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55Y1 -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 Google Patents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55Y1
KR0126255Y1 KR2019940023880U KR19940023880U KR0126255Y1 KR 0126255 Y1 KR0126255 Y1 KR 0126255Y1 KR 2019940023880 U KR2019940023880 U KR 2019940023880U KR 19940023880 U KR19940023880 U KR 19940023880U KR 0126255 Y1 KR0126255 Y1 KR 0126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iece
scraping piece
support frame
scr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077U (ko
Inventor
홍면기
Original Assignee
홍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면기 filed Critical 홍면기
Priority to KR2019940023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255Y1/ko
Publication of KR960011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에 접착테이프를 사용할 때에는 각종 포장이나 접착 등에 테이프를 접착하게 되고 차후에 테이프를 떼어낼 때 떼어내기가 불편하게 매우 곤란을 겪었다.
본 고안은 테이프가 일정길이로 절단공급되어 테이프 송출부에 가위와 동시에 승강되면서 테이프 송출용 로울러의 앞쪽에서 절단후 잔여 테이프의 단부를 절곡시켜 긁어올리고 눌러서 접어줌으로써 테이프의 일단에 비접착면부를 형성하여 테이프를 붙이고 떼어낼 때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제1도는 테이프 절단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원 장치가 장착된 테이프 송출용 로울러 지지틀 부분의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A-A선 개략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제2도 및 제3도에서 나타낸 본원장치의 작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요부분리사시도.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B-B선 개략 단면도.
제7도는 상기 제5도 내지 제7도에서 나타낸 본원장치의 작용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 2,22,52 : 로울러 지지틀
7,27,57 : 접착테이프 9,29 : 가위
10,30,40,50 : 긁어올림편 11,31,53 : 연결대
16,36 : 걸림편 19,39 : 레버
21,51 : 로울러 커버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에 의해 절단 공급되는 접착테이프의 한쪽 단부를 자동으로 접어서 테이프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체에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된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상품의 포장작업등과 같이 절단된 일정한 길이의 접착테이프를 계속적으로 요구하는 경우에 보다 간편하게 접착테이프를 공급받기 위하여 접착테이프 자동 절단공급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본 출원인의 선특허등록 제66558호는 그중 한가지이며, 상기의 테이프 절단공급기는 테이프의 송출부, 절단부, 공급부 및 스위치 조작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스위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길이와 임의의 공급주기로 테이프를 절단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테이프를 가위나 칼에 의해 일일이 절단하여 제품의 포장이나 접착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를 절단하여 소정의 위치에 접착한 뒤 차후에 접착된 테이프를 떼어내고자 할 때 상당히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미 접착되어 밀착된 접착테이프를 떼어내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고 접착된 테이프의 모서리를 긁어내서 찢어지거나 제품에 파손을 가져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이 경우 접착테이프의 한쪽 단부가 접착되지 않고 접착표면과 분리되어 있으면 그 부분을 잡고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접착테이프를 가위나 칼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자동절단 공급되는 테이프를 일일이 한쪽 단부를 접어서 비접착면을 만들어가면서 사용한다는 것은 번거로워서 합리적이지 못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접착테이프의 자동절단공급시 접착테이프의 절단과 동시에 잔여 접착테이프의 단부를 접어서 비접착면을 형성하도록 된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의 일단에 장착되는 로울러 지지틀의 내측에 다수의 벨트풀리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실리콘 고무벨트에 의해 연결구동하면서 테이프를 이송시키고 상기 로울러지지틀의 선단부에 가위가 가위동작축에 설치되어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것에 있어서, 상기 가위동작축에 레버가 설치되고 이 레버에 연결되어 가위와 함께 동작되는 긁어올림편이 로울러지지틀의 선단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절단과 동시에 잔여 테이프의 단부를 접어주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틀의 윗면에는 판형의 연결대가 수평으로 위치되어 연결대의 양측단이 지지틀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연결대의 윗면 또는 밑면에서 선택된 일단에 연결편이 돌출되어 상기 레버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대의 선단에 상기 긁어올림편이 핀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긁어올림편이 연결대의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긁어올림편은 내측 긁어올림편과 외측 긁어올림편의 두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측 긁어올림편은 테이프를 접은 상태로 긁어올려주고 내측 긁어올림편은 최종적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어 보다 명확하게 테이프를 접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는 절단된 후의 잔여 테이프의 단부가 밑으로 처지면서 아래쪽의 로울러로 감겨들어갈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테이프를 지지하여주는 테이프 지지편이 더 설치될수 있으며 이 테이프지지편은 상기 긁어올림편의 하강시 저촉될 수 있으므로 긁어올림편의 동작과 동일하게 승강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으로부터 지지틀의 일측면으로 길게 연장되는 걸림대를 더 형성하고 이 걸림대의 단부에 훅크부를 구성하는 한편, 지지틀의 측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일단부가 조립되는 회동간을 설치하고 이 회동간의 일단에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기 훅크부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회동간의 선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지지틀의 앞면을 횡으로 지나가도록 테이프지지편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긁어올림편은 그 승강동작이 레버에 의한 동작뿐 아니라 기존 지지틀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와 연동되는 기어를 더 설치하고 이에 따라 구동하는 캠을 설치하여 이 캠의 동작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링크기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종래 접착테이프 자동절단 공급기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스위치조작부, 테이프송출부 및 테이프 절단부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원 고안은 상기 테이프 절단기에서 테이프 공급부와 절단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을 상기의 예시도면에 도시된 테이프절단기에 국한하는 취지는 아니다.
제2도는 테이프자동절단기에서 송출부와 절단부를 이루는 로울러 지지틀을 나타낸 것으로, 일실시예로서의 본원 장치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1)의 일단에 장착되는 로울러 지지틀(2)의 내측에 다수의 벨트풀리(3)와 로울러(4)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실리콘 고무벨트(5)에 의해 연결구동하면서 테이프(7)를 이송시키고 상기 로울러 지지틀(2)의 일측으로 가위동작축(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위동작축(8)이 선단에 가위(9)가 설치되어 로울러 지지틀(2)의 앞쪽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 지지틀(2)의 테이프 출구 부분에 테이프 긁어올림편(10)이 세워져서 설치되는데, 이 긁어올림편(10)은 하단이 내측으로 굽어져 있고 상단은, 지지틀(2)의 양측에서 지지되어 회동가능한 연결대(11)의 선단에 핀(12)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대(11)는 판형으로 되어 상기 지지틀(2)의 윗쪽에 위치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지틀(2)의 양측에 조립되어 있으며 윗면에 접속편(1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편(13)은 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긁어올림편(10)을 연결대(11)에 연결하는 핀(12)에는 스프링(14)이 설치되어서 상기 긁어올림편(10)이 연결대(11)에 대하여 내측으로 탄발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절곡된 하단부가 테이프 송출용 로울러(4)에 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긁어올림편(10)은 상승할 때만 상기 로울러에 접촉하여야 하며 하강할 때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지지틀(2)의 선단 상측에는 횡으로 축(15)이 설치되고 이 축(15)의 중간에 걸림편(16)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 걸림편(16)은 끝부분이 상기 긁어올림편(10)의 내측면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축(15)에 스프링(17)이 설치되며 이 스프링에 지지되어 있으며, 걸림편(16)이 상기 축(15)에서 회동하는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긁어올림편(10)의 내측 중간에는 상·하로 걸림홈(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홈(18)에는 긁어올림편(10)의 승강시 상기 걸림편(16)이 접촉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위동작축(8)에는 긁어올림편(10)을 승강시키는 레버(19)가 설치되는데. 이 레버(19)의 고정단이 상기 가위동작축(8)에 고정되어 있고 자유단은 상기 연결대(11)의 접속편(13)에 접속되어 가위동작축(8)의 작용으로 가위가 테이프를 절단할 때 상기 레버(19)에 의해 긁어올림편(10)로 동시에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힘장치의 작용상태가 제4도 (a) 내지 (d)에서 측면도로써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제4도 (a)에서와 같이 긁어올림편(10)이 상향위치된 상태에서 벨트(5)에 의해 테이프(7)가 공급되고 테이프(7)의 단부가 긁어올림편(10)의 하측에서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도록 하는 초기 상태에서, (b)와 같이 가위(9)가 회동하면서 테이프(7)를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가위(9)는 가위동작축(8)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며, 이때 상기 가위동작축(8)에 설치된 레버(19)가 함께 회동되면서 연결대(11)을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긁어올림편(10)이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긁어올림편(10)의 단부는 연결대(11)에 지지되는 스프링(14)에 의해 내측으로 탄력이 작용하여 로울러(4)의 표면에 밀착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데, 하강시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걸림편(16)이 긁어올림편(10)의 내측을 받쳐주어서 로울러(4)와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하강함으로써 로울러(4)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테이프(7)가 하측으로 밀려서 하측의 벨트풀리(3)에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4도 (c)는 가위(9)에 의해 테이프(7)는 절단되었고 긁어올림편(1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이며, 이때 걸림편(16)이 긁어올림편(10)의 상측 걸림홈(18)에 위치되면서 긁어올림편(10)의 단부가 내측으로 밀착되고 이에 따라 테이프(7)의 단부가 긁어올림편(10)의 내측 단부에 의해 구부러져 있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위(9) 및 긁어올림편(10)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제4도 (d)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긁어올림편(10)은 구부러진 테이프의 단부를 끌고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걸림편(16)이 상향으로 들어올려지면서 긁어올림편(10)을 밀어주지 못하는 상태로 되어 긁어올림편(10)은 로울러(4)에 거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끌려올라가던 접착테이프(7)는 상기 로울러(4)의 외면에서 긁어올림편(10)의 단부에 의해 눌러지게 되어 구부러진 완전히 접혀지게 되고 긁어올림편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국, 원 상태로 복귀된 후에는 테이프(7)의 절단된 잔여단부가 접혀진 상태로 남아있게 되며, 이와 같은 절단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테이프의 한쪽단부에는 접혀진 부분으로 인하여 접착면과 동일면에 비접착부(2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품의 포장, 접착 등에 사용하였을 경우 테이프를 떼어낼 때 상기 비접착면부(2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5도는 지지틀의 사시도이고, 제6도는 상기 제5도의 B-B선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의 일단에 장착되는 로울러 지지틀(22)의 내측에 다수의 벨트풀리(23)와 로울러(24)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실리콘 고무벨트(25)에 의해 연결구동하면서 테이프(27)를 이송시키고 상기 로울러 지지틀(22)의 일측으로 가위동작축(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위동작축(28)의 선단에 가위(29)가 설치되어 로울러 취부틀(22)의 앞쪽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22)의 윗쪽에는 판형의 연결대(31)가 설치되는데, 이 연결대(31)는 양단이 절곡되어 지지틀(22)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윗면 일단에는 접속편(3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편(33)은 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울러 지지틀(22)의 테이프 출구부분에는 한쌍의 테이프 긁어올림편(30),(40)이 세워져서 설치되는데 각 긁어올림편(30),(40)은 하단이 내측으로 굽어져 있고, 상단은 상기 연결대(31)의 선단에 핀(32)으로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긁어올림편 중에서 내측 긁어올림편(30)은 판형으로 되고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절곡부는 양측으로 더 연장되어서 상기 핀(32)에 의해 연결대(31)에 조립되고 상기 핀(32)에는 스프링(34)을 끼워서 긁어올림편(30)이 상기 연결대(31)에 대하여 내측으로 탄력을 가지게 된다.
외측 긁어올림편(40)은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중간에 요부(41)가 형성되어 이 요부(41)에 상기 내측 긁어올림편(30)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핀(32)에 함께 조립되며, 외측 긁어올림편(40)으로 상기 핀(32)을 중심으로 스프링(34)에 의해 내향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긁어올림편(40)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걸림턱(42)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42)에 접촉될 수 있는 걸림편(43)이 지지틀(22)이 내측 일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긁어올림편(40)은 승·하강시에 상기 걸림턱(42)이 걸림편(43)에 걸려서 들어올려지게 되어 일정구간에서는 테이프송출용 로울러(24)로부터 분리되어 이동된다.
상기 외측 긁어올림편(40)과는 달리 내측 긁어올림편(30)은 하강할 때에는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고 상승할 때에는 로울러(24)에 밀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틀(22)의 선단 상측에는 횡으로 축(35)이 설치되고 이 축(35)의 중간에 걸림편(36)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 걸림편(36)은 끝부분이 상기 내측 긁어올림편(30)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축(35)에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에 지지되어 있으며, 걸림편(36)이 상기 축(35)에서 회동되는 범위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긁어올림편(30)의 내측 중간에는 상·하로 걸림홈(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홈(38)에는 내측 긁어올림편(30)의 승강시 상기 걸림편(36)이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위동작축(28)에는 레버(39)가 설치되는데 이 레버(39)의 고정단이 상기 가위동작축(28)에 고정되어 있고 자유단은 상기 연결대(31)의 접속편(33)에 접속되어 가위동작축(28)의 작용으로 가위(29)가 테이프를 절단할 때 상기 레버(39)에 의해 내·외측 긁어올림편(30),(40)도 동시에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제7도를 참조하면, 제7도 (a)에서와 같이, 긁어올림편이 상향 위치된 상태에서 이송벨트(25)에 의해 테이프(27)가 공급되고 테이프(27)의 단부가 긁어올림편의 하측에서 바깥쪽으로 인출되어 있도록 하는 초기상태에서, (b)와 같이 가위(29)가 회동하면서 테이프(27)를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가위(29)는 가위동작축(28)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며, 이때 상기 가위동작축(28)에 설치된 레버(39)가 함께 회동되면서 연결대(31)를 하강시키고 이에 따라 각 긁어올림편(30),(40)이 하강하게 된다.
각 긁어올림편(30),(40)은 핀(32)에 의해 동시에 조립되어 있어서 함께 동작하게 된다.
내·외측 긁어올림편(30),(40)의 각 단부는 연결대(31)에 지지되는 스프링(34)에 의해 내측으로 탄력이 작용하여 로울러(24)의 표면에 밀착되어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데, 하강시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걸림편(36)이 내측 긁어올림편(30)의 내측을 받쳐주어서 로울러(24)와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하강하게 되며, 외측 긁어올림편(40) 또한, 걸림턱(42)이 걸림핀(43)에 접촉되어 들어올려짐으로써 내·외측 긁어올림편(30),(40)은 로울러(24)로부터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하강함으로써 로울러(24)의 손상을 방지하고, 테이프(27)가 하측으로 밀려서 하측의 벨트풀리(23)에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7도 (c)는 가위(29)에 의해 테이프(27)는 절단되었고 긁어올림편(30),(40)이 완전히 하강한 상태이며, 이때 걸림편(36)이 내측 긁어올림편(30)의 상측 걸림홈(38)에 위치되면서 긁어올림편(30)의 단부가 내측으로 밀착되고, 외측 긁어올림편(40)의 걸림턱(42)이 걸림편(43)으로부터 벗어나서 외측 긁어올림편(40) 또한 단부가 내측으로 밀착되어 테이프(27)의 단부가 각 긁어올림편(30),(40)의 내측 단부에 의해 구부러져 있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7도 (d)와 같이 긁어올림편이 상승하게 되는데, 각 긁어올림편(30),(40)의 단부가 테이프(27)의 단부를 끌고 올라가게 되며, 외측 긁어올림편(40)은 걸림턱(42)에 의해 다시 단부가 들려지면서 로울러(24)로부터 적당히 분리되고, 내측 긁어올림편(30)은 상기 걸림편(36)이 상향을 젖혀지면서 내측 긁어올림편(30)을 밀어주지 못하는 상태로 되어 결국 내측 긁어올림편(30)의 단부가 테이프(27)의 구부러진 단부를 누르면서 상승하여 테이프(27)의 단부가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행정이 완료되면 테이프(27)이 절단된 잔여단부가 접혀진 상태로 남아 있게 되는데, 특히 내·외측의 한쌍으로 이루어진 긁어올림편은 외측 긁어올림편(40)이 테이프(27)의 끝부분을 밀어서 접어주고 상승시에 내측 긁어올림편(30)이 테이프(27)의 구부러진 부분을 눌러서 완전히 접어주므로 테이프의 접힘상태가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테이프(27)의 한쪽단부에는 접혀진 부분으로 인하여 접착면과 동일면에 비접착면부(45)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품의 포장, 접착 등에 사용하였을 경우 테이프를 떼어낼 때 상기 비접착면부(45)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접착테이프(57)가 인출될 때 테이프(57)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받침편(55)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테이프 받침편(55)은 긁어올림편의 승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긁어올림편과 동시에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지지틀(52)의 일측에 회동간(54)이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간(54)은 일단이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틀(52)의 측면에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그 선단이 절곡되어 상기 지지틀(52)의 앞면을 횡으로 지나가는 테이프 받침편(55)으로 된다.
상기 테이프 받침편(55)에는 실리콘으로 표면이 감싸져서 테이프가 접착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간(54)의 일단에는 안내홈(56)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대(52)의 일측면에는 걸림대(58)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간(54)의 안내홈(56)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연결대(52)가 하강하면 상기 걸림대(58)가 회동간(54)을 밀어서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테이프 받침편(55)이 하강하게 되면, 연결대(53)가 상승되면 상기 훅크부(59)에 걸려서 회동간(54)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테이프 받침편(55)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57)가 인출될 때에는 테이프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위 및 긁어올림편의 승강동작시에는 상기 받침편(55)이 동시에 승강되어 긁어올림편(50)과의 저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로울러에 의해 접착테이프를 송출하는 것으로 모든 테이프 절단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로울러의 외면을 이용하여 접착테이프의 단부를 긁어올려서 용이하게 접어줌으로써 사용후의 접착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이하고 깔끔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접착테이프 절단공급기의 일단에 장착되는 로울러 지지틀의 내측에 다수의 벨트풀리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실리콘 고무벨트에 의해 연결구동하면서 테이프를 이송시키고 상기 로울러지지틀의 선단부에 가위가 가위동작축에 설치되어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위동작축에 레버가 설치되고 이 레버에 연결대로써 연결되어 가위와 함께 동작되는 긁어올림편이 상기 로울러지지틀의 선단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절단과 동시에 잔여 테이프의 단부를 접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지지틀의 윗쪽에는 연결대의 일단이 조립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연결대의 선단에 상기 긁어올림편이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의 윗면과 밑면에서 선택된 일면에 접속편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올림편은 내측 긁어올림편과 외측 긁어올림편으로 되어 동시에 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긁어올림편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각각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올림편의 내측으로 축에 스프링탄지되는 걸림편이 설치되고 내측 긁어올림편의 내면에는 걸림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과 접촉되면서 긁어올림편의 하강시에는 로울러와 간격을 두고 하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의 일측에는 한쪽단부가 조립고정되어 선단이 회동되는 회동간이 더 설치되고 상기 회동간의 선단은 절곡연장되어 테이프가 송출되는 지지틀의 앞쪽에서 횡으로 지나가는 테이프 받침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간의 일단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대의 일단이 더 연장되어 그 단부에 훅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긁어올림편의 내측으로 축에 스프링탄지되는 걸림편이 설치되고 내측 긁어올림편의 내면에는 걸림홈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과 접촉되면서 하강시에는 로울러와 간격을 두도록 하고, 상기 외측 긁어올림편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의 선단 상측에 걸림핀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도록 되어서 외측 긁어올림편의 승·하강시 일정구간이 로울러와 간격을 두고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KR2019940023880U 1994-09-14 1994-09-14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KR0126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880U KR0126255Y1 (ko) 1994-09-14 1994-09-14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880U KR0126255Y1 (ko) 1994-09-14 1994-09-14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77U KR960011077U (ko) 1996-04-15
KR0126255Y1 true KR0126255Y1 (ko) 1998-10-15

Family

ID=1939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880U KR0126255Y1 (ko) 1994-09-14 1994-09-14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2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230A (ja) * 2012-10-24 2014-05-12 Seong Man Hong 端部折り畳み式自動テープカッター
KR101412145B1 (ko) * 2012-08-31 2014-06-25 한순윤 롤 테이프 선단 자동 접이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45B1 (ko) * 2012-08-31 2014-06-25 한순윤 롤 테이프 선단 자동 접이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커터
JP2014084230A (ja) * 2012-10-24 2014-05-12 Seong Man Hong 端部折り畳み式自動テープカッ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77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23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s of foil
JPS5940684B2 (ja) ロ−ル包装装置
CN107792437B (zh) 一种全自动拆外包机
CN111356642B (zh) 捆扎包装装置
KR0126255Y1 (ko) 접착테이프 절단부 접힘장치
CN214190427U (zh) 一种l型封切机
KR100317742B1 (ko) 접착테이프롤홀더 및 이를 구비한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101365058B1 (ko) 롤 테이프 자동절단기
US6544158B2 (en) High speed feeding apparatus for clamshell die cutter
JP3551394B2 (ja) 接着テープ切断部の折畳み装置
KR20120051568A (ko) 전동 테이프 커터
US3329326A (en) Dispenser for pressure-sensitive tape and the like
CN112960222B (zh) 分切取料设备及餐食制作装置
JPH06179242A (ja) フィルム貼付装置
JP3880938B2 (ja) 食物処理機
CN215551347U (zh) 一种便于清理的编织袋用裁剪装置
KR200188562Y1 (ko) 오징어 인렬기
CN212196203U (zh) 一种包装机的切割下料装置
JP2000289708A (ja) 電子部品テープの接続器
US3335047A (en) Label applying machines
JPH05318962A (ja) 書籍表紙の自動折り込み装置
JP3241548B2 (ja) 海苔巻製造機の米飯海苔巻包板
JP2000351435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US1984761A (en) Wrapping machine
JPH0524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