 도는 제 8A 도의 선(8-8)에 따라 취해진 하단버튼(3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단버튼(33)은 한조각으로 된 푸시-다운 버튼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단버튼(33)은 두개 이상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버튼(33)은 버튼(31)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거나 버튼(31)과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구족적으로 버튼(31과 33)이 한 조각인 경우)될 수도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단버튼(33)은 커서제어장치(12)를 한손으로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손으로 커서제어동작을 할 때, 사용자는 자기습관에 따라 오른손 또는 왼손 중 단지 하나만으로 커서제어장치(12)를 동작시키고 그 손을 홈행 위치에 유지되지는 않는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키보드를 넓게 사용하지 않을 때와 스크린(9) 상에 이미지를 그릴 때와 같이 트랙볼과 버튼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 커서 동작(집중적인 커서동작)이 끊임없이 행해질 때 채택된다. 이 방법은 또한 사용자가 커서제어동작을 위해 단지 한손만 쓰고 다른 손은 자유롭게 남겨두길 원할 때 채택된다. 한손으로 커서제어동작을 수행할 때, 사용자는 한손의 엄지를 하단버튼(33)에 두고 같은 손의 인지를 트랙볼(32)에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또한 같은 손의 엄지가 하단버튼(33)을 동작시키는 동안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트랙볼을 동작시킬 수 있다. 어떤 사용자는 또다른 한손 기술이 더욱 편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한손의 인지를 상단버튼(31)을 누르는데 사용하고, 같은 손의 엄지로 트랙볼을 제어하는 것을 선호한다. 다른 식으로는, 어떤 사용자는 한손의 인지로 트랙볼을 제어하고 같은 손의 중지로 상단버튼을 누르는 것을 선호한다.
커서제어장치의 이중 상하단버튼 및 트랙볼의 설계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엄지와 손가락 조합을 사용하는데 있어 최대한의 융통성을 부여한다.
스위치수단(55와 56)이 병렬로 연결되어 컴퓨터(10)로 동일한 신호를 제공하거나 단지 하나의 스위치 수단만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몇가지 다른 버튼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버튼(31과 33)이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한 스위치를 활성화 시킨다. 예를 들면, 버튼(31과 33)은 버튼 캡의 안쪽에서 연장된 포스트를 구비하고, 이 포스트는 하나의 판을 누르고 이 판은 다시 스위치를 누른다. 다른 식으로는, 버튼(31과 33)은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같은 레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튼(31과 33)은 버튼(31과 33)이 구조적으로 한조각인 경우와 같이 함께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버튼(31과 33)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하우징내에 수용됐다면, 팜레스트 내에 노출된 두개의 분리된 버튼캡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두개의 분리된 버튼으로 나타나지만, 하우징(1)의 표면 아래에서 버튼은 함께 결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가 제10도에 도시된다. 한조각으로 된 원형의 버튼(60)이 오목부(34)와 트랙볼(32)을 둘러싸고, 팜레스트지역(9) 내에서 키보드(11)의 하단행 바로 밑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버튼(60)은 위에 설명된 방법으로 스위치 수단을 활성화시킨다.
사용자는 홈행 위치에 손을 유지시키면서 버튼(60)의 상단 (키보드에 근접한)을 두드리거나, 한손의 엄지로 버튼(60)의 하단부를 두드리는 동안 그 손의 다른 손가락으로 트랙볼(32)을 제어함으로써 한손으로 커서제어장치(12)를 동작시킨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특허청구의 범위에 밝혀진 본 발명의 폭넓은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은 한정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47)
-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메인하우징 ; 커플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메인하우징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부에 바로 인접한 상단행 키 및 하단행 키를 가지고 상기 메인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상기 메인하우징에 통합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커서가 두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장치 ; 및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배치된 표면으로서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를 가지고,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중에 상기 키보드보다 랩탑퍼스널 컴퓨터의 사용자쪽에 더 가까이 위치하며, 상기 키보드의 하단행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팜레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회전가능한 힌지이고, 상기 키보드는 상기회전가능한 힌지에 인접한 상단행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후방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키보드는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상단행 키는 상기 커플링 수단에 바로 인접하며 ; 상기 팜레스트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표면의 주요부로서 한 단위로 배치되고, 전형적인 키보드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 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 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지 않는 평탄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가 상기 키보드의 키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2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장치가 팜레스트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장치가 키보드 조작중에 사용자의 양손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장치가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장치가 상기 팜레스트의 상기 표면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폐쇄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키보드, 상기 커서장치 및 상기 팜레스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의 상기 표면상에 일체적으로 배치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가 상기 팜레스트 보다 위로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폐쇄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키보드, 상기 커서장치 및 상기 팜레스트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의 상기 표면상에 일체적으로 배치된 스위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가 상기 팜레스트 보다 위로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장치가 터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상기 팜레스트의 상기 표면상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상부면을 가지는 메인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이동성 커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힌지에 의해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상단행 키, 하단행 키 및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가지고, 상기 상단행 키가 상기 힌지에 바로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에 한 단위로 배치된 평면으로서, 전형적인 키보드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의 주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 키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팜레스트부 ;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의 아래의 팜레스트부에 위치한 터치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두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이동성 커서를 제어하는 커서위치 선정장치 ; 상기 터치패드에 인접하여 배치된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기 스위치를 조작할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동성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개시하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폐쇄위치로 회전될때 상기 키보드,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 상기 스위칭 수단 및 상기 팜레스트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상부면을 가지는 메인하우징과 디스플레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이동성커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커플러에 의해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상단행 키, 하단행 키 및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가지고, 상기 상단행 키가 상기 커플러에 바로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 상에 한 단위로 배치된 평면으로서, 전형적인 키보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의 주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 키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팜레스트부 ;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이동성커서를 두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팜레스트부상에 위치하는 커서위치설정장치 및 사용자활성화 스위치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할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동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개시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진 커서위치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 위치선정장치는 트랙볼을 포함하고 있는 트랙볼 위치선정장치이며, 상기 트랙볼은 상기 키보드의 하단행 키 아래의 상기 팜레스트부의 오목부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팜레스트부 상에 일체적으로 배치된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은 상기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버튼으로도 상기 스위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은 상기 트랙볼 위 및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 키의 아래의 상기 팜레스트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버튼은 상기 트랙볼 아래의 상기 팜레스트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이 상기 트랙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이 노출된 오목형 및 볼록형 부분 표면에 의해 초승달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의 노출된 오목형 부분표면이 상기 트랙볼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가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폐쇄위치로 회전될때 상기 키보드, 상기 커서위치선정기구 및 상기 팜레스트부를 덮으며, 상기 힌지가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후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가지는 메인하우징 ;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후반 근처에 위치하는 커플러에 의하여 상기 메인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 산단행 키, 하단행 키 및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가지고, 상기 상단행 키가 상기 커플러에 바로 인접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상에 일체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의 주요부로서 한 단위로 배치되고, 전형적인 키보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중에 상기 키보드 보다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사용자 쪽에 더 가까이 위치하며, 상기 키보드의 하단행 키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부가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경사를 가지지 않는 평탄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 상부면을 가지는 메인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이동성커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방 근처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있어서, 산단행 키, 하단행 키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가지고, 상기 상단행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근접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상에 위치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 상기 키보드의 하단행 키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전형적인 키보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상에 한 단위로 배치되고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팜레스트부 ;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통합되어 상기 컴퓨터상에 일체적으로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상기 이동성커서를 두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위치선정장치 ;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이동성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하나의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한개 이상의 신호를 개시하기 위한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 상의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팜레스트부 및 상기 커서위치선정 장치는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기 상부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후방 근처에 위치한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은 상기 키보드,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 및 상기 팜레스트부를 덮도록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가 상기 팜레스트 보다 위로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이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이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 키의 아래 및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의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버트 ; 및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키캡의 상부가 상기 팜레스트부 보다 위로 올려져 있으며, 상기 제 1 버튼이 사용자의 엄지의 자연상태의 윤곽 및 위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는 트랙볼을 포함하고 있는 트랙볼 위치선정장치이며, 상기 트랙볼은 상기 팜레스트부에 통합되어 있는 협동오목부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은 중간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고, 상기 중간성은 사용자의 양손을 나누는 방향으로 상기 팜레스트부에 대하여 중심에 있는 선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5항에 있어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스위치 및 상기 2 스위치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느 스위치라도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이 상기 트랙볼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이 노출된 오목형 및 볼록형 부분 표면에 의해 초승달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의 노출된 오목형 부분표면이 상기 트랙볼에 인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액정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
- 한 사람의 사용자에 의해 랩탑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랩탑 컴퓨터는 상부면을 가지는 메인 하우징 ; 이동성커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메인 하우징의 후방근처에서 상기 메인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 하우징 ; 상단행 키, 하단행 키 및 홈키를 포함하는 행의 키를 가지고, 상기 상단행 키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근접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상에 위치하며,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 상기 키보드의 하단행 키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전형적인 키보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홈키상에 놓여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하우징상에 한 단위로 배치되고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팜레스트부 ; 상기 랩탑 퍼스널 컴퓨터에 통합되어 상기 팜레스트상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상기 이동성커서를 움직이기 위한 커서위치선정장치 ; 및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이동커서의 위치에 따라서 특정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를 개시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커서 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양손을 이용하는 단계와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한손을 이용하는 단계를 교대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양손을 이용하는 단계는, 엄지는 제외한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을 상기 키보드의 상기 홈키상에 유지시키는 단계 ;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키보드의 상기 홈키상에 유지시키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도시된 상기 특정기능을 표시하는 이미지 위해 상기 이동성 커서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엄지중의 하나를 이용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에 의해 표시된 상기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엄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상에 상기 이동성 커서가 위치하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엄지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사용자는 엄지 이외의 손가락을 상기 키보드의 상기 홈키상에 유지시키면서, 하나의 엄지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키고 다른 엄지를 이용하여 상기 커서 아래의 이미지를 선택하며, 상기 한손을 이용하는 단계는, 한손을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의 근처에 위치시켜 상기 한손의 손가락이 상기 키보드의 상기 홈키상에 있지 않도록 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도시된, 상기 특정 기능을 표시하는 이미지 위에 상기 이동성 커서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한손의 제 1 손가락을 이용하는 단계 ; 상기 이미지에 의해 표시된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상에 상기 이동성 커서가 위치하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한손의 제 2 손가락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이용자는 상기 한손을 상기 키보드 상의 상기 홈키로부터 떨어뜨려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 1 손가락으로 상기 커서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 2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커서 아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이용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은 상기 한손의 집게손가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가락은 상기 한손의 엄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두손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양손의 손바닥을 상기 팜레스트부에 기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이용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가락은 상기 한손의 집게손가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가락은 상기 한손의 중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두손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양손의 손바닥을 상기 팜레스트부에 기대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이용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를 타이핑할 때 두손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를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활성화 스위치를 조작하는 단계를 반복할 필요가 있는 커거집중 조작을 해야 할 때 상기 한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이용방법.
-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이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1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1 버튼, 제 2 스위치 및 상기 제 2 스위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 2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버튼은 상기 키보드의 상기 하단행 키 및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버튼은 상기 커서위치선정장치의 아래의 상기 팜레스트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탑 퍼스널 컴퓨터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2926390A | 1990-12-18 | 1990-12-18 | |
US629,263 | 1990-12-18 | ||
US629263 | 1990-12-18 | ||
PCT/US1991/009448 WO1992011623A1 (en) | 1990-12-18 | 1991-12-16 | Laptop computer having integrated keyboard, cursor control device and palm re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704258A KR920704258A (ko) | 1992-12-19 |
KR0133549B1 true KR0133549B1 (ko) | 1998-04-23 |
Family
ID=2452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701938A KR0133549B1 (ko) | 1990-12-18 | 1991-12-16 |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0515664B1 (ko) |
JP (5) | JPH05505897A (ko) |
KR (1) | KR0133549B1 (ko) |
AU (2) | AU674030B2 (ko) |
DE (2) | DE9116519U1 (ko) |
HK (1) | HK1008361A1 (ko) |
SG (1) | SG54233A1 (ko) |
WO (1) | WO19920116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266360B (en) * | 1992-03-09 | 1995-06-14 | Funai Electric Co | Electronic apparatus |
DE9302619U1 (de) * | 1993-02-19 | 1993-06-03 | Vobis Microcomputer Ag, 5102 Wuerselen | Tastatur |
US6392634B1 (en) * | 1993-07-08 | 2002-05-21 | Dell Usa, L.P. | Portable computer having reversible trackball/mouse device |
US5969698A (en) * | 1993-11-29 | 1999-10-19 | Motorola, Inc. | Manually controllable cursor and control panel in a virtual image |
US5596480A (en) * | 1994-03-28 | 1997-01-21 | Zenith Data Systems Corporation | Split rotatable keyboard |
IT232372Y1 (it) * | 1994-04-14 | 1999-12-17 | Olivetti & Co Spa | Calcolatore elettronico portatile. |
JPH0944282A (ja) * | 1995-07-27 | 1997-02-14 | Nec Gumma Ltd | 情報処理装置 |
USRE43318E1 (en) | 1997-08-28 | 2012-04-17 | Flatworld Interactives, Llc | User interface for removing an object from a display |
US7834855B2 (en) | 2004-08-25 | 2010-11-16 | Apple Inc. | Wide touchpad on a portable computer |
FR2777222B1 (fr) * | 1998-04-10 | 2000-06-23 | Hossenlopp Paul | Clavier alphanumerique ergonomique |
DE19832677A1 (de) | 1998-07-21 | 2000-02-03 | Mannesmann Vdo Ag | Bedienvorrichtung |
US6195255B1 (en) * | 1998-10-03 | 2001-02-27 | Stanley A. Kim | Notebook computer and wrist support |
US6612668B2 (en) * | 2001-08-24 | 2003-09-02 | Micron Technology, Inc. | Portable computer with articulate base |
US7333092B2 (en) | 2002-02-25 | 2008-02-19 | Apple Computer, Inc. |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
US10671125B2 (en) | 2002-06-14 | 2020-06-02 | Benjamin J. Kwitek | Hand pads for tablet type computers |
WO2011143510A1 (en) | 2010-05-12 | 2011-11-17 | Lynk Labs, Inc. | Led lighting system |
US10575376B2 (en) | 2004-02-25 | 2020-02-25 | Lynk Labs, Inc. | AC light emitting diode and AC LED drive methods and apparatus |
US10499465B2 (en) | 2004-02-25 | 2019-12-03 | Lynk Labs, Inc. | High frequency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
US7561146B1 (en) | 2004-08-25 | 2009-07-14 | Apple Inc. | Method and apparatus to reject accidental contact on a touchpad |
US20070152983A1 (en) | 2005-12-30 | 2007-07-05 | Apple Computer, Inc. |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
US8022935B2 (en) | 2006-07-06 | 2011-09-20 | Apple Inc. |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
US8274479B2 (en) | 2006-10-11 | 2012-09-25 | Apple Inc. | Gimballed scroll wheel |
US8970501B2 (en) | 2007-01-03 | 2015-03-03 | Apple Inc. | Proximity and multi-touch sensor detection and demodulation |
US11317495B2 (en) | 2007-10-06 | 2022-04-26 | Lynk Labs, Inc. | LED circuits and assemblies |
US11297705B2 (en) | 2007-10-06 | 2022-04-05 | Lynk Labs, Inc. | Multi-voltage and multi-brightness LED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 2009-07-09 | Wayne Carl Westerman |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
US8294047B2 (en) | 2008-12-08 | 2012-10-23 | Apple Inc. |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
JP5318954B2 (ja) * | 2009-06-25 | 2013-10-16 |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 携帯型超音波診断装置 |
US8317542B2 (en) | 2010-09-30 | 2012-11-27 | Apple Inc. | High-speed card connector |
MX2013004376A (es) * | 2010-10-18 | 2013-07-15 | Apple Inc | Computadora portatil con panel sensible al tacto. |
US8624837B1 (en) | 2011-03-28 | 2014-01-07 | Google Inc. |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 scratch pad region of a computing device |
WO2013026053A1 (en) | 2011-08-18 | 2013-02-21 | Lynk Labs, Inc. | Devices and systems having ac led circuit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
US9247597B2 (en) | 2011-12-02 | 2016-01-26 | Lynk Labs, Inc. | Color temperature controlled and low THD LED light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
WO2013184146A1 (en) | 2012-06-08 | 2013-12-12 | Apple Inc. | Portable computing device |
US9430006B1 (en) | 2013-09-30 | 2016-08-30 | Google Inc. | Computing device with heat spreader |
US8861191B1 (en) | 2013-09-30 | 2014-10-14 | Google Inc. | Apparatus related to a structure of a base portion of a computing device |
US11079077B2 (en) | 2017-08-31 | 2021-08-03 | Lynk Labs, Inc. | LED lighting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12101A (en) * | 1984-12-04 | 1987-12-08 | Cheetah Control, Inc. | Control mechanism for electronic apparatus |
US4736191A (en) * | 1985-08-02 | 1988-04-05 | Karl E. Matzke | Touch activat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CH674963A5 (en) * | 1986-12-25 | 1990-08-15 | Silvio Beat Zaccaron | Computer or typewriter keyboard - has hand rest which pivots in 2 directions and supports hand in correct position for operating keys |
DE8716224U1 (de) * | 1987-12-04 | 1988-07-07 | Awad, Georges, Dr.-Ing., 1000 Berlin | Ergonomisch optimierte Tastatur |
US5021771A (en) * | 1988-08-09 | 1991-06-04 | Lachman Ronald D | Computer input device with two cursor positioning spheres |
US4978949A (en) * | 1989-03-06 | 1990-12-18 | Dynabook Technologies Corporation | Locking mechanism and support legs for removable display assembly |
US4974183A (en) * | 1989-04-05 | 1990-11-27 | Miller Wendell E | Computer keyboard with thumb-actuated edit keys |
US5011198A (en) * | 1989-04-20 | 1991-04-30 | Apple Computer, Inc. | Handle latch assembly |
DE69214866T2 (de) * | 1991-04-05 | 1997-06-26 | Logitech Inc | Auf einer Tastatur montierte Rollkugel |
-
1991
- 1991-12-16 WO PCT/US1991/009448 patent/WO1992011623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1-12-16 KR KR1019920701938A patent/KR01335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12-16 DE DE9116519U patent/DE9116519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2-16 EP EP92902945A patent/EP051566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2-16 DE DE69131010T patent/DE69131010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12-16 SG SG1996005292A patent/SG54233A1/en unknown
- 1991-12-16 JP JP92503190A patent/JPH05505897A/ja active Pending
-
1993
- 1993-12-09 AU AU52260/93A patent/AU674030B2/en not_active Expired
-
1997
- 1997-02-20 JP JP9051147A patent/JPH09330161A/ja active Pending
- 1997-03-05 AU AU15104/97A patent/AU1510497A/en not_active Abandoned
-
1998
- 1998-07-17 HK HK98109236A patent/HK1008361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
- 2003-01-23 JP JP2003014396A patent/JP2003248528A/ja not_active Withdrawn
-
2005
- 2005-11-17 JP JP2005332692A patent/JP2006065890A/ja active Pending
-
2007
- 2007-04-04 JP JP2007098487A patent/JP4323532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184004A (ja) | 2007-07-19 |
EP0515664A1 (en) | 1992-12-02 |
HK1008361A1 (en) | 1999-05-07 |
DE9116519U1 (de) | 1993-04-08 |
AU5226093A (en) | 1994-02-24 |
AU674030B2 (en) | 1996-12-05 |
JP2003248528A (ja) | 2003-09-05 |
AU646534B2 (en) | 1994-02-24 |
KR920704258A (ko) | 1992-12-19 |
DE69131010D1 (de) | 1999-04-22 |
JPH09330161A (ja) | 1997-12-22 |
WO1992011623A1 (en) | 1992-07-09 |
AU9163591A (en) | 1992-07-22 |
AU1510497A (en) | 1997-05-15 |
JP2006065890A (ja) | 2006-03-09 |
JPH05505897A (ja) | 1993-08-26 |
DE69131010T2 (de) | 1999-10-21 |
EP0515664B1 (en) | 1999-03-17 |
EP0515664A4 (en) | 1993-02-24 |
JP4323532B2 (ja) | 2009-09-02 |
SG54233A1 (en)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3549B1 (ko) |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 |
US7277083B2 (en) | Ergonomically designed computer gaming device | |
US5914702A (en) | Pointing device with wrap-around buttons | |
US20090051659A1 (en) | Computer Input Device | |
US20150309595A1 (en) | Ergonomic mouse device with multi-programmable buttons | |
US20020067343A1 (en) | Two-sided input device for a computer-related apparatus | |
US5334976A (en) | Keyboard with finger-actuable and stylus-actuable keys | |
US20150363007A1 (en) | Data input systems for handheld devices | |
US20060133881A1 (en) | Mobile computing device form factor | |
JPH05241705A (ja) | キーボード | |
IES960083A2 (en) | Compact ergonomic computer keyboard | |
US6275215B1 (en) | Mouse having buttons which can be operated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 |
US6933921B2 (en) | Mobile system with ergonomically improved user pointing subsystem | |
US20040069600A1 (en) | Keyboard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US20030043119A1 (en) | Elevated input device | |
JP2000311052A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 |
AU646534C (en) | Laptop computer having integrated keyboard, cursor control device and palm rest | |
KR101194930B1 (ko) | 인체공학적 키보드 또는 노트북 | |
JP2001125708A (ja) | 長い爪でも操作性の良いキーボード装置 | |
KR200262391Y1 (ko) |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 |
JP3459427B2 (ja) | 立体キーボード | |
JPH11134093A (ja) | 入力装置 | |
JP2001067966A (ja) | 押ボタン装置 | |
JP2000029622A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 |
KR20000001616U (ko) | 지압용 키가 부착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컴퓨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14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