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71Y1 -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71Y1
KR0127971Y1 KR2019940039212U KR19940039212U KR0127971Y1 KR 0127971 Y1 KR0127971 Y1 KR 0127971Y1 KR 2019940039212 U KR2019940039212 U KR 2019940039212U KR 19940039212 U KR19940039212 U KR 19940039212U KR 0127971 Y1 KR0127971 Y1 KR 0127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ansverse frame
fixing
fixed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127U (ko
Inventor
송은섭
박채운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40039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971Y1/ko
Publication of KR960022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B61F1/12Cross bear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cross beam)구조에 관한 것으로, 횡골조(1)의 상면(2)의 선단 아래 쪽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계단면(3)이 형성되고 이 계단면(3)에 파이프 클램프 고정용 장공(5)을 형성시킨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파이프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에 횡골조 구조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의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이 단면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의 평면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 개념도.
제3도의 (a)는 종래의 철도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의 사시도.
(b)는 종래의 철도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 개념도.
(c)는 종래의 철도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횡골조 2 : 횡골조 상면
3 : 계단면 4 : 파이프 구멍
5 : 장공 6 : 파이프
7 : 클램프 8 : 너트
본 고안은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cross beam)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횡골조를 지나가는 각종 파이프의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차량 자체와 승객 및 화물의 중량에 견디기 위하여 많은 종골조와 횡골조로 이루어진 하부 차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하부 차체에는 연결된 각 차량에 압축 공기나 전기등의 공급을 위한 각종 파이프가 지나가게 되어 있는데, 이 파이프들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횡골조에 파이프 통과 구멍을 뚫어 배관 작업을 한 후 파이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차체의 횡골조의 외부 수직면에 브라케트를 용접하여 이 브라케트에 파이프를 고정하였다.
제3도의 (a)는 종래의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31)에 대한 사시도로서, 횡골조는 ㄷ자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횡골조의 수직면에 구멍을 뚫어 파이프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제3도의 (b)는 종래의 철도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를 관통하는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 개념도로서, 횡골조(31)를 관통하는 파이프(32)를 고정하기 위하여 횡골조(31)의 바깥 수직면에 파이프(32)의 고정을 위한 브라케트(33)가 용접으로 부착되며, 이 브라케트(33)에 파이프(32)가 클램프(34)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의 (c)는 종래의 철도 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부분 측면도로서, 횡골조(31)의 바깥 수직면에 브라케트(33)가 일정한 길이로 용접되고, 이 브라케트(33)에 파이프(32)가 U - 보울트 등과 같은 클램프(34)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고정 구조는 파이프 고정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철도차량의 하부 차체에는 수많은 횡골조가 있으며 또 수많은 파이프가 횡골조를 관통하게 되어, 각각의 관통지점 마다 고정하는 경우 상당히 많은 브라케트의 부착을 위한 용접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고정을 위한 브라케트의 용접위치 오차나 클램프 고정 구멍의 오차에 따라 파이프를 고정하는 위치가 맞지 않아 브라케트에 대한 수정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도 차량 하부 차체의 파이프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가 고정되는 철도 차량 하부 차체의 횡골조에 브라케트와 같은 별도의 지지대를 부착하지 않고, 횡골조에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횡골조의 상부면 형상을 변경시켜 파이프 고정을 위한 브라케트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횡골조는 상면에 선단이 L단면 형상으로 구부러진 계단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면의 선단의 계단면에 파이프 고정을 위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는 구멍이 뚫어져 있는데, 이 구멍은 긴 장공으로 되어 있어 파이프의 고정 위치가 제작상의 오차등으로 바뀌더라도 클램프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파이프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에 대한 사시도로서, 파이프가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하부 차체의 횡골조(1)의 상면(2) 선단에 아래 쪽으로 계단면(3)이 형성되어 파이프를 고정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계단면(3)에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이 뚫려져 있으며, 이 구멍은 장공으로 되어 있어 파이프를 고정할 때 작업 공정상의 오차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도의 (b)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의 단면도로서, 파이프가 통과하는 파이프 구멍(4)이 있는 부위에는 횡골조(1)의 상면(2)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면(3)에 장공(5)이 뚫려져 있다.
제1도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차량용 횡골조의 평면도로서, 횡골조의 상면(2)을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상면(2)의 선단에 형성된 계단면(3)에 장공(5) 뚫려져 있다.
이 계단면(3)에 파이프 고정을 위한 클램프가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장공(5)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공정상의 오차로 파이프 고정 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에도 클램프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로서, 횡골조(1)를 관통하는 파이프(6)가 고정 클램프(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 클램프(7)는 횡골조(1)의 상면(2)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면(3)에 의해 지지되며, 계단면(3)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5)을 통해 고정된다.
제2도의 (b)는 본 고안에 횡골조에 파이프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파이프(6)가 횡골조(1)를 자나가며 이 파이프(6)는 횡골조 상면(2)의 선단에 형성된 계단면(3)에 고정되는 클램프(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계단면(3)은 횡골조 상면(2)에 비해 낮게 되어 있으므로, 계단면(3)에 파이프 클램프(7)의 보울트 부분이나 고정용 너트(8)가 횡골조(1)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본체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를 사용함으로써, 파이프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철도차량의 하부차체의 횡골조(1) 상부를 계단면(3)으로 절곡성형하고, 이 계단면(3)에 파이프고정용 크램프를 고정할 수 있는 장공(5)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된 철도차량용 하부차체의 횡골조구조.
KR2019940039212U 1994-12-30 1994-12-30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KR0127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12U KR0127971Y1 (ko) 1994-12-30 1994-12-30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212U KR0127971Y1 (ko) 1994-12-30 1994-12-30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27U KR960022127U (ko) 1996-07-20
KR0127971Y1 true KR0127971Y1 (ko) 1998-12-01

Family

ID=1940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212U KR0127971Y1 (ko) 1994-12-30 1994-12-30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9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27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4246C (fi) Fordonsflak.
CN213292296U (zh) 一种铁路车辆、铁路车辆的底架及侧梁
CA2120047C (en) A switch transport wagon
KR0127971Y1 (ko) 철도 차량용 하부 차체의 횡골조 구조
JPH10331104A (ja) トンネル工事用枕木
CN210652999U (zh) 一种可调节的轻卡铝合金侧防护栏
CN214524060U (zh) 一种挂车及挂车车架结构
JPH05139303A (ja) 鉄道車両
CN212828699U (zh) 汽车仪表横梁与中通道的连接结构
CN210703298U (zh) 一种客车顶盖骨架焊接通用工装
CN211543425U (zh) 商用车前围外饰件安装定位结构
CN114454906B (zh) 一种轨道车辆车下管路布置结构、底架及轨道车辆
CN214721846U (zh) 一种前底板下纵梁的焊接定位装置
JP2545328Y2 (ja) クロスメンバーの取付構造
CN107738692A (zh) 一种铝合金侧帘半挂车的型材边梁及其车架
CN208419837U (zh) 铁路车辆外形检测装置
CN220637601U (zh) 过山车车体工装夹具
CN207697577U (zh) 一种汽车扶手通用安装结构
CN217145628U (zh) 一种电池包托架和车辆
RU206484U1 (ru) Вагон-платформа
CN219277703U (zh) 仪表管梁总成
KR200151817Y1 (ko) 철도차량의 측부골조
US2326600A (en) Running board
KR200147412Y1 (ko) 고속 화차용 대차 제동 빔
KR0140546Y1 (ko) 철도차량용 출입문 상부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