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17B1 - 오수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17B1
KR101631117B1 KR1020150034383A KR20150034383A KR101631117B1 KR 101631117 B1 KR101631117 B1 KR 101631117B1 KR 1020150034383 A KR1020150034383 A KR 1020150034383A KR 20150034383 A KR20150034383 A KR 20150034383A KR 101631117 B1 KR101631117 B1 KR 101631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supply
sewage
fece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Priority to KR102015003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6Cubicles for dressing; Toilets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뇨 유입구가 형성된 화장실 바닥면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화장실 벽체와; 상기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둔부 받침대의 상부면에 로드셀이 설치된 대변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오수 포집함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가 제공된 대변 발효함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면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일단부가 상기 대변 발효함과 연통된 대변 이송관과, 상기 대변 이송관에 내설된 오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오거를 연동시키는 링크 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링크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변 이송관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 개방된 부분과 연통된 오수 낙하공을 갖는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대변기와 연통된 급수 수단과; 상기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분뇨로부터 물과 소변을 포함하는 오수와 대변을 분리하고, 대변의 최적 발효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수 분리장치 {Wastewater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뇨로부터 오수를 분리하고, 대변은 자연발효시켜 유기질 비료로 자원화시키는 오수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6750호(공고일자: 1995. 4. 18., 발명의 명칭: 간이 화장실)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투입되는 분뇨가 저장발효되게 하여주는 발효실(20')과, 이 발효실의 하부에 격리되게 설치되며 액체배설물을 걸러주는 연구매개물을 충전하는 격실(22) 및, 이 격실을 통과하여 흘러나오는 액체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실(23)들을 구비하고, 발효실(20')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분뇨와 톱밥등을 혼합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교반기와, 전면 상부에는 톱밥등의 투입구(212)를 하부에는 비료화된 분뇨등의 인출구(213)들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분뇨탱크(20)와; 분뇨탱크(20) 상측부에 설치하는 변기(30)와; 분뇨탱크(2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주는 배기장치 및; 수용실(23)에 수용되는 액체배설물을 퍼올려 발효실(20')의 상부로 재공급시켜 주는 순환장치와; 수용실(23)에 액체배설물이 과도하게 수용되면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배출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분뇨를 탱크내에서 발효시킨 유기질비료로 만들어 주므로 분뇨를 수거하여 폐기하지 않고 비료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분뇨처리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실제 분료의 유기질비료화의 원활히 구현되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37461호(공고일자: 2000. 2. 1., 발명의 명칭: 분뇨 및 축산폐수의 비료화 처리방법과 그 장치)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거된 분뇨를 협잡물 전처리기(2)에 투입하여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분뇨저장조(1)로 이송, 저장하는 공정과, 상기 협잡물 제거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탈취탑(10)으로 송기하여 탈취처리하고 걸러진 협잡물은 소각로(9)로 이송하여 소각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분뇨저장조(1)에 저장된 분뇨를 부원료인 톱밥과 함께 혼합조(3)로 투입하여 내부 온도를 65℃ 이상 유지한 상태에서 적어도 4시간 이상 혼합 교반하여 각종 병원균 및 기생충 등을 사멸, 무균화처리하는 공정과,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온도를 45℃로 유지하면서 10시간 이상 혐기성 처리로 교반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 중에 20%의 산소를 공급하고 45℃를 유지하면서 미생물 호기성 세균을 투입, 증식 배양하여 적량의 산소와 질소를 공급하고 교반하여 1차발효시키는 공정과, 상기 혼합조(3)에서 1차발효된 분뇨를 발효조(4)로 이송하여 20%의 산소를 공급하면서 72시간 발효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발효된 분뇨를 고속탈수기(5)로 이송하여 고형물과 액상물을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고속탈수기(5)에서 탈수된 액상물은 액체비료발효조(7)로 이송하여 산소를 공급하면서 발효, 숙성하고, 탁도여과기(8)에서 부유물을 제거하고 탈취, 탈색하여 액체비료저장조(70)로 저장하는 액체비료화공정과, 상기 고속탈수기(5)에서 탈수된 고형물은 건조습도균일발효조(6)로 이송하여 산소공급과 건조스팀 및 액체비료를 투입하고 함수율을 45% 유지시켜 12일 정도 발효, 숙성시켜 고체유기질 비료화공정을 포함하는 분뇨 및 축산폐수의 비료화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시간내에 호기성 발효에 의한 고온발효식 처리방법을 채택하고 처리물의 투입에서 포장까지 산업용 자동 계량제어기와 고속탈수기 등을 이용, 고체비료와 액체비료로서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제품화하며, 계량하고 방출하는 공정에 의해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함으로서 혐요성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처리수의 방류가 없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환경친화적 방법을 이용하며, 처리된 분뇨 및 축산폐수는 고체유기질 비료와 액체비료로 재활용하고 이러한 비료가 사용되는 토양의 토질을 개선할 수 있는 더욱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계량탱크 발효공정을 통하여 양질의 비료를 생산,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대규모 플랜트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소규모에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뇨로부터 오수를 분리하고, 대변은 자연발효시켜 유기질 비료로 자원화시키는 오수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뇨 유입구가 형성된 화장실 바닥면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화장실 벽체와; 상기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둔부 받침대의 상부면에 로드셀이 설치된 대변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오수 포집함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가 제공된 대변 발효함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면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일단부가 상기 대변 발효함과 연통된 대변 이송관과, 상기 대변 이송관에 내설된 오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오거를 연동시키는 링크 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링크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변 이송관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 개방된 부분과 연통된 오수 낙하공을 갖는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대변기와 연통된 급수 수단과; 상기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오수 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기와 급수관을 통해 연통된 급수 펌프가 내장된 급수 공급기와, 상기 급수 공급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 공급기와 상기 급수통을 수용하는 급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급수 케이싱은 상부면에 상기 급수통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된 급수통 개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화장실 벽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솔라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수 포집함에 충전된 오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높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변 발효함의 상부면에는 상기 대변 발효함에 충전된 대변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2 높이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 센서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오수 포집함에 충전된 오수를 회수하도록 상기 오수 포집함과 연통된 오수 회수펌프와, 상기 오수 회수펌프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 포집함의 외부에 설치된 오수 외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대변 발효함의 내측면에 인접되게 설치된 예열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예열 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히팅 코일 또는 열매체가 충전된 히팅 파이프이고, 상기 화장실 벽체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배기팬과, 상기 화장실 벽체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된 실내 조명등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실내 조명등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분뇨로부터 물과 소변을 포함하는 오수와 대변을 분리하고, 대변의 최적 발효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이 화장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뇨 및 축산폐수의 비료화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 분리장치를 단면도이다.
도 4는 대변기와 급수 수단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분뇨 이송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어수단과 대변 발효함에 내장된 히팅 파이프와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수 분리장치(100)는 화장실 벽체(10), 화장실 바닥면(FL), 대변기(20), 오수 포집함(30), 급수 수단(40), 대변 발효함(50), 솔라 패널(60), 분료 이송수단(70), 오수 외부함(80), 예열 수단(90), 배기팬(FN), 실내 조명등(IL), 수위 센서(L1)(L2), 로드셀(LC) 및 제어 수단(COM)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실 바닥면(FL)은 콘크리트, 금속 재질, 목재 또는 합성 패널로 제작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분뇨 유입구(f1)가 형성되어 있다.
화장실 벽체(10)는 금속 재질, 목재 또는 합성 패널로 제작된 상부면, 양측면, 전면, 배면으로 이루어진 케이싱으로써 화장실 바닥면(FL)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도어(Dr)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Dr)에는 개폐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센서(도시 안됨)이 제공되어 있다.
대변기(20)는 분뇨 유입구(f1)와 연통되도록 화장실 바닥면(FL)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대변기(20)는 일반적인 양변기이며, 다양한 형태의 양변기가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대변기(20)의 둔부 받침대(번호 없음)에는 사용자의 대변기(20) 사용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로드셀(LC)이 설치되어 있다.
오수 포집함(30)은 화장실 바닥면(FL)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오수 포집함(30)은 충격에 강한 FRP 또는 합성 패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수 포집함(30)은 일부가 매립되거나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대변 발효함(50)은 오수 포집함(30)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Cl)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 덮개(Cl)는 대변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임의적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가스 배기핀(GP)이 부설되어 있다.
분뇨 이송수단(70)은 화장실 바닥면(FL)의 하부면과 오수 포집함(30)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된 대변 이송관(71)과, 대변 이송관(71)에 내설된 오거(73)와, 화장실 바닥면(FL)의 상부면에 제공된 모터(M)와, 모터(M)와 오거(73)를 연동시키는 링크 부재(75)와, 모터(M)와 링크 부재(75)를 수용하는 케이싱(7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링크 부재(75)는 밸트 또는 체인이다.
여기서, 대변 이송관(71)은 화장실 바닥면(FL)의 분뇨 유입구(fl)와 연통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71a)와, 개구부(71a)가 형성된 대향 하부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오수 낙하공(71b)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오수 낙하공(71b)으로부터 낙하된 오수는 오수 포집함(30)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입되어 오수 포집함(30)에 포집된다.
또한, 오거(73)를 통해 이송된 대변은 대변 이송관(71)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낙하되어 대변 발효함(50)에 충전된다.
급수 수단(40)은 화장실 바닥면(FL)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변기(20)와 급수관(Wp)을 통해 연통된 급수 펌프(P)가 내장된 급수 공급기(WF)와, 급수 공급기(WF)의 상부면에 제공된 급수통(WB)과, 급수 공급기(WF)와 급수통(WB)을 수용하는 급수 케이싱(CS)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급수 케이싱(CS)은 상부면에 급수통(WB)을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급수통 개폐덮개(Ld)가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수단(40)은 급수통(WB), 급수 공급기(WF) 및 급수 케이싱(CS)으로 구성된 것에 한정되어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수도관을 대변기(20)에 연통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솔라 패널(60)은 화장실 벽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오수 분리장치(100)의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오수 포집함(30)의 상부면에는 오수 포집함(30)에 충전된 오수(Wst)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높이 센서(L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변 발효함(50)의 상부면에는 대변 발효함(50)에 충전된 대변(FC)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2 높이 센서(L2)가 설치되어 있다.
오수 외부함(80)은 오수 포집함(30)에 충전된 오수(Wst)를 회수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으로, 오수 포집함(30)과 연통된 오수 회수펌프(Pu)에 의해 회수된다.
예열 수단(90)은 대변 발효함(50)의 내측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히팅 코일 또는 열매체가 충전된 히팅 파이프이다. 여기서, 예열 수단(90)은 대변 발효함(50)에 충전된 대변의 바람직한 발효를 구현하기 위하여 20 ~ 35℃를 상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다.
배기팬(FN)은 화장실 벽체(10)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실내 조명등(IL)은 화장실 벽체(10)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수단(COM)은 로드셀(LC), 급수 수단(40)의 급수 펌프(P), 솔라 패널(60), 분뇨 이송수단(70)의 모터(M), 예열 수단(90), 배기팬(FN), 로드셀(LC), 오수 회수펌프(Pu) 및 실내 조명기(IL)을 제어하도록 화장실 벽체(10)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어수단(COM)은 화장식 벽체(10)의 외부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실 벽체(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제어수단(COM)은 솔라 패널(60)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이용하며 전술된 모든 기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자체 전원을 활용하거나 외부 전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솔라 패널(60)은 태양 전지 이외에 축전지 및 제어부까지 포함된 것을 의미하며, 제어수단(COM)에는 경보기(도시 안됨)가 부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오수 분리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하기와 같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도어(Dr)를 개방하면, 도어(Dr)가 개방된 상황을 제어수단(COM)에 전달하고, 제어수단(COM)은 배기팬(FN)과 실내 조명등(IL)을 작동시킨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대변기(20)의 둔부 받침대에 앉으면 로드셀(LC)은 사용자의 중량(20kg 이상)을 감지하여 제어수단(COM)에 전달함으로써 제어수단(COM)은 분뇨 이송수단(7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분뇨 이송수단(70)이 작동되면, 모터(M)와 연동된 오거(73)는 사용자의 대변을 이송시켜 대변 발효함(50)으로 이송시키고, 물이나 소변 등은 오수 낙하공(71b)을 통해 오수 포집함(30)에 포집된다. 이때, 사용자가 대변기(20)의 작동 손잡이(번호 없음)를 작동시켜 대변기(20)에 충전된 세정수가 대변과 소변을 대변 이송관(71)의 개구부(71a)로 낙하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대변기(20)에서 일어나면, 로드셀(LC)은 사용자가 사용을 중지하였음을 제어수단(COM)에 전달하고, 제어수단(COM)은 분뇨 이송수단(70)을 정지시키며, 사용자가 도어(Dr)를 개방하고 나간 후 도어(Dr)를 폐쇄하면, 도어 센서(Dr)에 연결된 제어수단(COM)은 배기팬(FN)과 실내 조명등(IL)을 작동해제한다.
여기서, 제 1 높이센서(L1)에 의해 오수 포집함(30)에 포집된 오수(Wst)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제어수단(COM)은 오수 회수펌프(Pu)를 작동시켜 오수(Wst)를 오수 외부함(80)에 회수한다.
또한, 제 2 높이센서(L2)에 의해 대변 발효함(50)에 충전된 대변(FC)의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수단(COM)에 의해 경보기를 작동시켜 경고음을 발현한다. 그리고, 제어수단(COM)은 급수 펌프(P)를 작동시켜 세정수를 대변기(20)에 충전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한 오수 분리장치(100)의 작동 관계는 단지 일례에 불과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화장실 벽체 Dr : 도어
20 : 대변기
30 : 오수 포집함
40 : 급수 수단 WB : 급수통
WF : 급수 공급기 P : 급수 펌프
CS : 급수 케이싱
50 : 대변 발효함 Cl : 개폐 덮개
60 : 솔라 패널
70 : 분뇨 이송수단 71 : 대변 이송관
73 : 오거 75 : 링크 부재
77 : 케이싱 M : 모터
80 : 오수 외부함 Pu : 오수 회수펌프
90 : 예열 수단
100 : 오수 분리장치
Wst : 오수 FC : 대변

Claims (5)

  1. 분뇨 유입구가 형성된 화장실 바닥면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된 화장실 벽체와;
    상기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둔부 받침대의 상부면에 로드셀이 설치된 대변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부면의 일부가 개방된 중공 구조를 갖는 오수 포집함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을 개폐하는 개폐 덮개가 제공된 대변 발효함과;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하부면과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되어 일단부가 상기 대변 발효함과 연통된 대변 이송관과, 상기 대변 이송관에 내설된 오거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오거를 연동시키는 링크 부재와, 상기 모터와 상기 링크 부재를 수용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변 이송관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분뇨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대향면에 형성되며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 개방된 부분과 연통된 오수 낙하공을 갖는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대변기와 연통된 급수 수단과;
    상기 분뇨 이송수단과 상기 급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화장실 벽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솔라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 포집함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수 포집함에 충전된 오수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1 높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변 발효함의 상부면에는 상기 대변 발효함에 충전된 대변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 2 높이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 센서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수단은, 상기 화장실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변기와 급수관을 통해 연통된 급수 펌프가 내장된 급수 공급기와, 상기 급수 공급기의 상부면에 제공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 공급기와 상기 급수통을 수용하는 급수 케이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급수 케이싱은 상부면에 상기 급수통을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된 급수통 개폐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포집함에 충전된 오수를 회수하도록 상기 오수 포집함과 연통된 오수 회수펌프와, 상기 오수 회수펌프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오수 포집함의 외부에 설치된 오수 외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발효함의 내측면에 인접되게 설치된 예열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예열 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히팅 코일 또는 열매체가 충전된 히팅 파이프이고,
    상기 화장실 벽체의 일측면 상단에 설치된 배기팬과, 상기 화장실 벽체의 상부면 내측에 설치된 실내 조명등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팬과 상기 실내 조명등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리장치.
KR1020150034383A 2015-03-12 2015-03-12 오수 분리장치 KR10163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83A KR101631117B1 (ko) 2015-03-12 2015-03-12 오수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83A KR101631117B1 (ko) 2015-03-12 2015-03-12 오수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17B1 true KR101631117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83A KR101631117B1 (ko) 2015-03-12 2015-03-12 오수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443A (zh) * 2016-08-26 2016-12-14 云南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排泄物资源化收集利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655A (ja) * 1995-09-12 1997-03-25 Tatsutoshi Hashimoto 汚水処理装置
KR200303080Y1 (ko) * 2002-10-25 2003-02-06 주식회사 무림교역 고속건조 발효식 화장실
KR101346375B1 (ko) * 2012-09-04 2014-01-02 정철민 화장실 배설물처리장치
KR20150047094A (ko) * 2013-10-23 2015-05-04 박만선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655A (ja) * 1995-09-12 1997-03-25 Tatsutoshi Hashimoto 汚水処理装置
KR200303080Y1 (ko) * 2002-10-25 2003-02-06 주식회사 무림교역 고속건조 발효식 화장실
KR101346375B1 (ko) * 2012-09-04 2014-01-02 정철민 화장실 배설물처리장치
KR20150047094A (ko) * 2013-10-23 2015-05-04 박만선 오수 재활용 배설물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443A (zh) * 2016-08-26 2016-12-14 云南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排泄物资源化收集利用装置
CN106223443B (zh) * 2016-08-26 2018-06-19 云南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排泄物资源化收集利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32193A (ja) スラッジの嫌気性消化のためのデバイス、プロセスおよびシステム
CN107986583A (zh) 一种商住小区污染物零排放处理系统与处理方法
CN202482231U (zh) 有机固体废弃物好氧发酵制肥装置
CN106957130A (zh) 一种生活污水和有机固体废弃物的处理方法
CN110723993B (zh) 一种湿垃圾制取有机肥系统
JP2008246373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101631117B1 (ko) 오수 분리장치
KR102381228B1 (ko) 친환경 스마트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202400981U (zh) 一种人便有氧堆肥化装置
RU246376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огаза из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отходов и биогаз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6273845U (zh) 一种有机废弃物资源化集成装置
CN207918634U (zh) 一种商住小区污染物零排放处理系统
CN208146642U (zh) 一种餐厨和果蔬垃圾与污水综合处理系统
CN110499241A (zh) 一种隧道龙骨水车式的厌氧干发酵装置
CN102329721A (zh) 垃圾与污水联合发酵处理沼气池
WO2007059688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to produce biogas
KR101108483B1 (ko)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CN210176738U (zh) 一种粪便无害化处理系统
CN111691516A (zh) 一种生态旱厕
CN108126972B (zh) 一种餐厨垃圾的一体化破碎处理装置
FI128612B (fi) Suljettu kuivakäymäläjärjestelmä ja menetelmä käymäläjätteen käsittelemiseksi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050012084A (ko) 집단 주거형 건물의 음식물 쓰레기 일괄 수집 및 처리 장치
CN212976271U (zh) 一种复合酶餐厨垃圾生物降解设备
CN210314042U (zh) 一种利用太阳能暖灯产热促进堆体升温的阳光堆肥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