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73B1 -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 Google Patents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73B1
KR0123773B1 KR1019920011377A KR920011377A KR0123773B1 KR 0123773 B1 KR0123773 B1 KR 0123773B1 KR 1019920011377 A KR1019920011377 A KR 1019920011377A KR 920011377 A KR920011377 A KR 920011377A KR 0123773 B1 KR0123773 B1 KR 012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pop
pip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700A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1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73B1/ko
Publication of KR94000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화면사이즈가 16 : 9인 HDTV나 와이드 비젼에서 PIP 신호를 POP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결정하는 카운팅수단과, 상기 카운팅수단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값으로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수단만을 구비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 신호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붙여 POP 신호를 구현하고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 신호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붙여 POP 신호를 구현함으로써 아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16: 9 사이즈의 화면에서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제1a~d도는 일반적인 와이드 비젼의 각 모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를 나타낸 일실시예도.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화회로를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 및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6도 및 제9, 10, 11도는 상기 제2~5도의 타이밍도.
제7도 및 제8도는 PIP 화면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운팅수단 110 : 에지검출부
111 : 딜레이부 200 : 비교수단
ADD1 : 가산기 AND1, AND2 : 앤드게이트
COMP1 : 비교기 DFF1-DFF4 : D플립플롭
이 발명은 화면사이즈가 16 : 9인 HDTV나 와이드 비젼(Wide Vision)의 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Picture in Picture : 이하, PIP라 함.) 신호를 POP(Picture out Picture : 이하 POP라 함.)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TV는 점차 대형화되면서 화면의 가로 세로의 비(Aspect Ratio)가 4 : 3에서 16 : 9의 사이즈로 커지고 있으며, 사람의 눈의 특성상 기존의 TV로 가로와 세로의 비가 4 : 3보다는 16 : 9의 비율이 좀 더 현장감있고 박력있게 보이기 때문에 HDTV나 와이드비젼은 모두 화면 사이즈가 16 : 9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드 비젼은 제1도(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행의 4 : 3사이즈로 방송되는 방송신호를 그대로 4 : 3사이즈로 보는 레귤러 모드(Regular Mode)(a)와 16 : 9 사이즈로 보는 풀(Full) 모드(b), 그리고 4 : 3 신호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붙여서 보는 모드(c).(d)가 있다.
그런데 상기 4 : 3 신호를 좌측으로 붙여서 보는 모드와 우측으로 붙여서 보는 모드일 경우는 화면의 일면으로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므로, 자화면의 영상 디스플레이시 PIP보다는 POP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보다 화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될 것이나 종래에 일본에서 발표된 바 있는 PIP 신호를 POP 신호로 구현하는 방안은 그 구현회로가 매우 복잡하였다.
이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 발명의 목적은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16 : 9 사이즈의 화면에서 PIP 신호를 POP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결정하는 카운팅수단과, 상기 카운팅수단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기준값으로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수단으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에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수평동기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결정하는 카운팅수단(100)에 상기 카운팅수단(100)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기준값으로 설정한 값(이하, 기준값이라 함.)(refl)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비교수단(200)을 연결시켜 구성되며, 이는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화면을 우측으로 붙여 POP 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카운팅수단(100)은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딜레이하여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검출부(110)와 일측 입력에는 1이 입력되며 타측 입력에는 D플립플롭(DFF3)의 출력이 입력되어 가산되는 가산기(ADD1)에 앤드 게이트(AND2)를 연결시켜 상기 에지검출부(110)의 출력을 반전시킨 값과 가산기(ADD1)의 출력을 논리곱한다.
또한, 상기 D플립플롭(DFF3)은 상기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가산기(ADD1) 및 비교수단(200)에 출력단이 연결되어 상기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에 따라 출력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에지검출부(110)는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클럭에 따라 딜레이시키는 딜레이부(111)에 상기 딜레이부(111)의 출력을 반전시킨 값과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1)를 연결시켜 구성되며, 상기 딜레이부(111)는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클럭에 따라 1클럭 딜레이시키는 D플립플롭(DFF1)과, 상기 D플립플롭(DFF1)에 연결되어 D플립플롭(DFF1)의 출력을 1클럭 딜레이시키는 D플립플롭(DFF2)으로 된다.
한편, 상기 비교수단(200)은 상기 D플립플롭(DFF3)의 출력과 기준값(ref1)을 비교하는 비교기(COMP1)에 상기 비교기(COMP1)의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동기신호를 로우 또는 하이 상태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DFF4)을 연결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제3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 화면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POP 화면을 구현하는 회로이며, 제4도 및 5도는 이 발명에 따른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화면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POP 화면으로 구현하는 회로로써, 상기 제3, 4, 5도는 각각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기준값만 다르면 그 구성은 상기 제2도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서 어떻게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화면을 좌, 우측 또는 상, 하측으로 붙여 POP 화면으로 구현하게 되는가를 각각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우측으로 붙여서 POP 신호를 구현하는 경우,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우측으로 붙여서 POP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우선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는 D플립플롭(DFF1), (DFF2)을 거쳐 2클럭 딜레이되어 제6도와 t2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며, 이 신호는 반전되어 수평동기신호와 앤드 게이트(AND1)에서 논리곱되어 제6도 t1과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므로 이 때 수평동기신호의 에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검출된 에지에 의해 카운팅수단(100)은 카운팅을 시작하게 되며,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은 에지를 검출하는 시점에서만 하이출력을 하게 되고 이후는 로우출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은 반전되어 앤드 게이트(AND2)에 입력되므로 상기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은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이 하이상태일 때만 로우상태가 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하이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D플립플롭(DFF3)의 출력도 상기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이 로우상태일 때에만 로우출력을 하게 되고 상기 앤드 게이트(AND2)의 출력이 하이상태일 때는 하이출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출력이 하이상태인 에지검출시점이 카운팅수단(100)의 카운팅 개시시점이 되므로 이 때부터 카운팅수단(100)은 카운팅을 하게 되며, D플립플롭(DFF3)의 출력이 비교기(COMP1)의 일측입력단에 입력되는 기준값(ref1)에 해당하는 값이 될 때까지 카운팅을 계속하게 된다.
카운팅을 계속하다가 카운팅값이 제6도 out1 파형에 나타난 x1보다 크거나 같고 x1+y보다 작거나 같은 값이 되면 즉, 카운팅값이 비교기(COMP1)의 기준값(ref1)과 같아지면 비교기(COMP1)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D플립플롭(DFF4)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어 출력(out1)은 실제 수평동기신호를 x1만큼 딜레이시킨 것과 같게 된다.
즉, PIP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화면의 수평동기신호의 첫번째 에지부터 α만큼 떨어진 곳에서부터 생기므로 수평동기신호를 x1만큼 딜레이시키면 POP가 실현되게 된다.
2)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좌측으로 붙여서 POP 신호를 구현하는 경우.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좌측으로 붙여서 POP 신호로 디스플레이하려 할 경우는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동기신호를 x1만큼 앞으로 당겨야 한다.
그러나 원래의 수평동기신호를 좌측으로 당길 수는 없으므로 제9도의 타이밍도와 같이 첫번째 수평동기 신호를 x2만큼 우측으로 밀면 2번째 수평동기신호를 좌측으로 x1만큼 당긴 것과 같다. 즉, 첫번째 수평동기신호는 놓치더라도 2번째 수평동기신호부터는 POP가 실현되다.
그리고 이 때의 회로동작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우측으로 붙여서 PIP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와 동일하나, 단지 제3도에서 비교기(COMP1)는 D플립플롭(DFF3)의 카운팅출력이 기준값(ref2)의 범위인 상기 제9도에 나타낸 x2보다 크거나 같고 x2+y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로우 출력이 되어 D플립플롭(DFF4)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므로 출력(out2)은 수평동기신호를 x1만큼 당긴 것과 같이 되므로 2번째 수평동기부터는 POP가 실현되게 된다.
3)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위로 붙여 POP 신호를 수현할 경우.
이 경우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 신호는 수직으로 수직동기신호의 폴링에지해서 x4만큼의 수직동기신호 후에 나타나므로 PIP 신호를 위로 붙이려면 수직동기신호를 x4만큼 위로 당기면 된다. 이 때 수직동기신호를 제10도에서처럼 x3만큼 우측으로 밀면 2번째 수직동기신호를 x4만큼 좌측으로 당긴 것과 같으므로 첫번째 수직동기신호는 놓치더라도 2번째 수직동기신호부터는 POP가 실현되게 된다.
그리고 이 때의 회로동작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붙여서 POP 신호로 디스플레이할 경우와 동일하나, 단지 제4도에서 비교기(COMP1)는 D플립플롭(DFF3)의 카운팅출력이 기준값(ref3)의 범위인 상기 제10도에 나타낸 x3보다 크거나 같고 x3×z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로우 출력이 되며, 이 때 D플립플롭(DFF4)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어 출력(out3)은 수직동기신호를 x3만큼 당긴 것과 같이 되므로 2번째 수직동기부터는 POP가 실현되게 된다.
4)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해서 PIP 신호를 아래로 붙여 POP 신호를 구현할 경우.
이 경우는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β만큼 떨어진 곳에서 PIP가 생기므로 수직동기신호를 x4만큼 아래로 밀면 되므로 이 경우는 수직동기신호를 제11도에서처럼 x4만큼 우측으로 밀면 POP가 실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회로동작은 상기 1), 2), 3)의 경우와 동일하거나, 단지 제5도에서 비교기(COMP1)는 D플립플롭(DFF3)의 카운팅출력이 기준값(ref4)의 범위인 상기 제11도에 나타낸 x4보다 크거나 같고 x4+z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만 로우 출력이 되므로 D플립플롭(DFF4)의 출력도 로우상태가 되어 출력(out4)은 수직동기신호를 x4만큼 딜레이시킨 것과 같이 되어 POP가 실현되게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수용 또는 수직동기 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결정하는 카운팅수단과, 상기 카운팅수단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값으로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수단만을 구비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 신호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붙여 POP 화면을 구현하고,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PIP 신호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붙여 POP 화면을 구현함으로써 아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16 : 9 사이즈의 화면에서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딜레이 정도를 결정하는 카운팅수단(100)과, 상기 카운팅수단(100)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값으로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수단(200)으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수단(100)은,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딜레이하여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검출부(110)와, 일측 입력단에는 1이 입력되며 타측 입력단에는 D플립플롭(DFF3)의 출력이 입력되어 가산되는 가산기(ADD1)와, 입력단은 상기 에지검출부(110) 및 가산기(ADD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상기 D플립플롭(DFF3)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지검출부(110)의 출력을 반전시킨 값과 상기 가산기(ADD1)의 출력을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AND2)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검출부(110)는,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입력되는 클럭에 따라 딜레이시키는 딜레이부(111)와, 상기 딜레이부(111)의 출력을 반전시킨 값과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논리곱하는 엔드게이트(AND1)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부(111)는,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클럭에 따라 1클럭 딜레이시키는 D플립플롭(DFF1)과, 상기 D플립플롭(DFF1)의 출력을 1클럭 딜레이시키는 D플립플롭(DFF2)으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200)은, 상기 D플립를롭(DFF3)의 출력과 PIP 신호를 POP 신호로 위치변환시키기 위한 값으로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기(COMP1)와, 상기 비교기(COMP1)와 비교결과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를 로우 또는 하이상태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DFF4)으로 구성되는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KR1019920011377A 1992-06-27 1992-06-27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KR012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377A KR0123773B1 (ko) 1992-06-27 1992-06-27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377A KR0123773B1 (ko) 1992-06-27 1992-06-27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700A KR940001700A (ko) 1994-01-11
KR0123773B1 true KR0123773B1 (ko) 1997-11-26

Family

ID=193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377A KR0123773B1 (ko) 1992-06-27 1992-06-27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409A1 (ko) * 2015-06-03 2016-12-08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수직 동기 지연 계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7095A1 (en)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mb2 scaleo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409A1 (ko) * 2015-06-03 2016-12-08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수직 동기 지연 계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700A (ko) 199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799B1 (ko) 비디오 신호의 기수/우수 필드 검출기
KR19990018906A (ko) 디지탈 티브이의 화면비 변환장치
KR860003734A (ko) 문자 발생기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
KR840004844A (ko) 화상 표시장치용 라인동기 회로
KR0123773B1 (ko) Pip 신호의 pop 신호로의 위치변환회로
US6664977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allows an image display device on which pixels are fixed in number to display every video signal
JP4173998B2 (ja) ジッタ・キャンセル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027279A (ja) 画像を垂直方向にパンする方法およびパン機能を具えたテレビジョン装置
KR960011307B1 (ko) 자화면 위치 설정회로
KR960012595B1 (ko)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회로
JPH0969965A (ja) 垂直同期信号安定化回路、集積回路及び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装置
CA2352546C (en) Horizontal automatic frequency control (afc) circuit
KR100218271B1 (ko) 수직 동기 분리 회로와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및 필드 검출 회로
KR0160658B1 (ko)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JP333817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365878A (ja) 同期装置
KR920008835Y1 (ko) 텔레텍스트(Teletext)내장형 TV 수상기용 수직동기 검출장치
JPS62230112A (ja) デジタル同期回路
JPH01126012A (ja) 発振出力制御回路
JPH0223187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3150978A (ja) アドレス制御回路
JPH02183688A (ja) 二画面テレビ画面切換回路
JPS6118268A (ja) テレビの非同期検出回路
JPH0382288A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57216A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수평동기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