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878B1 -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78B1
KR0132878B1 KR1019930007338A KR930007338A KR0132878B1 KR 0132878 B1 KR0132878 B1 KR 0132878B1 KR 1019930007338 A KR1019930007338 A KR 1019930007338A KR 930007338 A KR930007338 A KR 930007338A KR 0132878 B1 KR0132878 B1 KR 013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emory
output
dat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317A (ko
Inventor
여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78B1/ko
Publication of KR94002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하나의 화상정보로부터 복제된 복수의 화상정보를 갖는 다중화면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발생장치는 한 화면의 화상 테이타를 유입하여 소정의 축소율로 축소된 화상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부표본화기:축소된 화상데이타와 그의 복제된 복수의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메모리의 기록 및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부: 메모리에서/로 독출/기록되는 화소데이터를 기록/독출하는 버퍼메모리: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다중화면으로 형성하여 츨력하는 화면출력부: 및 부표본화기,메모리,버퍼메모리,그리고 화면출력부들 사이의 정보전달경로 제어하는 경로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면 발생장치는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기록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여 다른 영역에 기록함에 있어서 화소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메모리,버퍼메모리와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제어하는 경로제어기를 사용하여 화소단위로 기록/독출함으로써 하드웨어를 간단히 구성할수 있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내용 없음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화상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는 다중화면 발생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상정보로부터 복제된 복수의 화상정보를 갖는 다중화면의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PIP(Picture-In-Picture)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CVP(color video Printer),화면 편집기능을 갖는 사진기 등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데이타들을 축소하여 저장하고 이를 하나의 영상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다중화면기능이 채택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중화면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c도에 보여지는 바의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갖는 다중화면을 발생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N × M개의 증명사진을 하나의 원판상에 발생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기기에 있어서는 N × M개의 원화면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야만 하므로 그 처리가 복잡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화상 데이타를 입력하고 이것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들을 갖는 다중화면 발생하는 다중화면 발생방법을 제정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술한 다중화면 발생방법에 적합한 다중화면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다중화면 발생방법은 한 화면의 화상데이타를 부표본화하여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과정: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원래의 화상데이타에 상응하는 기억용량을 갖는 메모리의 일부영역에 저장하는 과정; 기록된 화상테이타를 서로 중복되지 않는 복수의 기록영역에 복제하는 과정: 및 메모리에 기록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여 하나의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다른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다중화면 발생장치는 한 화면의 화상데이타를 유입하여 소정의 축소율로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부표본화기:
축소된 화상데이타와 그의 복제된 복수의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의 기록 및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
메모리에서/로 독출/기록되는 화상데이타를 기록/독출하는 버퍼 메모리:
메모리에 기록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및 부표본화기, 모리 및 화면 출력부들 사이의 정보전달경로를 제어하는 결로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한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CVP 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기로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발생방법을 보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타는 소정의 축소율에 의해 축소되어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기록되고, 서로 중복되지않는 다른 영역은 축소된 영상데이타가 복사되어 기록된다.
이후 메모리의 전체 영역을 일시에 독출하여 다중화면으로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x2(수평2분할, 수직 2분할)의 축소률에 위해 축소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2도에 보여지는 예에 있어서 전체 기억영역은 균등하게 4분할되고 ,좌상의 분할된 영역에 축소된 화상데이타가 기록된다.
축소된 화상데이타는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화소데이타를 2:1로 부표본화함에 의해 발생된다.
좌상의 분할영역에 기록된 측소된 화상데이타는 제2b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우상,좌하 및 우하의 영역에 차례로 복사되어 제2c도에 보여지는 다중화면 데이타를 발생한다.
이때 죄상의 분할영역에 기록된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한꺼번에 독출하여 별도의 버퍼메모리에 기록하고 이를 다시 독출하여 다른 분할영역에 기록하는 방법이 제안될수 있으나 이에 적합한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메모리 영역의 1/2에 달하는 기억용량을 갖는 별도의 버퍼메모리와 메모리들 사이의 데이타수수를 제어하는 DMA(Direct Memory Access)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기억영역에 기록된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화소단위로 독촐/기록하도록 함으로써,큰 용량의 버퍼메모리 및 DMA 의 사용을 회피할수 있도록 하였다.
제2c에 보여지는 다중화면 데이타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독출되고, 화면출력부를 통하여 다중화면으로 츨력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발생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불록도 이다.
제3도에 보여지는 다중화면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화상신호를 디지털 화상데이타로 변환하는 A/D변환기(32), A/D변환기(32)에서의 화상데이타를 유입하고 소정의 축소율에 따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부표본화하여 출력하는 부표본화기(34), 부표본화기(34)에서의 축소된 화상데이타 및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38), 메모리(38)에서/로 독출/기록되는 화소데이타를 기록/독출하는 버퍼메모리(46), 메모리(38)로부터 독출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갖는 다중화면 데이터를 입력하고 다중화면으로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40), 부표본화기(34)와 메모리(38) 및 화면출력부(40), 부표본화기(34)와 메모리(38) 및 화면출력부(40)사이의 데이터 수수의 경로를 제어하는 경로제어부(36), 그리고 메모리(38)에 소요되는 기록 및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42)를 포함한다.
화면출력부(40)는 다중화면을 출력하는 TPH(Thermal Printing Head)(40b)와 경로제어부(36)통해 유입되는 데이타를 TPH(40b)에 적합한 데이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PH인터페이스부(40a)를 구비한다.
제4a-4c도는 제3도에 도시된 메모리의 기록/독출동작의 타이밍도이다.
제4a도는 입력되는 화상데이타의 타이밍도이고,제4b도는 메모리(38)의 기록제어신호(WR)의 타이밍도이고, 그리고 제4c도는 메모리(38)의 독출제어신호(RD) 의 타이밍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여기서는 수평2분할, 수직2분할의 예를들어 설명한다. 먼저, 부표본화기(34)의 동작을 설명한다.
부표본하기(34)는 A/D변환기(32)를 통하여 유입되며 제4a도에 도시되는 바의 화상데이타를 소정의 축소율에 따라 부표본화하여 메모리(38)에 제공한다. A/D변환기(32)에 유입되는 화상신호는 좌상측의 화소로부터 우하측의 화소까지 순차주사방식에 의해 전송된다.
A/D변환기(32)는 그에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규정의 클럭에 의해 샘플링하고, 화상데이타로서 부표본화기(34)에 제공한다.
부표본화기(34)는 A/D변환기(32)에서 제공되는 화상데이타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한 하소씩 건너뛰어 샘플링(부표본화)하고 축소된 화상데이타로서 메모리(38)에 제공한다.
메모리(38)는 제4도에 도시된 T1기간동안에는 부표본화기(34)에서 제공되는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제2도의 좌상측의 분할영역에 기록한다.
이후 T2,T3,T4 기간에 있어서는 좌상측의 분할영역에 기록된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독출하여 우상측,좌하측 및 우하측의 분할영역에 차례로 기록한다.
이때에 독출 및 기록은 화소단위로 이루어진다.
즉 제4d도 및 제4e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록제어신호(WR) 와 독출제어신호(RD)가 화소단위로 교번적으로 발생되고, 독출어드레스 및 기록어드레스적으로 발생된다.그리고,T5의 기간동안에는 메모리(38)의 모든 화소데이타를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으로 그리고 이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반복하여 독출한다.이는 하면 츨력부(40)의 TPH의 기록동작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어드레스 발생기(42)는 소정의 축소율에 의해 결정되는 어드레스 발생유형에 따라 소정의 기록어드레스를 발생하고 이를 메모리(38)에 제공한다.수평2분할 및 수직2분할의 경우에 있어서는 제4b도의T1기간동안에는 제2도에 보여지는 좌상의 분할영역을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으로 순차 주사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T2,T3그리고T4기간에 있어서는 좌상측의 독출되는 어드레스 및 다른 영역의 기록되는 어드레스를 교번적으로 발생한다.
좌상측의 분할영역의 어느 한 독출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다른 분할영역의 기록 어드레스는 수평 및 수직 어드레스에 소정의 오프세트(off-set)를 가산함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질수 있다.
그리고 T5의 기간동안에는 메모리(38)의 화소데이타들을 좌상측으로부터 우하측으로 자정하고, 이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화소단위로 이행하는 독출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이는 화면 출력부(40)의 TPH의 기록동작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버퍼메모리(46)는 제4b도 및 제4c도에 도시된 기록제어신호(WR) 및 독출제어신호(RD)에 의해 제어된다.
제4b도에 도시된 T2,T3,T4 기간에 있어서는 메모리(38)로부터 독출된 화상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그에 기록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여 메모리(38)에 제공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퍼메모리(46)의 기록 제어신호 및 독출제어신호는 인버터(460a,460b)의 작용에 의해 메모리(38)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 및 독출제어신호와 반대되는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메모리(38)가 기록동작일 때 버퍼메모리(46)는 독출 동작을 수행하고 메모리(38)가 독출동작일때는 기록동작을 수행하고, 메모리(38)가 독출동작일때는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경로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5도어 도시된 경로제어부는 멀티플렉서(36a), 디멀티플렉서(36b),그리고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룰 구비한다.
멀티플렉서(36a)의 일측입력단자에는 부표본화기(34)에서 출력되는 축소된 화상데이타가 유입되고, 타측입력단자에는 버퍼메모리(4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며: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의 입력단자에는 멀티플렉서(36a)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고 입출력단자에는 메모리(38)에서/로의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유출되며 디멀티플렉서(36b)의 입력단자에는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고, 일측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버퍼메모리(46)의 입력으로서 제공되며 타측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화면출력부(40)에 제공된다.
제6a-6c도는 제5도에 도시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버퍼 메모리,양방향 입출력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보이는 타이밍도이다.
제6a도에 도시된 신호는 멀티플렉서(36a)를 제어하는 신호(MUX-SEL) 로서 제4b도에 도시된 T1기간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한다. 제6b도에 도시된 신호는 제4b도에 도시된 바의 기록제어신호(WR)이다.제6c도에 도시된 신호는 제4c도에 도신된 바의 독출제어신호 (RD)이다.
제6d도에 도시된 신호는 디멀티플렉서(36b)를 제어하는 신호(DMUX-SEL) 로서 제4b도의 신호는 T5기간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한다.
제5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b도에 도시된 T1기간에 있어서, 경로제어부(38)는 부표본화기(34)에서의 축소된 화상데이타가 메모리(38)에 제공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T1기간에 있어서 멀티플렉서(36a) 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MUX-SEL)가 제6a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이논리이므로 부표본화기(34)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는 그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WR)가 제6b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이레벨이므로 멀티플랙서(36a)에서 제공되는 데이터가 메모리(38)로 유통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제4b도에 도시된 T2,T3그리고T4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독출동작에 있어서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는 그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WR)가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우논리이므로 메모리(38)에서 제공되는 데이타가 디멀티플렉서(36b)로 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디멀티플렉서(36b)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DMUX-SEL)가 제 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레벨이므로 그에 입력되는 데이타가 버퍼메모리(46)로 분배되도록한다. 버퍼메모리(46)는 그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기(WR)가 제6b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로우레벨이고 이는 인버터(460a) 의 작용에 의하여 하이레벨로 되므로 그에 입력되는 데이타를 기록한다.전술한 동작에 의해 버퍼메모리(46)에는 메모리(38)로부터 독출된 화소데이타가 기록된다.
기록 동작에 있어서 버퍼메모리(46)는 그에 인가되는 독출제어신호(RD) 가 제6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우레벨이고 이는 인버터 (460b)의 작용에 의해 하이레벨로 되므로 그에 기록된 데이타를 독출하여 멀티플렉서 (36a)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36a)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 (MUX-SEL)가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레벨이므로 버퍼 메모리 (46)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츨력하고,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는 그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WR)가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레벨이므로 멀티플렉서(36a)에서 제공되는 데이타가 메모리(38)로 유출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진술한 동작에 의해 메모리(38)에는 버퍼메모리(46)로부터 독출된 화소데이타가 기록된다.
제4b도에 제시된 T5기간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양방향 입출력스위치(36c)는 그에 인가되는 기록제어신호(WR)가 제6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로우논리이므로 메모리(38)에서 제공되는 데이타가 디멀티플렉서(36b)로 유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디멀티플렉서는(36b)는 그에 인가되는 제어신호(DMWX-SEL)가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이므로 그에 입력되는 데이타가 화면 출력부(40)로 분배되도록 한다.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7도에 도시된 장치는 두 개의 정송로에 설치된 스위치를 교번적으로 단속하여 경로제어를 수행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하면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8도에 도시된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로(Personal computer) 로부터 이미지 데이타를 유입하여 소정의 축소율에 따라 부표본화하여 출력하는 부표본화기(44) 및 부표본하기(34,44)에서 제공되는 데이타를 선택하여 경로제어기(36)에 제공하는 스위치(48)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면 발생 방법은 어떤 화상데이타를 부표본화하여 메모리의 일부 영역을 기록하고 이를 다른 영역에 복사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자기 복제된 화상을 갖는 다중화면을 발생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술한 다중화면 발생방법에 적합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화면 발생 장치는 메모리의 일부 영역에 기록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여 다른 영역에 기록함에 있어서 화소데이타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와 메모리 사이의 경로를 제어하는 경로제어기를 사용하여 화소 단위로 기록/독출함으로써 하드웨어를 간단히 구성할수 있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한 화면의 화상데이타를 부표본화하여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과정; 상기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원래의 화상데이타에 상응하는 기억용량을 갖는 메모리의 일부영역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기록된 화상데이타를 서로 중복되지 않는 복수의 기록영역에 복제하는 과정; 및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독출하여 하나의 화상데이타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화면 발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과정은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데이타를 독출하여 일시저장하는 과정; 상기 저장된 화소정보를 복제된 화상데이타가 기록될 영역의 대응되는 위치에 기록하는 과정; 및 상기 독출 및 기록과정이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구성하는 전체 화소데이타에 대하여 순차적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다중화면 발생방법.
  3. 한 화면의 화상데이타를 유입하여 소정의 축소율로 축소된 화상데이타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부표본화기(34); 상기 축소된 화상데이타와 그의 복제된 복수의 화상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38); 상기 메모리(38)의 기록 및 독출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부; 상기 메모리(38)에서/로 독출/기록되는 화소데이타를 기록/독출하는 버퍼메모리(46); 상기 메모리(38)로부터 독출된 복수의 복제된 화상데이타를 다중화면으로 형성하여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40); 및 상기 부표본화기(34), 상기 메모리(38), 상기 버퍼메모리(46) 및 상기 화면출력부(40)사이의 정보전달경로를 제어하는 경로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화면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36)는 멀티프렉서(36a), 디멀티플렉서(36b), 그리고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를 구비하며; 상기 멀티플렉서(36a)의 일측입력단자에는 입력되는 화상데이타가 유입되고, 타측입력단자는 상기 버퍼메모리(46)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며; 상기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멀티플렉서(36a)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고, 입출력단자는 상기 메모리(38)에서/로의 입출력되는 데이터가 유입/유출되며; 상기 디멀티플렉서(36b)의 입력단자에는 상기 양방향 입출력 스위치(36c)의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유입되고, 일측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상기 버퍼메모리(46)의 입력으로서 제공되며 타측 출력단자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상기 화면출력부(40)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화면 발생장치.
KR1019930007338A 1993-04-29 1993-04-29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013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338A KR0132878B1 (ko) 1993-04-29 1993-04-29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338A KR0132878B1 (ko) 1993-04-29 1993-04-29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17A KR940025317A (ko) 1994-11-19
KR0132878B1 true KR0132878B1 (ko) 1998-04-16

Family

ID=1935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338A KR0132878B1 (ko) 1993-04-29 1993-04-29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393B1 (ko) * 2000-01-26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리비전 프로그램 선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01B1 (ko) * 1999-04-24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재생장치의 화상 축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393B1 (ko) * 2000-01-26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리비전 프로그램 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317A (ko) 199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tation of digital image data
US4459611A (en) Image conversion system
GB2253539A (en) Mixing images in a still video camera
US4809215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decode, write and read means
KR0132878B1 (ko) 다중화면 발생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JPS59226584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のプリンタ装置
KR970025184A (ko) 예측매크로블럭 변환을 이용한 동화상 복호기
JPH05100647A (ja) 画像表示装置
US7295231B1 (en) Digital camera
JP2907630B2 (ja) フレームメモリ制御装置
JPH10262220A (ja) 半導体集積回路
JP2918049B2 (ja) ピクチャ・イン・ピクチャのための記憶方法
JP2943659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361389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2868532B2 (ja) 画像合成装置
JPS62289072A (ja) ビデオプリンタ
KR0135791B1 (ko) 영상메모리 제어장치
JP2883374B2 (ja) ミラーイメージ回路
JPS6331283A (ja) 複数の映像メモリ制御装置
KR0165295B1 (ko) 개선된 픽쳐인픽쳐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픽쳐인픽쳐신호 발생방법
JP3427586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憶装置
JPS59226583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のプリンタ装置
JPH0278385A (ja) 静止画処理回路
JPH06326921A (ja) 画像メモリー装置
JPH0580729A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