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79B1 -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79B1
KR0122079B1 KR1019890003779A KR890003779A KR0122079B1 KR 0122079 B1 KR0122079 B1 KR 0122079B1 KR 1019890003779 A KR1019890003779 A KR 1019890003779A KR 890003779 A KR890003779 A KR 890003779A KR 0122079 B1 KR0122079 B1 KR 012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splay cell
film
crystal display
organ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055A (ko
Inventor
히사오 요꼬구라
다다오 나까다
데루오 기다무라
아끼오 마꼬오
야스히꼬 간도오
이소지 사까이
야스오 후지무라
노보루 마쓰다니
쓰네다까 마쓰모또
야스오 이마니시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니또 덴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69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25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107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597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53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6904B2/ja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니또 덴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900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12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at least two benzene rings directly linked, e.g. bipheny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1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 C09K19/2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 C09K19/2007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at least two benzene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carbon and oxygen atoms as chain links, e.g. esters or ethers the chain containing -COO- or -OCO- groups
    • C09K19/2021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asymmetr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06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 C09K19/08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 C09K19/30Non-steroidal liquid crystal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rings containing saturated or unsaturated non-aromatic rings, e.g. cyclohexane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40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or sulfur, e.g. silicon, metals
    • C09K19/406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or sulfur, e.g. silicon, metals containing silicon
    • C09K19/408Polysilox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4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 C09K2019/0448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linking chain between rings or ring systems, a bridging chain between extensive mesogenic moieties or an end chain group the end chain group being a polymerizable end group, e.g. -Sp-P or acry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made of a mesogenic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셀에서 사용되는 배향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면 확산법에 의한 연속막 형성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2도는 유기 중합체 용액의 확산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제2(a)도는 이들의 평면도이고,
제2(b)도는 이들의 확대 단면도이며,
제3도는 권취 속도와 배향막의 적외선 이색성 비율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제4도는 FT-IR을 사용하여 측정된 배향막의 적외선 이색성 성질의 스펙트라 측정치를 나타낸 것이며,
제5도는 역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6도는 메모리 평가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제7도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즐 2 : 물 탱크
3 : 수면 4 : 형성된 막
5, 6, 7 : 롤러 8 : 전극기판
11 : 기판 12 : 배향막
13 : 액정 조성물 14 : 절연막
15 : 편광판
본 발명은 특별한 배향막을 내장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면 확산법으로 형성된 배향막을 가지며 그리고 네마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여러 종류의 표시장치에 실질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양호한 표시 성질을 얻기 위해서는 액정 분자를 균일하게 배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액정용 배향막은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많은 개발과 연구가 배향막에 대하여 실시되어 왔다. 지금까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SiO와 같은 무기 화합물의 경사증착에서 얻어지는 무기 배향막 등,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과 유사한 것의 유기 중합체막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직포로 러빙하여 얻은 유기 배향막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였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50-83051호 및 동 51-65960호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3,834,792호 및 제3,994,567호).
최근에는 세칭 란그무어-블로드겟 방법(이후 LB방법으로 칭한다)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또는 유사물의 단분자층의 막 또는 다적층된 단분자층의 막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향막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일본국 공개공보 제62-209415호, 동 62-211617호 및 동 62-215928호).
상술한 배향막은 각기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경사증측에 의해 형성된 무기배향막의 경우는, 배향막 형성을 위해 진공증착장치 같은 진공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며, 이는 대량 생산에서 생산성을 낮추는 결과가 된다.
한편, 유기 배향막의 경우는, 이들의 대략 생산에는 아주 우수하나 균일한 막 두께를 갖는 중합체막으로 피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직포를 사용하는 러빙 처리는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배향막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등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예를 들면 액정으로 사용하는 초비틀림 액정 디스플레이 셀(STN)의 경우[예로서 SID International Symposium p.120∼123(1985)], 배향막의 두께에서 야기되는 역치 전압(Vth)의 불균일에서 기인하는 표시의 불균일과, 정전기에 의해 야기되는 인디움 주석 산화물(ITO)전극의 파괴에 의한 비발광부분이 발생된다.
또한, 전극간에 누전이 용이하게 생긴다. 이 밖에도, 배향막 표면의 오염은 역치 전압의 주파수 의존성의 불균일을 야기시키고, 이것은 표시의 불균일을 만드는 결과가 된다.
활성 매트리스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러빙 처리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또는 다이오드의 절환 요소에 손상을 만들고, 또는 절환 특성의 변경으로 발광의 저하를 만든다. 또한, 러빙시에 전체로서 기판에 의한 부하의 조절이 어렵다.
특히, 대형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러빙에 의해 손상이 야기된다.
LB방법에 의해서 형성된 배향막의 경우에, 정전기에 의해서 야기되는 문제는 없으나, 그러나 대량 생산에 문제가 있다. 즉, LB방법에 의해 형성된 중합체 막은 약 4Å의 두께를 갖는 단분자 막이며, 따라서 막 두께는 ITO 전극을 차폐하기에는 너무 얇다. 이는 디스플레이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유기 배향막으로 현재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표시품질의 관점에서 500Å 또는 그 이상의 막 두께가 요구된다. 그러나, LB방법에 의하면, 약 4Å 두께의 단일 LB막의 125겹을 적층함으로써 500Å 두께의 막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LB방법에 의한 형성은 작업성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실제 생산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보 제57-40228호 그리고 동 제62-227122호는 액정 중합체를 배향막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그러나 균일한 막 두께는 통상의 피복 방법에 의해서는 얻어질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해소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공함에 있으며, 그리고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요망되는 디스플레이 패턴으로 기판 상에 배열된 투명전극을 갖는 두 개의 간격을 가진 기판, 밀봉제에 의해 상기 두 기판의 내면 사이에 밀봉된 액정 조성물, 그리고 각각 투명전극 상에 설치된 두 개의 배향막으로 되고, 상기한 배향막이 0.1㎛ 또는 이하의 막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배향막의 적어도 하나가 유기 중합체로만 만들어져 있고 그리고 유기 중합체 분자쇄를 한쪽 방향으로 0.003㎛ 또는 그 이상의 두께의 단층으로 배치하여 배향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면 상에 유기 중합체의 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용액을 막이 형성되도록 한 방향으로 연신하고, 생성된 수면 확산된 막을 기판 상에 설치된 전극의 소정된 부분에 부착시키고, 제조된 배향막을 가진 한쌍의 전극기판과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스페이스에 액정 조성물을 붓고, 그리고, 밀봉제에 의해 액정 조성물을 밀봉하는 것으로 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구조를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요망되는 디스플레이 패턴으로 전극 상에 배치된 투명전극을 갖고, 예를 들면, 유리등으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이들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두 개의 간격이 있는 기판(11), 상술한 기판(11)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밀봉제(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된 액정 조성물(13)과 그리고 바람직하기는 절연막(14)을 경유하여 각각의 투명전극상에 설치된 두 개의 배향막(12)으로 이루어진다. 실제 사용시에는 기판(11)상에 한쌍의 편광판(15)을 형성시킨다.
배향막은 0.1㎛ 또는 그 이하의 막 두께를 가지며 그리고 배향막의 적어도 하나는 유기 중합체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유기 중합체 분자쇄가 0.003㎛ 또는 그 이상의 두께의 단층으로 한 방향으로 배열시킴으로써 배향이 된다.
이러한 특수한 배향막은 세칭 수면 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만들어지며, 액정 분자를 배향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수면 확산법에 의해서, 30Å(0.003㎛) 내지 1000Å(0.1㎛)의 중합체 막은 주목할 만큼 단시간내에 단일처리로 유리 기판상에 형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수면 상에 확산된 막을 한쪽 방향으로 연신 또는 권취함에 의해, 유기 중합체 부자쇄가 단일층의 전체 두께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배향된 막을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러빙된 표면부분 내에 있는 유기 중합체만이 한쪽 방향으로 배향되는, 러빙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통상의 배향막과는 전혀 반대되는 것이다.
수면 확산 막 형성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배향막은 한쪽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수득한 막을 러빙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러빙 처리의 불필요성은 정전기의 발생을 야기하지 않으며, 전극과 TFT의 파괴가 없으며, 그리고 배향막 계면의 오염이 없게 한다. 또한, 불균일한 막 두께에서 기인하는 표시의 불균일성이 없다. 또한, 유기 중합체의 두께가 30Å 또는 그 이상으로 두꺼운 막을 단일처리에 의해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품질의 저하가 없이 생산성은 우수하게 된다. 더욱이, 셀이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되면, 상기 장치는 균일배열(명암비율)과 그리고 기억특성 모두가 우수하게 된다.
물론, 만약 필요할 경우에는, 수면 확산 막 형성방법에 의해 얻어진 배향막에 러빙 처리를 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러빙력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통상의 러빙 처리와 비교할 때에 현저하게 감소된다.
수면확산 막 형성방법은 제1도에서 표시한 장치를 사용하는 막 형성방법이다. 여기서 숫자 1은 유기 중합체 용액의 노즐이고, 2는 물 탱크를 나타내며, 3은 수면이고, 4는 형성된 막이고, 5,6 및 7은 롤러이고, 그리고 8은 막 상태의 전극기판을 나타낸다.
제1도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유기 중합체 용액이 물 탱크(2) 내의 수면(3) 상에 일정체적 공급 펌프를 사용하여 노즐(1)로 부터 배출(또는 주형)되면, 용액은 제2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수면 상에 순간적으로 확산하여 막(4)을 형성한다.
제2도는 유기 중합체 용액의 확산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여기서, 제2(a)도는 이들의 평면도이고, 그리고 제(b)도는 이들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2(a)도에서, a는 용액부분, b는 겔 부분, 그리고 c는 고체막 부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막(4)은 롤러(5),(6) 및 (7)에 의해 이동되는 막 형태의 전극기판(8)과 접촉시키거나, 또는 막 형태 전극기판의 표면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극기판의 소정부분에 막을 부착하고 이동시키면서 감아 올린다.
이 경우에, 수면 상에서 유기 중합체 용액의 자생적 확산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막을 감아 올림으로써, 분자 배향은 부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얻은 막은 소정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하는 효과가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경우, 액정은 막의 방향으로 배향과 이방성을 가지는 배향막을 형성하여 단일축으로 배향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막 방향으로의 배향과 이방성은 통상의 러빙 처리가 없이도 없을 수 있다. 이것은 수면확산 막 형성방법의 예상하지 않았던 결과인 것이다.
수면확산막은 수면확산 배향막과 수면확산 배향막의 감는 속도와 같은 속도로 이동하는 복수 개의 전극기판을 하나씩 접촉시키고 그리고 계속해서 전극기판 상에 배향막을 부착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전극기판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다.
유기 중합체로서는, 수면확산 막 형성방법으로 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유기 중합체든지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중합체의 예로서는 각종의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미드-산,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산의 공중합체, 폴리파라-크실일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폴리부덴, 폴리메틸펜텐,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과 같은 플루오르 함유 중합체, 폴리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중합체, 액정 중합체(예로서, 리오트로픽 액정 중합체 및 터모트로픽 액정 중합체)로서 주쇄 또는 측쇄에 메소겐 그룹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것이다.
이들 유기 중합체 중에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산, 그리고 주쇄 또는 측쇄에 메소겐 그룹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액정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와 폴리아미드-산은 디아민 화합물 또는 이염기산 하이드라지드 화합물과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을 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의 예로서는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피리딘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4,4'-디설포닐디프탈산 이무수물 비스[(디카르복실페녹시)-페닐]프로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스(디카르복시-페녹시)디페닐 에테르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비스[(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헥산 플로오르프로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등이다. 이들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아민 또는 이염기산 히드라지드로서는 페닐렌디아민, 디페닐렌디아민, 트리페닐렌디아민,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 :
Figure kpo00001
(여기서, X는 직접결합,
Figure kpo00002
이다), 또는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
Figure kpo00003
(여기서, X는 상술한 것과 같으며, 예를 들면, 다음 구조식의 비스(아미노페녹시)디페닐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4
을 사용할 수 있다.
디아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터페닐,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페닐벤조에이트,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2-(4,4'-디아미노디페닐)프로판, 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술폰, 4,4'-비스(m-아미노페녹시)디페닐술폰, 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에테르, 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케톤, 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메탄, 2,2-[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프로판, 2,2-[4,4'-비스(p-아미노페녹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및 다음 구조식의 4,4'-디아미노-3-카바모일디페닐에테르이다.
Figure kpo00005
또한, 다음과 같은 디아미노실록산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
Figure kpo00006
이 염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의 예로서는, 이소프탈산 디하드라지드, 테르프탈산 디히드라지드, 4,4'-디히드라지드 디페닐에테르, 4,4'-디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 4,4'-디히드라지드 디페닐, 4,4'-디히드라지드 디페닐메탄, 4,4'-디히드라지드 페닐벤조에이트, 4,4'-디히드라지드 디페닐술폰, 4,4'-비스-(p-히드라지드 페녹시)디페닐술폰, 4,4'-비스-(p-히드라지드 페녹시)디페닐에테르, 2,2'-[4,4'-비스-(p-히드라지드 페녹시)-디페닐]프로판, 2,2'-[4,4'-비스-(p-히드라지드 페녹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옥살산 디히드라지드, 말론산 디히드라지드, 숙신산 디히드라지드, 글루타르산 디히드라지드, 아디프산 디히드라지드, 피멜산 디히드라지드, 수베르산 디히드라지드, 아젤라산 디히드라지드 등이다. 이들 이염기산 히드라지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디아민 화합물과 이염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은 실릴화시킨 후에 N-실릴화디아민 화합물 및 N-실릴화이염기산 히드라지드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을 위한 용매로서는 폴리아미드-산과 폴리이미드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테이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크레솔 및 페놀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 종류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수면 확산막 형성특성을 제공함에 불충분할 때에는 확산 보조제로서 제2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확산 보조제로서는, 알리파틱, 알리시클릭, 그리고 방향족케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시클로헥사논 등과 같은 것, 부틸부틸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아밀알코올, 벤질알코올 등과 같은 알코올, 아민, 알데히드, 과산화물 등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고유점도(용매 100ml당 0.5g의 중합체 농도로서 30℃에서 측정) 0.3 내지 5.0을 갖는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점도가 너무 낮으면, 생성된 폴리이미드 배향막의 강도는 낮다. 반대로, 고유점도가 너무 높으면, 중합체 용액의 유동이 열화되어 박막 형성이 어렵게 된다.
액정 중합체로서, 주쇄와 측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고 그리고 유기 용매 중에 용해될 수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주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는 액정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산아미드)(Kevlar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음, E.I du Pont 회사제품)폴리(p-벤즈아미드),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히드록시프로필 셀루로우스 등과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r-벤질-L-글루타메이트)등과 같은 폴리펩티드; 스티렌-에틸렌옥사이드, 블록중합체 등과 같은 블록중합체; 폴리(p-페닐렌벤조비스티아졸), 폴리테레프탈로일히드라지드 등이다. 이들 중합체는 리오트로픽 액정 특성을 나타내는 중합체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터모트로픽 액정 특성을 나타내는 주쇄형 액정 중합체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액정 중합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p-히드록시벤조산의 공중합체는 넓은 조성범위 내에서 액정 특성을 보여주며 그리고 클로로포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의 혼합용매 등에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합체는 수면 확산 막 형성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의 다른 예로서는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7
여기서, R은 -CH3, -Cl 또는
Figure kpo00008
이고, n은 바람직하기는 10 내지 50의 정수이고, a는 바람직하기는 2 내지 5의 정수이다.
또한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아조(아족시)페놀알카노에이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
Figure kpo00009
여기서, m은 바람직하기는 2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상술한 것과 같다.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아미드는 터모트로픽 성질을 나타내는 물질로서 사용될 수가 있다.
Figure kpo00010
여기서, n 및 a은 상술한 것과 같으며, 다음 일반식의 폴리아조메틴을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kpo00011
여기서 R 및 n은 상술한 것과 같다.
상술한 측쇄형 액정에 사용되는 메소겐 그룹으로서, 저분자량 액정 중합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 거의 모두를 사용할 수가 있다. 측쇄형 액정 중합체의 골격쇄의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및 폴리말론에이트이다. 예를 들면, 골격쇄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갖는 경우에는, 측쇄형 액정 중합체는 다음 일반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2
여기서, R1
Figure kpo00013
또는
Figure kpo00014
이고, R2는 -CN 또는 -O
Figure kpo00015
CH2
Figure kpo00016
aCH3이고, a는 0 내지 8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음의 측쇄가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17
등 상술한 액정 중합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에 의해 또는 다른 중합체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액정 중합체와 혼합할 수도 있다.
수면 상에 막 형성을 위해 상술한 액정 중합체를 균일하게 확산시키기 위한 유기 용매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액정 중합체(특히 터모트로픽 액정 특성을 나타내는 중합체)는 용해도가 나쁘다.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경우에는 용해도는 가교된 비페닐렌형 화합물(예로서, 3,8-디아미노페난트리디논)과 공중합시켜서 개선시킬 수 있다.
확산용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이며, 그리고 특히 방향족 폴리아미드에 대하여는 N-메틸피롤리돈이다. 만약 필요하다면, LiCl, CaCl2등과 같은 염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페놀, p-클로로페놀 등과 같은 페놀성 용매는 예를 들면, 수면 상에 폴리에스테르형 액정 중합체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상술한 유기 용매가 수면 확산 막 형성법을 수행하는데에 불충분하면, 확산 보조제로서 제2의 유기 용매를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확산 보조제로서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케톤, 에스테르, 알코올, 아민, 알데히드, 과산화물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확산 보조제는 1중량% 또는 그 이상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면 확산 막 형성법에서 사용되는 유기 중합체 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기는 0.5 내지 4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1 내지 20중량%이다. 중합체 농도가 너무 낮으면, 균일한 연속막을 형성시키기가 어렵고, 반대로, 중합체 농도가 너무 높으면, 수면 상에 유기 중합체 용액의 확산 특성이 바람직하지 않게 낮아진다.
배향막은 전극이 설치된 기판(전극기판) 상에 직접 형성시킬 수 있다. 전극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SiO2, Al2O3또는 TiO2,그리고/또는 커플링제(예로서, 실란 커플링제)층으로 만든 무기 절연막을 가진 기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강인한 배향막을 얻기 위해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 그리고/또는 아미노계 실란 커플링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면에서 형성된 배향막은 전극기판에 직접 적층할 수 있다. 분리재와 같은 막 상에 미리 형성된 배향막을 투명전극이 설치된 유리판(기판)에 이전할 수 있다.
배향막은 전극기판 상에 단층 또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각 층을 건조하여 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각 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산으로 만든 배향막의 경우는, 막 형성 후에 가열 또는 필요하다면 화학처리하여 이미드화를 실시할 수 있다.
수면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형성된 막의 유기 중합체 분자쇄의 배열 상태는 적외선 이색성 비율에 의해 평가된다. 통상의 형성방법에 의한 막 형성의 경우에는 적외선 이색성 비율은 1.0이고, 배향은 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수면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형성된 막의 경우에는, 적외선 이색성비는 1.5 또는 그 이상이며 그리고 배향을 부여한다.
배향막의 적외선 이색성 비율은, 예를 들면, 적외선 분광계(FT-IR, Nicolet형 170SX, 상품명, Nicolet Instrument Corp 제품)을 사용하여 얻는다. 즉, 배향박막 단독으로 시료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적외선에 투명한 기판(예로서 실리콘 웨이퍼)상에 배향막을 얇게 적층하여서 형성된 시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편광기를 시료와 적외선 빔 사이에 설치하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투과법으로 측정한다. 제4도는 이러한 스펙트라를 보여준다. 적외선 선 편광축이 박막의 막 형성방향과 평행인 흡광도(Abs//)와 적외선 선 편광축이 박막의 막 형성방향에 수직이 되는 흡광도(Abs
Figure kpo00018
)를 측정하고, 미리 정한 파장에서 적외선 이색성 비율(Abs//Abs
Figure kpo00019
)을 얻을 수 있다.
배향막의 적외선 이색성 비율은 제3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형성된 막의 권취속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제3도는 적외선 이색성 비율(Abs//Abs
Figure kpo00020
)을 종축으로 하고 권취속도(m/min)를 횡자표로 한 것이다. 제3도에서 C곡선은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D곡선은 플루오린함유 폴리아미드-산을 나타낸다.
셀에 밀봉될 액정화합물로서, 일반식(1) 내지 (7)로 표시한 네마틱 액정, 일반식(8) 내지 (12)로 표시한 강유전성 액정,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정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여기서 A와 B는 독립적으로 알킬그룹, 알콕시 그룹, 또는 시아노그룹 또는 플로린 원자이다.
Figure kpo00023
셀에 밀봉된 액정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마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개의 전극기판 사이에 샌드위치된 네마틱 액정층은 액정 분자의 장축이 전계가 제로일 때에 두 전극기판 사이에서 80°내지 280°비틀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액정층은 일반식(8) 내지 (12)의 강유전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전극에 있어서는, 활성 매트릭스형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전극기판의 하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또는 다이오드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음 실시예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모든 퍼센트는 특별히 기술하지 않는 한 %이다.
[실시예 1]
0.1몰의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을 0.1몰의 2,2-[4,4'-비스(p-아미노펜옥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고유점도 3.5를 갖는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는다. 수득한 폴리아미드산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아세토페논(중량으로 1:1)의 혼합용매로 희석하여 5%의 고형분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산 와니스를 수득한다. 생성된 와니스를 수면 확산법에 의해 막 형성속도 15/m분에서 막-형성을 시켜 막 두께 10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비율 1.35(파장 1500cm-1)의 폴리아미드-산 배향막을 얻는다. 이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폭 200㎛, 스페이스 50㎛)상에 적층시킨다.
얻어진 기판들을 막 형성방향이 직교하도록 6㎛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얻어진 스페이스에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페닐시클로헥산 네마틱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24
을 붓고, 외부주변부를 에폭시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막 형성방향과 동일한 편광축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는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주파수 32Hz 및 인가전압 5V에서 응답속도를 측정한 결과, 상승시간(Tr)은 5msec이고 감쇠시간(Td)은 20msec이었다. 전기-광학 특성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여기에서 전압-투과특성(=V90/V10)은 1.50이었다.
제5도는 전압(V)과 투과율(%) 사이의 관계 즉, 역치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들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수면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폴리아미드-산 배향막을 25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이미드화한다[적외선 이색성비율 1.30(파장 1500㎝-1)]. 막 두께는 600Å이다. 그 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생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특성이 우수하고, Tr 8msec 및 Td 30msec의 전기-광학 특성을 나타낸다. 주파수 32Hz, 인가전압 5V에서 측정시 r는 1.60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들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3]
0.1몰의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을 0.1몰의 4,4'-비스(m-아미노펜옥시)디페닐설폰과 크레졸 및 톨루엔의 혼합용매 중 1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고유점도 5.0을 갖는 폴리이미드 용액을 얻는다.
폴리이미드 용액을 고형분 함량 30%가 되도록 알콜 중에 재침전시키고 N-메틸피롤리돈에 재용해시킨 다음, 이어서 20%의 아세토페논과 혼합한다. 생성된 용액을 사용하여, 배향막을 수면 확산막 형성법에 의해 막형성속도 10m/분에서 제조한다. 얻어진 막은 두께가 3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은 1.10(파장 1500㎝-1)이다.
이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 폭 200㎛, 스페이스 50㎛)상에 적층시킨다.
얻어진 기판들을 막 형성방향이 직교하도록 7㎛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얻어진 스페이서에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25
을 붓고, 외부 주변부를 에폭시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막 형성방향과 동일한 편광 축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수득한다. 생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응답속도를 주파수 32Hz, 인가전압 5V에서 측정한 결과, Tr은 13msec, Td는 35msec이었다. r은 1.65이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들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4]
0.05몰의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0.05몰의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및 0.1몰의 이소프탈산디히드라지드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중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유 점유 2.4를 갖는 폴리히드라지드산 용액을 얻는다. 수득한 폴리히드라지드산 용액을 2% 용액으로 희석시킨다. 실시예 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막 두께 2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비율 1.20(파장 1500㎝-1)인 폴리히드라지드산 배향막을 수득한다.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 폭 200㎛, 스페이스 50㎛)상에 적층시킨다. 얻어진 기판들을 막 형성방향이 직교하도록 5㎛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얻어진 스페이스에,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26
을 붓고, 외부 주변부를 에폭시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막 형성방향과 동일한 편광축 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는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응답속도를 주파수 32Hz, 인가전압 5V에서 측정한 결과, Tr은 10msec, Td는 30msec이었다. r은 1.48이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들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5]
0.05몰의 3,3',4,4'-비스페닐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0.05몰의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0.05몰의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및 0.05몰의 2,2-[4,4'-비스(p-히드라지드펜옥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을 N-메틸피롤리돈 용액 중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유점도 1.5를 갖는 폴리아미드산-히드라지드의 용액을 얻는다. 수득한 폴리아미드산-히드라지드산 용액을 N-메틸 피롤리돈/아세토페논(1:1 중량비)으로 1% 용액으로 희석시킨다. 생성된 용액을 막 형성속도 10m/분에서 수면확산에 의한 막 형성을 시켜 막 두께 약 3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15(파장 1500㎝-1)인 폴리아미드산-히드라지드산 배향막을 수득한다. 이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 폭 100㎛, 스페이스 50㎛)상에 적층시킨다. 얻어진 기판을 막 형성 방향이 직교하도록 4㎛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얻어진 스페이스에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Sc*상을 나타내는 강유전성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27
을 붓고, 외부주변부를 에폭시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막 형성방향과 동일한 편광축 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수득한다. 수득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기-광학특성을 측정하고 제6도에 나타내었다. 제6도는 명암과 시간, 인가전압과 시간과의 관계로써 메모리 특성 평가치를 나타낸 것이다.
단, 인가한 전계시간에서의 콘트라스트비는 CR= B4/B1으로 표시하고, 두 메모리 상태 간의 콘트라스트비는
Figure kpo00028
로써 표시하면, 상기 두 콘트라스트비의 비율은
Figure kpo00029
이 된다.
즉 메모리 상태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파라메터로서, 메모리 특성(M)은 두 메모리 상태 같의 콘트라스트비와 인가한 전계시간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M이 1이면, 콘트라스트 비율은 15:1정도로 우수하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6]
0.1몰의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0.09몰의 4,4'-비스(m-아미노펜옥시)디페닐설폰 및 0.01몰의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중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유점도 0.8을 갖는 폴리아미드산의 용액을 수득한다. 수득한 폴리아미드산을 2% 용액으로 희석시킨다. 막 두께 약 1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40(파장 1500㎝-1)인 폴리아미드-산 배향막을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한다. 그 후, 이 막을 2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을 얻는다.
2색성 염료(LSB 235, 상품명,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Itd. 제품)를 3%의 양으로 실시예 5에서 사용한 강유전성 액정 조성물에 가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득하고, 배향특성, 메모리 특성 및 콘트라스트비에 대한 평가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배향성에 있어서는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이 나타났으며, 메모리 특성(M)은 M=1 정도로 우수하고, 콘트라스트비는 12:1이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7]
0.1몰의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0.08몰의 2,2-[4,4'-비스(p-아미노펜옥시)-디페닐]프로판의 실릴 화합물 및 0.02몰의 세반스산 디히드라지드를 N-메틸리롤리돈 용액 중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유점도 3.5를 갖는 폴리아미드 산-히드라지드의 용액을 얻는다. 수득한 폴리아미드산-히드라지드산을 N-메틸피롤리돈에 30%의 아세토페논을 가하여 얻은 용매로 5% 용액으로 희석시킨다. 막 두께 약1000Å의 폴리아미드산-히드라지드산 배향막을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면 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형성시킨다. 배향막을 무정형 실리콘 반도체(화상 소자 수 20×20)상에 적층시키고, 1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형성된 스페이스에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네마틱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30
을 붓고, 외부주변부를 에폭시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막 형성방향과 동일한 편광축 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활성 매트릭스형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수득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TFT 작동을 실시한 후, 전 화상 조사는 정상적으로 발광한 것이 확인되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과 TFT의 손상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8]
0.1몰의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0.09몰의 2,2-[4,4'-비스(p-아미노펜옥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및 0.01몰의 디아미노실록산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중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유점도 3.2의 폴리아미드 산-실록산의 용액을 얻는다. 수득한 폴리아미드-산 실록산 용액을 용매의 중량비가 1:1이 되도록 디메틸아세트아미드/아세토페논으로 4%용액으로 희석시킨다.
막 두께 약 4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45(파장 1500cm-1)인 폴리아미드-산 실록산 배향막을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면 확산 막 형성법에 의해 형성시킨다.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 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적층시키고, 이어서 1시간 동안 250℃에서 가열하여 폐환에 의해 폴리아미드 실록산을 형성시킨다.
편광 후, 액정분자의 비틀림각이 220°가 되도록 얻어진 기판 및 흡수축을 조정한다. 6㎛두께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과 같이, 액정 조성물을 충전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시킨다. 그 후, 다음 화합물로 이루어진 네마틱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31
을 스페이스에 붓고 외부주변부를 에폭시 수지로 밀봉한다. 실시예 1에 기술한 방법으로 STN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 후 산란영역(빛을 산란하는 영역) 시험한 결과, 그러한 영역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고, 전 화상 소자대역에서 안정하게 발광한 것이 확인되었다. STN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1]
0.1몰의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0.1몰의 4,4'-디아미노디페닐 에테르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액 중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폴리아미드-산의 용액을 얻는다. 생성된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3%의 용액으로 희석시킨 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 폭 200㎛, 스페이스 50㎛)상에 3000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두께 약 500Å의 배향막을 형성시킨다. 막을 2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폐환시킨다. 그 후 AB Rayvel 직포(타입 No. 40-782, Buehler Ltd 제품)로 감은 로터를 회전(회전속도 600rpm, 노치 양 0.4mm)시켜 러빙처리를 한다. 기판 및 편광판의 흡수축을 액정 분자의 비틀림각이 220°가 되도록 조정한다.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밀봉하고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형성시킨다. 생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발광이 불량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역치(V+h) 특성의 변화 및 강하가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각 부분주변에서 발생하여, 전 셀의 안정성이 열화되었다.
[비교 실시예 2]
0.1몰의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및 0.1몰의 2,2-[4,4'-비스(p-아미노펜옥시)-디페닐]프로판을 N-메틸피롤리돈 중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수득한다. 생성된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7% 용액으로 희석시키고, 무정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화상소자 수 20×20) 상에 프린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약 1000Å 두께의 배향막을 형성시킨다. 그 후, 막을 2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폐환시키고 AB Rayvel 직포로 감은 로터를 회전(회전속도 600rpm, 노치 양 0.25mm)시켜 러빙처리를 실시한다. 실시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에폭시 수지로 밀봉하여 실시예 7에 기술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형성시킨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광학 특성을 시험하였다. TFT 작동을 실시한 결과, 정전기성이 발생되었으며, 여러 화상 소자에서 발광의 불량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안정한 디스플레이는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9]
0.1몰의 3,3',4,4'-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2무수물 및 0.1몰의 2,2-[4,4'-비스(p-아미노펜옥시)디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 중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는다. 이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아세토페논(1:1 중량비)의 혼합용매로 5% 용액으로 희석시킨다. 수면 확산막 형성법에 의해 막형성 속도 12m/분에서 폴리아미드-산 배향막을 형성시키고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 상에 적층시킨 후, 이어서 6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두께 300Å의 분자배향을 가진 배향막을 얻는다. 얻어진 배향막을 러빙강도 0.2mm로 러빙처리를 하는데, 이 강도는 통상의 러빙처리로 배향을 부여하는데 있어서는 불충분하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액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프리틸트 방향이 균일하게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유도된 산란영역이나 불균일성은 발생되지 않았다.
[실시예 10]
40몰%의 p-히드록시벤조산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하여 얻은 터모트로픽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중합체 함량이 5%가 되도록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 중량비)에 용해하여 확산용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용액을 막 형성속도 5m/분에서 수면 확산 막 형성을 시켜서 막 두께 5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2.1(파장 1160cm-1)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 중합체 배향막을 얻는다. 이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 전극기판(기판 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적층시킨다.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액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응답속도를 주파수 32Hz와 인가전압 5V에서 측정한 결과, Tr은 6msec이고, Td는 25msec이었다. 또한 r=V90/V10은 1.55이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11]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를 N-디메틸아세트아미드/아세토페논의 혼합용액(70/30 중량비)에 중합체 함량 4%가 되도록 용해하여 확산 용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용액을 막 형성속도 10m/분의 속도에서 수면확산 막 형성을 시켜 막 두께 5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5(파장 1640cm-1)의 폴리아미드계 액정 폴리머 배향막을 수득한다. 얻어진 액정 중합체 배향막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성질이 우수하였다. 응답속도를 주파수 32Hz, 인가전압 5V에서 측정한 결과, Tr은 8msec, Td는 25msec이었다. 또한 r은 1.60이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12]
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및 3,8-페난트리디논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50/50 몰비)를 N-메틸피롤리돈/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아세트페논의 혼합용매(40/40/20 중량비)에 중합체 함량 5%가 되도록 용해하여 확산용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용액을 막 형성속도 10m/분에서 수면 확산막 형성을 시켜 막 두께 10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비율 1.4의 폴리아미드계 액정 중합체 배향막을 얻는다.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전극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적층시킨다.
실시예 5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강자성 액정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5에 기술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메모리 특성 평가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다. 메모리 특성치(M)는 1이고, 콘트라스트비는 10:1 정도로 우수하였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13]
계면중축합에 의해 합성된 다음 반복단위
Figure kpo00032
(n은 바람직하기는 10 내지 50 이다)를 갖는 폴리아조페놀 알카노에이트를 중합체 함량이 5%가 되도록 p-클로로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의 혼합용매(70/30 중량비)에 용해하여 확산용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용액을 막형성속도 8m/분에서 수면 확산막 형성을 시켜 막 두께 1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5(파장 1500cm-1)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 중합체 배향막을 수득한다. 무정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화상 소자수 20×20) 상에 배향막을 적층시킨다. 얻어진 기판을 4㎛의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배향막의 배향방향이 직교하도록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얻어진 스페이스에, 실시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붓고 외부주변부를 에폭시 수지로 밀봉한다. 그 후, 배향막의 배향방법과 동일한 편광축 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활성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얻는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이 없는 균일한 배향특성을 나타내었다. TFT작동을 실시한 후, 모든 화상소자는 정상적 액정 디스플레이 셀로, 발광한 것이 확인되었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및 TFT의 손상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14]
다음 구조식의 측쇄형 액정 폴리실록산
Figure kpo00033
(n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을 중합체 함량이 5%가 되도록 톨루엔/메틸 에텔 케톤(80/20 중량비)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확산용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용액을 막 형성속도 10m/분에서 수면 확산 막 형성을 시켜 막 두께 약 400Å이고 적외선 이색성 비율 1.45(파장 1160cm-1)의 폴리실록산계 액정 중합체 배향막을 얻는다. 이 배향막을 스트라이프형 투명 전극기판(전극 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적층시킨다. 그 후 이 기판 및 편광판의 흡수축을 액정 분자의 비틀림각이 220°가 되도록 조정한다. 6㎛두께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스페이스를 형성시키고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로 충전한 다음, 에폭시 수지로 밀봉한다.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으로 STN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제조한 후, 산란영역(광을 산란하는 영역)을 시험한다. 상기한 영역은 발생되지 않았으며 전 화상소자 대역에서 안정하게 발광한 것이 확인되었다.
STN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도, 전극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3]
폴리(p-페닐렌테레프탈레이트)를 중합체 함량이 3%가 되도록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에 용해한다.생성된 용액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기판 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3000rpm에서 60초간 스핀코팅하여 두께 약 500Å의 배향막을 얻는다. 배향막을 150℃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고 AB Rayvel 직포를 감은 회전로터(회전속도 600rpm, 노치양 0.4mm)로 러빙 처리를 한다. 기판과 편광판의 흡수축은 액정 분자의 비틀림각이 220°가 되도록 조정한다. 실시예 8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에폭시 수지로 밀봉하여 실시예 8에 기술한 방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형성시킨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정전기성, 전극 간의 단락 및 전극의 파괴가 모두 발생하여 발광하는데 있어서 불량성이 유발되었다. 또한 역치(V+h)특성의 변화 및 강하가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각 부분에서 발생하였고, 전 셀의 안정성이 열화되었다.
[비교 실시예 4]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40몰%의 p-히드록시벤조산과 공중합시켜 얻은 터모트로픽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중합체 함량이 2%가 되도록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의 혼합용매에 용해한다. 생성된 용액을 프린터를 사용하여 무정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화상 소자수 20×20) 상에 도포한다.막을 1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이어서 AB Rayvel 직포로 감은 회전로터(회전속도 600rpm, 노치 양 0.25mm)를 사용하여 러빙처리를 한다. 실시예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실시예 7에 기술된 방법으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밀봉해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형성시킨다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전기-광학 특성을 시험하였다. TFT 작동을 실시한 후, 정전기성이 발생하였으며, 여러 화상소자에서 발광의 불량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안정한 디스플레이는 불가능하였다.
[비교 실시예 5]
다음 구조식의 측쇄형 액정 폴리실록산
Figure kpo00034
(n은 바람직하기는 10 내지 100이다)을 중합체 함량이 10%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한다. 생성된 용액을 스트라이프형 투명전극기판(원주폭 200㎛, 스페이스 50㎛) 상에 스핀 코팅(2000rpm, 30초)하여 약 500Å막을 형성시킨다. 그 후, 기판을 120℃에서 가열하면서 수직방향으로 부터 1kg 하중의 롤러를 1cm/초의 속도로 코팅물의 상부 표면사에서 이동시켜 배향된 박막기판을 얻기 위한 전단 응력을 인가한다. 얻어진 기판들을 기판의 전단응력이 직교하도록 6㎛의 스페이스를 개재하여 마주 향하게 위치시킨다. 형성된 스페이스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네마틱 액정 조성물을 충전하고 에폭시 수지로 밀봉한다.
전단 처리 방향과 동일한 편광축 방향을 갖는 한쌍의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셀을 수득한다. 얻어진 액정 디스플레이 셀은 배향에 있어서 불균일성을 나타내어 균일성이 불충분하였다.

Claims (20)

  1. 소망하는 디스플레이 패턴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을 가지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기판과, 밀봉재에 의해 상기 두 기판의 내면 사이에 밀봉된 액정 조성물과, 그리고 상기한 투명전극 상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배향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로써, 상기한 배향막이 0.1㎛ 이하의 막 두께를 가지며, 이들 배향막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단층의 막 두께가 0.003㎛ 이상인 유기 중합체를 배향시켜 얻은 막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주쇄 또는 측쇄에 하나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는 액정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4. 소망하는 디스플레이 패턴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을 가지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기판과, 밀봉재에 의해 상기 두 기판의 내면 사이에 밀봉된 액정 조성물과, 그리고 상기한 투명전극 상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배향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로써, 상기한 배향막 중의 적어도 하나는, 유기 중합체의 용액을 수면 상에 전개시켜 생성된 막을 권취하여 얻은, 막 두께가 0.003㎛ 이상인 단층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주쇄 또는 측쇄에 하나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7. 소망하는 디스플레이 패턴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을 가지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기판과, 밀봉재에 의해 상기 두 기판의 내면 사이에 밀봉된 액정 조성물과, 그리고 상기한 투명전극 상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배향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로써, 상기한 배향막 중의 적어도 하나는 유기 중합체의 용액을 수면 상에 전개시켜 생성된 막을 권취함으로서 배향이 되는 유기 중합체로 만들어지며, 막 두께가 0.003㎛ 이상인 단층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주쇄 또는 측쇄에 하나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는 액정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셀.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이 네마틱 액정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조성물이 강유전성 액정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셀.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셀 조성물이 네마틱 액정 조성물이고, 상기한 2개의 전극기판 사이에 협지된 액정 분자의 장축 방향이 제로의 전계 하에서, 상하 전극기판 사이에서 80°내지 280°로 비틀린 구조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이 절연층 및/또는 커플링제 층상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 및 커플링제층은 상기 전극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이 1.05 이상의 적외선 이색성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활성 매트릭스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
  16. 수면 상에 유기 중합체의 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용액을 한 방향으로 연신하여 막이 형성되게 하고, 생성된 수면 전개막을 기판 상에 설치된 전극의 소정 부위에 부착시키고, 이렇게 하여 제조된 배향막을 가진 한쌍의 전극기판과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 내에 액정 조성물을 주입하고, 밀봉제에 의해 이 액정 조성물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셀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면 전개막이 유기 중합체 용액의 수면 상의 자생적 확산속도 보다 더 빠른 속도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면 전개막을 이 수면 전개막의 권취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다수의 전극기판에 연속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폴리아미드-산 또는 폴리이미드,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중합체가 주쇄 또는 측쇄에 하나 이상의 메소겐 그룹을 갖는 액정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890003779A 1988-03-25 1989-03-25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0122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69276 1988-03-25
JP63-69276 1988-03-25
JP63069276A JPH0792570B2 (ja) 1988-03-25 1988-03-25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3-210752 1988-08-26
JP63210752A JPH0259724A (ja) 1988-08-26 1988-08-26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88-210752 1988-08-26
JP63253394A JP2636904B2 (ja) 1988-10-06 1988-10-06 液晶表示素子
JP88-253394 1988-10-06
JP63-253394 1988-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55A KR890015055A (ko) 1989-10-28
KR0122079B1 true KR0122079B1 (ko) 1997-11-17

Family

ID=2730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79A KR0122079B1 (ko) 1988-03-25 1989-03-25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67797A (ko)
KR (1) KR0122079B1 (ko)
DE (1) DE3909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61B1 (ko) * 2005-10-13 2008-07-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8833A3 (en) * 1989-09-20 1993-03-17 Hitachi, Ltd. Organic thin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with the same
JP2660601B2 (ja) * 1990-06-27 1997-10-08 日本石油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補償板の製造法
DE69215565T2 (de) * 1991-03-26 1997-05-28 Philips Electronics Nv Flüssigkristallbildwiedergabeanordnung mit Orientierungsschicht
US5438421A (en) * 1991-04-24 1995-08-01 Alps Electric Co., Ltd. Orientation film of liquid crystal having bilaterally asymmetric ridges separated by grooves
US5526150A (en) * 1991-07-19 1996-06-11 Nippon Oil Company, Limited Liquid crystal polymer viewing angle compensator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ts largest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EP0543678A1 (en) * 1991-11-22 1993-05-26 Nippon Oi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heat-resistant optical elements
GB2264713B (en) * 1992-02-05 1996-09-25 Canon Kk Liquid crystal device
DE69315676T2 (de) * 1992-12-28 1998-07-16 Hoechst Ag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US5723065A (en) * 1993-01-11 1998-03-03 Chisso Corporation Liquid crystal compositio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WO1994021386A2 (en) * 1993-03-25 1994-09-29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Polymers useful in forming self-assembled bonded anisotropic ultrathin layers and their use
JPH06337416A (ja) * 1993-04-02 1994-12-06 Alps Electric Co Ltd 液晶素子の配向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0148391B1 (ko) * 1993-08-31 1998-11-16 박경팔 액정표시소자
US5468064A (en) * 1993-09-29 1995-11-21 Honeywell Inc. Night vision compatible color correction system
KR0185213B1 (ko) * 1994-05-27 1999-04-01 김정배 폴리에스테르계 주쇄 고분자 액정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 소자
JP3195172B2 (ja) * 1994-09-21 2001-08-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704623D0 (en) * 1997-03-06 1997-04-23 Sharp Kk Liquid crytal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evice incorporating same
US5928726A (en) * 1997-04-03 1999-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ation of coating patterns in fluid carrier coating processes
FR2779839B1 (fr) * 1998-06-10 2003-06-06 Saint Gobain Vitrage Systeme electrocommandable a proprietes optiques variables
JP4250287B2 (ja) * 1999-01-07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リカメソ構造体の製造方法
TW500747B (en) * 1999-01-19 2002-09-01 Hayashi Telempu Kk Alignment lay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0628261B1 (ko) * 2001-04-25 2006-09-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계 물질로 이루어진 배향막을 구비한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TWI288285B (en) * 2004-12-24 2007-10-11 Au Optronics Corp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ransflective pixel structure thereof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4201054B2 (ja) * 2007-02-16 2008-12-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9360596B2 (en) 2013-04-24 2016-06-07 Light Polymers Holding Depositing polymer solutions to form optical devices
US9829617B2 (en) 2014-11-10 2017-11-28 Light Polymers Holding Polymer-small molecule film or coating having reverse or flat dispersion of retardation
US9856172B2 (en) 2015-08-25 2018-01-02 Light Polymers Holding Concrete formulation and methods of making
US10962696B2 (en) 2018-01-31 2021-03-30 Light Polymers Holding Coatable grey polarizer
US11370914B2 (en) 2018-07-24 2022-06-28 Light Polymers Holding Methods of forming polymeric polarizers from lyotropic liquid crystals and polymeric polarizers formed thereby
CN112445016B (zh) * 2019-09-05 2023-02-03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基板、液晶显示面板、显示器及液晶基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0645C2 (de) * 1980-05-30 1983-01-2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lüssigkristallanzeig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027571C2 (de) * 1980-07-21 1985-03-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lüssigkristallanzeige mit einer orientierenden und polarisierenden Schicht
DE3107633A1 (de) * 1981-02-27 1982-09-1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uenner polyimidschichten"
DE3727945A1 (de) * 1986-08-22 1988-02-25 Ricoh Kk Fluessigkristallelement
EP0266136A3 (en) * 1986-10-28 1989-08-16 Stc Plc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cells
EP0277567B1 (en) * 1987-01-23 1997-04-09 Toray Industries, Inc. Liquid crystal element
KR920010053B1 (ko) * 1987-11-25 1992-11-1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161B1 (ko) * 2005-10-13 2008-07-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액정 패널의 제조방법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055A (ko) 1989-10-28
US5067797A (en) 1991-11-26
DE3909704A1 (de)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07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셀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5773559A (en) Polyimide block copolymer and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forming agent
US6063829A (en) Method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KR100889710B1 (ko) 횡전계 구동용 액정 배향 처리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표시 소자
US5316805A (en) Liquid crystal device
EP0575986B1 (en) Agent for vertical orientation treat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JP4788896B2 (ja) 垂直配向型液晶配向剤および垂直配向型液晶表示素子
KR100236860B1 (ko) 액정셀용 배향처리제
JP3169062B2 (ja) 液晶セル用配向処理剤
US4759614A (en)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element with particular alignment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268780A (en) Liquid crystal device having a polyimide alignment film substituted with fluorine or a fluorine-containing group
KR100450698B1 (ko) 액정셀용 배향처리제
JPH02287324A (ja) 液晶セル用配向処理剤
JPH06175138A (ja) 液晶配向剤
EP0587122B1 (en) Agent for alignment treatment for a liquid crystal cell
JPH0648339B2 (ja) 液晶表示セル用配向処理剤
JP3612751B2 (ja) 液晶配向剤
EP0397153A2 (en) Chiral smectic liquid crystal device
JPH0792570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9429A (ja) 液晶配向剤および液晶表示素子
JP2636904B2 (ja) 液晶表示素子
JP2001228483A (ja) ポリイミド系共重合体による液晶配向膜形成剤、液晶配向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59724A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70802A (ja) 液晶表示素子用配向膜
JPH10142606A (ja) 液晶表示素子用基板の配向処理方法、液晶表示素子用基板、液晶表示素子および配向処理用ラビン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