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863Y1 -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863Y1
KR0120863Y1 KR2019930031910U KR930031910U KR0120863Y1 KR 0120863 Y1 KR0120863 Y1 KR 0120863Y1 KR 2019930031910 U KR2019930031910 U KR 2019930031910U KR 930031910 U KR930031910 U KR 930031910U KR 0120863 Y1 KR0120863 Y1 KR 0120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eat
vehicle
driver
drive gear
f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813U (ko
Inventor
문명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31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863Y1/ko
Publication of KR9500178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8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8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88Adjustable sea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나 승객의 체형에 따라 등받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차량의 앞좌석 폭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의 중앙부와 좌·우 보조부를 분리구성하여 좌·우 보조부를 분리구성하여 좌·우 보조부를 구동에 의한 조절장치로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체형에 구애받지 않고 상체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뿐아니라 운전자의 자세를 안정시켜 주어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앞좌석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정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1' : 양측면 프레임2 : 안내판
3 : 안내바4, 4' : 종방향 파이프 프레임
5 : 횡방향 파이프 프레임6 : 랙
7 : 구동기어8, 8', 8 : 지지브라켓
9,9', 9 : 피동기어10, 10' : 스톱퍼
본 고안은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에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나 승객의 체형에 따라 등받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폭을 조절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킨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에 있어서, 좌·우 보조부와 등받이 중앙부는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되어 운전자나 승객의 체형이 아주 작거나 클경우 이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주지 못함으로써 착용감을 저하시킬 뿐만아니라 운전자의 경우 급회전시 안전운전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의 중앙부와 좌·우 보조부를 분리구성하여 좌·우 보조부를 모터의 구동에 의한 조절장치로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체형에 구애받지 않고 상체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뿐아니라 운전자의 자세를 안정시켜 주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의 구성은 제2도, 제3도, 제4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양측면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안내관(2)에 관설된 안내바(3)가 횡설되어 양단이 프레임(1)(1')상에 융착되고 안내바 전방으로 종횡방향 앞좌석 등받이 파이프 프레임(4)(4')(5)이 입설 및 횡설되어 종방향 파이프 프레임(1)(1')에는 안내관(2)이 융착되면서 안내관(2)을 관통한 밑면이 개방된 패널박스(B)가 장착되며, 안내바(3)의 전면은 랙(6)으로 형성되어 모터(M) 단부의 구동기어(7)와 치합되고, 구동기어(7)의 일측과 타측에는 지지브라켓(8)(8')(8)에 축설된 피동기어 (9)(9')(9)가 랙(6) 및 구동기어(7)에 치합되며, 지지브라켓(8)(8')(8)의 사이로는 스톱퍼(10)(10')(10)를 지지되게 한 구성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앞좌석 시트
(12)는 시트(11)의 등받이 중앙부
(13)(13')는 시트(11)의 등받이 좌·우 보조부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모터(M)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기어(7)에 맞물린 피동기어(9)(')가 회전하고 피동기어(9')에 맞물린 피동기어(9) 역시 회전하면서 랙(6) 즉 안내바(3)가 안내관(2)내에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따라 안내바(3)의 양단에 융착된 양측 프레임(1)(1')이 동작하여 앞좌석 시트(11)의 등받이 중앙부(12)와 분리된 좌·우 보조부(13)(13')의 폭이 확장 또는 좁아지면서 조절되어 등받이의 폭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패널박스(B)내의 상기 구동기어(7)는 피동기어(9)(9')(9) 및 랙(6)과 등받이 내의 패드(미도시됨)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피동기어(9)(9')(9)들을 잡아주는 지지브라켓(8)(8')(8) 및 랙(6)의 스톱퍼(10)(1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구동기어(7)와 피동기어(9)(9')(9) 및 랙(6)의 조립 및 정비를 위하여 패널박스(B) 밑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앞좌석 등받이 중앙부에 좌·우 보조부를 분리구성하여 좌·우 보조부 폭을 모터의 구동에 의한 조절장치로 확장 또는 좁혀지게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몸집에 구애받지 않고 상체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받쳐주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급회전시에도 운전자의 자세를 안정시켜 줌으로써 안전운행에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 고안은 양측면 프레임(1)(1')의 내측으로 안내관(2)에 관설된 안내바(3)가 횡설되어 양단이 프레임(1)(1')상에 융착되고 안내바 전방으로 종횡방향 앞좌석 등받이 파이프 프레임(4)(4')(5)이 입설 및 횡설되어 종방향 파이프 프레임(1)(1')에는 안내관(2)이 융축되면서 안내관(2)을 관통한 밑면이 개방된 패널박스(B)가 장착되며, 안내바(3)의 전면은 랙(6)으로 형성되어 모터(M) 단부의 구동기어(7)와 치합되고, 구동기어(7)의 일측과 타측에는 지지브라켓(8)(8')(8)에 축설된 피동기어(9)(9')9)가 랙(6) 및 구동기어(7)에 치합되며, 지지브라켓(8)(8')(8)의 사이로는 스톱퍼(10)(10')를 개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 장치.
KR2019930031910U 1993-12-31 1993-12-31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KR0120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10U KR0120863Y1 (ko) 1993-12-31 1993-12-31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910U KR0120863Y1 (ko) 1993-12-31 1993-12-31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813U KR950017813U (ko) 1995-07-22
KR0120863Y1 true KR0120863Y1 (ko) 1998-07-15

Family

ID=1937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910U KR0120863Y1 (ko) 1993-12-31 1993-12-31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8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631Y1 (ko) * 2001-10-24 2002-01-12 김선환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813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5077B2 (en) Seat bolster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US6105920A (e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hidden floor mount
IE914430A1 (en) Mechanism supporting a thigh-rest cushion
US20220402417A1 (en) Vehicle seat
US5709363A (en) Structure of powered seat
ITRM990772A1 (it) Sedile per autoveicolo.
GB2081086A (en) Vehicle seat including adjustable side bolsters
KR0120863Y1 (ko)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KR100187146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100187145B1 (ko)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 이동장치
KR102485357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JP2000038062A (ja) 車両のシ―トの水平方向に関する単一駆動装置
JP7400287B2 (ja) サスペンションシート
JPS608176A (ja) 無天蓋車両用のウインドスクリ−ン支持構造
KR97007420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조절장치
KR0137885Y1 (ko) 자동차용 보조 시트장치
KR0131979Y1 (ko) 프론트 시트용 볼스터의 간격 조절장치
KR100401759B1 (ko) 시트 쿠션의 지압 장치
KR0153655B1 (ko) 챠량용 시이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20030021391A (ko) 자동차용 s-스프링을 이용한 요추 지지장치
KR19980040520A (ko)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
JPH054948U (ja) ヘツドレスト装置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