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67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67B1
KR0126067B1 KR1019950017877A KR19950017877A KR0126067B1 KR 0126067 B1 KR0126067 B1 KR 0126067B1 KR 1019950017877 A KR1019950017877 A KR 1019950017877A KR 19950017877 A KR19950017877 A KR 19950017877A KR 0126067 B1 KR0126067 B1 KR 0126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nsor
vapor
gasoline
sensi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210A (ko
Inventor
히요시 다쓰노
Original Assignee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다쓰노 히로미찌
Priority to KR1019950017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67B1/ko
Publication of KR97000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높은 정밀도로 자동차 연료탱크의 유종을 판정하기 위한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1이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 큰 센서 A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가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Sa2보다도 작으나 상기 센서 A의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도 크고 감도 Sa1보다도 적은 센서 B와의 셋트로서 되는 유종검출센서 ; 상기 센서 A,B로부터의 신호 및 이들의 차분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수단과를 구비하고 상기 시간의 경과마다에 신호의 종류와 판정기준치 C1,C2,C3을 변화케 하는 것에 의해서 각 센서 A,B의 방향족계와 파라핀계탄화수소와에 대한 특성의 상위함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유종을 판정한다.

Description

급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에 사용하는 급유노즐의 일실시예를 그의 일부를 파단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센서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임.
제3도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임.
제4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종검출센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도는 동상 센서의 검출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동상 센서의 감응막의 반사특성을 나타내는 선도.
제7도는 동상 장치에 있어서의 유종판정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8도는 동상 센서의 출력의 시간특성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제9도는 동상 센서의 출력을 보정한 후의 시간특성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아트이다.
제11도는 동상 유정판정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노즐4 : 급유호스
5 : 급유레버6 : 주밸브
10 : 센서유닛11 : 유종검출센서
14 : 흡배기펌프15 : 모우터
40,43 : 가스감응판46,47 : 반사광량검출수단
A,B : 가스센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연료탱크내에 체류하는 베이퍼농도에 의거해서 연료유의 유종을 판별하는 기능을 구비한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의 연료유에는 경유와 가솔린이 있으며, 유종을 잘못하여 급유를 행하면 엔진에 불편함이 일어난다. 이때문에 급유장치 본체에 설치한 펌프에 의해서 급유노즐의 선단부로부터 급유장치 본체의 가스센서실에 베이퍼를 흡인하여 자동차 연료탱크의 유종을 판별하도록 한 급유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스센서를 급유장치 본체측에 설치한 것에서는 베이퍼를 끌어들이는 관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베이퍼가 가스센서에 도달하기 까지에 시간이 걸려서, 유종판정까지에는 시간을 요한다고 하는 문제에 겹쳐서 급유노즐과 본체간의 흡인, 송기수단을 접속하는 관이 필요하게 되어서 관로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노즐통선부의 베이퍼흡배기구에 일단이 모우터에 의해서 구동되어지는 흡배기펌프에 타단이 접속하고, 탄화수소계 가스에 의해 팽윤하여 막두께가 변화하는 고분자막을 기판의 표면에 마련한 감응판과, 감응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사이를 두고 배설된 반사광량검출수단으로서 되는 가스센서와, 가스의 종별을 판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격납한 기억수단과, 가스센서의 검출신호와 상기 데이터에 유종을 판별해서 유종정보를 출력하는 유종판정수단과를 구비한 급유장치를 일본특허 출원평 6-184107호로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특히 가솔린을 연료로 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기온이 낮은 경우나, 잔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급유구 근방의 베이퍼농도가 낮게 되어서 경유로 잘못 판정하거나 또는 판정불능 영역이 크다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탄화수소계의 베이퍼에 의해 막두께가 변화하는 센서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보다 높은 정도에서의 유종판정을 행할 수가 있는 급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1)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 큰 제1 센서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가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2)보다도 적으나, 상기 감도 (Sb1)보다도 크며, 감도 (Sa1)보다는 작은 제2 센서로서 되는 가스검출수단과, 자동차 연료탱크의 베이퍼를 상기 가스검출수단에 흡입하는 베이퍼흡인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유종을 판정하는 유종판정수단과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작용]
상기한 바에 의하면 방향족계와 파라핀계의 탄화수에 대하여 각각 감도가 다른 2개의 센서에 의해서 기온이나 연료유의 잔류량에 상응한 유종에 의한 차분신호(差分信號)를 얻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판정정도가 향상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상세를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에 사용하는 급유노즐이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급유노즐(1)은 동체부(2)와 노즐통선부(3)로 크게 나누어져 있고, 동체부(2) 내에는 급유펌프(25)에 접속하는 급유호스(4)로부터의 연료유의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급유레버(5)에 의해 개폐되어지는 주밸브(6)를 수용함과 동시에 그의 상면에는 센서유닛(10)을 마련하고, 또 노즐통선부(3)에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의 베이퍼를 흡인하는 가스흡인구(7)를 마련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센서유닛(10)은 후술하는 유종검출센서(11), 배흡기구(12)에 에어필터(13)를 통해서 접속하는 흡배기펌프(14)와, 흡배기펌프(14)를 구동하는 마이크로모우터(15)와, 유종판정수단(20)과, 판정기준데이터기억수단(21)을 이루는 반도체디바이스(23)가 장착된 회로기판(16)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유종검출센서(11)는 베이퍼 흡인수단에로, 즉 튜브(8)에 의해 가스흡인구(7)로 접속되며, 또 유종판정수단(20)은 케이블(17)에 의해 급유장치 본체에 접속되어 잇다.
그리고 동체부(2)에는 급유레버(5)에 연동하는 스위치(18)가 마련되어 있어서, 유종판정의 타이밍신호를 유종판정수단(20)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20)은 유종판정수단으로서, 미리 판정기준데이터기억수단(21)에 격납되어져 있는 판정한 가스에 대응하는 수광량의 기준치(C1),(C2),(C3)와 센서(11)로부터의 신호와를 비교해서 연료유가 가솔린인가, 경유인가, 또는 판정불능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3도는 상술한 급유노즐을 사용한 급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25)는 저유탱크의 연료유를 상술의 급유노즐(1)로 급송하는 급유펌프이며, 펌프모우터(26)에 의해서 구동되고, 유량펄스발신기(27)를 비치한 유랑계(28)를 통해서 관로(29)에 의해 연료유를 급유노즐(1)로 송액하는 것이다.
부호(30)은 제어장치로서 계량기제어수단(31)과 급유노즐(1)로부터의 판정결과에 의해서 자동차 연료탱크에 급유하고져 하는 연료유와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유와의 유종의 일치를 판단하는 유종일치판정수단(32)과 당해 급유장치의 유종을 등록하는 등록유종기억수단(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량기제어수단(31)은 노즐스위치(34)가 온(ON)으로 된 단계에서 급유노즐(1)로부터의 유종정보와 등록유종기억수단(33)의 등록유종과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는 펌프모우터(26)를 작동시켜 유량펄스발신기(27)로부터의 유량펄스에 의거하여 산출한 급유량을 표시기(36)로 출력하고, 또 유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모우터(26)를 작동시키지 않고 경보기(35)로부터 경보를 발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39)는 급유노즐(1)의 센서유닛(10)에 구동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이며, 안전회로(38)를 통해서 케이블(17)에 의해 센서유닛(10)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도는 상술한 유종검출센서(11)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40)은 제1가스감응판으로서 실리콘등의 반사기판(41)의 표면에 가솔린과 같은 방향족계탄화수소의 가스에 맞게 된 경우에 팽윤해서 막두께가 변화하는 두께 1μm정도의 고분자막(42)이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
부호(43)은 제2가스감응판이며, 경유와 같은 파라핀계탄화수소의 가스에 맞게 된 경우에 팽윤해서 막두께가 변화하는 두께 1μm정도의 고분자막(45)을 역시 실리콘등의 기판(44)의 표면에 마련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호(46)(47)은 각각 반사광량검출수단이며, 발광수단 L과 수광수단 R과를 입반사관계를 형성하는 광로상에 배치하여 구성되며, 한끝이 가스흡인구(7)에 다른끝이 펌프(14)에 연통하는 쳄버(48)내에서 제1,제2의 가스감응판(40)(43)과의 사이에서 가스유로를 형성하도록 일정한 간극을 갖게 하여 배치되며, 가스감응판(40)(43)과 함께 각각 제1센서(A), 제2센서(B)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종검출센서(11)는 챔버(48)내에 탄화수소계 가스가 유입하면 제1 및 제2가스감응판(40)(43)의 고분자막(42)(45)이 탄화수소계 가스의 농도나, 구성성분에 대응하여 팽윤하고, 고분자막(42)(45)의 막두께가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화수소계 가스에 접촉하기 전의 반사광선의 조사위치가 (P1)인때 고분자막(42)에 탄화수소계 가스가 접촉해서 이것이 팽윤하여 두께가 변화하면, 조사위치(P2)로 변위한다.
이 변위의 크기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수단(R)으로부터 본 상대반사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되므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화수소계 가스의 농도에 대응한 출력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센서(A)에서는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1)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 크게 되도록, 또 센서(B)에는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가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2)보다도 작게 되며 이 감도 (Sb2)가 센서(A)의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는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유종판정수단(2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50)는 보정수단으로 제1,제2 센서(A)(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에어흡인시에 있어서의 각 센서(A)(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에어흡인시에 있어서의 각 센서(A)(B)의 베이스라인분의 출력 (Aa)을 차감하여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퍼의 농도에 의한 변화분만큼의 보정신호 (Ba)를 출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가스검출이전에 있어서의 각 센서(A)(B)의 출력 (Aa)(Ba)을 기억하여 베이퍼 검출시의 겉보기의 신호(Ab)(Bb)와의 차분값인 (Ab- Aa) = Ac, (Bb-Ba) = Bc를 구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피검가스검출이전의 각 센서(A)(B)로부터의 출력 (Aa)(Ba)의 비 (Ba/Aa)를 가스검출시의 출력 (Ab)에 곱한 값 Ab×(Ba/Aa)을 구하여, 전자의 값 Ab×(Ba/Aa)로부터 센서(B)의 값 (Ba)을 감산한 것 및 센서(B)의 출력 (Bb)으로부터 이것의 가스도달전의 값 (Ba)을 감산하여 구하는 것이다.
상기 보정방법은 센서(B)를 기준으로 보정을 행하는 경우이나, 같은 모양의 방법에 의해서 센서(A)의 출력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제1의 보정방법 및 제2의 보정방법(한편의 센서를 기준으로 하는 후자의 방법)은 센서의 특성이나 수광소자의 감도의 흐트러짐, 가스 감응막과 발광소자, 수광소자의 거리나 각도등의 조립정도를 고려하여 어느것인가 한편이 선택된다.
이것에 의하여 가스감응판(40)(43)과 반사광량검출수단(46)(47)과의 달아붙임 오차등에 기인하는 편차를 없게 하고, 또 농도에 기인하는 신호만을 얻을 수가 있다.
부호(51)은 연산수단으로 보정후의 각 센서(A)(B)로부터의 출력 (Ac)(Bc)의 차분신호 (Ac-Bc의 차이값신호)를 연산하는 것이다.
부호(52)(53)(54)는 각각 제1,제2 및 제3기준치설정수단이며,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기준치(C1), 제2기준치(C2), 제3기준치(C3)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기준치(C1)는 자동차 연료탱크에 가솔린의 베이퍼가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고, 흡인개시후 극히 단시간, 이 실시예에서는 0.5초 후에 있어서의 보정수단(50)으로부터의 센서(A)의 보정신호 (Ac)정도 보다도 약간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기준치(C2)는 자동차 연료탱크에 가솔린의 베이퍼가 비교적 낮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이고, 흡인개시후 단시간, 이 실시예에서는 0.8초 후에 있어서의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3기준치(C3)는 자동차 연료탱크에 경유의 베이퍼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교적 장시간, 이 실시예에서는 1초 후에 있어서의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마이너스의 값)로 설정되어 있다.
부호(61) (62) (63) (64) (65)는 제1,제2,제3,제4,제5 판정수단이며, 제1 판정수단(61)은 최단의 시간, 예를 들면 0.5초가 경과한때에 보정수단(50)으로부터의 센서(A)의 보정신호 (Ac)가 제1 기준치(C1)를 연속복수회, 예를 들면 3회 넘었을 경우에 당해 연료가 가솔린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제2 판정수단(62)은 제1 판정수단(61)보다도 약간 긴 시간, 예를 들면 0.8초가 경과한 시점에서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가 제2 기준치(C2)를 넘은 경우에 가솔린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제3 판정수단(63)은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초가 경과한 단계에서 연산수단(51)의 보정신호 (Ac-Bc)와 제2 기준치(C2)와를 다시 비교하여 이것을 넘은 경우에 가솔린이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제4 판정수단(64)은 소정시간 예를 들면 1초가 경과한 단계에서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보정신호 (Ac-Bc)를 제3 기준치(C3)와 비교하여 이것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 경유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제5 판정수단(65)은 소정시간, 예를 들면 1초가 경과한 단계에서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신호 (Ac-Bc)가 제2 기준치(C2)보다 작고, 또 제3 기준치(C3)보다도 큰 경우에, 유종의 판정이 불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한 장치의 동작을 제10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및 제11도에 나타낸 선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노즐걸이로부터 노즐(1)이 벗겨나서 노즐스위치(34)가 온(ON)으로 되면 계량기 제어장치(31)는 표시기(36)를 영으로 복귀시킨다.
이어서 급유노즐(1)을 자동차 연료탱크에 삽입하고 급유레버(5)를 당기면 이에 연동하는 스위치(18)가 온(ON)으로 된다(스텝 가). 센서제어수단(20)은 케이블(17)로부터의 전력을 모우터(15)와 센서(11)로 구동전력을 공급하고, 다시 베이퍼가 도달하기 이전의 각 센서(A)(B)로부터의 신호 (Aa)(Ba)를 기억한다(스텝 나). 이것에 의해 펌프(14)가 작동하여 노즐통선부(3)의 가스흡인구(7)로부터 자동차 연료탱크내의 베이퍼가 센서(11)로 흘러든다.
소정시간(T), 즉 가스흡인구(7)로부터 유종검출센서(11)로 흘러드는데에 소요하는 시간인 소위 가스도입시간(△T)이 경과하면(스텝 다), 각 센서(A)(B)로부터 자동차 연료탱크의 베이퍼의 농도에 일치한 시발속도의 신호 (Aa)(Ba)가 출력한다. 이들 신호(Aa)(Ba)는 보정수단(50)에 의해 베이스라인의 보정을 받아서, 베이퍼의 농도에 의존하는 성분만큼의 보정신호 (Ac)(Bc)로 된다(스텝 라).
제1 판정수단(61)은 도입후소정시간(T1)이 경과하기까지에 방향족계탄화수소에 선택성을 갖는 센서(A)의 보정신호 (Ac)와 제1 기준치(C₁)와를 비교하여 보정신호 (Ac)가 제1 기준치(C1)를 넘느냐 아니냐를 판정함과 함께(스텝 마) 이것이 복수회, 예를 들면 3회 연속하느냐 아니냐를 판정한다(스텝 바). 보정신호가 제1 기준치(C1)를 복수회 연속해서 넘었을 경우에는 극히 높은 농도의 탄화수소계의 베이퍼가 존재하므로 당해 자동차의 연료탱크의 연료는 명백하게 가솔린이라고 판정한다(스텝 너).
유종의 판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이후의 판정동작을 행함이 없이 모우터(15)를 역전구동하여(스텝 머), 배흡기구(12)로부터 에어필터(13)를 통해서 공기를 빨아들여 이것을 센서(11)로 공급하여 감응막(43)이나 챔버(48)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퍼를 씻어낸다.
이것에 의해 가솔린의 베이퍼가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통상의 연료탱크에 대한 판정동작의 고속화와 센서(11)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가 있다.
소정시간(T1)이 경과한 시점에서도(스텝 사), 가솔린이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T2)과 경과하기까지 제2 판정수단(62)에 의해서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와 제2기준치(C2)와를 비교하여(스텝 아), 차분신호 (Ac-Bc)가 제2 기준치(C₂)를 복수회 연속해서 넘느냐 아니냐를 판정한다(스텝 자).차분신호 (Ac-Bc)가 제2 기준치(C₂)를 복수회 연속해서 넘었을 경우에는 농도가 낮으나 방향족계탄화수소의 베이퍼가 존재하므로 당해 자동차의 연료는 가솔린이라고 판정한다(스텝 너).
유종의 판정이 종료한 단계에서, 이후의 판정동작을 행하는 일이 없이 모우터(15)를 역전구동하여(스텝 머), 배흡기구(12)로부터 에어필터(13)를 통해서 공기를 빨아들여, 이것을 센서(11)에 공급하여 감응막(43)이나 챔버(48)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퍼를 씻어낸다.
시간(T2)가 경과한 시점에서도(스텝 차) 가솔린이라고 판정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3 판정수단(63)에 의해서 시간(T3)이 경과하기까지에 차분신호 (Ac-Bc)가 제2 기준치(C2)를 복수회 연속해서 넘은 경우에는(스텝 카,타), 농도는 더욱 낮지만 방향족계탄화수소의 베이퍼가 존재하므로 당해 자동차의 연료는 가솔린이라고 판정한다(스텝 너).
유종의 판정이 종료한 단계에서 이후의 판정동작을 행하는 일없이 모우터(15)를 역전구동하여(스텝 머), 배흡기구(12)로부터 에어필터(13)를 통해서 공기를 빨아들여서 이것을 센서(11)로 공급해서 감응막(43)이나 챔버(48)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퍼를 씻어낸다.
또 시간(T3)이 경과하기까지에 차분신호(Ac-Bc) 가 제3 기준치(C3)을 하회하여(스텝, 파), 또한 이 상태가 복수회 연속해서 생긴 경우에는(스텝 하), 판정수단(64)은 당해 연료탱트의 연료는 경유라고 판정한다.(스텝 더).
한편, 시간 (T3)이 경과하기까지에 차분신호(Ac-Bc)가 제2 기준치(C2)보다도 작고, 제3 기준치(C3)보다도 큰 큰 경우(스텝 카,파), 즉 시간(T3)이 경과하여도 판정되지 않는 경우(스텝 거)에는 제5 판정수단(65)은 유종의 특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스텝 러).
유종의 판정이 종료한 단계에서 모우터(15)를 역전구동하여(스텝 머), 배흡기구(12)로부터 에어필터(13)를 통해서 공기를 빨아들여 이것을 센서(11)로 공급하여 감응막(43)이나 챔버(48)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퍼를 씻어낸다.
하편, 급유장치 본체에 있어서는 유종일치판정수단(32)이 노즐측으로부터 케이블(17)을 통해서 전송되어서 온 유종신호에 의해서 표현되는 유종과 등록유종기억수단(33)에 등록되어 있는 유종과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계량기제어수단(31)으로 출력한다.
계량기제어수단(31)은 유종이 일치한 경우에는 급유펌프를 작동시켜서 급유동작을 실행하고, 급유량을 표시기(36)에 표시한다.
한편, 유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종이 다르다는 뜻을 경보기(35)로부터 통보하여 유종의 확인을 촉구한다.
이와같이 해서 급유가 행하여지며 소정량의 급유가 종료하여 노즐(1)의 노즐걸이에 되돌려져서 노즐스위치(34)가 오프(OFF)로 되면(스텝 버), 계량기제어수단(31)은 케이블(17)을 통해서 급유노즐(1)에 노즐스위치(34)가 오프로 된 뜻의 정보를 전송하고 동시에 펌프모우터(26)를 정지시키고, 또 모우터(15)를 정지시켜서 센서(11)의 씻어내기를 정지한다(스텝 서).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1)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보다도 큰 제1 센서 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가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2)보다는 적으나 (Sb1)보다는 크고 감도 (Sa1)보다도 작은 제2 센서로서 되는 가스검출수단과, 자동차 연료탱크의 베이퍼를 상기 가스검출수단으로 흡인하는 베이퍼흡인수단과, 제1,제2 센서로부터의 2개의 신호에 의해서 유종을 판정하는 유종판정수단과를 구비하였으므로, 유종에 의한 현저한 차분신호를 얻어서 유종판정이 가능한 범위를 확대하여 자동차 연료탱크의 유종을 확실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1이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1보다 큰 센서 제1 센서(A)와, 파라핀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b2가 방향족계탄화수소에 대한 감도 Sa2보다도 작으나 상기 감도 Sb1보다는 크고 감도 Sa1보다는 작은 제2 센서(B)와로부터 되는 유종검출센서(11)과; 자동차 연료탱크의 베이퍼를 상기 유종검출센서(11)로 흡인하는 베이퍼흡인수단(7)(8)과 및 상기 제1,제2 센서(A)(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유종을 판정하는 유종판정수단(20)과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종판정수단(20)은 베이퍼가 도달하기 전의 제1,제2 센서(A)(B)의 출력에 의해 베이스라인을 보정한 신호 Ac, Bc를 출력하는 보정수단(50)과, 상기 각 센서(A)(B)의 보정후의 신호 Ac와 Bc와의 차분신호 (Ac- Bc) 를 연산하는 연산수단(51)과, 제1,제2 및 제3 기준치 C1,C2,C3(단, C1C2C3)을 설정하는 기준설정수단(52)(53)(54)과, 베이퍼가 상기 유종검출센서(11)에 도달한 시점을 기점으로 하고, 제1의 시간 T1이 경과하기까지에 상기 보정수단(50)으로부터의 제1센서(A)의 신호 Ac가 제1 기준치 C1을 넘었을 경우에 가솔린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수단(6)과, 상기 판정에 의해서 가솔린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제2의 시간 T₂가 경과하기까지에 상기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가 제2 기준치 C2를 넘었을 경우에 가솔린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수단(62)과, 상기 제1 판정수단(62)에 의해 가솔린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제3의 시간 T₃가 경과하기까지에 상기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 Ac-Bc가 상기 제2 기준치 C2를 넘었을 경우에 가솔린으로 판정하는 제3 판정수단(63)과, 제3의 시간 T3이 경과하기까지의 상기 연산수단(51)으로부터의 차분신호가 제3 기준치 C3을 넘지 않는 경우에 경유로 판정하는 제4 판정수단(64)과, 상기 제3의 시간 T3이 경과하기까지에 제3 판정수단(63)에 의해 가솔린으로 판정되지 않고, 또 제4 판정수단(64)에 의해 경유로 판정되지 않을 때에 유종의 판정이 불능이라고 판정하는 제5 판정수단(65)으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 및 제4판정수단(61)(62)(63)(64)에서의 판단동작은 일정시간내에 다수회 실행될 수 있는 간격으로 행하여지며, 복수회 연속해서 판단된 경우에 유종의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50)은 베이퍼가 도달하기 이전의 각 센서(A)(B)의 출력과 베이퍼 검출시의 출력과의 차분값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종검출센서(11), 베이퍼흡인수단(7)(8) 및 유종판정수단(20)이 급유노즐(1)에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950017877A 1995-06-28 1995-06-28 급유장치 KR012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77A KR0126067B1 (ko) 1995-06-28 1995-06-28 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877A KR0126067B1 (ko) 1995-06-28 1995-06-28 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210A KR970001210A (ko) 1997-01-21
KR0126067B1 true KR0126067B1 (ko) 1997-12-24

Family

ID=1941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877A KR0126067B1 (ko) 1995-06-28 1995-06-28 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780B1 (ko) * 2000-03-15 2003-02-05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해밍 부호를 연접한 터보 부호화/복호화 방법 그리고 그의 부호기/복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210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341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fuel-vapor gas leaks, and vent valve apparatus applied to this apparatus
KR940005952B1 (ko) 급유장치
US11732679B2 (en) Failure diagnostic device for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KR0126067B1 (ko) 급유장치
JPH10184479A (ja) 燃料レベル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4441016B2 (ja) 車両におけるタンク通気装置の機能性の検査方法
KR100198698B1 (ko) 급유장치
JPH08282795A (ja) 給油装置
JPH11116000A (ja) 給油装置
KR100385750B1 (ko) 엔진 정지후 부압을 이용한 연료시스템 누설감지 방법
JPH0723186B2 (ja) ガスセンサー付給油装置およびガスセンサー付給油装置における油種判定方法
JP2998780B2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装置
JP3433399B6 (ja) 給油装置
JP2795915B2 (ja) ガスセンサ付給油ノズル
JP2954289B2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装置
JPH11326011A (ja) 車両の燃料残量検出装置
JPH0826400A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ノズル
JP3019115B2 (ja) 給油装置
JP2994408B2 (ja) 給油装置
JP3206158B2 (ja) 給油装置
JPH0738235Y2 (ja) 給油装置
KR950013561B1 (ko) 유종판별기능을 구비한 급유장치
JP3783371B2 (ja) 蒸発燃料供給系の故障診断装置
JPH0459215B2 (ko)
JPH0418299A (ja) 給油装置の油種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