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58B1 -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 Google Patents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58B1
KR0160658B1 KR1019940009536A KR19940009536A KR0160658B1 KR 0160658 B1 KR0160658 B1 KR 0160658B1 KR 1019940009536 A KR1019940009536 A KR 1019940009536A KR 19940009536 A KR19940009536 A KR 19940009536A KR 0160658 B1 KR0160658 B1 KR 016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sequence
screen
sign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87A (ko
Inventor
박세웅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58B1/ko
Publication of KR95003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화면 수직압축장치는,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모화면의 영상이 수직으로 신장되어 자화면의 영상 또한 수직으로 신장될 때, 자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 중 일부 수평주사라인들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타를 누락시킴으로써 자화면의 영상이 수직압축되도록 한다.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은, 하나의 모화면내에 마련된 좌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소정 기간동안 지연시킴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한다.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이 소정의 서로 상이한 수평주사라인 범위들의 각각에 해당할 때마다 그 해당범위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은,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에 형성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제1a, 1b 및 1c도는 종래의 영상기기에서 모화면을 수직신장시키는 경우 자화면이 수직으로 신장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채용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모화면 자화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영상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 30 : 영상 데이타 출력부
70 : 제어신호 발생부 80 : 수평귀환신호 출력부
본 발명은 하나의 모화면(母畵面, main picture)내에 마련된 자화면(子畵面, picture in picture)을 수직압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젼 및 VTR 등의 각종 영상기기에 있어서 모화면을 수직신장할 경우 자화면을 수직압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텔레비젼, VTR 등의 영상기기에서는 하나의 모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자화면을 제공하는 다화면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데, 특히 일반 텔레비젼에 비해 가로방향의 길이가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상당히 커진 와이드 TV에서는 화상을 수직으로 신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드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제1a, 1b 및 1c도는 종래의 영상기기에서 주화면을 수직신장시키는 경우 자화면 역시 수직으로 신장되는 것을 보인다. 제1a도의 16:9의 가로:세로비(aspect ratio)를 갖는 모화면 화상을 수직으로 신장시키면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화면의 우측상부에 위치하는 자화면 역시 수직으로 신장된다.
즉, 원래의 자화면의 가로:세로 비가 4:3이었는데, 수직신장후에는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6 으로 세로로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수직신장된 자화면을 원래대로의 가로:세로 비로 유지하기 위해 좌화면의 상,하부 일부를 절단하면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면의 절단된 부분의 데이타가 소실되어 화상을 완벽히 재현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화면을 수직으로 신장할 경우 모화면내의 자화면이 원래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는,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모화면의 영상이 수직으로 신장되어 자화면의 영상 또한 수직으로 신장될 때, 상기 자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 중 일부 수평주사라인들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타를 누락시킴으로써 상기 자화면의 영상이 수직압축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은, 하나의 모화면내에 마련된 자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소정 기간동안 지연시킴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이 소정의 서로 상이한 수평주사라인 범위들의 각각에 해당할 때마다 그 해당범위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은,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탈 시퀀스 형성수단에 형성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화면을 수직으로 신장할 경우 상기 모화면내의 자화면이 원래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채용한 영상기기에 있어서 모화면 및 자화면의 관계를 보인 것이다. 제2a도에서 4:3의 에스펙트 비를 갖는 자화면을 모화면의 화상과 함께 수직으로 신장한 후, 그 수직신장된 데이타를 본 발명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이용하여 샘플링하면 제2b도에서처럼 압축된 PIP를 얻게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를 보여준다. 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의 영상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0)는 자화면 데이타 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자화면 용 영상데이타를 각 수평주사라인별로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1 수평주사라인 기간씩 입력된 순서대로 소정기간 지연시킴으로써 수평주사라인별로 연결된 영상데이타 시퀀스(video data sequence)를 형성한다. 제어신호 발생부(70)는 블랭크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8)에서 출력되는 블랭크 데이타 시퀀스를 하나의 수평주사라인씩 계수하여 그 계수값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데이타 출력부(30)에 인가하고, 영상 데이타 출력부(30)는 상기 발생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영상데이타 시퀀스 중에서 하나의 영상데이타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또한, 수평귀환신호 출력부(80)는 모화면 내에서 PIP 의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0)는 영상데이타중의 휘도신호(Y), 색차신호들(R-Y, B-Y), 및 블랭크(Blank) 신호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1 수평주사라인씩 지연시켜 각각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 R-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B-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및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하는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2), R-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4), B-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6), 및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8)를 포함한다.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2), R-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4), B-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6), 및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8)의 각각은 모두 같은 수의 1 수평주사라인 (1H) 지연기들(1HD1,1, ...., 1HD1,N-1, 1HD1,N; 1HD2,1..., 1HD2,n-1, 1HD2,n; 1HD3,1,..., 1HD3,N-1, 1HD3,N,; 1HDb,1, ...., 1HDb,N-1, 1HDb,N,)의 직렬 연결로 구성되어 있고, 각 지연기들마다 출력단자가 뽑아져서 다음 지연기로 접속되는 한편, 영상데이타 출력부(30)의 각 선택단자들로 연결된다. 영상데이타 출력부(30)의 휘도신호데이타 출력부(32)는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2)의 각 지연기에서 뽑아진 N 개의 출력단자들(Y, Y1,...., YN-1, YN)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휘도신호 Y' 로서 출력하고, R-Y 색차신호데이타 출력부(34)는 R-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4)의 각 지연기에서 뽑아진 N 개의 출력단자들((R-Y, (R-Y)1,...., (R-Y)N-1, (R-Y)N)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R-Y 색차신호 (R-Y)' 로서 출력하며, B-Y 색차신호데이타 출력부(36)는 B-Y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6)의 각 지연기에서 뽑아진 N 개의 출력단자들((B-Y), (B-Y)1,....,(B-Y)N-1, (B-Y)N)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B-Y 색차신호 (B-Y)' 로서 출력한다.
자화면 데이타 발생부(11)로부터 출력되어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지연부(28)에 의해 소정기간 지연된 수평귀환신호(BLANK1)는 제어신호 발생부(70)에 입력되어, 휘도신호 데이타 출력부(32), R-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4) 및 B-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6)의 각각에서 하나의 출력단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CS)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제어신호 발생부(70)의 수평귀환신호 계수기(710)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8)의 출력 수평귀환신호(BLANK1)를 동기신호로 입력받아 1 수평주사라인마다 하나씩 계수하고, 한 필드(field) 분의 영상데이타의 수평주사가 끝나면 수직동기신호에 의하여 제로값으로 클리어된다. 판별부(730)는 수평귀환신호 계수기(710)의 계수값 출력신호 q 를 입력받아 한 필드분의 수평주사라인들중의 어느 라인에 해당하는가 판단하고, 멀티플렉서(770)는 판별부(730)의 출력 신호들을 입력받아 멀티플렉싱을 수행하여 하나의 제어신호(CS)를 휘도신호 데이타 출력부(32), R-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4) 및 B-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6)의 선택스위치들에 인가한다. 판별부(730)는 복수개의 부판별부들(731, 732,....,738, 739)로 구성되고, 각 부판별 부들은 한 필드의 영상에 해당하는 수평주사라인들을 소정의 연속되는 범위들로 나누어 각각 1대 1 로 대응함으로써 계수기(710)의 Q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 q가 속하는 범위에 대응된 부판별부만이 하이 신호를 발생하고 나머지 부판별부들은 로우 신호를 발생한다.
예컨대, 한 필드를 나타내는 수평주사라인들 중에서 a1∼a2, b1∼b2,..., x1∼x2, y1∼y2 범위들을 설정하여 (이때, b1=a2+1, y1=x2+1 등으로 각 범위는 연속적임) 각각 제N부판별부(731), 제N-1부판별부(732),..., 제1부판별부(738), 제0부판별부(739)에 1대 1로 대응시켰을 때, 신호 q 가 a1∼a2 범위에 해당하면 제N부판별부(731) 만이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나머지 부판별들은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멀티플렉서(770)의 각 단자들(mN, mN-1,..., m1, m0)에 인가한다. 멀티플렉서(770)는 단자 mN으로 입력된 하이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신호(CS)를 휘도신호 데이타 출력부(32), R-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4) 및 B-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6)의 선택스위치들에 각각 인가하여 YN, (R-Y)N및 (B-Y)N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계수기(710)의 출력신호 q 의 값이 계속 증가하여 b1∼b2 의 범위에 해당하게 되면 제N-1부판별부(732)만이 하이신호를 방출하고 나머지 부판별부들은 로우 신호를 방출하여 멀티플렉서(770)는 상기 휘도신호 데이타 출력부(32), R-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4) 및 B-Y 색차신호 데이타 출력부(36)의 선택스위치들이 YN-1, (R-Y)N-1및 (B-Y)N-1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계수값이 a2 에서 b1으로 하나 증가할 때, 하나의 지연소자를 생략하여 1 수평주사라인 만큼 덜 지연된 영상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1 수평주사라인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식으로 계수값이 증가하여 각 범위로 옮겨갈 때마다 1 수평주사라인 만큼씩 덜 지연된 영상데이타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자화면의 영상을 전체적으로 수직압축하는 결과를 얻게된다. 그리고, 계수값이 y1∼y2 사이에 해당하여 제일 마지막 제0부판별부(739)가 하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현재 PIP 데이타 발생부(11)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 R-Y 색차신호 및 B-Y 색차신호를 지염됨이 없이 곧바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각 1수평주사라인 범위들은 공장에서 출하시에 세팅되어 나오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범위들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자화면의 수직압축이 다르게 나타난다.
한편, 수평귀환신호 출력부(80)는 비교기(88) 및 AND 연산기(89)로 구성되는데, 비교기(88)는 계수기(710)의 출력신호 q 를 비반전 입력단자로 받고, 소정의 자화면 개시라인 값 전위 d 를 반전입력단자로 받아, q 가 d 보다 클 때는 정(+)의 신호를, q 가 d 보다 작을 때는 부(-)의 신호를 발생하여 AND 연산기(89)의 일측 입력단자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비교기(88)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d 는 모화면내에 자화면이 디스플레이되기 시작하는 수평주사라인값으로서 정해진다.
AND 연산기(89)는 비교기(88)의 출력신호와 BLANK1 신호를 논리곱하여 비교기의 출력신호가 정(+)의 레벨일 경우에만 BLANK1 신호를 통과시켜 BLANK2 신호를 만든다.
본 수평귀환신호는 모화면 내에서 자화면의 위치를 정해주는 역할을 하며 d 값 보다 작은 수평주사라인에서는 비교기(88)가 AND게이트(89)의 일측 단자에 부(-)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AND게이트(89)의 타측 단자로 입력되는 수평귀환신호(BLANK1)가 잘려져서 원래의 PIP의 에스펙트 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부(28)의 출력 수평귀환신호를 계수기(710)에 의해 계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였는데,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외에도 휘도신호, R-Y 색차신호 또는 B-Y 색차신호등의 영상신호 데이타 시퀀스를 1 수평주사라인씩 계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모화면의 수직 신장시 함께 수직으로 늘어난 자화면 데이타를 수직압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화면 수직압축장치에 의하면, 모화면이 수직으로 신장되는 경우, 자화면의 원래의 크기가 유지되어 그 전체적 화상이 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6)

  1. (a) 하나의 모화면내에 마련된 자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소정 기간동안 지연시킴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하는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 (b)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이 소정의 서로 상이한 수평주사라인 범위들의 각각에 해당할 때마다 그 해당범위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c)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에 형성된 영상데이타 시퀀스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모화면의 영상이 수직으로 신장되어 자화면의 영상 또한 수직으로 신장될 때, 상기 자화면을 나타내는 영상데이타 중 일부 수평주사라인들에 해당하는 영상데이타를 누락시킴으로써 상기 자화면의 영상이 수직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은 직렬연결된 소정수의 지연소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은 상기 영상데이타 중의 휘도신호 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기간동안 지연됨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하는 휘도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 상기 영상데이타 중의 색차신호 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기간동안 지연됨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하는 색차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 및 상기 영상데이타 중의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수평주사라인 별로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입력된 순서대로 상기 기간동안 지연시킴으로써 수평주사라인 별로 연결된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를 형성하여 출력시키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은 상기 영상데이타 시퀀스 형성수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을 출력시키는 계수기; 상기 각각의 수평주사라인 범위에 일대일로 대응되어, 그 대응된 범위에 속하는 값이 입력되면 제1신호를 발생하고, 그 대응된 범위에 속하지 않은 값이 입력되면 상기 제1신호와 상이한 제2신호를 발생하는 각각의 부판별부를 구비하여, 상기 계수기로부터의 계수값에 따라 하나의 부판별부만이 상기 제1신호를 발생하고 나머지 부판별부들은 상기 제2신호를 발생하는 판별수단; 및 상기 부판별부들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타 출력수단은 상기 지연소자들 각각에서 뽑아낸 복수개의 신호들 중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값을 소정의 자화면 개시라인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수평귀환신호 데이타를 논리곱하는 AND 연산기를 포함한 수평귀환신호 출력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계수값이 상기 자화면 개시라인 값 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수평귀환신호 데이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화면 수직압축장치.
KR1019940009536A 1994-04-30 1994-04-30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KR016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536A KR0160658B1 (ko) 1994-04-30 1994-04-30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536A KR0160658B1 (ko) 1994-04-30 1994-04-30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87A KR950030687A (ko) 1995-11-24
KR0160658B1 true KR0160658B1 (ko) 1999-01-15

Family

ID=1938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536A KR0160658B1 (ko) 1994-04-30 1994-04-30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6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87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8766A (en) Multiple television receiver with teletext function
JPH05508061A (ja) ビデオ信号制御装置
CN1103528A (zh) 并排显示用的自动同步开关
JP2000338925A (ja) 映像表示装置
NL8204684A (nl) Met interlinieringsvrije dubbelaftasting werkend televisietoestel.
EP0717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wo video pictures simultaneously
JP3592746B2 (ja) 主画面位置補償回路及びその方法
US20040017510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0160658B1 (ko) 자화면 수직압축방치
JPH10136282A (ja) テレビジョン映像及びパソコン映像の同時表示装置
JPH06105177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JP2923966B2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2748496B2 (ja) 高品位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KR0124374B1 (ko) 주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부화면 신호를 일정화면비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0139195B1 (ko) 부화면을이용한외부인검색방법및그장치
JP2910872B2 (ja) アスペクト比可変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45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EP0961491A2 (en)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up vertical blanking signal of television set
KR100205372B1 (ko) 온 스크린 표시장치
US20050190297A1 (en) Video signal processor and video display device
KR940006015B1 (ko) 화면편집장치
JP2850964B2 (ja) ピクチュア・イン・ピクチュア回路
JPH024189B2 (ko)
JPH0380392B2 (ko)
JPH0675553A (ja) 画面分割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