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06Y1 - 스피커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피커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06Y1
KR0121706Y1 KR2019940010452U KR19940010452U KR0121706Y1 KR 0121706 Y1 KR0121706 Y1 KR 0121706Y1 KR 2019940010452 U KR2019940010452 U KR 2019940010452U KR 19940010452 U KR19940010452 U KR 19940010452U KR 0121706 Y1 KR0121706 Y1 KR 0121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voice coil
edge
pole piec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652U (ko
Inventor
신동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1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06Y1/ko
Publication of KR950034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3Loudspeakers using a plurality of acoustic dr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판 외주연부의 엣지외측이 부착되고 상기 진동판 중앙의 더스트 캡하부에 연장형성된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폴피스와 상부판사이의 공극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보이스 코일로부터 엣지부분으로 전파됨에 따라 진동판의 다양한 진동모드(방사 진동모드, 동심원 진동모드, 그리고 이 합성모드)가 발생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이 발생되었으며, 상기 진동판의 직선성을 저해하여 비선형의 거동을 행하고 음의 왜곡을 증가시키며 보이스 코일에서 멀어질수록 전되는 힘(관성력)이 상쇄되어 스피커의 효율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고안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진동판(18)의 엣지(22)부분에 또 하나의 보이스 코일(32)을 형성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32)이 별도의 자기회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두개의 독립된 각각의 자기회로에서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동시에 서로 합한 만큼의 추력증가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피커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유니트
제1도는 종래 고안에 대한 스피커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부판 12,38:폴피스
14,40:마그네트 16,42:상부판
18:진동판 20:프레임
22:엣지 24:더스트 캡
26,32:보이스 코일 28,34:보빈
30:댐퍼 36:폴피스 받침대
44:지지프레임 46:스크류
이 고안은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개의 독립된 자기회로로 하나의 진동판을 구동시킴으로써 각각의 자기회로에서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동시에 서로 합한 만큼의 추력증가를 얻을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하여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피커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스피커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피커 유니트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앙에 폴피스(12)가 상부로 돌출된 하부판(10)의 상단에 링형의 마그네트(1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14)의 상단에는 하부판(10)의 폴피스(12)와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부판(1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16)의 상단에는, 콘형의 진동판(18)을 갖는 프레임(20)이 고정되되 상기 진동판(18)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엣지(22)외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18) 중앙의 더스트 캡(24) 하부에는 상부판(16)과 폴피스(12) 사이의 공극내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26)이 권선된 보빈(28)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은 상단의 가장자리에 상부로 볼록한 반원형의 엣지(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하단의 보빈(28)은 웨이브형의 댑퍼(30)를 통해 프레임(2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피커 유니트는, 하부판(10)의 폴피스(12)와 상부판(16) 사이의 공극에 마그네트(14)에 의해 직류자속이 쇄교되는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26)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기전력을 받은 보이스 코일(26)이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진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26)이 상하로 진동됨에 따라 보이스 코일(26)과 일체화된 진동판(18) 역시 진동되어 소정의 음압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 유니트에 있어서는 진동판(18) 외주연부의 엣지(22) 외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18) 중앙의 더스트 캡(24) 하부에 연장형성된 보이스 코일(26)이 권선된 보빈(28)이 폴피스(12)와 상부판(16)사이의 공극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보이스 코일(26)로부터 엣지(22)부분으로 전파됨에 따라 진동판(18)의 다양한 진동모드(방사 진동모드, 동심원 진동모드, 그리고 이 합성모드)가 발생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의 엣지(22) 외측부분이 부착된 상태에서 하나의 자기회로에 의해 진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진동판(18)의 직선상을 저해하여 비선형의 거동을 행하고 음의 왜곡을 증가시키며, 또한 보이스 코일(26)에서 멀어질수록 전달되는 힘(관성력)이 상쇄되어 스피커의 효율이 저하되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진동판의 엣지부분에 또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이 별도의 자기회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두개의 독립된 각각의 자기회로에서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동시에 서로 합한 만큼의 추력증가를 얻을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피커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스피커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의 특징은, 중앙에 폴피스가 상부로 돌출된 하부판의 상단에 링형의 마그네트가 부착되고 상기 마그네트의 상단에는 하부판의 폴피스와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부판이 부착되며 상기 상부판의 상단에는 콘형의 진동판을 갖는 프레임이 고정되되 상기 진동판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엣지외측이 부착되고 상기 진동판 중앙의 더스트 캡 하부에는 상부판과 폴피스사이의 공극내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연장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이 2개의 독립된 자기회로에 의해 구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 있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중앙에 폴피스(12)가 상부로 돌출된 하부판(10)의 상단에는 링형의 마그네트(1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마그네트(14)의 상단에는 하부판(10)의 폴피스(12)와 소정간격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상부판(1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부판(16)의 상단에는, 콘형의 진동판(18)을 갖는 프레임(20)이 고정되되 상기 진동판(20)의 외주연부에 상부로 볼록하게 반원형으로 형성된 엣지(22)외측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판(18)중앙의 더스트 캡(24)하부에는 상부판(16)과 폴피스(12)사이의 공극내에 위치되도록 보이스 코일(26)이 권선된 보빈(28)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진동판(18) 중앙하단의 보빈(28)은 웨이브형의 댐퍼(30)를 통해 프레임(2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18)의 엣지(22)부분에는 보이스 코일(32)이 권선된 보빈(34)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0)에는 보빈(34)의 보이스 코일(32)이 또 하나의 자기회로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 상부의 자기회로는, 폴피스 받침대(36)상에 L자형 단면의 폴피스(38)가 부착되고 상기 폴피스(38) 상에는 링형의 마그네트(40) 및 상부판(42)이 지지프레임(44)에 의해 장착되되 상기 폴피스(38)와 상부판(42) 사이에는 보이스 코일(32)이 권선된 보빈(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폴피스 받침대(36) 및 지지 프레임(44)은, 직류자속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자성체의 재료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프레임(20)에는 폴피스(38)가 상기 폴피스 받침대(36)에는 지지 프레임(44)이 스크류(46)로 체결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 고안의 스피커 유니트는, 프레임(20) 하부측 자기회로를 이루는 하부판(10)의 폴피스(12)와 상부판(16)사이의 공극에 마그네트(14)의 직류자속이 쇄교되고 상기 프레임(20) 상부측 자기회로를 이루는 폴피스(38)와 상부판(42) 사이의 공극에 마그네트(40)의 직류자속이 쇄교되는 상태에서 앰프(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진동판(18) 하부의 보이스 코일(26),(32)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받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기전력을 받은 보이스 코일(26)(32)이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진동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판(18)의 보이스 코일(26)(32)이 같은 위상 혹은 서로 다른 위상으로 상하진동됨에 따라 보이스 코일(26)(32)과 일체화된 진동판(18) 역시 진동되어 소정의 음압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 고안의 스피커 유니트는, 진동판(18) 중앙의 더스트 캡(24)하부에 형성한 보이스 코일(26)이 프레임(20)하부의 자기회로에 의해 진동판(18)이 진동됨과 동시에 상기 진동판(18)의 엣지(22)부분에 또 하나의 보이스 코일(32)을 형성하여 상기 보이스 코일(32)이 별도의 자기회로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두개의 독립된 각각의 자기회로에서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동시에 서로 합한 만큼의 추력증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판(18)의 중앙부분과 엣지(22)부분이 동시에 같은 위상으로 진동됨에 따라 진동판(18)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진동모드에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스피커의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니트에 의하면, 진동판의 엣지부분에 또 하나의 보이스 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이 별도의 자기회로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두개의 독립된 각각의 자기회로에서 발생된 힘이 손실없이 동시에 서로 합한 만큼의 추력증가를 얻을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진동판의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진동모드의 합성에 의한 분할공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스피커의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 선단부 가장자리에 엣지가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 보이스 코일이 권취되는 콘형 진동판; 상기 보이스 코일을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의 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보빈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하는 폴피스와 상부판, 상기 폴피스와 상부판를 통해 상기 보빈에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제1자기회로; 상기 콘형 진동판의 엣지가 지지되고, 그 하부에 상기 제1자기회로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엣지부분에 인접한 상기 진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진동판의 엣지부분에 인접한 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판 엣지부분의 보빈에 자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엣지부분의 보빈의 양측에 위치하는 폴피스 및 상부판 및 폴피스와 상부판을 통해 보빈에 자계를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제2자기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기회로의 폴피스와 마그네트의 하부에 폴피스 받침대가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트 위에 상부판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폴피스 받침대는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피스 받침대와 지지프레임이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 유니트.
KR2019940010452U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KR0121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452U KR012170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452U KR012170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652U KR950034652U (ko) 1995-12-18
KR0121706Y1 true KR0121706Y1 (ko) 1998-08-01

Family

ID=1938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452U KR0121706Y1 (ko) 1994-05-12 1994-05-12 스피커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652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1728B2 (ja) スピーカ
KR0121706Y1 (ko) 스피커 유니트
JPH08168092A (ja) スピーカー
JP3168750B2 (ja) スピーカ装置
JP2000152381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1128287A (ja) スピーカ
JP2002209296A (ja) スピーカ
JPWO2007088734A1 (ja) スピーカ装置
JP3991792B2 (ja) スピーカ
JP2000278791A (ja) スピーカ
JPH01126900A (ja) スピーカ
KR200162112Y1 (ko) 박형 스피커
JP2000308194A (ja) スピーカ装置
KR200203455Y1 (ko) 스피커 장치
JP2004350317A (ja) スピーカ
JP2004336819A (ja) スピーカ
KR101844919B1 (ko) 박형 스피커
JP3651483B2 (ja) スピーカ
JP3057271B2 (ja) スピーカ
JP2000253490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2000188798A (ja) 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JPH11187485A (ja) スピーカ
JP2002300695A (ja) スピーカ
KR900006018Y1 (ko) 드로운 콘일체형 저음용 스피커
JP2000308183A (ja) スピー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