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49B1 -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49B1
KR0132549B1 KR1019930025205A KR930025205A KR0132549B1 KR 0132549 B1 KR0132549 B1 KR 0132549B1 KR 1019930025205 A KR1019930025205 A KR 1019930025205A KR 930025205 A KR930025205 A KR 930025205A KR 0132549 B1 KR0132549 B1 KR 013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metal
insulating layer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노부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세끼모또 다다히로
니뽄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모또 다다히로, 니뽄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모또 다다히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8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3/5283Cross-sectional geomet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14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luminium
    • H01L23/53223Additional layers associated with aluminium layers, e.g. adhesion, barrier, clad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제 1절연층(3)은 반도체 기판(1)에 형성된다. 하부 금속층(5,6)과 상부 금속층(7,8)은 순차적으로 제 1절연층에 형성되며, 또한 제 2절연층(10)은 그 위에 형성된다. 이 때 포토레지스트 형상화(9)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절연층과 상기 상부 금속층은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에칭된다. 이 때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이 제거되며, 측벽 절연층(11a)은 상부 금속층의 측부에 형성된다. 끝으로 하부 금속층은 제 2절연층과 측벽 절연층의 마스크로 에칭된다.

Description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제1a도 내지 제1f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을 예시하는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h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을 예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기판 2 : 불순물 영역
3 : 절연층 4 : 개구부
5,6 : 텅스텐층 7,7a : 알루미늄 합금층
9,9a,9b : 포토레지스트 형상화 층 10,10a : 절연층
11a : 측벽 절연층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 구조의 접속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의 설명]
최근, 반도체 디바이스들은 미세 구조로 되었다. 예를 들어, 0.5㎛ 룰(rule)이 16Mbit 다이나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RAM)에 채택되었고, 0.3 내지 0.35㎛ 룰이 64Mbit DRAM에 채택되어지게 된다. 반도체 디바이스가 보다 미세한 구조로 됨에 따라, 금속 접속부 및 접속층과 관통공과 같은 개방부들 또한 미세한 구조로 되게 되었다.
알루미늄 금속 접속층이 높은 전도성을 가질지라도, 알루미늄 접속층은 이것의 미세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 이동으로 인해 짧은 수명을 가진다. 이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 적층된 구성의 금속층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2중 구성의 금속층은 티타늄 텅스텐과 같은 고온 용융 금속으로 제조된 하부 금속층 및 알루미늄과 같은 고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상부 금속층으로 제조된다. 또한, 3중 구성 금속층은 티타늄 텅스텐과 같은 고온 용융 금속으로 제조된 하부 금속층, 알루미늄과 같은 고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중간 금속층, 및 티타늄 텅스텐과 같은 고온 용융 금속으로 제조된 상부 금속층으로 형성된다. 덧붙여, 접속공과 관통공과 같은 개방부를 위한 계단 적용 범위(step coverage)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화학 증착(CVD) 공정에 의해 증착되는 텅스텐 층은 2중 구성에 있어서 상부 금속층과 하부 금속층 사이에 삽입되며, 3중 구성에 있어서 하부 금속층과 중간 금속층 사이에 삽입된다.
종래의 적층된 접속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층이 적어도 하부 금속층과 상부 금속층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된 금속층에 피복되고, 포토레지스트 층은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에 의해 형상화된다. 그런다음, 상부 금속층은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에칭되고, 그런 후에, 하부 금속층은 동일한 형상화의 포토레지스트 층 및 다음에 상세히 기술되는 상부 금속층의 마스크로 에칭된다.
상기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이 적어도 두 번 이상 에칭 가스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후에 설명될 것으로서, 절연층에 대한 최종 적층된 접속층의 정확한 선택 비율(에칭 비율)을 얻는 것은 중요하다. 그 결과, 적층된 접속층의 크기는 원래의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과 비교하여 감소된다. 특히, 적층된 접속층의 폭은 이것의 전도성을 감소시키도록 되어서, 응력 이동을 야기한다.
또한, 접촉공 또는 관통공과 같은 개방부가 준비되어 하부 금속층에 연결되며, 최종 에칭 공정에서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은 에칭 공정이 진행함에 따라 개방부의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그 결과, 개방부에 채워진 하부 금속층의 일부가 에칭된다면, 또한 최악의 경우 개방부에서의 반도체 기판내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이 에칭되게 된다면, 단락과 같은 접속부 결함 또는 접속 부분에서의 저전도성, 불순물 영역에서의 접합 누설, 접합 부분의 내구성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덧붙여,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이 장시간 동안 에칭 가스에 노출되기 때문에, 적층된 접속층에 대한 포토레지스트 층의 접촉 특성이 떨어지게 되어, 에칭 작동을 나쁘게 한다.
[발명의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미세 구조의 적층된 접속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절연층이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다. 하부 및 상부 금속층들이 제 1 절연층에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 2 절연층이 그 위에 형성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 층이 형성되고, 제 2 절연층과 상부 금속층이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에칭된다. 그런 후에,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이 제거되고, 측벽 절연층이 상부 금속층의 측벽에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하부 금속층이 제 2 절연층 및 측벽 절연층의 마스크로 에칭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제 1A 도 내지 제 1F 도를 참조하여, 적층 접속층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을 설명하겠다.
제 1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순물 영역(2)은 반도체 기판(1)내에 불순물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되며, 약 1㎛ 두께의 절연층(3)이 그 위에 증착된다.
다음으로, 제 1b 도에서, 상기 절연층(3)내에 종래의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에 의해 개구부(4)를 형성하여 절연층(3a)을 얻는다.
제 1c 도에서는, 약 50㎚ 두께의 티타늄 텅스텐(TiW)층 (5), 약 200㎚ 두께의 텅스텐(W)층(6), 약 500㎛ 두께의 알루미늄(Al) 합금층(7) 및 약 100㎚ 두께의 티타늄 텅스텐 (TiW) 층(8)이 전체 표면상에 연속적으로 증착되며, 더구나, 높은 용융점을 갖는 티타늄 텅스텐 층(5)과 텅스텐 층 (6)은 하부 금속층으로 사용되고, 놈은 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층(7)은 중간 금속층으로 사용되며, 놈은 용융점을 갖는 티타늄 텅스텐 층(8)은 상부 금속층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티타늄 텅스텐 층(5,8)은 도면부호 3과 같은 절연층에 접촉되는 양호한 접촉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텅스텐 층(6)은 도면부호 4와 같은 개구부를 위한 양호한 계단 적용 범위(step coverage) 특성을 가지며, 상기 텅스텐 층(6)은 CVD에 의해 증착되며 넓은 거친 표면을 갖는다.
그런 다음, 접속층의 형상화를 갖는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이 형성된다.
그 후, 제1D도에서와 같이, 상기 티타늄 텅스텐 층(8)은 SF6:BCI3=30sccm :15sccm 과 100mTorr 의 가스 압력 및 200W의 RF 동력의 조건하에서 SF6및 BCI3 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의 마스크에 이방성 에칭되어 티타늄 텅스텐 층(8a)을 얻는다. 연속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합금층(7)은 BCI6:CI2:N2=70sccm :50sccm :20sccm 과 150m Torr 의 가스 압력 및 500W의 RF 동력의 조건하에서 BCI6, CI2 및 N2 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의 마스크에 이방성 에칭되어 알루미늄 합금층(7a)를 얻는다. 이 경우, 상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은 또한 그 자체로서 에칭되어, 상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a)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e 도에서와 같이, 상기 텅스텐 층(6) 및 티타늄 텅스텐 층(5)은 SF6및 BCI3의 플라즈마 가스 또는 SF 및 HBr 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과 티타늄 텅스텐 층(8a) 및 알루미늄 합금층(7a)의 마스크에 이방성 에칭되어 텅스텐 층(6a) 및 티타늄 텅스텐을 얻는다. 이 경우에,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7a)과 티타늄 텅스텐 층(8a) 및 알루미늄 합금층(7a)은 또한 에칭되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b)과 티타늄 텅스텐 층(8b) 및 알루미늄 합금층(7b)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제 1f 도에서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b)은 제거됨으로써 상기(V1) 텅스텐 층(6a)을 포함하는 3중 적층 접속층을 완성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텅스텐 층(6) 및 티타늄 텅스텐 층(5)에 의해 형성된 하부 금속층을 에칭할 때, 상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a)은 플라즈마 가스내로 분산되는 탄소 입자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되며, 그러므로써, 상기 분산된 탄소 입자는 상기 절연층(3a)의 노출된 표면에 증착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절연층(3a)의 에칭 속도는 가속된다. 다시 말해서, 절연층(3a)과 티타늄 텅스텐 층(5) (및 텅스텐 층(6))의 선택비율(에칭 비율)은 현저히 증가된다. 그러므로, 제1e도에서와 같이, 상기 절연층(3b)의 표면은 매우 거칠게 된다.
만약, 상술된 선택 비율이 적당하지 않다면, 상기 티타늄 텅스텐 층(8b)과 알루미늄 합금층(7b)의 크기(제1e도 참조)는 원래의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의 크기와 비교하여 감소된다.(제1a도 참조). 특히, 상기 티타늄 텅스텐 층(8b)과 알루미늄 합금층(5b)의 폭은 그 전도성을 감소시키도록 감소되며, 그러므로써 강제 이동을 초래한다.
또한, 마지막 에칭 공정에서의 상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b)(제1e도)는 상기 개구부(4)의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개구부(4)내에 충전된 티타늄 텅스텐 층(5a)의 일부가 에칭될 수 있다면 또한 최악의 경우, 상기 불순물 영역(2)이 에칭될 수도 있다면, 접촉부에서의 단락이나 낮은 전도성과 같은 불량 접속과 상기 불순물 영역(2)에서의 접합 누설의 증가 및 접합부의 내구성의 감소와 같은 것이 발생될 수도 있다.
더욱이,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형상화 층(9(9a,9b))이 오랫동안 에칭 가스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티타늄 텅스텐 층(8)에 접촉을 위한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9a,9b))의 접촉 특성은 저하되며, 따라서, 상기 에칭 작용을 저하시킨다.
제2a도 내지 제2h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a도 및 제1b도와 각각 같은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불순물 영역(2)은 반도체 기판(1)내에 불순물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되며, 약 1㎛ 두께의 절연층(3)은 그 위에 증착된다. 다음으로, 개구부(4)는 절연층(3a)을 얻기 위해 종래 포토리쏘그라피 공정에 의해 절연층(3)내에 형성된다.
제1c도에 대응하는 제2c도에 도시된 것처럼, 약 50㎚ 두께의 티타늄 텅스텐(TiW)층(5)과, 약 200㎚ 두께의 텅스텐(W)층(6)과, 약 500㎛ 두께의 알루미늄(Al) 합금층(7)과, 약100㎚ 두께의 티타늄 텅스텐(TiW)층(8)은 제 1C 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 표면상에 연속적으로 증착된다.
그리고 플라즈마 CVD에 의해 약 200㎚ 두께의 절연층(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은 제1c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후 접속등의 형상화를 갖는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이 형성된다.
제2d도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층(10)은 포토제지스트 형상화층(9)에 이방성으로 에칭되어 절연층(10a)을 얻는다.
제2e도에 도시된 것처럼 티타늄 텅스텐 층(8)은 SF6 : BCI3 = 30sccm : 15sccm 과, 100nTorr 의 가스 압력과, 200W 의 RF 동력의 조건하에서 SF6및 BCI3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이 마스크에 이방성으로 에칭되어 티타늄 텅스텐 층(8)을 얻는다. 또한 알루미늄 합금층(7)은 BCI6: CI2: N2= 70sccm : 50sccm : 20sccm 과, 150nTorr 의 가스 압력과, 500W 의 RF 동력의 조건 하에서 BCI6, CI2및 N2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의 마스크에 이방성으로 에칭되어 알루미늄 합금층(7a)을 얻는다. 이 경우, 그 자체로서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이 에칭되어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은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a)으로 변형된다.
또한 제2f도에 도시된 것처럼,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a)이 제거된다. 그후 플라즈마 CVD에 의해 약 50㎚ 두께의 절연층(11)이 형성된다.
제2g도에 도시된 것처럼, 절연층(11)은 CF4: CHF3:Ar = 20sccm : 20sccm 과, 300mTorr 의 가스 압력과, 500W 의 RF 동력의 조건하에서 CF4 , CHF3및 Ar 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다시 에칭되어 티타늄 텅스텐 층(8a) 및 알루미늄 합금층(7a)의 측부상에서 측벽 절연층(11a)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제2h도에 도시된 것처럼, 텅스텐 층(6) 및 티타늄 텅스텐 층(5)은 HBr : SF6: N2= 60sccm : 30sccm : 20sccm 과, 100mTorr 의 가스 압력과, 300W 의 RF 동력의 조건하에서 HBr, SF6및 N2의 플라즈마 가스에 의해 절연층(10a) 및 측벽 절연층(11a)의 마스크에 이방성으로 에칭되어 텅스텐 층(6a) 및 티타늄 텅스텐(5a)를 얻는다. 따라서 CVD 텅스텐 층(6a)을 포함하는 3중 적층 접속층이 완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텅스텐 층(6) 및 티타늄 텅스텐 층(5)을 에칭하기 위한 스테이지에서, 포토레지스트 층[9(9a)]이 완전히 제거되기 때문에 (제2f도 참조) 탄소 입자가 생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절연층(3a)의 에칭 속도는 가속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티타늄 텅스텐 층(5a)(텅스텐 : 6a)에 대한 절연층(3a)의 선택비가 정밀하게 얻어진다.
또한,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을 이용하는 에칭 공정이 단지 절연층(10) 및 티타늄 텅스텐층(8) 및 알루미늄 합금층에 의해서만 수행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합금층(6a) 및 티타늄 텅스텐 층(5a)의 폭은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텅스텐 층(6) 및 티타늄 텅스텐 층(5)의 에칭이 절연층(10a) 및 측벽 절연층(11a)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텅스텐 층(6a) 및 티타늄 텅스텐 층(5a)의 폭은 감소되지 않으며, 측벽 절연층(11a) 의 두께는 약 2배로 증가된다.
따라서 층(5a, 6a, 7a, 8a)에 의해 형성된 적층 접속층에 따르면 그 전도성은 감소되지 않으며 응력 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보호 접속, 결합 누설 및 접합부의 내구성 감소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부 금속층은 티타늄 텅스텐 층(5a) 및 텅스텐 층(6a)에 의해 형성되지만 하부 금속층은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텅스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속층은 티타늄 텅스텐층(8a)에 의해 형성되지만 하부 금속층은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텅스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속층은 티타늄 텅스텐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반면에 그 하부 금속층은 알루미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알루미늄-구리 합금, 알루미늄-실림콘-구리 합금으로 제조될 수있으며, 그리하여 이중 적층 접속층을 형성한다.
또한 제2a도 내지 제2h도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0.4㎛ 0.05㎛ 룰(rule)이 적용될 수있다. 이 경우 개구부(4)의 반경은 0.4㎛이며,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의 폭은 0.4㎛이다. 절연층(11)의 두께는 50㎚(=0.05㎛)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텅스텐층(6a)은 포토레지스트 형상화층(9)보다 약 100㎚(0.10㎛) 넓으며 따라서 텅스텐층(6a)은 개구부(4)를 완전히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된 접속층은 응력이동, 불량 접속등을 초래하지 않고 보다 미세하게 구성될 수 있다.

Claims (6)

  1. 미세 구조 금속 접속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에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텅스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되는 하부 금속층(5,6)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금속층에 알루미늄, 알루미늄 실리콘 합금, 알루미늄-구리 합금과 알루미늄-실리콘-구리 합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되는 상부 금속층(7,8)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금속층에 제 2 절연층(10)을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층(9)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절연층과 상기 상부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에칭된 상부 금속층의 측부에 측벽 절연층(11a)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측벽 절연층과 상기 제 2 절연층의 마스크로 상기 하부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불순물 영역(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에 개구부(4)를 형성하는 단계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금속 형성 단계는 상기 하부 금속층이 상기 불순물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하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 방법.
  3.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에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텅스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되는 제 1 금속층(5,6)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층에 알루미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알루미늄-구리 합금 및 알루미늄-실리콘-구리 합금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되는 제 2 금속층(7)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금속층에 티타늄, 티타늄 질화물, 티타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및 텅스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되는 제 3 금속층(8)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금속층에 제 2 절연층(10)을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층(9)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절연층, 상기 제 3 금속층과 상기 제 2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금속층과 상기 제 2 금속층의 측부에 측벽 절연층(11a)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층과 상기 측벽 절연층의 마스크로 상기 하부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에 불순물 영역(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에 개구부(4)를 형성하는 단계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 형성 단계는 상기 하부 금속층이 상기 불순물 영역에 도달하도록 상기 하부 금속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방법.
  5.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에 불순물 영역(2)을 형성하는 단계와, 반도체 기판에 제 1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에 상기 불순물 영역에 도달하는 개구부(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에,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된 제 1 금속층(5), 텅스텐을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된 상기 제 2 금속층(6),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비고용융 온도 금속층으로 상기 제 3 금속층(7) 및 티타늄 텅스텐을 포함하는 고용융 온도 금속으로 제조된 상기 제 4 금속층(8)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금속층에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층(1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절연층과 제 4 금속층 및 제 3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및 제 3 금속층의 측부에 측벽 절연층(11a)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층과 상기 측벽 절연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및 제 1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 방법.
  6.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에 불순물 영역(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절연층(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에 상기 불순물 영역에 도달하는 개구부(4)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절연층에 접촉하기 위해 양호한 접촉 특성을 갖는 티타늄 텅스텐으로 제조된 제 1 고용융 온도 금속층(5)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금속층에 양호한 계단 적용 범위 특성을 갖는 텅스텐으로 제조된 제 2 고용융 온도 금속층(6)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고용융 온도 금속층에 고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비고용융 온도 금속층(7)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고용융 온도 금속층에, 티타늄 텅스텐으로 제조된 제 3 공용융 온도 금속층(8)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고용융 온도 금속층에, 양호한 접촉 특성을 갖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층(9)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을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절연층과 상기 제 4 및 제 3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포토레지스트 층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 3 절연층(1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4 및 제 3 금속층의 측부에 측벽 절연층(11a)을 형성하도록 재차 상기 제 3 절연층을 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절연층과 상기 측벽 절연층의 마스크로 상기 제 2 및 제 1 금속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구조 금속접속층 제조방법.
KR1019930025205A 1992-11-25 1993-11-25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KR0132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14487A JP2830658B2 (ja) 1992-11-25 1992-11-25 微細金属配線形成方法
JP92-314487 1992-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2549B1 true KR0132549B1 (ko) 1998-04-16

Family

ID=1805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205A KR0132549B1 (ko) 1992-11-25 1993-11-25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07862A (ko)
JP (1) JP2830658B2 (ko)
KR (1) KR0132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04B1 (ko) * 2013-03-14 2014-06-17 한국과학기술원 고온 공정이 가능한 mems 디바이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852A (ja) * 1993-11-02 1995-05-19 Sony Corp 金属配線材料の形成方法
US5656543A (en) * 1995-02-03 1997-08-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Fabrication of integrated circuits with borderless vias
US5858875A (en) * 1995-02-03 1999-01-12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s with borderless vias
US5757077A (en) * 1995-02-03 1998-05-2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s with borderless vias
US5705428A (en) * 1995-08-03 1998-01-06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te, Ltd. Method for preventing titanium lifting during and after metal etching
US6051502A (en) * 1997-10-20 2000-04-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conductive components and methods of forming conductive lines
TWI231293B (en) 1997-11-12 2005-04-21 Jsr Corp Transfer film
JP2000138224A (ja) * 1998-11-04 2000-05-16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02004026232B4 (de) * 2004-05-28 2006-05-04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integrierten Halbleiterschaltungsanordnung
DE102005043914B4 (de) * 2005-09-14 2009-08-13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bauelement für Bond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9437574B2 (en) * 2013-09-30 2016-09-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9515034B2 (en) 2014-01-03 2016-12-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Bond pad having a trench and method for forming
JP2018152418A (ja) * 2017-03-10 2018-09-27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ッチング用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838A (en) * 1990-10-04 1992-03-3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self-aligned conducting pillars in an (IC) fabrication process
US5262352A (en) * 1992-08-31 1993-11-16 Motorola, Inc. Method for forming an interconnection structure for conductive lay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04B1 (ko) * 2013-03-14 2014-06-17 한국과학기술원 고온 공정이 가능한 mems 디바이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63456A (ja) 1994-06-10
JP2830658B2 (ja) 1998-12-02
US5407862A (en) 1995-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9864B1 (en)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gate stacks
US5795823A (en) Self aligned via dual damascene
KR0132549B1 (ko) 미세 구조 적층 접속층 제조 방법
US616589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ual damascene structure
JP2001156170A (ja) 多層配線の製造方法
KR100277377B1 (ko) 콘택트홀/스루홀의형성방법
US20020006730A1 (en) Fine pattern form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or liquid cryst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employing this method
US5600170A (en) Interconnection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H107483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661736B1 (en) Method for fabricating multilayer semiconductor device
US6187686B1 (en) Methods for forming patterned platinum layers using masking layers including titanium and related structures
US20060160366A1 (en) Method for preparing a structure with high aspect ratio
US6057230A (en) Dry etching procedure and recipe for patterning of thin film copper layers
JP200314257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981161B1 (en) Proces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including a conductive fuse
US6831007B2 (en) 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Al/Cu structure
US6750140B2 (en) Process for producing contact holes on a metallization structure
KR100289655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US583436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multilayer wiring
US20050167843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multilayer wiring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88821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30045091A1 (en) Method of forming a contact for a semiconductor device
JPH05299397A (ja) 金属プラグの形成方法
JPH10256373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68726B1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