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25Y1 -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공구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25Y1
KR0132025Y1 KR2019930001608U KR930001608U KR0132025Y1 KR 0132025 Y1 KR0132025 Y1 KR 0132025Y1 KR 2019930001608 U KR2019930001608 U KR 2019930001608U KR 930001608 U KR930001608 U KR 930001608U KR 0132025 Y1 KR0132025 Y1 KR 0132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hole
tool holder
fluid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21U (ko
Inventor
마사카즈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마사카즈 마쓰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닛켕고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카즈 마쓰모토, 가부시키가이샤 닛켕고사쿠쇼 filed Critical 마사카즈 마쓰모토
Publication of KR940007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23Q11/1023Tool holders, or tools in general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the cutting liquid from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23C5/283Cutting inserts with internal coolant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23B2250/121Insert with coolant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구멍뚫는 바이트(8)에 의한 가공시에 그 칼날 선단부(10a)와 공작물(15)의 가공구멍(15b)을 절삭액으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는 공구홀더(1)를 제공한다. 구멍벽에 분사용 홈(6)을 형성한 공구지지구멍(4)에 상기 바이트(8)의 생크부(9)를 감합 고정하고, 분사용 홈(6)과 접속하는 유체통로(7)를 장착부(3)내에 설치하여 장착부(3)를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11)에 장착하여 유체통로(7)를 절삭액의 공급원과 연통시킨다.
구멍뚫음 가공시에 공급원으로부터 보내어지는 절삭액을 분사용 홈(6)을 통하여 공구홀더(1)의 선단면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분사하고, 공작물(15)의 가공구멍(15b)부와 바이트(8)의 칼날 선단부(10a)를 접근한 위치로부터의 냉각용 유체의 분사에 의해 냉각된다.

Description

공구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공고홀더를 도시한 사용상태의 일부 단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구홀더를 도시한 구멍뚫는 드릴 장착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구홀더 2 : 선단부
3 : 장착부 4 : 공구 지지구멍
5 : 클램프 볼트 6 : 분사용 홈
6a : 분사구 7,17 : 유체통로
8 : 구멍뚫는 바이트(공구) 9,19 : 섕크부
10 : 절인(절단칼날) 칩 10a,20 : 칼날 선단부
11 :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 12 : 부착구멍
13 : 부착볼트 14 : 공급구멍
15 : 공작물 18 : 구멍뚫는 드릴(공구)
본 고안은 구멍뚫는 바이트, 드릴 등의 공구를 지지하는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공구홀더로서, 공구의 섕크부를 공구 지지구멍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 지지시켜서 장착부를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 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공구로 공작물에 구멍을 파거나 뚫는 등 절삭가공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 구멍파기, 구멍뚫음 등의 가공시에 이동형 호스노즐을 사용하여 이 노즐에 외부로부터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를 공급하고, 가공구멍부와 공구의 칼날선단부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여 가공부와 공구의 칼날 선단부를 냉각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냉각용 유체에 의한 냉각으로서는, 노즐 선단을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에 접근시키지 않으면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없고, 노즐선단을 가공부와 공구의 칼날 선단부와의 미소한 틈에 접근시켜서 냉각하면, 가공중에 냉각용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노즐이 눌리어 편향하고,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용 유체의 분사방향이 어긋나서 가공부와 공구의 칼날 선단부에 냉각용 유체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되고, 특히 무인기에 의한 장시간 가공의 경우에는 냉각용 유체의 공급없이 가공을 행하고, 공구의 칼날 선단부의 마모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가공품의 품질불량이 발생한다는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를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절삭액등의 냉각용 유체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또 장시간 가공의 경우에도 상기 유체의 공급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냉각할 수 있고, 공구의 칼날부 마모를 작게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구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공구홀더에 있어서, 공구 지지구멍의 구멍벽에 축방향을 따라 냉각용 유체의 분사용 홈을 형성하고, 공구홀더의 선단면에 상기 분사용 홈의 선단에 설치한 분사구를 개구시켜서 공구홀더의 장착부 내의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어 통과하는 유체통로를 형성하여 이 유체통로에 분사용 홈의 기단을 접속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공구홀더는 구멍뚫는 바이트, 구멍뚫는 드릴 등의 공구 섕크부를 공구 지지구멍에 끼워 고정시키고, 장착부를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 등에 장착하여 상기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켜서 공작물에 구멍파기, 구멍뚫기 가공등을 행하며, 이 가공시에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으로 부터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를 유체통로를 거쳐 분사용 홈에 압송하고, 분사용 홈과 공구의 섕크부에 의해 구성된 유체통로를 통하게 하여 공구홀더의 선단면으로 부터 축방향을 따라 냉각용 유체를 분사하여 공작물의 가공부와 공구의 칼날 선단부를 이들에 접근시킨 위치로 부터의 냉각용 유체의 분사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용 유체는 공구홀더의 공구 지지구멍의 구멍벽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시키므로서 분사방향이 어긋남이 없이 접근한 위치로 부터의 분사에 의해 상기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에 냉각용 유체를 보내어 이들을 냉각하기 때문에 소량의 상기 유체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기 등에 의하여 장시간 가공을 행하여도 냉각용 유체가 상기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로 부터 어긋나지 않으므로서 이 칼날 선단부가 충분하게 냉각되어 쉽게 마모되지 않고, 마모된 칼날 선단부에서의 가공에 기인한 불량품의 발생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중, 1은 공구홀더이고, 이 홀더(1)는 소외경의 선단부(2)의 기부측에 단을 개재시켜서 대외경의 장착부(3)가 형성되고, 선단부(2)로 부터 장착부(3)의 선단측부 까지의 중심부에 공구 지지구멍(4)이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2)에는 축방향의 2개소에 클램프 볼트(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공구홀더(1)의 공구 지지구멍(4)의 구멍벽 둘레방향의 1개소에는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의 분사용 홈(6)이 공구 지지구멍(4)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분사용 홈(6)은 선단에 설치한 분사구(6a)가 공구 지지구멍(4)의 선단과 함께 선단부(2)의 선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또, 장착부(3) 내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서 유체통로(7)가 형성되고, 유체통로(7)는 선단에 분사용 홈(6)의 기단이 접속되고, 말단이 장착부(3)의 말단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로서 구멍뚫는 바이트(8)를 사용하여 그 스트레이트 섕크부(9)가 공구지지구멍(4)에 끼워지고, 섕크부(9)에 형성된 편평부(9a)에 클램프 볼트(5)의 내단이 강압되어 섕크부(9)는 공구홀더(1)에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 고정된다. 또한, 구멍뚫는 바이트(8)는 선단부에 절인(절단칼날) 칩(10)이 고정되고, 그 칼날 선단부(10a)가 분사용 홈(7)의 연장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 공구홀더(1)는 장착부(3)가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11)에 설치된 부착구멍(12)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절삭공구대(11)에 나사 결합된 복수의 부착볼트(13)의 내단에 의해 장착부(3)에 설치된 편형 절결부(3a)가 강압되어 절삭공구대(11)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절삭공구대(11)에는 도시 생략한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에 접속된 냉각용 유체의 공급구멍(14)이 형성되고, 공급구멍(14)의 선단이 부착구멍(12)의 바닥에 설치된 공급구부(14a)를 개재시켜서 냉각용 유체통로(7)의 말단에 접속한다.
상술한 공구홀더(1)에는 구멍뚫는 바이트(8)를 지지 고정하고, 공구홀더(1)를 절삭공구대(11)에 장착하여 공작물(15)에 구멍뚫기 가공을 행한다. 이 가공은 적시에 도시 생략한 판을 열어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으로 부터 펌프 등에 의해 공급구멍(14)에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를 압송하고, 이 유체를 공구홀더(1)의 상기 유체통로(7)를 거쳐서 분사용 홈(6)에 압송하여 이것과 구멍뚫는 바이트(8)의 섕크부(9)에 의해 구성된 유체통로를 통과하여 분사구(6a)로 부터 냉각용 유체를 구멍뚫는 바이트(8)의 외주면을 따르게 하여 분사시키면서 이 바이트(8)의 칼날 선단부(10a)에 의해 공작물(15)의 아래구멍(15a) 주위부분을 절삭한다.
이 구멍뚫은 가공시에는 공구홀더(1)와 함께 구멍뚫는 바이트(8)를 축둘레를 회전하면서 절삭공구대(11)에 의해 전진시킴과 동시에 분사용 홈(6)의 분사구(6a)로 부터 냉각용 유체를 제1도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8)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분사한다. 분사한 냉각용 유체는 고압력으로 바이트(8)의 칼날 선단부(10a)를 향하여 방출되므로 공작물(15)의 가공구멍(15a)부와 칼날 선단부(10a)를 이들에 접근한 공구홀더(1)의 선단면 위치로 부터의 상기 유체의 분사에 의해 가공구멍(15a)의 속끝까지 상기 유체를 확실하게 보내어 냉각할 수 있다.
제3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중, 제1도, 제2도와 동일한 부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제2실싱에서는 원주방향의 3개소에 냉각용 유체의 분사용 홈(6)을 120°각도 간격으로 형성하고, 원주방향의 1개소에 분사용 홈(6) 사이의 중앙에 배치하여 클램프 볼트(5)를 나사 결합하여 분사용 홈(6)의 기단과 접속하는 유체통로(17)를 횡단면 원형의 구멍으로 한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를 뿐이다. 또, 공구로서 구멍뚫는 드릴(18)을 사용하고, 이 드릴(18)의 섕크부(19)를 공구 지시구멍(14)에 끼워져서 섕크부(19)에 형성된 편평부(19a)에 클램프 볼트(5)의 내단을 강압하고, 섕크부(19)를 공구홀더(1)에 착탈 가능하도록 지지시킨다. 그리고, 공작물(도시생략)에 구멍뚫는 드릴(18)의 칼날선단부(20)에서 구멍뚫는 가공을 행할 때 3개의 분사용 홈(6)의 전부로 부터 제3도의 화살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드릴(18)의 축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를 분사시켜서 공작물의 구멍뚫음부와 드릴(18)의 칼날 선단부를 냉각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제2실시예에서는 냉각용 유체로서 절삭액 등을 사용했지만, 본 고안은 냉각용 유체로서 고압수나 냉각공기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본 고안에 사용되는 공구는 구멍뚫는 바이트, 구멍뚫는 드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도 된다.
나아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구의 스트레이트 섕크부가 끼워지는 공구 지지구멍을 가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공구의 테이퍼진 공구 지지구멍을 가지는 것 등 공구 지지구멍 및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의 장착하는 장착부를 가지고 있으면 공구홀더의 구성은 반드시 상기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분사용 홈의 수, 위치, 횡단면 형상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홀더는 공구의 섕크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저 지지하는 공구 지지구멍의 구멍벽에 축방향을 따라 냉각용 유체의 분사용 홈을 형성하고, 공구홀더의 선단면에 상기 분사용 홈의 선단에 설치된 분사구를 개구시켜서 공구홀더의 장착부 내에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게 관통하는 유체통로를 형성하여 이 유체통로에 분사용 홈의 기단을 접속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공구홀더는 구멍뚫는 바이트, 구멍뚫는 드릴 등의 공구의 섕크부를 공구 지지구멍에 끼워서 지지시키고, 장착부를 공작기계의 절삭공구대등에 장착하여 상기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켜서 공작물에 구멍파기, 구멍뚫기등의 가공을 행하며, 이 가공시에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으로 부터 절삭액 등의 냉각용 유체를 유체통로를 거쳐 분사용 홈에 압송하고, 분사용 홈과 공구의 섕크부에 의하여 구성된 유체통로를 통하여 공구홀더의 선단면으로 부터 축방향을 따라 냉각용 유체를 분사하여 공작물의 가공부와 공구의 칼날 선단부를 이들에 접근한 위치로 부터의 냉각용 유체의 분사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용 유체는 공구홀더의 공구 지지구멍의 구멍벽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서 분사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접근한 위치로 부터의 분사에 의해 상기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에 냉각용 유체를 보내어 이들을 냉각하기 때문에 소량의 상기 유체로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기 등에 의하여 장기간 가공을 행하여도 냉각용 유체가 가공부와 칼날 선단부로 부터 어긋나지 않으므로서 이 칼날 선단부가 충분하게 냉각되어 쉽게 마모되지 않고, 마모된 칼날 선단부에서의 가공에 기인한 불량품도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7)

  1. 공구의 섕크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서 지지하는 공구 지지구멍과, 공작기계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부를 갖춘 공구홀더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멍의 구멍벽에 축방향을 따라 냉각용 유체의 분사용 홈을 형성하고, 공구홀더의 선단면에는 상기 분사용 홈의 선단에 설치된 분사구를 개구시켜서 상기 장착부 내에 냉각용 유체의 공급원과 연결되게 관통되는 유체통로를 형성하여 이 유체통로에 분사용 홈의 기단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지지구멍의 외주측 부분에 공구의 섕크부를 강압하는 클램프 볼트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구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공작기계측에 나사 결합된 부착볼트에 의해 강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지지구멍은 공구의 스트레이트 섕크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지지구멍은 공구의 테이퍼진 섕크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지지구멍은 공구의 스트레이트 섕크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지지구멍은 공구의 테이퍼진 섕크부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KR2019930001608U 1992-04-20 1993-02-08 공구홀더 KR01320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5191U JPH0585535U (ja) 1992-04-20 1992-04-20 工具ホルダー
JP25191/1992 1992-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21U KR940007321U (ko) 1994-04-12
KR0132025Y1 true KR0132025Y1 (ko) 1998-12-15

Family

ID=1215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608U KR0132025Y1 (ko) 1992-04-20 1993-02-08 공구홀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0585535U (ko)
KR (1) KR0132025Y1 (ko)
DE (1) DE4307280A1 (ko)
FR (1) FR2690102B1 (ko)
GB (1) GB2266676B (ko)
IT (1) IT1263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368B2 (ja) * 1992-06-17 1996-06-26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ク―ラント供給方法および装置
JP2511065Y2 (ja) * 1993-10-27 1996-09-18 ビッグアルファ株式会社 油供給路付き工具
EP0748187A1 (de) * 1995-01-06 1996-12-18 Synthes Ag Chur Kühlbare bohrbüchse
DE19717005A1 (de) * 1997-04-23 1998-10-29 Kennametal Inc Spannfutter für Rundlaufwerkzeuge
DE19821270A1 (de) 1998-05-13 1999-11-18 Otto Bilz, Werkzeugfabrik Gmbh & Co Futter für drehantreibbare Werkzeuge, insbesondere Bohrer, Gewindebohrer o. dgl.
US7357607B2 (en) 2003-08-07 2008-04-15 Pv Engineering & Mfg., Inc. Tool holder
FR2866822B1 (fr) * 2004-03-01 2007-04-06 Rusch Outil De Prec Outil de tournage
CH707123A2 (de) * 2012-10-25 2014-04-30 Utilis Ag Klemmvorrichtung mit einem Kühlmittelkanal zur Kühlung spanabhebender Werkzeuge in Drehmaschinen.
JP2015077669A (ja) * 2013-10-18 2015-04-2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切削工具用ホルダ及び切削工具
US20160207122A1 (en) * 2015-01-15 2016-07-21 X'pole Precision Tools Inc. Blade fastening device having cuttign fluid guide grooves on a blade
KR102396577B1 (ko) * 2021-10-01 2022-05-10 이지훈 워터젯 구동 스핀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540A (en) * 1990-03-21 1992-02-04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Endmill with notched shank
DE4019428C2 (de) * 1990-06-19 1997-07-03 Fette Wilhelm Gmbh Drehantreibbares Schaftwerk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63779B (it) 1996-08-29
DE4307280A1 (de) 1993-10-21
KR940007321U (ko) 1994-04-12
JPH0585535U (ja) 1993-11-19
FR2690102A1 (fr) 1993-10-22
FR2690102B1 (fr) 1994-10-28
GB2266676A (en) 1993-11-10
GB9302580D0 (en) 1993-03-24
GB2266676B (en) 1995-08-02
ITMI930082A1 (it) 1994-07-20
ITMI930082A0 (it)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569Y1 (ko) 공구에의 유체공급장치
US5290135A (en) Rotary ring cutter having coolant distribution and discharge means
KR0132025Y1 (ko) 공구홀더
US7153187B2 (en) Metal machining apparatus and laser-targeted coolant nozzle employed therewith
WO2002068142A1 (en) Chip removing machining of a workpiece while applying high pressure cooling liquid
JP2016520008A (ja) 真空穿孔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3703904B1 (en) Machine cutting tool and cooling method
JP2010142889A (ja) 工具保持具、工具保持具用切削液供給プレート及び切削加工方法
US7357607B2 (en) Tool holder
JPH0825109A (ja) 切削工具
JP2008221400A (ja) 切削加工装置
JPH0318083Y2 (ko)
JPH07237006A (ja) 溝入れ用工具
US6471573B1 (en) Adapter for supplying lubricating fluid to a workpiece-engaging tool
JPH1133812A (ja) エンドミル
JPH0717452U (ja) クーラント噴出路を備えた工具ホルダ
KR20030030152A (ko) 주축 내부에서의 절삭유 분사 각도 조절장치
JPH11333665A (ja) 流体のピンポイントブロー方法
JP2005022063A (ja) アーバおよび回転工具
JP2003266233A (ja) エアー自給式回転切削工具
JPH106123A (ja) ワークの切削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エンドミル
JPH0663219U (ja) 回転切削工具
JP3166502U (ja) クーラント液供給の工具ホルダー
JP3069656U (ja) 切削油供給ノズル
TW202308773A (zh) 工具架及轉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