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391Y1 -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 Google Patents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391Y1
KR200262391Y1 KR2019990004004U KR19990004004U KR200262391Y1 KR 200262391 Y1 KR200262391 Y1 KR 200262391Y1 KR 2019990004004 U KR2019990004004 U KR 2019990004004U KR 19990004004 U KR19990004004 U KR 19990004004U KR 200262391 Y1 KR200262391 Y1 KR 200262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hand
user
housing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160U (ko
Inventor
김태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4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3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39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함께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마우스(mouse)로 지칭되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마우스는 마우스를 잡는 사용자의 손에 맞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면을 갖고, 내부에 전자 요소들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결합되고, 전자 요소와 접속되어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버튼들 및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고,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놓이는 그립(grip)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ERGONOMIC COMPUTER MOUSE}
본 고안은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함께 사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마우스(mouse)로 지칭되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들은 커서(cursor)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도록 준비되어 있다. 컴퓨터 마우스들은 컴퓨터 스크린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계적, 광학적, 또는 다른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두 축들을 따라 평평한 면을 가로질러 마우스를 움직이므로써, 커서는 그 마우스의 움직임에 비례하여 컴퓨터 스크린을 가로질러 이동된다.
이러한 마우스의 사용은 컴퓨터 사용자에게 컴퓨터 스크린에서 커서의 동작에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100)는 손바닥이 놓여지는 상부 하우징(102)과 버튼(104)들이 딱딱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기 때문에(도 1 참조), 이러한 컴퓨터 마우스(100)는 사용자의 손이나 손목에 쉽게 피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들의 형태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손에 맞게 디자인되기 때문에, 특정부류(표준적인 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은)의 사용자가 이러한 획일적인 형태의 컴퓨터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손목과 손에 피로가 가중되게 되고, 결국에는 작업 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컴퓨터 마우스의 장시간 또는 반복되는 사용은 손에 심각한 육체적 긴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육체적 긴장은 매우 미세한 자세의 이동들이라도 손과 손가락들에 스트레스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심한 경우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마우스들은 사용자들의 손 크기, 손가락들과 손바닥, 그리고 손목의 가장 좋은 자세를 위한 만족스러움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왼손, 오른손 그리고 손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그리고 사용할 때 손에 피로를 줄일 수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마우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의 도면;
도 3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잡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사용자의 손에 맞게 변형된 그립부를 보여주는 마우스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2a : 바닥면
12b : 외부면 16 : 버튼들
20 : 그립부 22a : 왼쪽 사이드면
22b : 오른쪽 사이드면 24 : 상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의 스크린 상에서 커서 또는 다른 물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컴퓨터 마우스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면을 갖고, 내부에 전자 요소들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고,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이 놓이는 그립(grip)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그립부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마우스는 대표적인 볼 마우스를 도시한 것으로, 광학 마우스, 또는 볼 마우스와 광학 마우스를 조합한 광 기계식 마우스 등의 다른 종류의 마우스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10)는 하우징(12), 버튼들(16a,16b,16c), 그립(grip;20)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은 바닥면(12a)과 상기 바닥면(12a)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면(12b)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통상적인 볼 마우스에 설치된 회전볼(미도시됨)과 기판(PCB;미도시됨)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회전볼의 X,Y축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 요소들(미도시됨)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2)의 상면에는 버튼들(16a,16b,16c)이 설치된다. 이 버튼들은 제 1 버튼(16a)과 제 2 버튼(16b) 그리고 제 3 버튼(16c)으로 이루어지며 이 버튼들(16a,16b,16c)은 버튼을 누를 때,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그리고 감촉이 좋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버튼들은 상면에 고무재질의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 버튼들이 위치된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푸시 스위치들(미도시됨)이 상기 기판에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마우스(10)의 버튼 개수는 3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마우스에는 1개 또는 2개 또는 4개 이상이 버튼들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20)는 사용자의 손이 놓여지는 상기 하우징 외부면(12b)에 결합된다. 상기 그립부(20)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실리콘 고무 재질의 상기 그립부(20)는 압력(마우스를 쥐는 손의 힘)이 가해지면 그 압력에 의해 변형된다. 이때, 변형되어진 그립부(20)는 다른 힘을 받지 않는 한 그 변형된 상태 그래로 유지된다. 예컨대, 상기 그립부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마우스(10)는 통상적인 마우스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것은이 분야의 종사자들이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손이 놓여지는 그립부가 사용자의 손에 맞게 변형이 될 수 있는 인간 공학적 구조를 갖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버튼들을 누를 때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그리고 감촉이 좋은 고무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마우스를 잡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자의 손에 맞게 변형된 그립부를 보여주는 마우스의 평면도,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처럼 마우스를 잡는 손이 오른손인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은 상기 그립부(20)의 상면(24)에 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버튼(14a,14b,14c)에는 각각 검지 손가락(53)과 중지 손가락(54) 그리고 약지 손가락(55)이 놓여진다. 그리고 엄지 손가락(52)은 상기 그립부(20)의 왼쪽 사이드면(22a)에 놓여지며, 새끼 손가락(56)은 그립부(20)의 오른쪽 사이드면(22b)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손(50)으로 상기 마우스(10)를 편안하게 잡은 상태에서 평상시 마우스를 쥐는 힘보다는 큰 힘을 가하면, 그 압력(힘)에 의해서 상기 마우스의 그립부(20)가 마우스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맞는 형태로 형상이 변형된다. 이렇게 변형된 그립부(20)는 다른 힘이 가해지지 않는한 그 변형된 상태 그래도 유지되어진다. 상기 그립부(20)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집적 상기 그립부를 주물러서 손에 쥐기 편한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립부(20)의 왼쪽 및 오른쪽 사이드면(22a,22b)의 엄지 손가락(52)과 새끼 손가락이 놓여진 부분(23a,23b)은 손가락에 눌려 움푹 들어가며, 그립부(20)의 상면(24)은 마우스를 쥐고 있는 손가락들과 손바닥에 맞게 융기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그립부(20)는 사용자의 손에 맞는 형태로 변형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자신의 손에 맞는 인간 공학적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기존의 일률적인 형태의 마우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손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마우스(10)는 사용자 손바닥이 놓여지는 그립부(20)가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딱딱한 플라스틱 마우스에 비하여 손의 촉감이 부드럽다. 그리고 사용자는 고무 재질의 상기 마우스의 버튼들(14)을 누를 때 그 감촉이 부드럽고 또한 버튼들(14)을 누를 때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므로서 손가락 끝의 피로를 적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마우스(10)는 왼손잡이 사용자(또는 손이 크거나 작은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상기 그립부(20)가 그 왼손에 맞는 인간 공학적인 형태로 다시 변형이 된다. 즉, 손이 놓여지는 그립부가 사용자들의 손 모양에 맞게 변형이 되므로 왼손/오른손잡이, 연령에 따른 손의 크기 및 모양에 따른 사용의 불편함 을 없앨 수 있어 본 고안의 마우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 마우스의 버튼들을 누를 때 그 감촉이 부드럽고, 손가락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므로서 마우스 사용에서 오는 손가락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손에 맞게 마우스의 그립부가 변형되므로서 기존의 획일적인 형태의 컴퓨터 마우스에 비하여 현저하게 손목과 손에 오는 피로가 적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마우스는 손이 놓여지는 그립부가 사용자들의 손 모양에 맞게 변형이 되므로 왼손/오른손잡이, 연령 등에 따른 손의 크기와 모양이 다른 사람들도 구애 없이 용이하게 그리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컴퓨터의 스크린 상에서 커서 또는 다른 물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컴퓨터 마우스에 있어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외부면을 갖고, 내부에 전자 요소들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전자 요소와 접속되어 상기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그리고 사용자의 손바닥이 놓여지는 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마우스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힘을 가하면 그 힘에 의해 그립부의 표면이 사용자의 손에 맞는 형태로 형상이 변형되고 다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마우스.
KR2019990004004U 1999-03-13 1999-03-13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KR200262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04U KR200262391Y1 (ko) 1999-03-13 1999-03-13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04U KR200262391Y1 (ko) 1999-03-13 1999-03-13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60U KR20000018160U (ko) 2000-10-16
KR200262391Y1 true KR200262391Y1 (ko) 2002-03-18

Family

ID=5476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004U KR200262391Y1 (ko) 1999-03-13 1999-03-13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3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60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1518A (en) Ergonomic input device
KR0133549B1 (ko) 통합 키보드 및 커서제어 장치와 팜레스트를 구비한 랩탑 컴퓨터
US6181322B1 (en) Pointing device having selection buttons operable from movement of a palm portion of a person's hands
US7277083B2 (en) Ergonomically designed computer gaming device
US6744421B2 (en) Apparatus for convenient and comfortable cursor control device
US9063587B2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ergonomically formed and positioned actuators
JP2007504559A (ja) コンピュータ及びビデオゲーム用のハンドマニピュレート情報機器
US9785256B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with handheld and ambidextrous body design
US20060133881A1 (en) Mobile computing device form factor
US20060007152A1 (en) Computer finger mouse
EP1454223A1 (en) Control device (mouse) for computer
US6402100B1 (en) Ergonomic lower arm support rest
JP3933848B2 (ja) マウス
US20140375566A1 (en) Integrated, one-handed, mouse and keyboard
EP4206873A2 (en) Adjustable supporting assembly for user of ergonomic mouse, and ergonomic adjustable computer mouse
US6781573B1 (en) Ergonomic mouse
KR200262391Y1 (ko)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US8614677B2 (en) Mouse with adjustable switch
US20040211601A1 (en) Input device for a computer
US11256345B2 (en) Hand operated computer input device with palm heel support
WO2000029933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JP3208387B2 (ja) キーボードおよびコンピュータ
RU374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KR101194930B1 (ko) 인체공학적 키보드 또는 노트북
JPH11134093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