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55B1 - 시뇨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시뇨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55B1
KR0131955B1 KR1019940030483A KR19940030483A KR0131955B1 KR 0131955 B1 KR0131955 B1 KR 0131955B1 KR 1019940030483 A KR1019940030483 A KR 1019940030483A KR 19940030483 A KR19940030483 A KR 19940030483A KR 0131955 B1 KR0131955 B1 KR 013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drying tank
container means
treatment devi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04A (ko
Inventor
미츠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기시히로코
가부시키 가이샤 렌타루노닛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시히로코, 가부시키 가이샤 렌타루노닛켄 filed Critical 기시히로코
Publication of KR95001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axis
    • F26B11/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axis with stirring devices which are held station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4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in combination with heat developed by electro-magnetic means, e.g. microwave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95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provisions for drying by electro-magnetic means, e.g. radiation,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F26B3/205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the materials to be dried covering or being mixed with heated inert particles which may be recyc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Abstract

시뇨처리장치는 시뇨를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으며 시뇨를 용기의 내부로 도입하여 가열, 증발 건조하는 경우에 그 자체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요기를 세정한다. 시뇨처리장치는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성이 있는 금속성의 용기수단과, 이 용기수단에 접근하여 고주파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가열수단과, 용기수단을 그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회전유지수단과, 이 용기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용기수단내부에 수납되어 구형상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교반수단과,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용기수단의 바닥으로 그 하단이 연장하여 교반수단에 접촉하는 방해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시뇨처리장치
제1도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시뇨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시뇨처리장치를 이동식 가설화장실에 응용한 예를 나타낸 가설화장실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시뇨처리장치전체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계략도.
제3도는 시뇨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변기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시뇨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바깥틀을 파단시킨 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시뇨처리장치에서 건조탱크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건조탱크를 중앙에서 절단한 측면도.
제6도는 시뇨처리장치에서 건조탱크의 내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덮개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시뇨처리장치에서 건조탱크의 유지기구, 구동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8도는 시뇨처리장치에서 건조탱크부근에 설치되는 각 부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9도는 시뇨처리장치에서 삽입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요부기구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제10도는 시뇨처리장치의 각 기구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접속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설화장실 2 : 기대
3 : 하우스 4 : 도어
5 : 시뇨처리장치 6 : 변기
10 : 건조부 11 : 삽입작동부
12 : 제취부(除臭部) 13 : 먼지회수부
14 : 시뇨도입부 17 : 유지구체
18 : 덮개판 19 : 건조탱크
20 : 모터 21 : 모터받침대
22 : 도입파이프 23,24 : 셔터
25 : 분리통 26 : 조인트파이프
27 : 환원통 28 : 배기파이프
30 : 중앙돌출부 31,32 : 유지링
33 : 교반체 34 : 히터유니트
35 : 투입구 36 : 시일
38 : 지지로울 39 : 대기어
40 : 소기어 41 : 출력축
43 : 안정로울러 44 : 측면로울러
46,47,48 : 방해기둥 49 : 청수구멍
50 : 배기구 51 : 청소파이프
55 : 앵글체 56 : 승강모터
57 : 출력축 58 : 워엄
59 : 워엄기어 60 : 나사막대
61 : 연결봉 65 : 히터
66 : 촉매 67 : 배출기
68,73 : 모터 69,74 : 팬
71 : 집진주머니 72 : 배출기
본 발명은, 정화처리시설이 없는 옥외, 선박이나 전차 등의 교통기관, 외부주위가 폐쇄되어 바큠카(시뇨수거차)가 들어갈 수 없는 터널 등에서 시뇨처리를 행하는 시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조탱크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시뇨의 교반과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시뇨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일반가옥에 있어서는 수세식 화장실 등에 의해 하수관으로 방출시키든가, 정화조에 일시 저류하여 정화시킨 후에 하천으로 방류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러나, 옥외에서 모임 등을 개최하는 경우, 예컨대 운동회, 가설시장, 집회 등과 같이 인원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종래로부터 가설화장실을 마련하여 참가자의 생리적현상을 해소하고 있다.
이와같이 종래에 있어서 옥외나 정화설비가 없는 장소에서의 시뇨처리를 위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 화장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시뇨를 일시 수납하는 변기 탱크를 가지는 것으로서,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를 이 변기탱크에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설화장실을 사용한 후에는, 바큠카 등에 의해 변기탱크에 저장된 시뇨를 회수하여, 시뇨처리시설로 이송시켜야만 한다. 이 때문에, 회수 후의 처리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후처리가 번거롭고 비위생적인 것이었다.
또한 장거리를 이동하는 전차, 버스, 선박 등과 같은 교통기관에서는 배설된 시뇨를 보관하는 전용탱크를 구비하여 두고, 이 탱크에 시뇨를 수납하여 화학약품등으로 방취(防臭)처리를 행한 후, 종착역이나 중계지점에서 바큠카에 의해 회수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것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가설화장실, 혹은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기관에서의 시뇨처리는, 인체에서 배설된 그 상태로 저류하고, 그후에 회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 때문에, 저류방법, 회수방법, 처리방법 등 그 어느 것이라도 비근대적이고,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가설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면 배설된 시뇨가 탱크내부에 잔류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 후의 처리작업을 작업원이 꺼리기 때문에, 가설화장실을 설치한 후의 관리유지의 근대화를 위하여도 바람직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이와같은 현상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시뇨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로 고려되어 왔다. 예를들면, 시뇨와 함께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살균 및 방취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일본국의 신간선(新幹線) 등과 같은 교통기관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약품이 탱크내부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약품사용에 따른 경비가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비닐 등과 같은 주머니에 시뇨를 수납하여 포장함으로써 냄새 발산을 방지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1회의 배설시에 꽤 넓은 면적을 갖는 비닐주머니를 사용하여야만 하므로, 처리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후일 비닐주머니에서 시뇨를 분리하기 위한 처리가 번거롭고, 그 처리시설의 규모가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시뇨를 수납하는 건조탱크내부에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설치하고, 또 건조탱크에는 다수의 축열(畜熱)체를 수납한 시뇨처리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장치에서는 건조탱크를 외부에서 가열시킴과 동시에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신속하게 시뇨를 건조하여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을 증발시킬수 있는 것이다(일본국 특원소 63-124150호, 특원평 2-411577호).
이 신규로 제안된 시뇨처리장치를 이용하면, 배설된 시뇨는 건조탱크 내부에서 가열되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이 증발되어 대기중으로 발산된다. 이와같이 밀폐된 건조탱크내부에서 시뇨를 증발확산시키는 것은 위생적이며, 작업을 시스템화할 수 있고, 관리유지 등에 있어서도 작업원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밀폐된 건조탱크의 내부에 수납된 시뇨를 균일하게 가열하여 증발시키기 위하여는 교반시켜야만 하며, 또한 증발 후에 남은 시뇨의 성분중에서 증발시킬 수 없는 찌꺼기에 대하여는 청소하여 제거해야만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위하여 종래에는 건조탱크의 내부에 교반가능한 날개나 청소기구를 설치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교반날개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건조탱크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회전축을 지지해 주어야만 하므로, 장치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기구의 규모가 커지게 된다. 또한, 건조탱크의 내부에는 건조시키고자 하는 시뇨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증발되지 않는 이물질도 투입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금속성의 볼펜, 벨트, 의류 등이다. 이와같은 이물질이 건조탱크로 투입된 상태에서 시뇨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면, 교반날개와 건조탱크의 간극으로 이들의 이물질이 파고들어 교반날개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므로,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탱크의 내부에 회전축과 교반날개를 수납하여 두어야만 하기 때문에, 한정된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이 이들의 기구들로 인하여 좁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없어 매우 불합리한 것이었다.
이와같은 점들에 의해, 회전축이나 교반날개를 내부에 수납시키지 않고,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시뇨의 교반과 증발 후의 청소를 행할 수 있는 시뇨처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성이 있는 금속성의 용기수단과, 이 용기수단에 접근하여 고주파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가열수단과, 용기수단을 그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회전 유지수단과, 이 용기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용기수단내부에 수납되어 구형상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교반수단과,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용기수단의 바닥으로 그 하단이 연장하여 교반수단에 접촉하는 적어도 1본 이상의 방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뇨를 수납한 건조탱크자체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건조탱크의 내부에는 구형으로 된 교반구가 수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건조탱크를 회전시키면, 건조탱크에 수납된 시뇨를 축열구가 회전되어 시뇨는 축열구에 의해 교반된다. 그리고, 건조탱크의 하부에는 고주파코일이 수납된 히터유니트를 배치하여, 이 히터유니트에 의해 고주파의 전자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전자파는 건조탱크와 교반구의 내부에서 교반되기 때문에, 전자유도가열에 의해 건조탱크와 교반구가 그 자체에서 발열하게 되어 시뇨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건조탱크를 회전시킨면서 히터유니트에 의해 가열하면, 내부에 수납된 시뇨는 교반되면서 가열되어,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을 수증기로서 증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뇨의 건조종료 후에 건조탱크의 내부에는 시뇨중에서 증발할 수 없는 섬유질 등의 찌꺼기가 잔류하게 된다. 이 찌꺼기는 건조탱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축열체가 회전구동하고, 축열체의 회전으로 찌꺼기는 깍여 떨어짐과 동시에 분쇄되어 먼지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먼지는 진공소제기와 같은 원리로 흡인하여, 건조탱크의 내부에 잔류하는 분말로 된 먼지를 청소할 수 있다.
이와같은 건조탱크의 구성에 의해, 건조탱크의 내부가 매우 간소하게 되고, 시뇨와 함께 금속성의 이물질이나 의복 등이 투입되어도 날개 등으로 파고들 수가 없기 때문에 건조탱크의 회전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교반날개에 의해 시뇨를 교반시키기 때문에 고장의 원인이 되지 않고, 건조탱크를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뇨처리장치만을 단독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수 있는 가설회장실(1)에 응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설화장실(1)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가설화장실(1)의 바깥틀은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강화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입체형의 상자형태로 되어 있다. 이 가설화장실(1)의 바닥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대(2)로 되어 있고, 이 기대(2)는 입방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이 기대(2)의 상부에는 지붕이 부착된 하우스(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우스(3)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열려져 이용자가 하우스(3)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도어(4)가 장착되어 있다.
이 가설화장실(1)의 내부에서 기대(2)의 상부에는, 시뇨를 건조시켜 처리하는 시뇨처리장치(5)가 고정되어 있다. 이 시뇨처리장치(5)의 상면 중앙에는 서양식의 변기(6)가 고정되어 가설화장실(1)의 이용자는 이 변기(6)를 배설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시뇨처리장치(5)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뇨처리장치(5)에 있어서의 주요부재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시뇨처리장치(5)는 전력 등을 공급함으로써 그 자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유니트에 조립되고, 각 부는 크게 구분하여 건조부(10), 삽입작동부(11), 제취부(12), 먼지회수부(13), 시뇨도입부(14)의 기구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제2도에서 시뇨처리장치(5)내부의 앞쪽 중앙에는 건조부(10)가 설치되고, 이 건조부(10)는 각파이프로서 틀형태로 조립하여 입방형으로 된 유지구(1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지구체(17)의 내부중앙에는 용기수단을 구성하는 건조탱크(19)가 회전이 자유롭게 수납되고, 이 건조 탱크(19)에 접근하여 유지구체(17)에는 건조탱크(19)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인 모터(20)가 장착되어 있으며, 건조탱크(19)의 하부에는 평판형상으로서 내부에 고주파용코일이 배치된 전자가열수단인 히터유니트(34)가 고정된다. 그리고, 유지구체(17)의 상면은 평판의 덮개체(19)가 고정되고, 이 덮개체(18)는 유지구체(17)와 일체로 되어 구조체를 구성하며, 이 덮개체(18)에 의해 건조탱크(19)상부의 개구가 차폐되어 있다.
이 덮개체(18)의 중앙에는 내부가 중공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도입파이프(22)가 상하방향으로 향하여 형성되고, 이 도입파이프(22)의 상단개구는 변기(6)의 아래면과 연결되어 있다. 이 도입파이프(22) 도중의 상하에는 밸브수단인 셔터(23), (24)가 이단으로 장착되어, 이 셔터(23),(24)를 서로 개폐시킴으로써, 도입파이프(22)를 통과하여 변기(6)와 건조탱크(19)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지구체(17)의 후부에는 삽입작동부(11)가 장착되고, 시뇨처리장치(5)의 내부에서의 건조부(10)의 후부 좌우에는 각각 제취부(12)와 먼지회수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취부(12)는 건조탱크(19)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며, 통형상으로서 축선을 상하방향으로 향하여 환원통(27)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18)의 상면과 환원통(27)의 상단은 배기파이프(28)에 의해 연결되고, 이 배기파이프(28)에서 건조탱크(19)의 내부와 환원통(27)의 내부가 연결된다. 또한, 먼지회수부(13)는 시뇨의 건조종료 후에 건조탱크(19)의 내부에 남은 찌꺼기를 흡인하고, 그후 공기와 찌꺼기를 분리하므로써 찌꺼기를 청소할 수 있는 것이며, 전기소제기와 유사한 내부구성을 갖는 분리통(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리통(25)의 상단과 삽입작동부(11)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내부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조인트파이프(2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조인트파이프(26)로써 건조탱크(19)의 내부와 분리통(25)의 내부가 연결된다.
다음에 제3도는 전술한 제2도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5)의 내부배치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덮개체(18)에서 도입파이프(22)를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고, 따라서 덮게체(18)의 아래면에 가려진 건조탱크(19)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상기 제2도에 있어서의 시뇨처리장치(5)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기 위해 바깥틀을 절단하여 유지구체(17)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5도는 전술한 건조부(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건조부(10)의 중앙에 있는 건조탱크(19)를 그 중심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6도는 전술한 건조부(10)의 상면에 있는 덮개체(10)을 떼어내고, 위쪽에서 건조탱크(19)를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전술한 건조부(10)의 건조탱크(19)부근에 마련되는 각종 부재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덮개체(18)를 약간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건조탱크(19)의 주위에 있는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건조탱크(19)의 구동기구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부재의 일부를 생략하고 주요부재만을 도시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제5도, 제6도, 제7도, 제8도에 의거하여 전술한 건조부(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건조부(10)의 바깥틀은 철제의 각 파이프를 틀상태로 조립한 유지구체(17)로써 구성되고, 이 유지구체(17)는 네모서리의 가장자리에 각 파이프가 배치되어 중앙에 공간을 가지며, 이 유지구체의 중앙에 건조탱크(1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구체(17)내부의 하부에서 약간 위쪽에는, 평판형상으로 된 모터받침대(21)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모터받침대(21)의 중앙에는 원형의 큰 구멍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에는 건조탱크(19)가 삽입되어 건조탱크(19)가 회전하여도 모터받침대(21)와 접촉하지 않도록 떨어져 있으며, 이 모터받침대(21)의 상면에 모터(20)의 바닥부가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건조탱크(19)는, 철, 스테인리스 등의 내열성이 있는 금속성재료로 형성되며, 건조탱크(19)는 상단이 크게 개구되어 바닥을 갖는 용기형태로서 바깥둘레가 원형이고, 그 바닥부의 중앙은 위쪽으로 향하여 산형상으로 융기된 중앙돌출부(30)를 가지고 있다. 이 건조탱크(19)상단의 개구는 덮개체(18)의 아래면에 접근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덮개체(18)의 건조탱크(19)의 중심축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투입구(35)가 개구되고, 이 투입구(35)에는 상기 도입파이프(22)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18)의 아래면에서 건조탱크(19)상단의 바깥둘 위치에는, 건조탱크(19)의 바깥둘레에 가볍게 접촉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시일(36)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조탱크(19)의 상단개구는 덮개체(18) 및 시일(36)에 의해 폐쇄되며, 외부에서는 밀폐되어 폐쇄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 이 건조탱크(19)의 내부에는, 주철이나 스테인리스 등(경우에 따라서는 세라믹 등의 소결계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있음)으로 거의 구형으로 형성된 교반수단인 교반체(33)가 복수개 투입되어 있다(제5도 참조).
다음에, 제6도, 제7도, 제8도에 의해, 이 건조탱크(19)를 지지하는 기구, 회전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건조탱크(19)바깥둘레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링형상의 유지링(31),(32)이 띠형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건조탱크(19)는 상하로 간격을 둔 유지링(31),(32)으로서 이단으로 조여져 있다. 이 유지링(31)의 아래면에는 3개의 회전가능한 지지로울(38)이 접촉되고, 각 지지로울(38)은 수평방향으로 등분할된 위치에 있으며(수평방향으로 120도씩 떨어져 있음), 각 지지로울(38)은 유지구체(17)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링(31)은 3개의 지지로울(38)에 의해 그 중심축을 수직으로 하여 유지되고, 각 지지로울(38)은 회전가능하므로, 유지링(31)은 중심축을 수직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이 때문에 유지링(31)에 고정 설치된 건조탱크(19)의 자중은 이 지지로울(38)로써 유지되므로, 건조탱크(19)도 동시에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또한, 건조탱크(19)의 측면에는 3개의 측면로울러(44)가 접촉되어 있고, 각 측면로울러(44)는 그 축선이 수직으로 되도록 유지구체(17)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 측면로울러(44)는 건조탱크(19)주위의 등분할된 위치에 있으며(수평방향으로 120도씩 떨어져 있음), 또 상기 각 유지링(31)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건조탱크(19)주위의 3개소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측면로울러(44)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탱크(19)는 그 중심축이 편심되지 않고 그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탱크(19)의 상단개구에서는, 중앙에 커다란 개구를 형성하고, 그 주위에 기어면을 형성한 대기어(39)가 삽입되어 있고, 이 대기어(39)의 아래면에는 상기 유지링(32)의 상면이 밀착하여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대기어(39)의 내경은 건조탱크(19)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며, 유지링(32)의 상면에 대기어(39)가 띠형상으로 끼워맞춤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대기어(39)의 상면에는 3개의 안정로울러(43)가 접촉되며, 각 안정로울러(43)는 유지구체(17)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안정로울러(43)는 건조탱크(19)주위의 등분할된 위치에 있으며(수평방향으로 120도씩 떨어져 있음). 상기 지지로울(38)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각각 3개씩의 지지로울(38), 안정로울러(43), 측면로울러(44)에 의해 건조탱크(19)는 상하와 측면에서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접촉되고, 건조탱크(19)는 항상 그 축선을 수직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기어(39)의 바깥둘레에는, 그 바깥둘레에 기어면을 형성한 소기어(40)가 맞물려져 있고, 이 소기어(40)는 상기 모터(20)의 출력축(41)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에 의해 모터(20)의 출력축(41)이 회전함으로써 소기어(40), 대기어(39)가 구동되고, 이어서 대기어(39)에 고정설치된 유지링(32)과 건조탱크(19)가 그 중심축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회전시킨다.
다음에, 상기 덮개체(18)의 아래면에 있어서 건조탱크(19)의 내측위치에는, 3본의 방해수단인 방해기둥(46),(47),(48)의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각 방해기둥(46),(47),(48)은 투입구(35)를 중심으로 하여 등분할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수평방향으로 120도씩 떨어져 있음). 이 방해기둥(46),(47),(48)은 수평의 단면이 삼각형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18)가 건조탱크(19)의 상단개구와 접근한 상태에서 각 방해기둥(46),(47),(48)의 하단은 각 건조탱크(19)의 바닥면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각 방해기둥(46),(47),(48)은 건조탱크(19) 내부로 적절히 매달려 아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해기둥(46)에는 그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긴 청소구멍(49)이 관통되고, 이 청소구멍(49)내부에는 내부가 중공인 청소파이프(51)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덮개체(18)의 투입구(35)에 접근한 위치에서 방해기둥(46),(48)의 사이에는 배기구(50)가 관통하여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탱크(19)의 아래쪽에는, 이 건조탱크(19)의 아래면과 약간 간격이 떨어져 고주파의 전자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주파코일을 내장한 히터유니트(3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9도에 의해 건조부(10)로 접근하여 설치된 삽입작동부(11)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덮개체(18)의 측면에는 단면이 ㄷ자형의 절곡된 앵글체(55)가 고정설치되고, 앵글체(55)는 ㄷ자형의 개구부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위치된다. 이 앵글체(55)의 복자형사이의 공간에는 승강모터(56)가 그 축선이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모터(56)에 의해 회전되는 출력축(57)에는 워엄(58)이 고정설치되고, 이 워엄(58)에는 앵글체(55)의 복자형으로 절곡된 공간으로 삽입되는 워엄기어(59)에 맞물러져 있다. 또 앵글체(55)는 상하로 관통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내부에는 긴 형상의 나사막대(6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넣어져 있으며, 나사막대(60)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수나사에는 워엄기어(59)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맞춤된다.
또한, 나사막대(60)의 상단에는 덮개체(18)의 중심으로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봉(61)이 고정설치되고, 이 연결봉(61)의 선단은 상기 청소파이프(51)의 상단과 고정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모터(56)의 출력축(57)이 회전하면 워엄(58)이 종동회전하여 워엄(58)에 맞물린 워엄기어(59)가 회전된다. 이 워엄기어(59)가 회전하면 그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가 나사막대(60)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수나사의 주위를 미끄럼동작하고, 양자의 나사피치에 의해 나사막대(6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나사막대(60)의 이동에 따라 연결봉(61)과 청소파이프(51)가 상하동작하여 청소파이프(51)는 방해기둥(46)의 청소구멍(49)내부에서 상하로 미끄럼 동작하게 된다.
다음에 제10도에 의해 시뇨처리장치(5)에 있어서 각부의 접속상태를 모식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건조탱크(19)는 위쪽이 개구되어 바닥부를 갖는 용기형상으로서, 이 건조탱크(19)의 상단개구에 접근하여 덮개체(18)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이 덮개체(18)의 아래면에는 건조탱크(19)의 상단바깥둘레에 가볍게 접촉하는 링형상의 시일(3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건조탱크(19), 덮개체(18), 시일(36)에 의해 바깥주위가 밀폐된 용기공간이 형성된다. 이 덮개체(18)에는 도입파이프(22)의 하단이 연결되고, 도입파이프(22)의 상단에는 변기(6)의 하단개구가 접속되며, 도입파이프(22)의 중도에는 셔터(23),(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6)로 배설된 시뇨는 도입파이프(22), 셔터(23),(24)를 통과하여 투입구(35)에서 건조탱크(19)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체(18)에 개구되어 있는 배기구(50)에는 배기파이프(28)의 일끝단이 접속되고, 이 배기파이프(28)이 다른 끝단은 제취부(12)를 구성하는 환원통(27)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 환원통(27)은 외형이 원통형상으로서, 그 중심축을 수직으로 들어올린 형상이며, 바깥주위에서 폐쇄된 중공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환원통(27)의 내부는 그 상하로 적층되는 히터(65)와, 촉매(66)가 교대로 중첩되어 있다. 이 히터(65)는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열하여 배기된 공기를 재가열하는 것이고, 촉매(66)는 백금, 파라듐 등의 귀금속을 포함하며, 공기를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니콤구조로 되어 있다. 이 환원통(27)은, 건조탱크(19)에서 발생된 악취를 포함한 공기가 바깥주위로 확산되기 전에 히터(65)로 가열하고, 이어서 촉매(66)를 통과시켜 산화 환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원통(27)의 하단개구에는 배출기(67)가 접속되며, 이 배출기(67)의 내부에 모터(68)와, 이 모터(68)에 의해 구동되는 팬(69)이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먼지회수부(13)를 구성하는 분리통(25)은 전기소제기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분리통(25)은 상단과 측면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인 병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직물이나 종이 등과 같이 통기성이 있고 먼지를 포획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주머니형태의 집진주머니(71)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파이프(26)의 끝단은 분리통(25)의 상단개구로부터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끝단에는 집진주머니(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분리통(25)의 측면개구에는 배출기(72)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배출기(72)의 내부는 모터(73)와 이 모터(73)에 의해 구동되는 팬(74)이 수납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대기상태]
이 가설화장실(1)내부의 시뇨처리장치(5)가 그 동작을 행하기 전에는 대기상태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셔터(23),(24)는 닫혀 있고, 승강모터(56)에 의해 나사막대(60)가 상승하여 G방향으로 이동하며, 청소파이프(51)도 G방향으로 이동하여 청소파이프(51)는 청소구멍(49)에서 빼내어져 있다. 또한 히터유니트(34)에는 고주파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히터(65)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모터(20),(68),(73)도 통전되지 않는다.
[가설화장실(1)의 사용]
가설화장실(1)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먼저 이용자가 도어(4)를 열고 하우스(3)내부로 들어가서 변기(6)를 향하여 시뇨를 배설한다. 배설된 시뇨는 변기(6)의 하부에 고여, 폐쇄되어 있는 셔터(23)의 상부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배설이 끝난 이용자가 손가락으로 버튼(도시생략)을 누르면, 셔터(23)가 열리면서 시뇨를 도입파이프(22)의 아래쪽으로 낙하시켜, 닫혀 있는 하단의 셔터(24)상부에 일시 보류시킨다. 일정시간동안 셔터(23)가 열려진 후에 셔터(23)는 닫히고, 이어서 셔터(24)를 개방시켜 보류되어 있던 시뇨는 도입파이프(22)를 통과하여 건조탱크(19)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된다. 이어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셔터(24)가 닫혀 도입파이프(22)를 폐쇄한다.
[건조처리의 개시]
이와같이 건조탱크(19)로 시뇨가 투입되면, 이 시뇨를 건조시켜 증발시키는 처리를 개시한다. 이 동작은 전술한 이용자에 의한 버튼(도시생략)조작에 의해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전원장치로써 히터유니트(34)에 고주파전력이 공급되고, 히터유니트(34)에 수납된 고주파코일에 의해 고주파의 전자파를 발생시켜 이 고주파의 전자파를 건조탱크(19)의 내외에서 교반시킨다. 이 고주파의 전자파가 교반하면, 금속제의 건조탱크(19)는 전류손실에 의해 그 자체가 발열하고, 동시에 건조탱크(19)의 내부에 수납된 금속의 교반체(33)도 발열한다. 이 건조탱크(19)와 교반체(33)에서 발생한 열은 시뇨로 전달되어 시뇨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전원장치는 동시에 모터(20), 히터(65), 모터(68)에 각각 전력공급을 개시하여 모터(20),(68)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히터(65)를 발열시킨다.
이 모터(20)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에 의해 출력측(41)이 회전되고, 출력축(41)에 장착된 소기어(40)가 회전되어 소기어(40)는 A방향으로 회전된다(제7도 참조). 이 소기어(40)에 맞물려 있는 대기어(39)는 반대 방향인 B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며, 동시에 대기어(39)와 연결되어 있는 건조탱크(19)는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제7도 참조). 이 건조탱크(19)는 그 주위에 띠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유지링(31)아래면의 3개소가 지지로울(38)에 의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링(31)은 지지로울(38)을 회전구동시키면서 수평방향에서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제7도 참조), 또한 건조탱크(19)는 그 측면에 측면로울러(44)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 측면로울러(44)를 전동시켜 그 중심축을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회전된다. 그리고 대기어(39)는 건조탱크(19)의 바깥둘레에 띠형상으로 고정된 상측의 유지링(32)에 탑재되어 있고, 대기어(39)상면의 3개소에는 안정로울러(43)가 접촉되어 대기어(39)는 안정로울러(43)를 전동시키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 안정로울러(43)는 유지구체(17)에 축지지되므로, 건조탱크(19)가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이와같이 건조탱크(19)는 모터(20)에 의해 C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 건조탱크(19)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에 수납된 교반체(33) 및 시뇨도 건조탱크(19)의 바닥부분에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건조탱크(19)의 내부에는 제6도에서 평면적으로 도시한바와 같이, 건조탱크(19)의 바닥부근에 등분할된 3개소의 위치에는 각각 방해기둥(46),(47),(48)이 배치되어 있고, 또 이들 방해기둥(46),(47),(48)은 회전하지 않는 덮개체(1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탱크(1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려고 하는 교반체(33)는 그 회전시에 이들 방해기둥(46),(47),(48)에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저지되며, 건조탱크(19)의 중앙으로 압축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건조탱크(19)의 바닥형상은 제5도에서와 같이, 그 중앙이 융기한 중앙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해기둥(46),(47),(48)에 의해 건조탱크(19)의 중심방향으로 향하여 압출된 교반체(33)는 방해기둥(46),(47),(48)을 통과하면 중앙돌출부(30)의 경사에 의해 건조탱크(19)의 내벽방향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교반체(33)는 건조탱크(19)의 바닥부분에서 회전하면서 중심과 벽쪽사이를 왕복운동하여 파동(波動)운동을 되풀이함으로써, 건조탱크(19)의 내부에 수납된 시뇨는 교반체(33)에 의해 교반된다.
이와같이, 히터유니트(34)에 의해 발열된 건조탱크(19)와 교반체(33)의 열은 시뇨로 전달되어 그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건조탱크(19도가 회전함으로써 시뇨가 교반되어 시뇨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상승시키게 된다. 동시에 시뇨는 교반체(33)의 표면과 골고루 접촉되기 때문에 표면적이 큰 교반체(33)에서 발열하는 열의 흡수가 빨라지며, 시뇨의 온도가 상승하면, 비등점이상의 온도로 되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수증기로 되어 발열을 개시한다. 이 시뇨에서 발열한 수증기는 건조탱크(19)가 밀폐되어 있으므로 덮개체(18)에 개구된 배기구(50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이어서, 수증기는 배기구(50)의 배기파이프(28)를 따라 제10도의 D방향으로 흘러 환원통(27)의 내부로 이동한다.
또한, 전술한 배출기(67)의 모터(68)가 작동하면, 모터(68)의 출력축에 고정설치된 팬(69)이 회전하고, 이 팬(69)이 환원통(27)의 내부공기를 흡인하여 외부로 방출시키게 되므로 환원통(27)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배기구(50)에서 유출된 수증기는 배기파이프(28), 환원통(27)을 따라 흘러 흡인되고,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순차적으로 배출기(67)를 통과하여 바깥주위로 확산된다.
전술한 건조탱크(19)에서 방출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에는, 시뇨가 증발할 때 동시에 증발한 요소(尿素)나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이 수증기가 그대로 바깥주위에 확산되면 가설화장실(1)의 주위에 악취를 발산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바깥주위로 확산되기 전에 악취성분을 냄새가 나지 않게 변질시키는 처리를 행하여야만 한다.
먼저 배기파이프(28)를 통하여 환원통(27)으로 유입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고온으로 된 히터(65)에 접촉하여 그 온도가 다시 상승한다. 동시에, 이 히터(65)에서의 발열은 촉매(66)를 가열하여 촉매(66)의 기능을 발휘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유지된다. 히터(65)로 가열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작동온도로 유지되어 있는 촉매(66)를 통과하면, 수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포함한 성분은 촉매(66)에 의해 산화환원되어 냄새가 없는 상태로 변질된다. 환원통(27)의 내부에는 상하로 복수의 히터(65)와 촉매(66)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성분인 요소, 암모니아 등은 확실하게 산화환원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가설화장실(1)에서 바깥주위로 방출되는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냄새가 제거되어 주위에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먼지청소]
이와같이 히터유니트(34)에 의해 건조탱크(19)와 교반체(33)가 가열됨으로써,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수증기로 되어 증발한다. 소정시간동안 가열을 계속하면, 최종적으로 건조탱크(19)내부의 시뇨는 건조되고, 건조탱크(1)에는 수증기로 증발시킬 수 없는 시뇨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질이나 재성분이 찌꺼기로 되어 남게 된다. 이 상태가 증발처리의 완료시점이다.
증발이 완료되면, 건조탱크(19)내부에는 찌꺼기가 남게 되어, 이 찌꺼기를 그대로 방치하여 두면 건조탱크(19)의 내부에 쌓이게 되며, 장기적인 사용에 견딜 수 없게 된다. 따라서 1회 혹은 수회에 걸쳐 시뇨의 증발처리가 행해지게 되면, 반드시 건조탱크(19)내부의 청소리를 행하여 찌꺼기가 쌓이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이 청소처리에 있어서, 모터(20)가 계속 작동하여 소기어(40), 대기어(39)를 통하여 건조탱크(19)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모터(68)는 그 작동을 정지하여 배기구(50), 배기파이프(28), 환원통(27)의 유로에 의한 공기흐름이 정지한다. 동시에, 히터(65)로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촉매(66)의 가열을 정지한다.
청소처리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먼저 승강모터(56)를 작동시켜 출력축(57), 워엄(58)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워엄(58)에 맞물린 워엄기어(59)가 회전하여 이 워엄기어(59)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나사막대(60)를 나사피치에 따라 제9도에서 F방향으로 하강시킨다. 그러면 나사막대(6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연결봉(61) 및 청소파이프(51)도 마찬가지로 F방향으로 하강하여 청소파이프(51)는 청소구멍(49)내부를 하강한다. 이 청소파이프(51)의 하강시에 방해기둥(46)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는 청소파이프(51)의 선단에 의해 깍여 떨어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청소파이프(51)의 하단은 청소구멍(49)하단의 개구부근까지 이동한다. 청소파이프(51)가 최하위치까지 하강하면 모터(56)의 동작은 정지한다.
또한, 모터(56)에 의한 청소파이프(51)의 하강동작과 동시에 모터(73)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 모터(73)가 작동하면, 모터(73)에 연결된 팬(74)이 회전하여 분리통(25) 내부의 공기는 배출기(72)를 통하여 바깥주위로 방출된다. 따라서 분리통(25)의 내부는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어, 건조탱크(19)내부의 공기는 청소파이프(51)내부를 따라 흘러 조인트파이프(26)를 통과하여 제10도에서 E방향으로 흐르며, 분리통(25)의 내부에 있는 집진주머니(71)의 내부까지 유입된다. 이와같이 건조탱크(19)내부의 공기가 흡인되면, 건조탱크(19)에 잔류되어 있는 찌꺼기는 공기와 함께 청소파이프(51), 조인트파이프(26)를 따라 흘러 집진주머니(71)로 이동한다. 이 집진주머니(71)는, 그 안팎으로 공기가 유출되지만, 먼지 등과 같이 미세성분을 포획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며, 공기와 함께 건조탱크(19)로부터 흘러 들어온 시뇨에서 증발시킬 수 없는 찌꺼기는 이 집진주머니(71)에 포착된다. 그리하여 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만이 집진주머니(71)를 통과하여 배출기에 의해 바깥주위로 방출한다.
또한, 이 찌꺼기의 흡인과 분리처리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도, 모터(20)는 작동을 계속하여 건조탱크(19)는 제도에서 C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탱크(19)의 바닥부에서는 교반체(33)가 회전구동하며, 이 구동에 의해 교반체(33)는 건조탱크(19)의 바닥면과 내벽에서 마찰운동을 한다. 이 때문에 건조탱크(19)의 바닥면과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는 교반체(33)의 마찰운동으로 깍여 떨어지며, 이찌꺼기는 교반체(33)의 회전으로 가늘게 부숴지기 때문에, 공기유동으로 이동하기 쉬운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와같이 하여 건조탱크(19)의 바닥부 및 교반체(3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시뇨에서 증발할 수 없는 찌꺼기는 미세먼지로 되어 청소파이프(51), 조인트파이프(26)를 공기와 함께 흘러 집진주머니(71)까지 이동하여 포획된다. 소정시간동안 모터(20),(73)를 작동시킴으로써, 건조탱크(19)의 내부에 남아 있던 찌꺼기는 모두 외부로 유출되어 건조탱크(19)의 청소처리를 종료한다.
[기구의 복귀]
이와같이 하여, 건조탱크(19)내부의 청소처리가 완료되면, 시뇨처리장치(5)는 다음의 시뇨투입에 있어서의 건조처리를 위하여 대기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시뇨처리장치(5)각부의 기구를 최초상태로 복귀시켜 두어야만 한다.
먼저 모터(20),(7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모터(20)가 정지함으로써 건조탱크(19)는 그 회전을 정지하고, 모터(73)가 정지함으로써 팬(74)이 그 회전을 정지하여 배출기(72)에 의한 공기흡인을 정지한다. 따라서 청소파이프(51), 조인트파이프(26)내부의 제10도에서 E방향으로 나타낸 공기흐름이 정지한다. 그리고 승강모터(56)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출력축(57), 워엄(58) 및 워엄기어(59)가 역회전하여 워엄기어(59)에 나사맞춤된 나사막대(60)는 그 나사피치를 따라 제9도에서 G방향으로 상승된다. 이 나사막대(60)가 G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연결봉(61), 청소파이프(51)도 함께 G방향으로 상승하고, 청소파이프(51)는 청소구멍(49)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청소파이프(51)의 하단은 소구멍(49)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하여 청소파이프(51)의 하단은 청소구멍(49)의 상부까지 인출된다. 이 상태가 대기상태이며, 전술한 [대기상태]로 된다.
[계속동작에 의한 시뇨처리]
이와같이 하여, [대기상태], [가설화장실(1)의 사용], [건조처리의 개시], [먼지청소], [기구의 복귀]의 각 동작을 되풀이함으로써, 변기(6)에 배설된 시뇨를 연속하여 증발, 건조시키고, 수증기를 무취화하여 확산시켜 건조탱크(19)의 내부에 잔류되어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 연속동작은 가설화장실(1)로의 전력공급을 정지시키든가, 전원스위치(도시생략)을 개방시킬 때까지 계속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교반체(33)는 금속성재료로 형성되어 전자파에 의해 그 자체에서 발열하게 된다. 그러나 이 교반체(33)의 재질을 세라믹이나 도자기 등의 소결성재료로 형성하여도 관계없다. 이 경우에는 전자파에 의해 교반체(33)는 발열하지 않지만, 교반체(33)가 회전함으로써 건조탱크(19)내부에서의 교반, 찌꺼기의 처리, 분쇄작용은 금속성재료로 형성한 것과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므로, 건조탱크내부에 회전하는 날개나 회전축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건조탱크의 내부공간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건조탱크자체를 회전시켜 시뇨의 교반이나 교반체의 회전구동을 행하기 때문에, 건조탱크내부에 회전하는 날개가 없고, 건조탱크내부로 금속성의 볼펜이나 의류가 투입된다 하더라도 날개에 이들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게 되어 회전기구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건조탱크내부에서 시뇨를 증발시킨 후에 남은 찌꺼기는 건조탱크를 회전시킴으로써 교반체에 의해 깍여 떨어짐과 동시에 분쇄되며, 이 미세하게 된 먼지를 흡인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청소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탱크에는 시뇨를 증발시킨 후에 남은 찌꺼기가 축적되지 않고, 항상 초기상태로 유지되므로, 장기간에 걸친 관리유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시뇨를 수납하는 내열성이 있는 금속성의 용기수단과; 상기 용기수단에 인접하여 고주파의 전자를 발생시키는 전자가열수단과; 상기 용기수단을 그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회전유지수단과; 상기용기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용기수단내부에 수납되어 구형상으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교반수단; 및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용기수단의 바닥으로 그 하단이 연장하여 교반수단에 접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방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뇨를 회수하는 변기; 및 이 변기와 용기수단을 연결하여 시뇨를 용기수단으로 도입하는 도입파이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용기수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공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제취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용기수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공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먼지만을 회수하는 제진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시뇨를 회수하는 변기와; 이 변기와 용기수단을 연결하여 시뇨를 용기수단으로 도입하는 도입파이프와; 용기수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공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냄새를 제거하는 제취수단; 및, 용기수단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공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먼지만을 회수하는 제진수단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수단은, 위쪽이 개구되고 바닥을 가지며,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 건조탱크와 이 건조탱크의 상면개구로 접근하여 설치되고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덮개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시일이 상기 덮개체의 아래면에 고정되며 상기 건조탱크의 상단개구와 상기 덮개체사이의 공간의 내부에 밀착하여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는, 그 바닥의 중앙이 산형으로 융기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수단은, 덮개체의 아래면과 그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건조탱크의 바닥방향으로 연장하여 하단이 건조탱크의 바닥에서 약간 떨어져 위치하며, 건조탱크의 내벽에 접근하여 위치한 봉형상의 방해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파이프의 도중에는, 상기 변기와 상기 용기수단의 연결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취수단은 밀폐된 환원통과, 이 환원통내부에 수납된 히터 및 촉매와, 환원통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기와, 용기수단과 환원통을 연결하는 배기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수단은, 밀폐된 분리통과, 이 분리통내부에 수납되어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집진주머니와, 분리통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출기와, 용기와 분리통을 연결하는 조인트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처리장치.
KR1019940030483A 1993-11-19 1994-11-19 시뇨처리장치 KR0131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14445A JP2784378B2 (ja) 1993-11-19 1993-11-19 屎尿処理装置
JP93-314445 1993-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04A KR950014004A (ko) 1995-06-15
KR0131955B1 true KR0131955B1 (ko) 1998-04-11

Family

ID=1805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483A KR0131955B1 (ko) 1993-11-19 1994-11-19 시뇨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64133A (ko)
EP (1) EP0654565A3 (ko)
JP (1) JP2784378B2 (ko)
KR (1) KR0131955B1 (ko)
CA (1) CA21360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7468A (ja) * 1994-08-22 1996-03-05 Japanic:Kk 屎尿処理装置
JP3253242B2 (ja) * 1995-12-28 2002-02-04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エアロスペース 汚物乾燥処理装置
US5741397A (en) * 1996-01-11 1998-04-21 Kraver; Mark P. Dental waste separator
US5853579A (en) * 1996-11-26 1998-12-29 Wastech International Inc. Treatment system
US6101638A (en) * 1999-05-04 2000-08-15 Hammond; Warren Scott Toilet utilizing air pressure, grinding and heat to produce a dry powder waste
KR100664290B1 (ko) * 2006-02-27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건조 드럼
US8784739B2 (en) * 2006-09-07 2014-07-22 Environmental Purificati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cal odors
CN108523751A (zh) * 2018-06-12 2018-09-14 上海艾尔泵阀有限公司 一种新型小型全自动零排放生物分解坐便器
CN112431448A (zh) * 2019-08-26 2021-03-02 关永晖 一种膀胱灌注患者专用卫生间
CN111513617B (zh) * 2019-09-26 2021-08-24 佳净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粪便中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53328A (fr) * 1927-05-17 1929-03-20 John Fowler And Company Leeds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à mélanger
US1740166A (en) * 1927-06-16 1929-12-17 Eriksson Hjalmar Machine for mixing two or more substances with each other
US1973002A (en) * 1931-04-11 1934-09-11 Krupp Ag Grusonwerk Apparatus for mixing materials
US2518143A (en) * 1948-06-14 1950-08-08 Wanda Mathews Huszar Cylindrical attrition mill with rotary midsection
US3430927A (en) * 1967-11-06 1969-03-04 Edward G Pouzar Receptacle moving mixer
US3546430A (en) * 1968-12-31 1970-12-08 Tremco Mfg Co Apparatus for heating caulking materials
US4014105A (en) * 1970-10-20 1977-03-29 Colgate-Palmolive Company Art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ing fibrous materials with liquid conditioning composition
SE361945B (ko) * 1973-01-19 1973-11-19 Ericsson Telefon Ab L M
US4112523A (en) * 1976-03-09 1978-09-12 Williams Geoffrey N Sanitary disposal unit
FI52709C (fi) * 1976-05-06 1977-11-10 Upo Oy Biologinen kuivakäymälä.
US4173925A (en) * 1977-05-23 1979-11-13 Leon Joseph L Variable tilt rotating pot cooker and mixer
JPS60111689U (ja) * 1983-12-30 1985-07-29 日本軽金属株式会社 冷菓製造器
EP0343817B1 (en) * 1988-05-21 1993-12-08 Japanic Corporation Raw sewage drying apparatus
CA2023497A1 (en) * 1989-09-28 1991-03-29 Mitsuhiro Kishi Raw sewage drying apparatus
US5257466A (en) * 1990-12-19 1993-11-02 Japanic Corporatio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JPH084781B2 (ja) * 1991-07-03 1996-01-24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屎尿処理装置
AU2984892A (en) * 1992-12-02 1994-06-16 Japanic Corporatio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04A (ko) 1995-06-15
CA2136043A1 (en) 1995-05-20
EP0654565A2 (en) 1995-05-24
JPH07136640A (ja) 1995-05-30
US5564133A (en) 1996-10-15
EP0654565A3 (en) 1996-07-24
JP2784378B2 (ja) 199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955B1 (ko) 시뇨처리장치
KR950000466B1 (ko) 오물처리장치
EP0343817A2 (en) Raw sewage drying apparatus
US5598641A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KR101619376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50067956A1 (en) Composting toilet assembly
EP0600132A1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KR960013345B1 (ko) 시뇨건조장치
EP0637568A1 (en) Method of treating night soil and apparatus therefor
DE4102760C2 (de) Verbrennungstoilette für Schienenfahrzeuge
KR102588686B1 (ko)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KR100278880B1 (ko) 화장실에 적용되는 인체 배설물의 자동소각장치
JPH1072858A (ja) 循環式し尿処理装置
KR101599008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CN217549492U (zh) 一种污水处理站恶臭气体高效生物除臭装置
JP2003062425A (ja) 悪臭性ガスの処理方法
JPH10156337A (ja) 屎尿処理装置の消泡機構
JPH0775702B2 (ja) 屎尿乾燥装置
JP3055773B2 (ja) し尿分離装置
JPH08117729A (ja) 生ゴミ処理装置および生ゴミ処理方法、消臭装置
JP3433368B2 (ja) 屎尿処理装置
JPH0632805B2 (ja) 屎尿乾燥装置
JP2002028618A (ja) し渣処理装置
JPH03114582A (ja) 屎尿乾燥装置
JP2683522B2 (ja) 屎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