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376B1 -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376B1
KR101619376B1 KR1020140138660A KR20140138660A KR101619376B1 KR 101619376 B1 KR101619376 B1 KR 101619376B1 KR 1020140138660 A KR1020140138660 A KR 1020140138660A KR 20140138660 A KR20140138660 A KR 20140138660A KR 101619376 B1 KR101619376 B1 KR 10161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oilet
unit
treatment area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094A (ko
Inventor
박만선
Original Assignee
박만선
주식회사 선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선, 주식회사 선일 filed Critical 박만선
Publication of KR2015004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6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with recirculation of bowl-cleaning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0Waste-disintegrat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bow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배설물에 포함된 소변을 정화 처리하여 변기 세척에 재활용하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처리장치는, 변기가 설치되는 용변 공간의 하부에 바닥을 경계로 구획되는 수납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설치되며, 배설물에 포함된 오수와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배설물 분리유닛; 및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오수 처리영역과 고형물을 처리하기 위한 고형물 처리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된 정화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은 상기 정화 처리유닛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결합 몸체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ment while recycl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설물에 포함된 소변을 정화 처리하여 변기 세척에 재활용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옥외 화장실이나 이동식 화장실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질소(N)와 인(P)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가 발생한다.
오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은 미생물의 활동 및 증식을 위한 단백질과 핵산 합성의 영양분으로 작용하게 되며, 잉여분은 제거되거나 방류되어 부영양화와 같은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오수에 포함된 질소와 인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생물학적 처리공정 또는 화학적 처리장치 및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에 화장실 혹은 오수처리시설은 유지관리가 불편하고 환경영향의 부담으로 화학적 처리공정을 적용하기가 곤란한 실정이다.
그 일 예로서, 자연발효 방식의 이동식, 고정식 화장실이나 거기에 화장실 내부의 악취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기포 발생장치를 갖춘 포세식 화장실 등이 있으나 분뇨가 저류조에 쌓여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악취가 심하고, 해충 발생으로 비위생적이며, 또한 정기적으로 분뇨 및 오수를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과 수거한 분뇨 및 오수폐기시 2차적인 환경 오염원이 되고 있어 사실상 운영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용으로 설치되는 공원, 산책로, 강변로 및 등산로 화장실은 효율적인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용 화장실의 유지관리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 제321856호 "무수변기를 이용한 소멸식 정화장치"가 알려져 있다.
무수변기에 연결되는 저류조에는 커터펌프를 설치한 연결관이 결합되고, 연결관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폭기조는 배기구가 마련된 탱크 안에 설치되며, 탱크 내에 연결관으로 저류조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무수변기에서 배출된 오수가 저류조로 유입되면, 저류조에서 오수는 다시 연결관을 따라 이동하여 커터펌프에 의해 분쇄되면서 폭기조로 이송된 후, 오수는 폭기조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제거되고, 동시에 오수에서 발생되는 무색 무취의 가스는 배기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며, 정화된 오수는 연결관을 통하여 저류조로 복귀하는 과정을 순환한다.
그러나, 단순히 폭기작용에 의해서만 정화되므로 질소(N), 인(P) 및 색도 및 악취 제거에 따른 정화능력이 떨어지고, 또한 처리수가 무수변기에서 재활용되지 못해 별도로 수거해야 하며, 수거한 오수가 2차적인 환경오염원이 되므로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고 처리에 따른 비용추가로 소요되어 유지관리도 매우 불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특허등록 제992080호는, 공중화장실의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하는 분뇨 및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성 부유물질 및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질소, 인과 색도, 악취, 유해성분 및 유해균을 제거하여 중수도 수질로 고도정화처리한 뒤 처리수를 수세식변기의 세정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무급수, 무방류 순환 수세식 화장실 고도처리장치이다.
그러나 이는 오폐수를 호기생물반응조와 고도처리조에 설치된 간헐기폭장치와 여과기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고 여과시키므로, 정화되는 오폐수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오폐수를 활성화시킬 수 없고, 여과 과정이 너무 단순하여 오폐수를 완전하게 정화시킬 수 없어 정화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특허등록 제1256956호는,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변기 및 세면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집수하고 정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정화하여 화장실 변기의 오물 처리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에 있어서; 변기 및 세면기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분쇄 및 교반시키고 여과시킨 후에 산소를 공급하는 집수탱크부; 집수탱크부에서 공급되는 오수를 거름망 및 흡착필터로 필터링하여 퇴적물의 분리시키고, 퇴적물이 분리된 오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오폐수의 호기처리 및 분해를 촉진시키며, 호기처리 및 분해되는 오수가 흡착필터를 통과한 후에 배출되는 산기정화부; 산기정화부에서 공급되는 오수를 미생물에 의해 정화ㆍ탈취ㆍ산화시키고 항균필터링부에 의해 필터링시킨 후에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1차 미생물 및 항균필터 처리부와, 2차 미생물 및 항균필터 처리부; 1차와 2차의 미생물 및 항균필터처리부에서 항균 처리되어 배출되는 준 정화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오폐수의 호기처리 및 분해를 촉진시킨 후에 배출시키는 1차산기처리부; 1차산기처리부를 거치는 동안 산소의 함유율이 극대화된 준 정화수에 산소를 재차 공급하여 오폐수의 호기처리 및 분해를 더욱 촉진시킨 후에 탁도필터링부에 의해 필터링하여 탁도를 향상시킨 후에 배출시키는 2차산기처리부; 탁도가 향상된 준 정화수를 활성탄과 여과사로 이루어진 활성탄여과필터로 통과시켜 정화시켜 주는 완전여과필터부; 완전여과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된 정화수를 수평형 여과필터로 통과시켜 재차 정화시켜 주는 수평형 여과필터부; 수평형 여과필터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화수를 집수탱크에 집수하되 산기장치에 의해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자외선살균램프에 의해 살균시켜 주는 정화수살균집수부; 살균 집수되는 정화수를 예비저장탱크에 집수하여 보관하고 화장실의 변기 및 오수가 집수되는 집수탱크에도 공급하는 정화수예비저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재활용 정화처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관련 시설이 너무 복잡하고 거대하며 그에 따라 설치비용이 커서 이동식 화장실과 같이 단위 화장실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설물에 포함된 소변을 변기 세척에 재활용되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실에 슬라이드 수납으로 설치 또는 분리가 용이한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설물의 포함된 고형물과 오수를 분리하여 오수의 정화 처리효율을 향상시킨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가 편리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외 화장실이나 이동식 화장실과 같이 규모가 작은 화장실에 적용할 수 있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변기가 설치되는 용변 공간의 하부에 바닥을 경계로 구획되는 수납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설치되며, 배설물에 포함된 오수와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배설물 분리유닛; 및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오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오수 처리영역과 고형물을 처리하기 위한 고형물 처리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된 정화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은 상기 정화 처리유닛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결합 몸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된 수거통;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배설물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마련하는 오수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 안내부의 단부는 상기 오수 처리영역 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거통은, 박스 형상으로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하여 상기 변기와 연통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수거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흘러 상기 오수 안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이동유닛의 로드의 단부에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처리유닛은,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이 차단벽에 의해 구획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바이오 처리용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 구역의 내부에는 상기 격벽의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의 바닥에 인접하여 상기 격벽에 또는 상기 필터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격벽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유입된 오수가 상기 필터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그 반대로 흘러 인접하는 구역로 넘어간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구역에는 상기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오 재료가 직접 투입되거나, 직물 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의 공간에 다른 오수 처리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오수 처리영역은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고정된 필터 벽에 의해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처리유닛은,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이 차단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오수 처리영역은 수직 격벽에 의해 다수의 구역을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처리된 오수를 상기 저수 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물공급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물공급 펌프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수 처리영역은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의 양측에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오수 처리영역을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와, 상기 순환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순환펌프로 구성된 순환유닛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에 설치되는 휴지 수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지 수거유닛은,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의 휴지가 유입되어 압축되는 압축통; 상기 압축통 위에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기; 및 상기 변환기에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하고, 일부가 상기 압축통 내에 삽입되어 상기 휴지를 가압하는 압축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에 설치되는 휴지 수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지 수거유닛은,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의 휴지가 유입되어 압축되는 압축통; 상기 압축통 위에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 장치; 상기 실린더 장치에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하고, 일부가 상기 압축통 내에 삽입되어 상기 휴지를 가압하는 압축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통은 전단과 후단이 개구되고, 상면에서 상기 후단으로부터 일정 부분은 상기 휴지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연통하는 슬롯(slot)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통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변 공간에서 상기 변기에 연결되는 살균 및 냄새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및 냄새제거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살균 및 냄새제거를 위한 용액이 채워지고 초음파 진동기를 구비한 상기 용액을 무화하는 무화기; 상기 무화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및 일단이 상기 변기 내부로 연장하고 타단이 상기 무화기에 연결되는 공급튜브로 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화장실의 변기에 연통된 연결관을 통하여 수거통에 배설물이 유입되면, 상기 수거통의 하부 개구를 차단하는 개폐판에 의해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고형물은 상기 개폐판에 쌓이고, 상기 배설물에 포함된 오수는 상기 수거통의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오수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고형물은 제어부에 제어하에 분쇄 스크류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쇄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오수는, 다수의 오수 처리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정화 처리된 오수를 상기 변기에 연결된 저수탱크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상기 화장실을 나오면, 인체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송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개폐판이 상기 수거통의 하부 개구를 개방하여 상기 고형물이 고형물 처리영역에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가 콤팩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화장실의 하부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쉽게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관리가 편리하고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가 수납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옥외 화장실이나 이동식 화장실과 같이 규모가 작은 화장실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작은 크기와 간단한 구조임에도 바이오 처리용기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서 오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2중으로 정화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기구적 동작에 의해, 유입된 배설물에 포함된 고형물과 오수가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수에 고형물이 포함되지 않아 오수의 정화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오수가 정화 처리되어 변기를 청소하는 물로 재활용되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면서 오수를 2중으로 정화 처리함으로써 오수의 정화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형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는 휴지를 별도로 처리함으로써 고형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휴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물로 변기를 청소하지 않고 살균 및 냄새제거용 약제를 무화에 의한 미립자 상태로 변기에 공급함으로써 변기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여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살균 및 냄새제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살균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적용하는 화장실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정화 처리유닛의 하우징과 바이오 처리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결합된 상태의 정화 처리유닛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배설물 분리유닛의 구조와 작동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지 제거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6(a)은 측면도이고, 도 6(b)은 상부 프레임을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6(c)은 수거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6(d)은 우측면도이다.
도 7은 휴지 수거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를 적용하는 화장실을 보여주고 있다.
화장실(10)은 변기(20)와 저수탱크(22)가 설치되는 용변 공간(12)과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4)으로 구분되는데, 화장실 바닥을 경계로 용변 공간(12)의 하부에 수납공간(14)이 형성된다.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100)는 오수(소변)와 고형물(대변)을 분리하기 위한 배설물 분리유닛(110)과 오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정화 처리유닛(150)으로 구성되며, 배설물 분리유닛(110)은 정화 처리유닛(15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단일의 몸체를 구성한다. 정화 처리유닛(150)의 밑면에는, 가령 바퀴가 부착되어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100)의 수납과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100)가 콤팩트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화장실(10)의 하부에 마련된 수납공간(14)에 쉽게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관리가 편리하고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100)가 수납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옥외 화장실이나 이동식 화장실과 같이 규모가 작은 화장실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정화 처리유닛의 하우징과 바이오 처리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된 상태의 정화 처리유닛을 보여준다.
정화 처리유닛(150)은, 하우징(151)과, 하우징(151)에 끼워져 설치되는 바이오 처리용기(160) 및 하우징(151) 외부에서 하우징(151)과 결합하는 각종 파이프(171, 181)와 기계부품(172, 182, 191, 192)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51)은 가령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51a)가 형성되고, 내부는 격벽(152)에 의해 단위 영역(153, 153a, 154, 155)으로 구획된다.
단위 영역 중 중앙에 위치한 고형물 처리영역(154)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영역(153, 153a, 155)과 확실하게 구획되는데, 하우징(151)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고형물 처리영역(154)을 중심으로 양측에 2개의 오수 처리영역(153, 153a)이 배치되는데, 개폐판(130)의 왕복운동을 위한 이송유닛(120)을 설치하고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설치된 분쇄 스크류(190)의 회전축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보조영역(155)이 오수 처리영역(153, 153a) 사이에 배치되므로 오수 처리영역(153, 153a)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58)이 보조영역(155)에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영역(155)은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별도의 보조영역을 마련하지 않고 오수 처리영역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하는 것처럼, 고형물 처리영역(154) 위에는 배설물 분리유닛(110)이 결합하여 설치되고, 오수 처리영역(153, 153a)에는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변기(20)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이 배설물 분리유닛(110)에 의해 고형물(대변)과 오수(소변)으로 분리되고, 고형물은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수거되고, 오수는 오수 처리영역(153, 153a)을 지나면서 정화 처리된다.
고형물 처리영역(154)에는 분쇄 스크류(190)가 설치되고, 분쇄 스크류(19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모터축(192)에 결합된 기어(191)와의 기어 결합을 통하여 회전하여 수거된 고형물을 분쇄한다. 이 경우, 고형물을 분해하기 위해 바이오 재료나 미생물이 투입되거나 톱밥이 투입될 수 있다.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는 오수 처리영역(153, 153a)에 대응하는 크기의 박스 형상으로 하우징(151)의 오수 처리영역(153, 153a)에 끼워지고 개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161)가 하우징(151)의 플랜지(151a) 위에 안착된다.
각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내부는 격벽(164)에 의해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는데, 이 실시 예에서는 각각 3개의 구역 A, B 및 C로 구획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구역(A, B, C)의 내부에는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필터(165)가 설치되어 유입된 오수가 필터(165)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그 반대로 흘러 인접하는 구역(A, B, C)로 넘어간다.
이를 위해,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격벽(164)에는 배출구멍(162)이 형성되는데, 바닥에 인접하여 격벽(164)에 형성되거나 필터(165) 상면에 인접하여 격벽(164)에 설치되며, 배출구멍(162)의 하부에는 오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판(1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각 구역(A, B, C)의 내부에는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오 재료나 바이오 블록 또는 미생물이 직접 투입되거나, 부직포나 메쉬 직물 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역(A, B, C)에 투입되는 바이오 재료는 서로 다른 종류일 수 있다.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높이는 하우징(151) 높이의 대략 절반 정도로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를 하우징(151)에 끼우면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과 하우징(151)의 바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격벽(1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필터 벽(166)에 의해 다수 개의 오수 처리영역(157)으로 나누어진다. 가령, 필터 벽(166)은 하우징(151)의 바닥에 돌출된 리브(156)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151)의 상부와 하부에서 오수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2중으로 정화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바이오 처리용기(160a)로부터 바이오 처리용기(160)를 거치면서 1차 정화 처리된 오수는, 화살표 I로나타낸 것처럼, 오수 처리영역(157)으로 낙하하여 다시 하부에서 필터 벽(166)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오수 처리영역(157)를 지나면서 2차 정화 처리되어 결과적으로 2중으로 정화 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오수 처리영역(153, 153a) 사이에는 보조영역(155)이 배치되어 오수 처리영역(153, 153a)을 연결하는 연결관(158)과 개폐판(130)의 왕복운동을 위한 이송유닛(120)이 설치되며,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설치된 분쇄 스크류(190)의 회전축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151)에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가 끼워져 결합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51) 자체를 고정된 수직 및 수평 격벽으로 구획하여 고형물 처리영역과 오수 처리영역 및 보조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가 하우징(15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정화 처리유닛(150)의 청소와 관리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와 달리 오수를 1차 정화 처리만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오수 처리영역을 상부와 하부의 2단 구조로 할 필요가 없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51) 하부의 최종 오수 처리영역(157)에는 2중으로 정화 처리된 오수가 최종 집결되는데, 집결된 정화 처리된 오수는 도 1의 저수탱크(22)로 공급되거나 최초 오수 처리영역(157)으로 보내져 다시 순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51) 하부에서 최초 오수 처리영역(157)과 최종 오수 처리영역(157)은 순환 파이프(171)에 의해 연결되고, 순환 파이프(171)에는 순환펌프(172)가 설치되어 순환펌프(172)의 구동에 의해 정화 처리된 오수가 반복하여 순환된다. 이와 함께, 최종 오수 처리영역(157)의 하우징(151)과 저수탱크(22)는 물공급 파이프(181)에 의해 연결되고 물공급 파이프(181)에는 물공급 펌프(182)가 설치되어 정화 처리된 오수가 변기(20)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저수탱크(22)에 공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배설물 분리유닛의 구조와 작동을 보여주고 있다.
배설물 분리유닛(110)은 베이스(112), 베이스(112)의 바닥에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된 수거통(140), 베이스(112)의 바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거통(140)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판(130), 및 개폐판(130)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120)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12)는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지지부재로서, 일단에 배설물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마련하는 오수 안내부(114)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배설물 분리유닛(110)은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배설물로부터 분리된 오수는 일단에 형성된 오수 안내부(114)로 모이고 오수 안내부(114)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오수 안내부(114)의 단부가 바이오 처리용기(160a)의 구역 A 위에 위치하도록 배설물 분리유닛(110)을 설치하면, 배설물로부터 분리된 오수는 모두 바이오 처리용기(160a)의 구역 A로 흘러 들어간다.
또한, 베이스(112)의 바닥에는 슬롯(115)이 형성되고 슬롯(115)의 양측에 수직으로 한 쌍의 리브(116)가 돌출되어 슬롯(115) 내부에 로드(122)가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수거통(140)은 박스 형상으로 본체(141)의 상면에 연결관(142)이 형성되어 도 1과 같이 변기(20)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본체(141)의 하면에는 개구(143)가 형성되며, 측벽 하단에는 배출구멍(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연결관(142)을 통하여 유입된 배설물 중 오수는 배출구멍(144)을 통하여 배출되고 고형물은 배출구멍(144)에 걸리게 되어 자연적으로 배설물의 고형물과 오수가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수거통(140)과 오수 안내부(114) 사이에는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안내판(14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거통(140)이 배설물의 고형물과 오수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려면, 수거통(14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143)를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개폐판(130)이 설치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개폐판(130)의 폭방향 양측에는 오수가 흐르는 채널(132, 132a)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에는 개방 홈(134)이 형성되는데, 개방 홈(134)은 채널(132, 132a)을 길게 연장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개폐판(130)의 바닥 이면에는 브래킷(미도시)이 돌출되고, 실린더(121)로부터 연장하는 로드(122)의 단부가 브래킷에 고정되어 로드(122)의 왕복운동에 따라 개폐판(130)이 이동한다.
따라서, 로드(122)가 복귀하여 개폐판(130)이 밀려나면, 개구(130)가 열리기 때문에 배설물은 그대로 개구(143)를 통과하여 투하된다. 반면, 로드(122)가 인출되면, 개폐판(130)의 바닥이 수거통(140)의 개구(143)에 대향하여 개구(134)를 차단하기 때문에 배설물은 개폐판(130)의 바닥에 쌓여 고형물은 잔류하고 오수는 수거통(140)의 배출구멍(14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는 최초에 다음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저수탱크(22)와 정화 처리유닛(150)의 하우징(151)의 오수 처리영역(153, 153a, 157)에는 변기(20)에 공급하기 위한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배설물 분리유닛(110)의 개폐판(130)은 수거통(140)의 개구(143)를 차단하도록 위치한다. 이는,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경우, 소변과 대변 중 어느 것이 먼저 배출될지를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도 소변이 고형물 처리영역(154)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가 용변 공간(12)에 들어가면 인체감지센서(미도시)가 사용자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통보하고, 제어부(300)는 저수탱크(22) 내부에 설치된 수중펌프(미도시)를 가동하여 저수탱크(22)에 저장된 물을 변기(20)에 분사하고 배기 팬을 구동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을 없으나, 최초 변기(20) 내부를 물로 적셔 줌으로써 배설물이 변기(20) 내부에 묻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변기(20)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저수탱크(22)의 수위가 내려가는데, 수위센서(23)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통보하고, 제어부(300)는 물공급 펌프(182)를 구동하여 최종 오수 처리영역(157)으로부터 물공급 파이프(181)를 통하여 처리된 오수를 저수탱크(22)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물공급 펌프(182)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저수탱크(22)에 물을 공급하면, 오수 처리영역(157)에 잔류하는 오수는 전체적으로 인접하는 오수 처리영역으로 이동한다.
배설물이 수거통(140)의 연결관(142)을 통하여 본체(141) 내부로 낙하하면, 본체(141)의 개구(143)를 막고 있는 개폐판(130) 위에 고형물(대변)은 쌓이고 오수(소변)는 배출구멍(144)으로 배출되어 개폐판(130)의 채널(132, 132a)을 따라 흐르거나 안내판(145)를 거쳐 베이스(112)의 오수 안내부(114)로 모인 다음, 오수 안내부(114)에 의해 바이오 처리용기(160a)의 구역 A로 유입된다.
상기한 것처럼,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각 구역(A, B, C)의 내부에는 필터(165)가 설치되는데, 오수는 각 구역(A, B, C)의 필터(165)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그 반대로 흘러 인접하는 구역(A, B, C)으로 넘어간다.
따라서, 모두 6개의 필터(165)를 통과함과 동시에 각 바이오 처리용기(160, 160a)의 각 구역(A, B, C)에 투입된 바이오 재료에 의해 오수는 1차 정화 처리된 후, 도 3에 화살표 I로 나타낸 것처럼, 하우징(151) 하부의 최초 오수 처리영역(157)으로 낙하하고, 이후 1차 정화 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수의 필터(166)를 통과하면서 2차 정화 처리된다.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처리 스케줄에 따라 순환펌프(172)를 주기적으로 구동하여 하우징(151)에 연결된 순환 파이프(171)를 통하여 정화 처리된 오수가 계속하여 오수 처리영역(157)을 순환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처리 스케줄에 따라 모터(미도시)를 주기적으로 구동하여 모터축(191)에 기어 결합된 분쇄 스크류(190)를 회전시켜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수거된 고형물을 계속하여 분쇄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용변 공간(12)을 나오면 인체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통보하고, 제어부(300)는 저수탱크(22) 내 수중펌프를 제어하여 변기(20)에 물을 분사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실린더(121)를 제어하여 로드(122)를 복귀시키고, 그 결과 로드(122)에 연결된 개폐판(130)은 수거통(140)의 개구(143)를 개방하여 고형물이 하우징(151)의 고형물 처리영역(154)으로 낙하하도록 한다.
이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제어부(300)는 실린더(121)를 제어하여 로드(122)를 인출하여 로드(122)에 연결된 개폐판(130)이 수거통(140)의 개구(143)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배설물에 포함된 고형물(대변)과 오수(소변)는 간단하면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오수에 고형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오수는 정화 처리되어 변기를 청소하는 물로 재활용되어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특히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면서 오수를 2중으로 정화 처리함으로써 정화 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저수탱크(22)에 정화 처리된 물을 공급하여 변기(20)를 세척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수탱크(22)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의 점선으로 된 박스를 참조하면, 저수탱크(22) 대신에 별도의 살균유닛(30)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2) 내에 무화기(34)와 블로워(38)가 구비되고, 변기(20) 내부로 연장하는 공급튜브(36)가 무화기(34)에 연결된다.
무화기(34)에는 내부에 살균과 냄새 제거를 위한 약제가 채워지고 초음파 진동장치를 구비하며, 초음파 진동장치에 의해 약제가 무화되어 안개 상태로 무화기(34) 내부에 가득찬다.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블로워(38)가 구동되고 무화기(34)의 배출밸브가 열리면, 블로워(38)에 의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무화기(34)에 채워진 안개 상태의 약제 미립자가 공급튜브(36)를 통하여 변기(20)에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물로 변기를 청소하지 않고 살균 및 냄새제거용 약제를 무화에 의한 미립자 상태로 변기에 공급함으로써 변기의 구석구석까지 침투하여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살균 및 냄새제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살균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휴지 수거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6(a)은 측면도이고, 도 6(b)은 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6(c)은 압축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6(d)은 우측면도이다.
휴지 수거유닛(200)은 하부에 위치한 압축통(260), 압축통(260) 위에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210), 압축통(260) 위에 구동모터(210)에 결합된 볼 스크류, 볼 스크류의 볼(230)에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압축 브래킷(280)으로 구성된다.
압축통(260)은, 가령 전단과 후단이 개방된 사각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도 6(c)과 같이, 후단에서 일정 부분은 상부에 휴지가 유입되는 유입구(264)가 형성되고 유입구(264)에 연통하는 슬롯(slot, 262)이 형성되며 슬롯(262) 입구에는 테이퍼부(261)가 형성된다.
압축통(260)은 유입구(264)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여 내부에 유입된 휴지를 밀어내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압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통(260)의 상면에서 일측에 지지판(27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지지판(270)의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구동모터(210)가 삽입 고정된다. 상면에서 타측에는 거치 브래킷(274)이 경사를 이루어 압축통(260)에 고정되고, 거치 브래킷(274)의 내측에 지지판(271)이 장착된다.
지지판(270, 271) 사이에는 볼 스크류(230, 2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스크류(240)는 일측에서 커플러(212)를 개재하여 구동모터(210)의 모터축에 결합하고 타측에서 지지판(27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실시 예에 적용된 볼 스크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부품으로, 볼 스크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품, 가령 캠(cam)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아예 변환과정 없이 직선운동을 위한 실린더 장치나 LM 가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210)로는 저속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기설정된 과정으로 구동된다.
커버(272)는 양단에서 지지판(270, 271)에 각각 고정되는데, 내측에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220)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볼 스크류에는 압축 브래킷(280)이 결합하는데, 압축 브래킷(280)은 볼 스크류의 볼(230)에 결합하는 고정부(281), 고정부(281)에서 절곡하여 연장하는 연결부(282), 연결부(282)의 하부에 형성되어 압축통(260)의 슬롯(261)에 삽입되는 안내부(283), 및 안내부(283)에 결합되어 압축통(260) 내부에서 이송되는 압축판(28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안내부(283)는 연결부(282)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압축판(284)은 압축통(26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내부에 다수의 배출구멍(285)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휴지 수거유닛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휴지 수거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휴지 수거유닛(200)은 정화 처리유닛(150)의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설치되는데, 전단의 구동모터(210)가 외부로 노출되고 후단이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잠기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설치된다.
따라서, 거치 브래킷(274)이 압축통(260)에 대해 상기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거치 브래킷(274)을 수직으로 고형물 처리영역(154)의 측벽에 결합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설정된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압축 브래킷(280)의 최초 위치는 A로 표시된 위치이며, 고형물 처리영역(154)에 설치된 분쇄 스크류(190)의 회전에 의해 고형물이 강제로 대류하며, 이 과정에서 작은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고형물에 포함된 휴지가 압축통(260)으로 유입된다.
구동모터(210)가 기설정된 속도, 가령 A 위치에서 B 위치까지 이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30분 정도가 되도록 하는 속도로 회전하며, 볼 스크류의 볼(230)에 결합된 압축 브래킷(280)이 큰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진행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압축 브래킷(280)이 이동함에 따라 안내부(283)는 테이퍼부(261)에 의해 슬롯(262)으로 안내되며, 이후 압축판(284)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것처럼, 압축통(260)은 전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형성됨으로써, 물먹은 휴지는 압축판(284)에 의해 밀리는 과정에서 압축되며, 압축에 의해 배출되는 물은 배출구멍(285)을 통하여 제거되고 계속적으로 압축된다.
압축 브래킷(280)이 이동하는 중에 고정부(281)가 리미트 스위치(220)에 접촉하면 제어부(300)는 압축 브래킷(280)이 상한(상부 경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210)를 정지시킨다.
이어, 구동모터(2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볼 스크류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그 결과 압축 브래킷(280)은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마찬가지로 압축 브래킷(280)의 고정부(281)가 리미트 스위치(222)에 접촉하면 제어부(300)는 압축 브래킷(280)이 하한(하부 경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210)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함으로써 압축통(260) 내부의 전단으로부터 휴지가 압축되어 쌓이며, 더 이상 압축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압축된 휴지는 순차로 압축통(260)의 전단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비닐 팩과 같은 적절한 도구를 이용하여 배출된 휴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형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분해되지 않는 휴지를 별도로 처리함으로써 고형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휴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110: 배설물 분리유닛
120: 이동유닛
130: 개폐판
140: 수거통
150: 정화 처리유닛
160: 바이오 처리용기

Claims (19)

  1.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장치는 변기가 설치되는 용변 공간의 하부에 바닥을 경계로 구획되는 수납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변기로부터의 배설물에 포함된 오수와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배설물 분리유닛; 및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의 하부에 하나의 몸체로 설치되고 오수 처리영역과 고형물 처리영역이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에서 각각 상기 오수와 상기 고형물을 각각 정화 처리하기 위한 정화 처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 처리유닛은,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이 차단벽에 의해 구획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바이오 처리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사이의 공간에 다른 오수 처리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른 오수 처리영역은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고정된 필터 벽에 의해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분리유닛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설치된 수거통;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거통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배설물로부터 분리된 오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마련하는 오수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 안내부의 단부는 상기 오수 처리영역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거통은, 박스 형상으로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하여 상기 변기와 연통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의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수거통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흘러 오수 안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은 상기 이동유닛의 로드의 단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의 내부는 격벽에 의해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되고,
    각 구역의 내부에는 상기 격벽의 높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수평으로 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오 처리용기의 바닥에 인접하여 상기 격벽에 또는 상기 필터의 상면에 인접하여 상기 격벽에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유입된 오수가 상기 필터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그 반대로 흘러 인접하는 구역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에는 상기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바이오 재료가 직접 투입되거나, 직물 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화 처리된 오수를 저수탱크에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오수 처리영역과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물공급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물공급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 처리영역은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의 양측에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오수 처리영역을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와, 상기 순환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된 순환펌프로 구성된 순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변 공간에서 상기 변기에 연결되는 살균 및 냄새제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및 냄새제거유닛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살균 및 냄새제거를 위한 용액이 채워지고 초음파 진동기를 구비한 상기 용액을 무화하는 무화기;
    상기 무화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및
    일단이 상기 변기 내부로 연장하고 타단이 상기 무화기에 연결되는 공급튜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18. 삭제
  19. 변기에 연결된 수거통으로 유입된 배설물에 포함된 오수와 고형물을 분리하는 단계;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분리된 오수와 고형물이 각각 서로 구획된 오수 처리영역과 고형물 처리영역에 유입되면, 상기 고형물은 분쇄 스크류에 의해 분쇄하고 상기 오수는 필터링에 의해 정화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정화 처리된 오수를 상기 변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화장실을 나오면, 상기 화장실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거통에 유입된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 처리영역에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방법.
KR1020140138660A 2013-10-23 2014-10-14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19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95 2013-10-23
KR20130126595 2013-10-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11A Division KR101599008B1 (ko) 2015-11-23 2015-11-23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94A KR20150047094A (ko) 2015-05-04
KR101619376B1 true KR101619376B1 (ko) 2016-05-10

Family

ID=5338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660A KR101619376B1 (ko) 2013-10-23 2014-10-14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117B1 (ko) * 2015-03-12 2016-06-16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오수 분리장치
KR101594536B1 (ko) * 2015-09-11 2016-02-16 주식회사 선일 오수 재이용 고효율 무방류 이동식 화장실
KR101683025B1 (ko) * 2015-12-03 2016-12-07 주식회사 선일 배설물 처리장치의 고액 분리기 어셈블리
KR101953758B1 (ko) * 2016-01-12 2019-03-04 다이토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이동식 수세식 화장실 시스템
CN105780889A (zh) * 2016-05-10 2016-07-20 周碧辉 一种移动厕所
CN114014386B (zh) * 2021-10-12 2023-09-01 深圳市金利源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净水机的废水回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883A (ja) * 1999-06-17 2000-12-26 Kubota Corp 浄化槽
JP2007222700A (ja) * 2006-02-21 2007-09-06 Showa Denshi Kogyo Kk し尿浄化システム
KR100953708B1 (ko) * 2008-03-18 2010-04-21 이동준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화장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883A (ja) * 1999-06-17 2000-12-26 Kubota Corp 浄化槽
JP2007222700A (ja) * 2006-02-21 2007-09-06 Showa Denshi Kogyo Kk し尿浄化システム
KR100953708B1 (ko) * 2008-03-18 2010-04-21 이동준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94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376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594536B1 (ko) 오수 재이용 고효율 무방류 이동식 화장실
KR101256956B1 (ko)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KR100892862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20190016426A (ko) 밀폐형 퇴비발효기의 탈취장치 세정수 정화시스템
KR101599008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CN113200656A (zh) 一体化吊装式移动厕所
KR100875991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처리장치
CN210748975U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
KR20060076143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CN111839317A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以及净化分解方法
KR101028516B1 (ko) 순환수세 발효식 화장실
CN215403656U (zh) 一体化吊装式移动厕所
KR101284213B1 (ko) 자연 발효소멸식 화장실의 분뇨처리장치
KR200380343Y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JP7258775B2 (ja) 浄化処理システム
KR101786562B1 (ko) 오수처리용 캐니스터 어셈블리
CN209537253U (zh) 一种厕所粪水或/和生活废水净化达标处理的改型化粪池
KR100414557B1 (ko) 순환식 무 방류 화장실 분뇨처리장치
CN201241377Y (zh) 生态厕所系统
KR200478897Y1 (ko) 오수처리용 캐니스터 어셈블리
KR100937106B1 (ko) 악취 저감 장치
CN218454053U (zh) 一种医院污水处理净化装置
KR20030009723A (ko) 화장실 오폐수 재처리 시스템
JP2020037825A (ja) バイオトイ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