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343Y1 - 간이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간이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343Y1
KR200380343Y1 KR20-2004-0037241U KR20040037241U KR200380343Y1 KR 200380343 Y1 KR200380343 Y1 KR 200380343Y1 KR 20040037241 U KR20040037241 U KR 20040037241U KR 200380343 Y1 KR200380343 Y1 KR 200380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urine
stool
fa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용
Original Assignee
이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용 filed Critical 이길용
Priority to KR20-2004-0037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343Y1/ko
Priority to JP2007519121A priority patent/JP2008504861A/ja
Priority to PCT/KR2005/002011 priority patent/WO2006004333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계단, 지붕, 도어가 형성되고, 계단의 일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서는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변기가 설치되고, 변기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계단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발판이 형성된 몸체; 용변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기의 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용변과 혼합되어 유기질 비료를 만들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미생물 투입수단; 용변과 미생물이 서로 교반, 분쇄하여 유기질 퇴비화 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용변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수단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대변히팅기; 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소변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소변히팅기; 용변과 미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 세균,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오존기; 이송수단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용변이 이송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소변을 여러 단계로 정화할 수 있도록 계의 하부쪽 내측에 설치되는 정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조와 수처리 시설이 필요 업게 되므로 수질오염방지와 정화조 등의 시설비용을 절감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게실, 야영장, 고속도로, 공원 등에 설치하므로 별도의 관리가 없이도 깨끗한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오물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이 이동식 화장실{A Simple toilet of a portable type}
본 고안은 인체의 배설물을 유기질 퇴비로 자동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수단, 미생물 투입수단, 교반/배출수단에 의해 배설물을 유기질 퇴비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소변에서 발생되는 물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세척작업이 가능 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에는 변기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물을 이용하여 정화조로 보내지고, 정화조로 보내진 배설물은 일정기간 보관된 다음 배설물 처리 장소로 보내져 여러 가지 용도로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화장실에서 용무를 보기 위해서는 수조 탱크, 휴지, 정화조 등이 최소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에는 반드시 물을 이용하여 용변을 처리하게 되므로 이에 사용되는 물 역시 전국적으로 수백 톤을 사용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자원부족 국가로서 향후 수십 년 후에는 물이 부족하게 되는 것은 자명한 현실로서 수자원 대책이 시급한 현실이다.
또한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도 유기질 퇴비를 만들어 이를 사용하기보다는 현실의 편리성에 급급하고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당장의 이익만을 추구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향후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특별한 대안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 선박의 경우 화장실의 오물을 바다에 투기하게 되므로 바다의 오염원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이러한 행위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되는 옥외용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경우 배설물에 의한 냄새가 많이 나므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은 인간의 배설물을 물을 사용하지 않고 처리토록 함과 동시에 유기질퇴비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공원, 공사장, 외부주차장 등과 같이 화장실이 필요한 곳에 설치하여 배설물을 처리할 때, 열풍에 의해 배설물을 말리고 동시에 미생물과 혼합하여 유기질 퇴비로 제공하며, 화장실 내부에서 배설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발생되는 소변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세척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계단, 지붕, 도어가 형성되고, 계단의 일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서는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변기가 설치되고, 변기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계단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발판이 형성된 몸체; 용변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기의 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이송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용변과 혼합되어 유기질 비료를 만들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미생물 투입수단; 용변과 미생물이 서로 교반, 분쇄하여 유기질 퇴비화 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용변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수단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대변히팅기; 몸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소변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소변히팅기; 용변과 미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 세균,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오존기; 이송수단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용변이 이송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소변을 여러 단계로 정화할 수 있도록 계의 하부쪽 내측에 설치되는 정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이송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이송수단의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미생물투입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미생물투입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를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호퍼와 교반팬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1)은 계단(110), 지붕(120), 도어(140)가 형성되고, 계단(110)의 일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서는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변기(150)가 설치되고, 변기(15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계단(110)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발판(130)이 형성된 몸체(100)가 구비된다.
몸체(100)에는 크게 이송수단(200), 미생물 투입수단(300), 교반수단(400), 응축수단(520), 정화수단(100)이 내측에 설치되고, 몸체(100)에는 남자들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소변기(800)가 설치된다.
소변기(8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이 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소변기(800)의 하단에 제1인입관(801)과 제2인입관(802)이 설치되고, 제1인입관(801)과 제2인입관(802)의 일측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소변기(8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정화하기 위하여 제1인입관(801)과 제2인입관(802)의 사이에는 착탈 가능하게 필터부(811)가 설치된다.
필터부(811)는 상부에서 하부로 통하도록 형성된 케이스(812)가 구비되고, 케이스(8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인입관(801)과 제2인입관(802)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부재(814)가 설치된다.
제1인입관(801)을 통해 인입되는 소변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 등과 같은 성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케이스(812) 내측에 필터(8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소변기(800)를 통해 소변을 보는 사람의 신체의 일부를 가릴 수 있도록 소변기(800)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의 칸막이(820)가 설치된다.
계단(110)은 몸체(100)의 일측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계단(110)을 통해 몸체(100)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계단(110)의 상단부에는 도어(140)가 설치되고, 계단(110)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로 발판(130)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도록 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동시에 용변을 보는 사람이 편안한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100)의 내측 소정높이에 형성된 발판(130)의 일측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변기(150)가 설치되고, 변기(15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좌판(151)이 구비되며, 상기 좌판(151)의 일측에 힌지(15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152)가 설치된다.
좌판(151)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의 커버지(154)를 깔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변기(150)가 설치된 일측에 좌판(151) 덮개용 커버지(154)가 설치되어 사용자마다 이를 한 장씩 떼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한 휴지는 폐기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휴지배출구(170)이 설치되며, 사용한 휴지는 휴지배출구(170)를 통해 버리면 휴지배출구(170)의 일측에는 수거용 봉투(미도시)를 의해 수거되어 처리된다.
좌판(151)의 일측에는 스위치(153)가 설치되고, 스위치(153)는 좌판(151)에 사용자가 앉으면 눌려지도록 설치된다.
스위치(153)가 좌판(151)에 의해 눌려지면 용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기(150)의 하방향에 이송수단(200)이 구비된다.
이송수단(200)은 커버(152)가 오픈되어 스위치(153)를 누르면 그 신호에 의해 용변을 교반수단(400) 쪽으로 이동되도록 컨베이어(210)가 설치된다.
컨베이어(210)의 양측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로울러(211)가 설치되고, 로울러(211)의 일측에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며, 모터는 몸체(100) 외측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컨트롤러(900) 내에 설치된다.
컨베이어(210)의 상부쪽에는 이송시킨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하고, 동시에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210)를 청소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531)이 설치된다.
제1공급관(531)의 일측에는 컨베이어(210)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즐(532)이 설치된다.
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되는 용변이 컨베이어(210)에서 완전하게 이탈되도록 그 일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 회전되는 오물제거팬(2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한 용변은 오물제거편(221)에 의해 컨베이어(210)의 표면에 잔류된 용변을 제거하고, 오물제거편(221)은 컨베이어(2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다.
탱크(523)에 저장된 물을 제1공급관(531)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524)와 제1공급관(531)의 사이에는 메인공급관(530)이 설치된다.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용변이 떨어지는 것을 받으며 동시에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오물제거팬(220)의 하방향에 가이드부재(2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변기(150)의 좌판(151)이 설치된 배면쪽으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100)의 일측에 미생물 투입수단(300)이 구비된다.
미생물 투입수단(300)은 몸체(100) 일측에서 교반수단(400) 쪽으로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관(311)을 갖으며 설치되는 투입부(310)와, 상기 투입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미생물이 일정량 모여 있을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교반수단(400) 쪽으로 일정량의 미생물이 투입되도록 투입구(321)를 갖는 호퍼(320)가 설치된다.
이송수단(200)이 구동될 시에 그와 연동하여 일정량의 미생물이 투입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투입팬(410)이 투입구(321)에 설치된다.
미생물 투입수단(300)과 이송수단(200)과 투입수단(300)의 하방향에는 교반수단(400)이 설치된다.
교반수단(400)은 상기 이송수단(200)의 오물제거팬(22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보내지는 용변을 미생물 투입수단(300)의 투입팬(410)을 통해 투입되는 미생물과 교반하는 교반팬(410)이 구비된다.
교반팬(410)에 의해 용변과 미생물이 교반 될 시에 일정량의 용변과 미생물이 수납되는 수납부(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교반팬(410)을 통해 교반된 용변과 미생물의 일정량이 수납부(430)에 모아진다.
모아진 용변이 건조되면, 이를 잘게 분쇄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배출팬(420)과, 분쇄/배출팬(420)을 통해 배출되는 건조되어 분쇄된 용변을 자루, 보관통 같이 소정량이 모아지도록 상기 교반/배출팬의 하방향에 위치되어 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배출관(44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변기(150)의 하바향으로 설치된 이송수단(200)의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동되는 용변을 열에 의해 건조시킬 수 있도록 몸체(100)의 내측면에 대변히팅기(500)가 설치된다.
또한 몸체(100)에 형성된 발판(130)의 하방향으로는 몸체(100) 외측에 설치된 소변기(8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모을 수 있도록 공간부(160)가 형성된다.
공간부(160)의 바닥 면에는 소변기(800)의 인입수단(810)을 통해 인입되는 소변이 바닥에 모여지면 이를 열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는 소변히팅기(510)가 설치되며, 인입되는 소변은 필터(813)에 의해 정화된 상태의 소변을 증발시킨다.
이때 증발되는 소변은 소변기(800)를 통해 인입되는 정화된 소변과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정화수단(1000)을 통해 공급된 소변을 소변히팅기(510)에 의해 증발시킨다.
그리고 소변을 히팅하므로 증발되는 수분을 응축하기 위하여 공간부(160)의 상부쪽에 응축수단(520)이 설치된다.
응축수단(520)은 소변히팅기(510)에 의해 건조되면서 발생되는 습기가 가이드패널(521) 쪽으로 상승 할 시에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응축기(522)가 구비되고, 응축기(522)의 배면에는 습기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가스를 몸체(100)의 외부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팬(525)이 설치된다.
팬(525)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습기가 포함된 공기)에서 응축기(522)를 통해 냉각시켜 습기가 물로 변환되도록 하고, 변화된 물이 모아질 수 있도록 응축기(522)의 하부에 탱크(523)가 설치된다.
모아진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탱크(523)의 내측에 펌프(524)가 설치된다.
펌프(524)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소정의 압력을 가지며 노즐(532)과 제2노즐(533)로 공급되고,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컨베이어(210)를 청소한다.
그리고 정화수단(1000)은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계단(110)의 내측에 소변기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일차적으로 모아져 1차 정화를 하는 제1정화부(1100)와, 제1정화부(11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다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1200)와, 제2정화부(12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3차 정화하는 제3차정화부(1300)와, 제3차정화부(13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최종적으로 정화하는 제4차정화부(1400)와, 제1, 제2, 제3, 제4차정화부(1100, 1200, 1300, 1400)에서 소변을 정화할 시에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분패널(1600)로 구성되며, 구분패널(1600)의 하단부에는 배출공(1500)이 형성된다.
배출공(1500)은 제1차정화부(1100)와 제2차정화부(1200)를 구분하는 구분패널(1600)과 제3차정화부(1300)와 제4차정화부(1400)를 구분하는 구분패널(1600)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정화부(1100)에는 자갈, 연탄재 등과 같이 1차적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으며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설치하고, 제2정화부(1200)에는 모래 등을 설치하는데, 이때에는 제1정화부(1100)에 설치된 재질보다 작은 재질을 넣어 2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제3차정화부(1300)의 내측에는 부직포와 같은 섬유 재질을 설치하여 제1차와 제2차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불순물을 제3차적으로 흡수하고, 제4차정화부(1400)에는 숯을 설치하여 제3차정화부(1300)에서 정화되어 인입되는 소변을 최종적으로 정화시켜 몸체(100) 내측의 공간부(160)로 인입되도록 한다.
제1, 제2, 제3, 제4정화부(1100, 1200, 1300, 1400)에 설치되는 자갈, 연탄재, 모래, 부직포, 숯에 의해 정화되는 소변은 제1정화부(1100)에서 제2정화부(1200)와 제3정화부(1300)에서 제4정화부(1400)로 이동될 시에 구분패널(1600)에 형성된 배출공(1500) 통해 이동되고, 제2정화부(1200)에서 제3정화부(1300)와, 제4정화부(1400)에서 공간부(160)로 이동될 시에는 구분패널(1600)의 상부쪽으로 이동되어 정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계단(110)을 통해 몸체(100)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자는 변기(150)의 일측에 설치된 커버지(154)를 이용하여 좌판(151)에 까는데, 이때 변기(150)의 커버(152)가 닫혀있는 상태이면, 이를 오픈하여 좌판(151)이 보일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지(154)를 깔고 용변을 볼 수 있는 자세를 취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커버(152)를 힌지(153)를 축으로 일측 방향으로 올리면, 힌지(153)를 축으로 커버(152)가 회전하면서 좌판(151)이 보여지도록 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좌판(151)에 앉으면 그 하부에 설치된 스위치(910)가 눌려진다.
좌판(151)에 의해 눌려진 스위치(153)의 작동 신호가 컨트롤러(900)에 인가되고, 인가된 신호에 의해 이송수단(200)의 컨베이어(21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전원이 인가된다.
전원은 컨베이어(210),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설치된 오물제거팬(220)과 미생물 투입수단(300)의 투입팬(410), 교반수단(400)의 교반팬(410) 및 분쇄/배출팬(4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에 전원을 인가한다.
모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9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210), 투입팬(410), 교반수단(400)의 교반팬(410) 및 분쇄/배출팬(420)이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고, 상기 모터는 컨트롤러(900)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컨트롤러(900)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210), 투입팬(410), 교반수단(400)의 교반팬(410) 및 분쇄/배출팬(420)은 사용자가 사용할 시에만 전원이 인가된다.
오존기(600)와 대변, 소변히팅기(500, 510)는 시간을 설정하거나 계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용변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여 완전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좌판(151)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을 볼 시에 소변과 대변으로 구분되어 분리 처리되는데, 소변은 가이드패널(521)을 통해 정화수단(1000)으로 인입되고, 대변은 좌판(151)의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210)를 통해 이송된다.
소변은 가이드패널(521)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정화수단(1000)의 제1정화부(1100)로 인입되고, 인입된 소변은 석탄재 등과 같은 큰 입자로 형성된 재질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된다.
제1정화부(1100)로 인입된 소변이 1차정화된 후 제2정화부(1200)로 인입되는데, 이때에는 정화수단(1000)의 하부쪽으로 소변이 제2정화부(1200)로 인입된다.
제2정화부(1200)로 인입된 소변은 제1정화부의 석탄재보다 입자가 작은 모래 등을 통해 2차 정화되고, 2차 정화된 소변은 다시 제3정화부(1300)로 인인되는데, 이때에는 구분패널(1600)의 상부쪽으로 통해 제3정화부(1300)로 인입된다.
제3정화부(1300)로 인입된 소변은 부직포와 같은 섬유 재질를 통해 정화되고, 제3정화부(1300)로 인입된 소변은 다시 제4정화부(1400)로 인입되고, 이때에는 구분패널(1600)의 하부쪽으로 이동된다.
제4정화부(1600)으로 인입된 소변은 최종적으로 숯에 의해 마지막으로 정화되고, 정화된 소변은 배출공(1500)을 통해 소변히팅기(510) 쪽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대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좌판(151)에 앉으면 스위치(910)가 작동하며, 작동 신호가 컨트롤러(900)에 인가되어 컨베이어(210)가 구동된다.
용변이 컨베이어(210)의 상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210)에 위치된 용변은 컨베이어(210)의 회전에 의해 오물제거팬(220) 쪽으로 이동된다.
컨베이어(210)를 통해 이동되는 용변은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컨베이어(210)에서 완전하게 제거되면서 가이드패널(521) 쪽으로 이동되고, 가이드패널(521)에 이동된 용변은 다시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교반수단(400) 쪽으로 이동된다.
컨베이어(210)의 일측에 설치된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용변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210) 하부 일측에 오물제거편(221)에 의해 2차적으로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한다.
그리고 교반수단(400)으로 이동된 용변은 미생물이 섞이게 되는데, 이때 미생물에 섞이는 용변은 수분이 증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생물과 섞이게 된다.
컨베이어(210)를 통해 이동되는 용변은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것은 아니며, 용변에 포함된 수분이 열에 완전히 건조될 수 있는 속도로 이동된다.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동되는 용변은 몸체(100) 내측에 설치된 대변히팅기(500)의 열에 의해 건조되는데, 이때 이송되는 도중에 건조가 되므로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제거될 때에는 수분이 완전히 증발된 용변이 제거하게 되므로 컨베이어(210)에서 용변의 제거가 용이하다.
교반팬(410)에 의해 미생물과 교반된 용변은 교반팬(410)에 의해 분쇄/배출팬(420)으로 다시 보내지고, 분쇄/배출팬(420)으로 보내진 미생물과 교반된 용변은 분쇄/배출팬(420) 끼리 회전하면서 용변은 분쇄되고, 분쇄된 용변은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배출관(440)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관(440)을 통해 분쇄된 용변은 미생물과 섞여져 있기 때문에 용변 자체에서는 악취가 발생되지 않고 또한 몸체(100) 내측에서 건조, 교반, 분쇄의 과정을 거칠 때 오존기(600)에 의해 살균되어 세균 및 바이러스가 서식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생되는 가스 또는 약간의 냄새는 몸체(100)에서 지붕(120)으로 연설된 배기관(700)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므로 몸체(100)의 내측에는 암모니아 가스가 잔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용변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컨트롤러(900)에서는 컨베이어(210)에 잔재되어 있을 수 있는 용변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펌프(524)에 신호를 인가하면, 탱크(523)에 저장된 물이 메인공급관(530)을 거쳐 노즐(532)과 제2노즐(533)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분해되는 물은 컨베이어(210)와 오물제거팬(220)에 분사되면서 그 면에 잔재되어 있는 용변을 제거하여 줌으로 다음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소변기(8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은 소변기(800)의 하단에 설치된 제1인입관(801)을 통해 필터부(811)로 공급되고, 이때 필터부(811)로 공급된 소변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 등의 성분을 케이스(812) 내측에 설치된 필터(813)에 의해 제거한다.
요소 등의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소변이 제2인입관(802)을 통해 몸체(100) 내측으로 인입 되도록 하고, 인입된 소변은 소변히팅기(510)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킨다.
증발되는 수분은 발판(130)의 하부 면에 수분이 맺히고, 맺혀진 수분은 가이드패널(525)에 의해 탱크(523) 쪽으로 물이 모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0)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응축기(522)에 의해 수분이 모아지고, 이때 모아진 수분 또한 탱크(523) 쪽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탱크(523)에 모아진 물을 이용하여 컨베이어(210)를 청소하는데, 이때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세척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상태라 함은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오물이 컨베이어(210)에서 제거되어 용변이 교반팬(410) 쪽으로 이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물을 분사되도록 하여 컨베이어(210)와 오물제거팬(220)을 세척한다.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컨베이어(21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데, 이는 용변을 보는 사람이 배출하는 소변이 노즐(532)과 제2노즐(533)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532)과 제2노즐(533)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은 응축기(522)와 가이드패널(525)에 의해 탱크(523)에서 모아진 물을 펌프(524)에 의해 메인공급관(530)을 거쳐 제1공급관(531)을 통해 제1, 제2노즐(532, 533)에 의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변을 처리하고, 용변의 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소변에 의해 생성된 물을 이용하여 컨베이어(210)와 오물제거팬(220)을 세척하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용변에 미생물을 교반하여 이를 유기질 퇴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화학비료에 의한 토지의 황폐화를 막을 수 있고, 작물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몸체(100)에 소변기(800)를 별도로 설치하므로 소변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남자들의 경우에는 몸체(100)의 내측에 일부러 들어가지 않아도 소변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효과를 살펴보면, 별도의 정화조와 수처리 시설이 필요 업게 되므로 수질오염방지와 정화조 등의 시설비용을 절감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질 퇴비를 공급하여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고 유기질 퇴비를 이용한 농작물을 공급함으로서 건강한 채소와 곡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게실, 야영장, 고속도로, 공원 등에 설치하므로 별도의 관리가 없이도 깨끗한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오물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 이동식 화장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이송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이송수단의 컨베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미생물투입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미생물투입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를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도 2의 호퍼와 교반팬을 나타낸 측면도.
도 10a는 본 고안에 의한 소변기에 연결되는 인입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b는 본 고안에 의한 인입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간이 이동식 화장실 100 : 몸체
110 : 계단 120 : 지붕
130 : 발판 140 : 도어
150 : 변기 151 : 좌판
152 : 커버 153 : 힌지
154 : 커버지 160 : 공간부
170 : 휴지배출구 200 : 이송수단
210 : 컨베이어 211 : 로울러
220 : 오물제거팬 221 : 오물제거편
230 : 가이드부재 300 : 미생물투입수단
310 : 투입부 311 : 투입관
320 : 호퍼 321 : 투입구
330 : 투입팬 400 : 교반수단
410 : 교반팬 420 : 분쇄/배출팬
430 : 수납부 440 : 배출관
500 : 대변히팅기 510 : 소변히팅기
520 : 응축수단 521 : 가이드패널
522 : 응축기 523 : 탱크
524 : 펌프 525 : 팬
530 : 메인공급관 531 : 제1공급관
532 : 노즐 533 : 제2노즐
600 : 오존기 700 : 배기관
800 : 소변기 801 : 제1인입관
802 : 제2인입관 810 : 인입수단
811 : 필터부 812 : 케이스
813 : 필터 814 : 결합부재
820 : 칸막이 900 : 컨트롤러
910 : 스위치 1000 : 정화수단
1100 : 제1정화부 1200 : 제2정화부
1300 : 제3정화부 1400 : 제4정화부
1500 : 배출공 1600 : 구분패널

Claims (12)

  1. 계단(110), 지붕(120), 도어(140)가 형성되고, 계단(110)의 일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며, 내부에서는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으며 변기(150)가 설치되고, 변기(15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계단(110)의 상부와 같은 높이로 발판(130)이 형성된 몸체(100);
    용변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변기(150)의 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이송수단(200);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된 용변과 혼합되어 유기질 비료를 만들 수 있도록 몸체(100)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미생물 투입수단(300);
    용변과 미생물이 서로 교반, 분쇄하여 유기질 퇴비화 시킬 수 있도록 이송수단(200) 하단에 설치되는 교반수단(400);
    이송수단(200)에 의해 이송되는 용변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수단(400)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대변히팅기(500);
    몸체(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소변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소변히팅기(510);
    용변과 미생물에서 발생되는 악취, 세균,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오존기(600);
    이송수단(200)이 자동으로 동작하여 용변이 이송될 수 있도록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90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소변을 여러 단계로 정화할 수 있도록 계단(110)의 하부쪽 내측에 설치되는 정화수단(1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50)의 일측에는 이송수단(200)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좌판(152)의 하부에 스위치(15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0)에는 남자 사용자들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그 외부에 설치되는 소변기(800);
    소변기(800)의 양측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칸막이(8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이송수단(200)은 용변을 교반수단(400) 쪽으로 이동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변기(150)의 하방향에 로울러(211)를 가지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210);
    이송되는 용변을 완전하게 이탈되도록 컨베이어(21) 일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오물제거팬(220);
    상기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용변이 오물제거팬(22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하방향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미생물 투입수단(300)은 교반기 쪽으로 미생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관(311)을 갖으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입부(310);
    투입부(310)를 통해 투입되는 미생물이 일정량 모여 있을 수 있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교반수단(400)쪽으로 일정량씩 미생물이 투입되도록 투입구(321)가 형성된 호퍼(320); 및
    이송수단(200)의 구동될 시에 일정량의 미생물이 투입되도록 호퍼(320)의 투입구(321)에 설치되는 투입팬(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교반수단(400)은 용변과 미생물이 교반 될 수 있도록 오물제거팬(220)의 일측과 투입팬(330)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교반팬(410);
    교반팬(410)을 의해 용변과 미생물이 교반될 시에 일정량의 용변과 미생물이 수납되는 수납부(430);
    교반된 용변과 미생물을 잘게 분쇄하여 배출되도록 교반팬(410)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분쇄/배출팬(420);
    분쇄된 용변이 모아지도록 몸체(100)의 일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배출관(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7. 제1항에 있어서,
    소변히팅기(510)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을 모을 수 있도록 몸체(100)의 내측에 응축수단(520)이 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51)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시에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지(154)가 변기(1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1000)은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계단(110)의 내측에 소변기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일차적으로 모아져 1차 정화를 하는 제1정화부(1100);
    상기 제1정화부(11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다시 2차적으로 정화하는 제2정화부(1200);
    상기 제2정화부(12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3차 정화하는 제3차정화부(1300);
    상기 제3차정화부(1300)를 통해 인입되는 소변을 최종적으로 정화하는 제4차정화부(1400);
    상기 제1, 제2, 제3, 제4차정화부(1100, 1200, 1300, 1400)에서 소변을 정화할 시에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분패널(1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10. 제3항에 있어서,
    소변기(800)에는 소변을 안내하여 몸체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소변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인입관(801);
    소변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 등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1인입관(80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터부(811);
    소변에 포함된 요소 등의 성분이 제거된 상태의 소변을 몸체(10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필터부(8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인입관(8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11. 제4항에 있어서,
    오물제거팬에 의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한 용변을 제거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하방향 일측에 오물제거편(2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12. 제7항에 있어서,
    응축수단(520)은 소변이 증발되어 생성되는 수분을 모을 수 있도록 몸체(100) 내측 소정위치에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설치되는 가이드패널(521);
    수분을 응축하기 위하여 가이드패널(5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응축기(522);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응축기(522)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탱크(523);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탱크(523)에 설치되는 펌프(524);
    펌프(524)에 의해 물을 공급받아 컨베이어(210)을 세척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노즐(532)과 제2노즐(533);
    노즐(532)과 제2노즐(53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공급관(531);
    펌프(524)에 의해 물이 제1공급관(531)으로 공급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공급관(5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20-2004-0037241U 2004-06-30 2004-12-29 간이 이동식 화장실 KR200380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41U KR200380343Y1 (ko) 2004-12-29 2004-12-29 간이 이동식 화장실
JP2007519121A JP2008504861A (ja) 2004-06-30 2005-06-28 移動式簡易トイレ
PCT/KR2005/002011 WO2006004333A1 (en) 2004-06-30 2005-06-28 Movable temporary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241U KR200380343Y1 (ko) 2004-12-29 2004-12-29 간이 이동식 화장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534A Division KR20060076143A (ko) 2005-03-30 2005-03-30 간이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343Y1 true KR200380343Y1 (ko) 2005-03-29

Family

ID=4368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241U KR200380343Y1 (ko) 2004-06-30 2004-12-29 간이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34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708B1 (ko) 2008-03-18 2010-04-21 이동준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화장실
KR100966309B1 (ko) 2010-03-17 2010-06-28 곽명훈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갖춘 이동식 간이 화장실
CN104622371A (zh) * 2013-11-11 2015-05-20 秦立 免水自然生态厕所
KR101694173B1 (ko) * 2016-07-12 2017-01-23 주식회사 탑이앤씨 발효 탱크부가 구비된 좌변기
KR20180047107A (ko) 2016-10-31 2018-05-10 (주)지에스시엔티 수동펌프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간이화장실
CN109965762A (zh) * 2019-04-28 2019-07-05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气动热环保厕具、安装方法及其应用
CN109965762B (zh) * 2019-04-28 2024-05-31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气动热环保厕具、安装方法及其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708B1 (ko) 2008-03-18 2010-04-21 이동준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화장실
KR100966309B1 (ko) 2010-03-17 2010-06-28 곽명훈 분뇨 처리 시스템을 갖춘 이동식 간이 화장실
CN104622371A (zh) * 2013-11-11 2015-05-20 秦立 免水自然生态厕所
KR101694173B1 (ko) * 2016-07-12 2017-01-23 주식회사 탑이앤씨 발효 탱크부가 구비된 좌변기
KR20180047107A (ko) 2016-10-31 2018-05-10 (주)지에스시엔티 수동펌프에 의해 물이 공급되는 간이화장실
CN109965762A (zh) * 2019-04-28 2019-07-05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气动热环保厕具、安装方法及其应用
CN109965762B (zh) * 2019-04-28 2024-05-31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气动热环保厕具、安装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04861A (ja) 移動式簡易トイレ
KR100707813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US5971303A (en) Waste router recycling system
KR100595742B1 (ko) 화장실의 배설물 유기질 퇴비화 제조장치
KR20060076143A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WO2012008051A1 (ja) 仮設トイレ
KR100892862B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JP2010222869A (ja) 仮設トイレ
KR101694173B1 (ko) 발효 탱크부가 구비된 좌변기
KR101619376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60081874A (ko) 발효 소멸 재래식 화장실
KR100953708B1 (ko) 배설물 소멸 및 유기질 퇴비화 간이화장실
KR200380343Y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1290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8093561A (ja) 排泄物処理方法及び非水洗型トイレ
KR200362887Y1 (ko) 간이 이동식 화장실
CN111839317A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以及净化分解方法
CN206238017U (zh) 便于通风排粪的猪舍
KR102109301B1 (ko) 휴지통과 냄새가 없는 순환수세 이동식 화장실
KR102054076B1 (ko) 퇴비 제조 시스템
KR101463574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소멸장치
JPH09268632A (ja) 移動式ユニットトイレ
KR101599008B1 (ko)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39694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간편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